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921B1 - 배터리 보호소자 - Google Patents
배터리 보호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9921B1 KR101449921B1 KR1020140036193A KR20140036193A KR101449921B1 KR 101449921 B1 KR101449921 B1 KR 101449921B1 KR 1020140036193 A KR1020140036193 A KR 1020140036193A KR 20140036193 A KR20140036193 A KR 20140036193A KR 101449921 B1 KR101449921 B1 KR 101449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battery
- overcurrent
- base substrate
- melting poi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eversible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e.g. NTC, PTC or bimetal devices; characterised by control of the interna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ells, e.g. by switch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1—Bimet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보호소자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며 배터리 단자와 연결되는 배터리 전극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며 충전 단자와 연결되는 충전 전극과, 상기 배터리 전극과 충전 전극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는 중간 전극과, 상기 배터리 전극과 중간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단락되는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과, 상기 중간 전극과 충전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설정 온도에 대해 융점을 갖는 온도반응형 메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방전 중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이 용융되어 회로를 단락시키고, 정격 전류와 과전류(정격전류의 2배) 사이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온도반응형 메탈이 용융되어 회로를 신속하게 단락시킴으로서 폭발 또는 소손으로부터 배터리를 좀 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방전 중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이 용융되어 회로를 단락시키고, 정격 전류와 과전류(정격전류의 2배) 사이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온도반응형 메탈이 용융되어 회로를 신속하게 단락시킴으로서 폭발 또는 소손으로부터 배터리를 좀 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 이온 배터리 이상 시 과전류 및 과전압은 물론 온도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폭발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 위에 일정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저 융점을 갖는 메탈과 일정 온도에 대해 융점을 갖는 메탈을 양단의 전극에 연결하여 전극 사이에 흐르는 과전류와 온도를 차단하고 외부에서 과전압이 검출되면 소자 내부에서 회로를 형성하여 과전압에 대해서도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는 배터리 보호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 이들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배터리의 소형화 및 고용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리튬 이온 배터리는 종래 전지에 대하여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작동 전압이 높으며, 방전시에 (+)극의 리튬 이온이 중간의 물질을 경유하여 (-)극의 탄소 격자속으로 들어가므로 극판의 손실이 거의 없어 우수한 보존 및 충전 용량이 크게 되어 수명이 길고, 가벼워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어 휴대 단말기 등의 전자제품의 배터리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점에도 리튬 이온 배터리는 Li-CIC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므로 4.2V이상 과충전 상태일 경우 발열, 폭발 등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어, 리튬 이온 배터리의 패키지(package)화된 케이스 내부의 셀에 안정적인 레벨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과충전 보호소자를 사용한다.
상기 리튬 이온 배터리에 적용가능한 보호소자의 일 예가 공개특허 제10-2005-0099523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의 보호 소자는, 기판형의 보호 소자(기판형 퓨즈)이고, 소정의 크기의 베이스 기판상에 용단에 의해 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로서의 역할을 하는 저융점 금속체와, 이상시에 발열하여 상기 저융점 금속체를 용융하기 위한 발열체(히터)가 근접하여 병렬로 배치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상시에 발열체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발열체가 발열함으로써 저융점 금속체가 용융한다. 용융한 저융점 금속체는, 저융점 금속체가 적재되어 있는 전극 표면에 대한 습윤성의 장점에 기인하여 전극 상에 가까이 끌어 당겨지고, 그 결과 저융점 금속체가 용단되어 전류가 차단된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를 통해 제안된 보호 소자를 리튬 이온 배터리에 적용시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 이상 시 발열체를 발열시켜 저융점 금속체를 간접가열하고 그와 같은 간접 가열을 통해 저융점 금속체를 용융하므로 저융점 금속체의 용단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과전류 또는 과전압으로부터 리튬 이온 배터리의 신속한 보호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보호소자는 과전류(통상 정격전류의 2배) 이상인 경우에는 어느 정도 회로의 보호가 가능하지만 정격전류보다는 크고 과전류보다는 작은 전류가 흘러 리튬 이온 배터리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보호하지 못해 리튬 이온 배터리의 파손, 파열 등의 소손 우려가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배터리 이상 시 과전류는 물론 온도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폭발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 위에 일정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저 융점을 갖는 메탈과 일정 온도에 대해 융점을 갖는 메탈을 양단의 전극에 연결하여 이 양단에 흐르는 과전류와 온도 상승을 신속하게 차단하는 배터리 보호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과전압이 검출되면 소자 내부에서 회로를 형성하여 과전압에 대해서도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는 배터리 보호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며 배터리 단자와 연결되는 배터리 전극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며 충전 단자와 연결되는 충전 전극과, 상기 배터리 전극과 충전 전극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는 중간 전극과, 상기 배터리 전극과 중간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단락되는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과, 상기 중간 전극과 충전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설정 온도에 대해 융점을 갖는 온도반응형 메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소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는 배터리의 단자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로부터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턴온되는 스위칭소자가 연결되는 전환용 전극과, 상기 중간 전극과 전환용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단락되는 제2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절연성을 갖는 Ceramic substrate, Glass epoxy substrate, Glass substrate, Resin substrate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전극과, 충전 전극 및 중간 전극은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구리 표면에 은(Ag), 금(Au), 팔라듐(Pd) 중에 어느 하나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은 저 융점과 낮은 고유 저항값을 갖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납-주석(Pb-Sn), 은-구리(Ag-Cu) 중에 어느 하나의 재료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실크 인쇄 방법으로 도포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에는 절연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연커버는 절연보호용 잉크(Conformal Ink)를 도포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방전 중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이 용융되어 회로를 단락시키고, 정격 전류와 과전류(정격전류의 2배) 사이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온도반응형 메탈이 용융되어 회로를 신속하게 단락시킴으로서 폭발 또는 소손으로부터 배터리를 좀 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과전압신호가 인지시 회로를 변경하여 배터리를 보호함은 물론 변경된 회로상에서의 과전류 및 온도 상승에 대해서도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가 적용되는 배터리 보호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에 보호커버가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가 적용되는 배터리 보호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에 보호커버가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배터리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10) 측 전극과 충전기(20) 측 전극 사이의 과전류는 물론 온도를 감지하여 배터리(10)의 폭발을 미리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102) 위에 일정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 갖는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과, 일정 온도에 대해 융점을 갖는 온도반응형 메탈(120)을 배터리 전극(130)과 충전 전극(140)의 양 전극 사이에 연결하여 이 양단에 흐르는 과전류와 온도를 차단하여 과전류와 온도 이상으로 인한 리튬이온 배터리(10)의 소손을 방지한다.
또한, 외부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10)의 전압을 감시하여 과전압 시에는 별도의 회로를 형성하여 과전압에 대해서도 리튬 이온 배터리(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10)는 제1 및 제2 배터리 단자(A,B)를 갖고, 충전기(20)는 제1 및 제2 충전단자(C,D)를 갖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소자는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102)의 표면에 구비되며 배터리(10)의 제1 배터리 단자(A)와 연결되는 배터리 전극(130)과,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102)의 표면에 구비되며 충전기(20)의 제1 충전 단자(C)와 연결되는 충전 전극(140)과, 상기 배터리 전극(130)과 충전 전극(140)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는 중간 전극(150)과, 상기 배터리 전극(130)과 중간 전극(150) 사이에 접속되어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단락되는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과, 상기 중간 전극(150)과 충전 전극(140) 사이에 접속되어 설정 온도에 대해 융점을 갖는 온도반응형 메탈(120)로 구성되어 리튬이온 배터리측 단자와 충전기측 단자 사이의 과전류는 물론 온도를 감지하여 배터리(10)의 폭발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102)의 표면에 배터리(10)의 단자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12)로부터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턴온되는 스위칭소자(14)가 연결되는 전환용 전극(160)과, 상기 중간 전극(150)과 전환용 전극(160) 사이에 접속되어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단락되는 제2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10)의 전압을 감시하여 과전압시에는 별도의 회로를 형성하여 과전압에 대해서도 리튬 이온 배터리(10)를 보호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2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70)의 단락을 통한 배터리(10)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102)은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Ceramic substrate, Glass epoxy substrate, Glass substrate, Resin substrat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경제성, 공정성 등을 고려하여 열처리된 Glass epoxy substrat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베이스 기판(102)의 표면에는 상기 배터리(10)의 제1 배터리 단자(A)와 연결되는 배터리 전극(130)과, 충전기(20)의 제1 충전 단자(B)와 연결되는 충전 전극(140)과, 상기 배터리 전극(130)과 충전 전극(140)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는 중간 전극(150)과, 베이스 기판(102)의 표면에 배터리(10)의 단자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12)로부터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턴온되는 스위칭소자(14)가 연결되는 전환용 전극(16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전극들(130,140,150,160)은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구리(Copper)를 주로 사용하며 표면 산화 방지를 위해 그 구리 표면에 은(Ag), 금(Au), 팔라듐(Pd) 등을 도금 또는 코팅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나, 금(Au) 도금 또는 코팅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터리 전극(130)과, 충전 전극(140) 및 전환용 전극(160)은 외부 회로와 연결을 위한 전극이며 베이스 기판(102)의 아랫면에 있는 전극으로 쓰루홀(Thru-Hole)(132,142,162)을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단자이다.
한편, 상기 배터리 전극(130)과 중간 전극(150)은 과전류 보호를 위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 전극(130)과 중간 전극(150) 사이에는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이 접속되어 배터리(10)와 충전기(20) 사이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단락된다.
상기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은 Fusing material로서, 저 융점과 낮은 고유 저항값을 갖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납-주석(Pb-Sn), 은-구리(Ag-Cu) 등의 재료를 정격전류에 따른 값을 갖도록 도선의 길이, 폭 높이 등을 정하여 일정하게 베이스 기판(102)의 표면에 실크 인쇄 등의 방법으로 도포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극(150)과 충전 전극(140)은 온도 보호를 위한 것으로 상기 중간 전극(150)과 충전 전극(140) 사이에는 온도반응형 메탈(120)이 접속되어 설정 온도에 대해 융점을 갖도록 하여 설정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용융되어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서 배터리(10)를 고온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상기 온도반응형 메탈(120)은 일정 온도의 융점을 갖는 물질(Material)로써 그 온도에 따라 우드메탈(Bi, Pb, Sn, Cd)의 혼합배율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온도반응형 메탈(120)의 용융(Melting) 온도는 100 ~ 200℃ 사이에서 정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온도반응형 메탈(120)은 중간 전극(150)과 충전 전극(140) 사이에 도포하며 온도, 정격전류에 따라 두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이상의 구조에 의해 리튬이온 배터리(10)측 단자(A)와 충전기(20)측 단자(B) 사이의 과전류는 물론 온도를 감지하여 배터리(10)의 폭발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 전극(150)과 전환용 전극(160)은 과전압 보호를 위한 것으로 배터리(10) 양단의 전원이 과전압이 발생한 경우 중간 전극(150)과 전환용 전극(16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면서도 과전류 보호를 위한 것으로 상기 중간 전극(150)과 전환용 전극(160) 사이에는 제2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70)이 접속되며, 이 전환된 회로를 통해서도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용융되어 회로를 단락시킴으로서 배터리를 보호한다.
이때, 상기 제2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70)은 Fusing material로서, 저 융점과 낮은 고유 저항값을 갖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납-주석(Pb-Sn), 은-구리(Ag-Cu) 등의 재료를 정격전류에 따른 값을 갖도록 도선의 길이, 폭 높이 등을 정하여 일정하게 베이스 기판(102)의 표면에 도포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과 동일한 길이, 폭, 두께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 기판(102)의 상부에는 복수의 전극(130,140,150,160) 및 메탈(110,120,170)들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커버(Insulating Cover)(200)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커버(Insulating Cover)(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재질의 플라스틱커버 형태로 결합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완성된 인쇄회로기판 조립품의 표면 상태를 보호하기 위한 절연보호피막 형성을 위한 절연보호코팅(CONFORMAL COATING) 처리를 위해 절연보호용 잉크(Conformal Ink)를 사용하여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베이스 기판(102) 상에 형성된 회로를 보호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보호소자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먼저,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10)의 충방전 중에는 배터리 전극(130)과 충전 전극(140) 사이의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과 온도반응형 메탈(120)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과 온도반응형 메탈(120)로 정격전류가 흐르면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의 온도는 약 40℃ 정도에 머무르게 되어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과 온도반응형 메탈(120) 사이에 정격전류의 2배 이상인 과전류가 흐르면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은 가장 빠른 시간에 융점에 다달아 단락 되어져 리튬이온 배터리(1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과 온도반응형 메탈(120) 사이에 정격전류와 과전류(정격전류의 2배 이상) 사이의 전류(예를 들어 정격전류의 1.3 ~ 1.7배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온도가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의 융점(600 ~ 900℃)까지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영향을 주게 되어 배터리(10)의 폭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정격전류와 과전류(정격전류의 2배 이상) 사이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온도가 200℃에 도달하면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10)의 단락보다 우선하여 온도반응형 메탈(120)이 용융(Melting)되어 전원 회로를 단락시킨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 배터리(10)의 충, 방전시 회로전원이 단락되어 리튬이온 배터리(10)를 보호한다.
한편,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10) 과전압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외부 전압센서(Voltage sensor)(12)로부터 이상이 감지되어 스위칭소자(14)인 FET의 동작으로 인해 전환용 전극(160)으로 신호가 입력되면 전환용 전극(160)과 중간 전극(150) 및 충전전극(140)으로 제2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170)과 온도반응형 메탈(120)을 통해 회로가 형성되어 배터리(10)의 최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온도가 200℃에 도달하면 온도반응형 메탈(120)이 용융(Melting)되어 전원 회로를 단락시켜 리튬이온 배터리(10)를 전원으로부터 분리하게 되어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과전류의 경우 온도에 의해 작동되고 과전압도 다른 회로를 통해 온도와 함께 작동되어 리튬이온 배터리(10)를 보호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리튬이온 배터리 12: 전압센서
14: 스위칭소자 20: 충전기
100: 보호소자 102: 베이스 기판
110: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 120: 온도반응형 메탈
130: 배터리 전극 140: 충전 전극
150: 중간 전극 160: 전환용 전극
170: 제2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 200: 절연커버
14: 스위칭소자 20: 충전기
100: 보호소자 102: 베이스 기판
110: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 120: 온도반응형 메탈
130: 배터리 전극 140: 충전 전극
150: 중간 전극 160: 전환용 전극
170: 제2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 200: 절연커버
Claims (8)
-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며 배터리 단자와 연결되는 배터리 전극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며 충전 단자와 연결되는 충전 전극과,
상기 배터리 전극과 충전 전극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는 중간 전극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며 배터리의 단자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로부터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턴온되는 스위칭소자가 연결되는 전환용 전극과,
상기 배터리 전극과 중간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과전류가 흐르면 단락되는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과,
상기 중간 전극과 충전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설정 온도에 대해 융점을 갖는 온도반응형 메탈 및
상기 중간 전극과 전환용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단락되는 제2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소자.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절연성을 갖는 Ceramic substrate, Glass epoxy substrate, Glass substrate, Resin substrate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극과, 충전 전극 및 중간 전극은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구리 표면에 은(Ag), 금(Au), 팔라듐(Pd) 중에 어느 하나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전류 반응용 저융점 메탈은 저 융점과 낮은 고유 저항값을 갖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납-주석(Pb-Sn), 은-구리(Ag-Cu) 중에 어느 하나의 재료를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실크 인쇄 방법으로 도포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에는 절연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소자.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는 절연보호용 잉크(Conformal Ink)를 도포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소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소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6193A KR101449921B1 (ko) | 2014-03-27 | 2014-03-27 | 배터리 보호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6193A KR101449921B1 (ko) | 2014-03-27 | 2014-03-27 | 배터리 보호소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9921B1 true KR101449921B1 (ko) | 2014-10-10 |
Family
ID=5199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6193A KR101449921B1 (ko) | 2014-03-27 | 2014-03-27 | 배터리 보호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992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5681B1 (ko) * | 2016-03-02 | 2017-08-08 | 김형남 | 폭발방지 기능을 갖는 배터리 보호소자 패키지 및 배터리 보호소자의 폭발방지를 위한 패키징 방법 |
KR20210001473A (ko) | 2019-06-28 | 2021-01-06 | 김형남 | 보호소자의 화재방지를 위한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100238A (ko) * | 2020-02-05 | 2021-08-17 | 한국광기술원 | 설치 방향에 무관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 방지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0579B1 (ko) * | 2004-07-06 | 2006-01-11 | 이종호 | 기판형 온도퓨즈 |
JP2007207940A (ja) * | 2006-01-31 | 2007-08-16 | Sanyo Electric Co Ltd | 保護素子とこの保護素子を備えるパック電池 |
KR20080041636A (ko) * | 2005-08-04 | 2008-05-13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케이. 케이. | 전기 복합 소자 |
-
2014
- 2014-03-27 KR KR1020140036193A patent/KR1014499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0579B1 (ko) * | 2004-07-06 | 2006-01-11 | 이종호 | 기판형 온도퓨즈 |
KR20080041636A (ko) * | 2005-08-04 | 2008-05-13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케이. 케이. | 전기 복합 소자 |
JP2007207940A (ja) * | 2006-01-31 | 2007-08-16 | Sanyo Electric Co Ltd | 保護素子とこの保護素子を備えるパック電池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5681B1 (ko) * | 2016-03-02 | 2017-08-08 | 김형남 | 폭발방지 기능을 갖는 배터리 보호소자 패키지 및 배터리 보호소자의 폭발방지를 위한 패키징 방법 |
KR20210001473A (ko) | 2019-06-28 | 2021-01-06 | 김형남 | 보호소자의 화재방지를 위한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100238A (ko) * | 2020-02-05 | 2021-08-17 | 한국광기술원 | 설치 방향에 무관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 방지 장치 |
KR102370481B1 (ko) * | 2020-02-05 | 2022-03-07 | 한국광기술원 | 설치 방향에 무관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 방지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99179B2 (en) | Short-circuit element and a circuit using the same | |
KR102614725B1 (ko) |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2238851B1 (ko) | 보호 소자 | |
KR102344667B1 (ko) | 보호 소자, 보호 회로 및 배터리 회로 | |
KR101946105B1 (ko) | 보호 소자 및 배터리 팩 | |
TWI648760B (zh) | 保護元件及電池組 | |
KR101946106B1 (ko) | 보호 소자 및 배터리 팩 | |
KR102256148B1 (ko) | 보호 소자 | |
JP5952674B2 (ja) | 保護素子及びバッテリパック | |
KR102202901B1 (ko) | 보호 소자 | |
US20030064257A1 (en) | Secondary batteries having a protective circuit | |
KR101449921B1 (ko) | 배터리 보호소자 | |
KR102043051B1 (ko) | 보호 소자 | |
JP6292802B2 (ja) | バッテリ回路、保護回路 | |
TWI652712B (zh) | Protective component | |
TWI680482B (zh) | 保護元件 | |
KR101765681B1 (ko) | 폭발방지 기능을 갖는 배터리 보호소자 패키지 및 배터리 보호소자의 폭발방지를 위한 패키징 방법 | |
US20230146486A1 (en) | Protection element and battery pack | |
JP6078332B2 (ja) | 保護素子、バッテリモジュール | |
TW201517106A (zh) | 保護元件 | |
WO2015107633A1 (ja) | 保護素子、バッテリモジュール | |
JP2016213132A (ja) | 保護素子、二次電池の保護回路および電池パ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