KR101450212B1 -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 Google Patents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212B1
KR101450212B1 KR1020140043256A KR20140043256A KR101450212B1 KR 101450212 B1 KR101450212 B1 KR 101450212B1 KR 1020140043256 A KR1020140043256 A KR 1020140043256A KR 20140043256 A KR20140043256 A KR 20140043256A KR 101450212 B1 KR101450212 B1 KR 10145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electrode
thin film
vibration generator
flexible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대
김광영
윤성만
박평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환부에 전기진동을 국부적으로 가할 수 있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는, 전극 패턴과 수용부를 형성하는 유연 박막 필름, 상기 전극 패턴에 구비되는 도전성 인쇄전극,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쇄전극에 연결되어 펄스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발진부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유연 박막 필름에 부착되어 상기 인쇄전극, 상기 발진부 및 상기 배터리를 덮는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ELECTRIC OSCILLATION GENERATOR USING PRINTED ELECTRODE}
본 발명은 전기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부착되어 전기진동을 가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0-0060906호(2000. 10. 16. 공개)에는 진동자극 방식에 의한 두뇌 활성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두뇌 활성화 장치는 마이크로 모터의 회전축에 편향추를 부착하여 회전시키는 진동발생 원리에 의해, 각 뇌 부위의 피부감각 자극으로 뇌를 α파 지배 상태로 만듦으로써 불활성 상태에 있는 두뇌를 자극하여, 신체건강과 두뇌기능을 활성화시켜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높인다.
두뇌 활성화 장치는 미세진동을 뇌에 제공하여 두뇌기능을 활성화시키며, 회로와 진동용 마이크로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진동모터의 진동강도를 설정하는 진동강도 설정부, 진동강도 설정값을 입력 받아 진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 마이크로 컴퓨터의 출력신호를 마이크로 모터를 구동 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하여 마이크로 모터를 구동시키는 증폭부, 및 머리에 밀착되어 미세진동을 두피에 제공하는 진동발생 모터부를 포함한다.
진동발생 모터부는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진동모터, 마이크로 진동모터를 보호하기 위해 알루미늄 또는 동판재질의 보호구, 및 진동모터를 두피에 밀착시키기 위한 헤드밴드 또는 헤드밴드 대용의 모자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진동발생 모터부는 진동모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 및 진동모터를 두피에 밀착시키기 위한 헤드밴드 등을 필요로 하므로 피부에 직접 붙여 사용하기 어렵다. 즉 , 및 따위에 용 파스와 같이 사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환부에 부착되어 전기진동을 국부적으로 가할 수 있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는, 전극 패턴과 수용부를 형성하는 유연 박막 필름, 상기 전극 패턴에 구비되는 도전성 인쇄전극,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쇄전극에 연결되어 펄스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발진부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유연 박막 필름에 부착되어 상기 인쇄전극, 상기 발진부 및 상기 배터리를 덮는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전극은, 상기 전극 패턴에 도전성 물질로 채워져 형성되어 상기 유연 박막 필름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진부와 상기 배터리는, 상기 수용부 내에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전극은, 2줄 와인딩으로 형성되고, 와인딩 구조의 외곽에서 서로 연결되며, 내측에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발진부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진부는 삼각형파 또는 구형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전극은, 롤임프린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는, 상기 보호 필름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전극은, 상기 전극 패턴에 도전성 물질로 채워지고 상기 유연 박막 필름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대응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대응 패턴은, 상기 유연 박막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인쇄전극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전극은, 1줄 왕복형 곡선으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을 왕복형 곡선 구조의 내측에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발진부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인쇄전극은, 롤프린트, 스크린 프린트 및 잉크젯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전극은, 1줄 와인딩으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을 와인딩 구조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부착되는 유연 박막 필름과 보호 필름 내부에 인쇄전극, 발진부 및 배터리를 구비하므로 인체의 환부에 부착되어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발진부의 펄스파로 인쇄전극에서 전기진동이 발생될 수 있고, 전기진동은 유연 박막 필름 또는 보호 필름을 통하여 인체의 환부에 국부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를 제조하는 공정 중 유연 박막 필름에 인쇄전극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인쇄전극 및 유연 박막 필름에 보호 필름을 부착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를 제조하는 공정 중 유연 박막 필름에 인쇄전극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인쇄전극 및 유연 박막 필름에 보호 필름을 부착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에 적용되는 인쇄전극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1)는 배터리(11), 발진부(12) 및 인쇄전극(13)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를 제조하는 공정 중 유연 박막 필름에 인쇄전극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1, 이하에서 "전기진동 발생기"라 한다)는 유연 박막 필름(20)과 보호 필름(30)(도 4 참조)을 더 포함한다.
유연 박막 필름(20)은 전기진동 발생기(1)의 몸체를 형성하며 롤임프린트 방법으로 인쇄전극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즉 유연 박막 필름(20)은 롤임프린트 방법을 수행하는 임프린트롤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극 패턴(21)과 수용부(22)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유연 박막 필름(20)은 열결화성 필름 및 열가소성 필름(예를 들면,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전극(13)은 도전성 물질로 전극 패턴(21)에 채워져 형성된다. 즉 인쇄전극(13)은 유연 박막 필름(20)의 전극 패턴(21)에 끼워지는 구조의 임베디드 금속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쇄전극(13)은 전극 패턴(21)에 채워져서 유연 박막 필름(2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인쇄전극(13)은 2줄 와인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쇄전극(13)의 2줄은 외곽에서 서로 연결되며, 와인딩 구조의 내측에서 배터리(11) 및 발진부(12)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전극(13)은 원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쇄전극은 2줄 와인딩 구조를 삼각형 패턴, 사각형 패턴 및 다각형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극 패턴(21) 및 인쇄전극(13)은 유연 박막 필름(20)에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극 패턴(21)은 임프린트롤에 구비되는 제판으로 임프린트 되므로 패턴 폭(W)과 패턴 간격(G) 및 패턴 깊이(D)(도 3 참조)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고, 패턴 폭(W)과 패턴 간격(G) 및 패턴 깊이(D)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전극 패턴(21)의 패턴 폭(W)과 패턴 간격(G) 및 패턴 깊이(D)가 다양하게 설정되므로 발진부(12)에서 인가되는 펄스파의 파형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패턴 폭(W), 패턴 간격(G) 및 패턴 깊이(D)의 전극 패턴(21)에 인쇄전극(13)이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따라 인쇄전극(13)의 폭, 간격 및 두께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쇄전극(13)은 설정된 전압으로 설정된 발열량을 얻을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인쇄전극(13)이 저저항 값을 가지는 Ag로 형성되므로 배터리(11)의 소비를 최소로 하면서, 인쇄전극(13)의 열화가 방지된다. 또한 이웃하는 인쇄전극(13)이 유연 박막 필름(20)의 전극 패턴(21)으로 절연되므로 인쇄전극(13)의 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발진부(12)는 유연 박막 필름(20)의 수용부(22)에 구비되고, 인쇄전극(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펄스파를 생성하여 인쇄전극(13)에 인가한다. 예를 들면, 발진부(12)는 발진회로 또는 타탄산지르콘산연(PZT; Lead Zirconate Titanate) 압전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11)는 수용부(22)에 구비되어 발진부(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한다. 배터리(11)는 수용부(22)에 수용될 수 있는 박막 배터리로 형성된다.
편의상, 제1실시예에서 배터리(11)가 수용부(22)의 하측에 수용되고 발진부(12)가 배터리(11) 상부에 배치되는 적층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즉 배터리(11)는 발진부(12)를 통하여 인쇄전극(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진부(12)는 인가되는 전압으로 삼각형파 또는 구형파를 생성하여 인쇄전극(13)에 인가한다. 삼각형파 및 구형파에 의하여 인쇄전극(13)은 전기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도 4는 인쇄전극 및 유연 박막 필름에 보호 필름을 부착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 필름(30)은 배터리(11)와 발진부(12) 및 인쇄전극(13)를 수용한 유연 박막 필름(20)에 부착됨으로써, 인쇄전극(13), 발진부(12) 및 배터리(11)를 덮어 수용하게 된다. 즉 인쇄전극(13), 발진부(12) 및 배터리(11)는 서로 부착되는 유연 박막 필름(20)과 보호 필름(30)의 내부에 밀봉된다.
보호 필름(30)은 유연 박막 필름(20)과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상호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보호 필름(30)과 유연 박막 필름(20)은 열융착 또는 접착제(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부착될 수 있다.
유연 박막 필름(20)은 두께 방향으로 전극 패턴(21) 및 수용부(22)를 형성하고, 이에 인쇄전극(13), 발진부(12) 및 배터리(11)를 내장하게 된다. 따라서 보호 필름(30)은 유연 박막 필름(20)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양면 접착부재(40)가 보호 필름(30)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양면 접착부재(40)에 구비되는 이형지(미도시)를 제거하면, 양면 접착부재(40)는 인체의 환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 필름(30)이 얇게 형성되어 유연성을 가지므로 전기진동 발생기(1)는 인체에 더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편리한 1회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전기진동 발생기(1)는 양면 접착부재(40)로 인체에 부착되어, , 및 부위에 전기진동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30)이 얇게 형성됨에 따라 미세한 전기진동은 환부에서 로 더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를 제조하는 공정 중 유연 박막 필름에 인쇄전극을 형성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인쇄전극 및 유연 박막 필름에 보호 필름을 부착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전기진동 발생기(2)에서, 인쇄전극(213)은 전극 패턴(221)에 도전성 물질로 채워지고 유연 박막 필름(220)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다(t-D2).
제1실시예의 인쇄전극(13)과 제2실시예의 인쇄전극(213)의 두께(t)가 동일한 경우, 제2실시예의 유연 박막 필름(220)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221)의 깊이(D2)는 제1실시예의 전극 패턴(21)의 깊이(D)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의 유연 박막 필름(220)은 제1실시예의 유연 박막 필름(20)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 박막 필름(220)을 롤임프린트 방법으로 임프린트 했을 때, 전극 패턴(221)의 깊이(D2)는 2~5㎛이고, 이 전극 패턴(221)에 도전성 물질을 인쇄했을 때, 인쇄전극(213)은 유연 박막 필름(20)의 표면 위로 5~10㎛ 돌출되었다.
즉 인쇄전극(213)이 유연 박막 필름(20) 표면으로 돌출되는 돌출 높이(t-D2)는 인쇄전극(213)의 두께(t)와 전극 패턴(221)의 깊이(D2)의 차이인 5~10㎛이다. 인쇄전극(213)의 돌출 높이(t-D2)가 깊이(D2)보다 더 크게 설정되므로 도전성 물질을 인쇄하여 인쇄전극(213)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연 박막 필름을 롤임프린트 한 경우, 전극 패턴의 폭은 20㎛ 내지 100㎛ 크기였다. 전극 패턴에 인쇄전극을 인쇄한 경우, 인쇄전극의 폭은 30㎛ 내지 200㎛ 크기였다. 즉 도전성 물질로 인쇄되는 인쇄전극은 전극 패턴 밖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실시예에서 인쇄전극(13, 213)이 미세 패턴으로 형성되므로 소용량의 배터리(11)에 의하여 전기진동 발생기가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호 필름(230)은 전극 패턴(221)과 수용부(222)에 대응하는 대응 패턴(31, 32)을 구비한다. 보호 필름(230)은 롤임프린팅 공정을 경유하여 대응 패턴(31, 32)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 필름(230)이 유연 박막 필름(220)에 부착됨에 따라 대응 패턴(31)은 유연 박막 필름(22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인쇄전극(213)을 수용한다. 즉 인쇄전극(13, 213)은 일측으로 유연 박막 필름(220)의 전극 패턴(221)에 수용되고 다른 일측으로 보호 필름(230)의 대응 패턴(31)에 수용된다.
또한, 배터리(11) 및 발진부(12)는 유연 박막 필름(220)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다. 보호 필름(230)이 유연 박막 필름(220)에 부착됨에 따라 대응 패턴(32)은 유연 박막 필름(22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발진부(12)를 수용한다. 즉 배터리(11)는 유연 박막 필름(220)의 수용부(22)에 수용되고, 발진부(12)는 보호 필름(230)의 대응 패턴(32)에 수용된다.
인쇄전극(213)은 도전성 물질로 전극 패턴(221)에 롤프린트, 스크린 프린트 또는 잉크젯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프린트 방법은 그라비어, 그라비어 옵셋 및 플렉소 방법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진동 발생기(3)는 서로 부착되는 유연 박막 필름(320)과 보호 필름(330) 사이에 인쇄전극(313)과 배터리(11) 및 발진부(12)를 구비한다.
인쇄전극(313)은 1줄 왕복형 곡선 구조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을 곡선 구조의 내측에서 배터리(11) 및 발진부(12)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연결된다. 인쇄전극(313)의 시작단과 끝단이 곡선 구조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배터리(11) 및 발진부(12)에 전기적인 연결이 용이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에 적용되는 인쇄전극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쇄전극이 1줄 와인딩 구조로 형성되고, 인쇄전극의 시작단과 끝단이 와인딩 구조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어 배터리(미도시)의 음극과 양극에 연결될 수 있다.
즉 (a)를 참조하면, 인쇄전극(413)은 1줄로 삼각형의 와인딩 구조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이 와인딩 구조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b)를 참조하면, 인쇄전극(513)은 1줄로 원형의 와인딩 구조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이 와인딩 구조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c)를 참조하면, 인쇄전극(613)은 1줄로 사각형의 와인딩 구조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이 와인딩 구조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d)를 참조하면, 인쇄전극(713)은 1줄로 육각형의 와인딩 구조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이 와인딩 구조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2, 3: 전기진동 발생기 11: 배터리
12: 발진부 13, 213, 313: 인쇄전극
20, 220, 320: 유연 박막 필름 21, 221: 전극 패턴
22: 수용부 30, 230, 330: 보호 필름
31, 32: 대응 패턴 40: 양면 접착부재
413, 513, 613, 713: 인쇄전극 D, D2: 패턴 깊이
G: 패턴 간격 t: 두께
W: 패턴 폭

Claims (12)

  1. 전극 패턴과 수용부를 형성하는 유연 박막 필름;
    상기 전극 패턴에 구비되는 도전성 인쇄전극;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쇄전극에 연결되어 펄스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발진부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유연 박막 필름에 부착되어 상기 인쇄전극, 상기 발진부 및 상기 배터리를 덮는 보호 필름
    을 포함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전극은,
    상기 전극 패턴에 도전성 물질로 채워져 형성되어 상기 유연 박막 필름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와 상기 배터리는
    상기 수용부 내에 적층 구조로 배치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전극은
    2줄 와인딩으로 형성되고, 와인딩 구조의 외곽에서 서로 연결되며, 내측에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발진부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연결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는 삼각형파 또는 구형파를 생성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전극은
    롤임프린트로 형성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전극은,
    상기 전극 패턴에 도전성 물질로 채워지고 상기 유연 박막 필름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전극 패턴과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대응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대응 패턴은,
    상기 유연 박막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인쇄전극을 수용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전극은
    1줄 왕복형 곡선으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을 왕복형 곡선 구조의 내측에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발진부의 음극과 양극에 각각 연결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전극은
    롤프린트, 스크린 프린트 및 잉크젯 중 하나로 형성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전극은
    1줄 와인딩으로 형성되고, 시작단과 끝단을 와인딩 구조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하는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KR1020140043256A 2014-04-10 2014-04-10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KR10145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256A KR101450212B1 (ko) 2014-04-10 2014-04-10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256A KR101450212B1 (ko) 2014-04-10 2014-04-10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212B1 true KR101450212B1 (ko) 2014-10-13

Family

ID=5199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256A KR101450212B1 (ko) 2014-04-10 2014-04-10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643B1 (ko) * 2021-05-18 2021-08-27 (주)이지템 피부미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232B1 (ko) * 1987-06-15 1991-09-24 마쓰시다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휴대용 배터리 구동식 고주파 조혈촉진장치
KR20080011360A (ko) * 2007-06-25 2008-02-04 명관 이 진동 자극 패드 및 그 제어방법
WO2010035962A2 (ko) * 2008-09-29 2010-04-01 (주)메디룬 생리통완화를 위한 휴대용 조합자극기
KR101297276B1 (ko) * 2012-08-13 2013-08-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패치형 전자기 치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232B1 (ko) * 1987-06-15 1991-09-24 마쓰시다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휴대용 배터리 구동식 고주파 조혈촉진장치
KR20080011360A (ko) * 2007-06-25 2008-02-04 명관 이 진동 자극 패드 및 그 제어방법
WO2010035962A2 (ko) * 2008-09-29 2010-04-01 (주)메디룬 생리통완화를 위한 휴대용 조합자극기
KR101297276B1 (ko) * 2012-08-13 2013-08-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패치형 전자기 치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643B1 (ko) * 2021-05-18 2021-08-27 (주)이지템 피부미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05553A5 (ko)
WO2007035710A3 (en) Electrokinetic delivery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10722705B2 (en)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JP2014510586A5 (ko)
KR101450212B1 (ko) 인쇄전극을 이용한 전기진동 발생기
JP2009255529A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並びにアクチュエータ
ATE144195T1 (de) Tintenstrahldruckkopf hoher dichte mit doppel-u- förmigem kanalantrieb
JP2012512067A5 (ko)
JP2009208462A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ATE367272T1 (de) Druckmaterialbehälter, detektionstechnik für die information über das druckmaterial in dem behälter und technik zur nachrichtenübertragung zwischen dem behälter und dem drückgerät
KR860007094A (ko) 잉크 도트 프린터
US4021818A (en) Liquid printing device
JP2009143002A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JP2014188782A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US20120056944A1 (en) Piezoelectric element, liquid ejecting head,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iezoelectric element
JP2009255531A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並びにアクチュエータ
CN100589980C (zh) 液体喷出装置的驱动方法
KR20160037597A (ko) 압전필름 패치형 치료용 초음파 생성 장치
JP2005169951A5 (ko)
KR20190130788A (ko) 패치형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H09313454A (ja) 多極型生体電極
EP3919275A1 (en) Liquid discharge head and recording device
JP2004136462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KR20070078184A (ko) 파지가 용이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210009508A (ko)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