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939B1 -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939B1
KR101449939B1 KR1020130057590A KR20130057590A KR101449939B1 KR 101449939 B1 KR101449939 B1 KR 101449939B1 KR 1020130057590 A KR1020130057590 A KR 1020130057590A KR 20130057590 A KR20130057590 A KR 20130057590A KR 101449939 B1 KR101449939 B1 KR 101449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unit
operator
information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달
Original Assignee
(주)동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시스템 filed Critical (주)동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5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접근하는 교통시설물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신상정보를 인식하고, 작업자의 인증 요청을 처리하는 인증키 인식단말부; 및 상기 인증키 인식단말부와 상호 통신을 통해 작업자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작업자 인증 발급을 처리하는 인증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는 교통시설물에 대한 관리 권한이 없는 사람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처리한 작업내용, 작업시간, 작업자의 부서 이동 현황 등을 체크 할 수 있음으로 인해 교통시설물의 고장, 훼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DEVICES FOR CONTROLLING ACCESS AND CERTIFICATION TO TRANSPORT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접근하는 교통시설물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신상정보를 인식하고, 작업자의 인증 요청을 처리하는 인증키 인식단말부와 상기 인증키 인식단말부와 상호 통신을 통해 작업자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작업자 인증 발급을 처리하는 인증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는 많은 교통시설물이 교통 관련 현장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그 기능 또한 점점 첨단화가 진행되면서 중앙 집중 관리화, 네트워크화, 고속 통신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주변 여건의 변화가 급변하고, 정보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모든 교통시설물의 장비에 대한 해킹(hacking)이나, 관리 권한이 없는 사람의 접근으로부터 보호할 다양한 보안 수단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종래에는 교통시설물의 장비에 대한 보안수단으로 단순한 잠금장치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수준이었고, 공급되는 잠금장치의 열쇠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고, 그것이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전달되었는지 관리가 되지 않아, 열쇠를 소지한 사람이면 누구나 현장의 교통시설물에 접근하여 장비를 열고 그 속의 기기들을 마음대로 작업할 수 있어, 자칫 교통시설물을 고장 또는 훼손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통시설물에 대한 열쇠가 정당한 방법으로 담당자에게 전달되었다 하더라도, 담당자가 여러 명일 경우 누가 교통시설물을 열고 부속품을 점검했는지, 잘못된 정보를 입력했는지, 오류로 부속품에 문제를 일으켰는지 등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작업한 책임자에게 손쉽게 책임을 추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11126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통시설물에 대한 관리 권한이 없는 사람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처리한 작업내용, 작업시간, 작업자의 부서 이동 현황 등을 체크 할 수 있음으로 인해 교통시설물의 고장, 훼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접근하는 교통시설물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신상정보를 인식하고, 작업자의 인증 요청을 처리하는 인증키 인식단말부와 상기 인증키 인식단말부와 상호 통신을 통해 작업자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작업자 인증 발급을 처리하는 인증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통시설물에 대한 관리 권한이 없는 사람을 우선적으로 차단할 뿐 아니라, 작업자가 처리한 작업내용, 작업시간, 작업자의 부서 이동 현황 등을 체크 할 수 있음으로 인해 교통시설물의 고장, 훼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도 1의 구성 중 인증키 인식 단말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1의 구성 중 인증 관리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가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100)는 작업자(10)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접근하는 교통시설물(20)에 구비된 인증키 인식단말부(110) 및 인증 관리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교통시설물(20)은 작업자(10)가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접근하는 교통 관련 시설물로서, 이를테면, 도시 내 또는 도시 외의 주요 지점에 무수하게 설치되어 있는 교통 신호제어기, CCTV 제어기, 가로등 제어기, 무인감시 제어기, 차량 검지 제어기, 영상검지기, AVI 제어기 등이 포함된다.
인증키 인식단말부(110)는 작업자(10)가 소지한 모바일 신분증 또는 작업자(10)가 자신의 신분을 인증하기 위해 입력한 주민등록번호, 고유 아이디 등을 인식하며, 작업자(10)의 인증을 처리하기 위해 인증 관리서버(120)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모바일 신분증은 명의자의 신분을 모바일(mobile) 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증명사진, 현재 주소(과거 주소도 포함 가능), 발급기관 정보, 유효 기간 정보, 발급일자 정보, 식별번호 정보 등)가 포함되며, 모바일 신분증의 예로서 모바일 주민등록증, 모바일 여권, 모바일 학생증, 모바일 경로우대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이 포함된다.
이하 도 2a를 참조하여, 인증키 인식단말부(1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인증키 인식단말부(110)는 입력부(111), 인증키 인식부(112), 저장부(113), 단말 통신부(114) 및 단말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입력부(111)는 작업자(10)가 입력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이를테면, 키 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인증키 인식부(112)는 인식을 위한 소정의 카메라 등의 장비를 포함하며, 작업자(10)가 소지한 모바일 신분증을 이미지로서 인식하거나, 모바일 신분증에 의해 부여된 식별번호 정보를 인식하거나, 모바일 신분증에 포함된 정보 중 본인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등)를 인식하거나, 카드 접촉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으로 카드 속에 포함된 정보를 파악하여 1차적인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저장부(113)는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모바일 신분증 또는 모바일 신분증에 포함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4)는 인증 관리서버(120)의 서버 통신부(123)와 유선 또는 무선의 상호 통신을 통해 작업자(10)의 인증 요청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며, 단말 통신부(114)가 무선 통신을 이용할 경우 이를테면,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15)는 입력부(111), 인증키 인식부(112), 저장부(113) 및 단말 통신부(114)를 제어한다.
한편, 인증 관리서버(120)는 인증키 인식단말부(110)에서 요청한 작업자(10)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수행된 인증작업 결과를 인증키 인식단말부(110)로 송신한다.
이하 도 2b를 참조하여, 인증 관리서버(12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인증 관리서버(120)는 인증 관리부(121), 인증 발급부(122), 서버 통신부(123) 및 서버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인증 관리부(121)는 교통시설물(20)에 접근할 수 있는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관리한다.
인증 발급부(122)는 인증 관리부(121)에 저장된 관리자의 정보와 인증 요청된 작업자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해당 작업자에게 1차적인 인증을 발급하고, 2차 적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사전에 상호 약정된 암호를 입력하게 하여 최종적인 작업자임을 인지한다.
이 경우 작업자에게 인증 발급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제3자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증 발급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으며, 암호화 기법으로 대칭키 암호화(Symmetric Algorithm) 방식(예를 들어, DES(Data Encryption Standard),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등) 또는 비대칭키 암호화(Asymmetric Algorithm) 방식(예를 들어, RSA(Rivest Shamir Adelman), ECC( Elliptic Curve Cryptosyste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23)는 인증키 인식단말부(110)의 단말 통신부(114)와 유선 또는 무선의 상호 통신을 통해 작업자(10)에게 인증 발급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며, 서버 통신부(123)가 무선 통신을 이용할 경우 이를테면,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24)는 인증 관리부(121), 인증 발급부(122) 및 서버 통신부(123)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가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가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10)가 교통시설물(20)에 접근하여 자신의 개인정보를 인증키 인식단말부(110)에 입력하는 제1 과정(S10)을 갖는다.
다음 과정으로, 인증키 인식단말부(110)에서 인증 관리서버(120)로 작업자 인증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제2 과정(S20)을 갖는다.
다음 과정으로, 인증 관리서버(120)는 인증 관리부(121)에 저장된 관리자의 정보와 인증 요청된 작업자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해당 인증작업 결과를 인증키 인식단말부(110)로 송신하는 제3 과정(S30)을 갖는다.
다음 과정으로, 교통시설물(20)의 도어(door)를 원격(remote)으로 오픈시켜 작업자(10)에게 접근을 허용하는 제4 과정(S40)을 갖는다.
다음 과정으로, 작업자(10)가 교통시설물(20)로 들어가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제5 과정(S50)을 갖는다.
마지막 과정으로, 인증키 인식단말부(110)는 작업자(10)가 처리한 작업 정보를 인증 관리서버(120)로 송신하는 제6 과정(S60)을 갖는다.
이 경우 작업 정보는 작업자의 신상정보(이름, 성별, 나이, 얼굴, 직위 등), 작업 내용, 작업 시작시간, 작업 종료시간 등을 포함하며, 작업 정보는 인증 관리서버(120)의 인증 관리부(121)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작업자
20 : 교통시설물
110 : 인증키 인식단말부
111 : 입력부
112 : 인증키 인식부
113 : 저장부
114 : 단말 통신부
115 : 단말 제어부
120 : 인증 관리서버
121 : 인증 관리부
122 : 인증 발급부
123 : 서버 통신부
124 : 서버 제어부

Claims (6)

  1.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접근하는 교통시설물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신상정보를 인식하고, 작업자의 인증 요청을 처리하는 인증키 인식단말부; 및
    상기 인증키 인식단말부와 상호 통신을 통해 작업자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작업자 인증 발급을 처리하는 인증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키 인식단말부는, 작업자가 처리한 작업 정보를 상기 인증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인증 관리서버는,
    교통시설물에 접근할 수 있는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인증키 인식단말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작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증 관리부;
    상기 인증 관리부에 저장된 관리자의 정보와 인증 요청된 작업자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해당 작업자에게 1차적인 인증을 발급하고, 2차적으로 작업자가 사전에 상호 약정된 암호를 입력하게 하여 작업자를 인증하는 인증 발급부;
    작업자의 인증 발급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인증 관리부, 상기 인증 발급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인식단말부는,
    작업자가 입력한 신호를 처리하는 입력부;
    작업자의 개인 식별을 위해 제공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증키 인식부;
    작업자의 인증을 위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작업자의 인증 요청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인증키 인식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단말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인식부는,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신분증을 이미지로 인식하거나, 상기 모바일 신분증에 의해 부여된 식별번호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KR1020130057590A 2013-05-22 2013-05-22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KR10144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590A KR101449939B1 (ko) 2013-05-22 2013-05-22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590A KR101449939B1 (ko) 2013-05-22 2013-05-22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939B1 true KR101449939B1 (ko) 2014-10-15

Family

ID=5199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590A KR101449939B1 (ko) 2013-05-22 2013-05-22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9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906A (ko) * 2002-11-12 2004-05-20 우광일 공장자동화설비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214801A (ja) 2006-02-08 2007-08-23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作業者認証管理システム
KR20110017707A (ko) * 2009-08-14 2011-02-22 한국도로공사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 안전 장치
KR20110042813A (ko) * 2009-10-20 2011-04-27 (주)텔레콤랜드 관리 대상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906A (ko) * 2002-11-12 2004-05-20 우광일 공장자동화설비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214801A (ja) 2006-02-08 2007-08-23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作業者認証管理システム
KR20110017707A (ko) * 2009-08-14 2011-02-22 한국도로공사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 안전 장치
KR20110042813A (ko) * 2009-10-20 2011-04-27 (주)텔레콤랜드 관리 대상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9407B (zh) 有时间限制的安全访问权
AU2016273890B2 (en) Controlling physical access to secure areas via client devices in a networked environment
CN110178161B (zh) 采用安全通过的访问控制系统
US76977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ngerprint enabled wireless add-on for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accessible smartcards
CN109074693B (zh) 用于访问控制系统的虚拟面板
US10431031B2 (en) Remote electronic physical layer access control using an automated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US20180025145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899057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smart card transactions
US10708045B2 (en) Confidential information setting method, confidential information setting system, and confidential information setting apparatus
US20190372977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granting ad-hoc access and controlling privileges to physical devices
CN115758398B (zh) 门禁数据处理方法、装置、门禁系统及存储介质
JP2019028805A5 (ko)
JP2019046349A (ja) エッジサーバ及び管理サーバ
CN104462172A (zh) 由分布式系统中的装置执行的方法及在分布式系统中的装置
CN109033784A (zh) 在通信网络中身份认证方法和装置
CN106296926B (zh) 一种基于限时授权的智能门禁控制系统和方法
KR101078839B1 (ko) 이동단말에 대한 사용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CN107077666B (zh) 用于对自助系统处的动作进行授权的方法和装置
KR101449939B1 (ko) 교통시설물에 접근 및 인증을 제어하는 장치
KR100643670B1 (ko)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서버/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한시적출입인증 및 인증자 신원확인을 통한 보안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보안문 출입통제 방법
KR101360843B1 (ko) 차세대 금융 거래 시스템
JP2009251656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ユーザ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57941A (ko) 스마트 출입 인증시스템
JP5151200B2 (ja) 入退場認証システム、入退場システム、入退場認証方法、及び入退場認証用プログラム
KR101645125B1 (ko)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장치를 이용한 출입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