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669B1 -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669B1
KR101449669B1 KR1020140085129A KR20140085129A KR101449669B1 KR 101449669 B1 KR101449669 B1 KR 101449669B1 KR 1020140085129 A KR1020140085129 A KR 1020140085129A KR 20140085129 A KR20140085129 A KR 20140085129A KR 101449669 B1 KR101449669 B1 KR 10144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roduct
real
packag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엽
Original Assignee
(주)우리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닷컴 filed Critical (주)우리닷컴
Priority to KR102014008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물품 가격 및 물품 잔여 수량을 포함하는 물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물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는 단계,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구매하는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에 대한 예약 확정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PRODUCT SELLING SERVICE BASED ON MULT-CHANNEL}
본 발명은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쇼핑몰이 활성화되면서 상품 뿐만 아니라, 여행, 뷰티, 레저, 숙박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의 예약까지도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로 인하여 하나의 물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그 주변물품까지 함께 인터넷 쇼핑몰에서 주문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키지 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복수의 상품을 패키지 생성자에 의해 생성하여 판매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인 제2013-0028588호(2013.03.19 공개)에는, 복수개의 상품을 패키지로 생성하되, 패키지 상품의 최소 판매 가격을 설정하여 복수개의 상품을 패키지화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복수개의 상품을 패키지화하여 판매한다고 할지라도, 실시간으로 수량이 업데이트되어야 하는 상품인데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경우, 패키지화된 상품 중 어느 하나의 상품이 품절되어 구매자로부터 예약은 받았으나 판매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품을 패키지화함에 있어서, 사람으로부터 패키지화할 상품을 입력받으므로, 자동화 처리의 부재로 인하여 데이터베이스화에 많은 인력 및 비용이 낭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패키지화된 복수의 물품에 대한 수량 및 가격을 실시간으로 물품 공급 서버와 동기화하고, 동기화된 수량 및 가격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패키지화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날짜 및 시간에 맞도록 카테고리별로 물품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패키지화할 수 있는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물품 가격 및 물품 잔여 수량을 포함하는 물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물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는 단계,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구매하는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에 대한 예약 확정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물품의 수량과 가격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예약 확인이나 물품 수량 확인이 필요한 물품의 판매에 있어서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패키지화를 자동으로 실시함으로 인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사이트,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엑세스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물품을 선택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패키지화한 물품을 선택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적립된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물품 결제를 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품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물품을 분류하고 패키지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패키지화된 물품에 대한 사용자 단말(100)의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적립 마일리지 또는 적립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적어도 하나의 메타 데이터를 태깅하여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데이터에 대한 예약 또는 구매 이벤트를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데이터에 대한 수량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동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 1 수신부(310), 구성부(330), 업로드부(350), 제 2 수신부(370), 전송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 1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부터 실시간으로 물품 가격 및 물품 잔여 수량을 포함하는 물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데이터는, 물품 데이터의 속성을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이 방콕 여행 상품이라고 가정하면, 물품 메타 데이터는, 방콕, 진에어, 이비스 호텔, BTS 카드, 사판탁씬 역과 같은 여행 상품을 설명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물품 메타 데이터는, 물품 데이터에 태깅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데이터는 물품의 수량 및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이 항공권인 경우, 날짜, 잔여 좌석, 좌석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품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와 동기화되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구성부(330)는, 수신된 물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은 상품 및 서비스 물품을 포함하고, 상품은, 식품, 의류, 가전, 여행 상품, 숙박 상품, 렌터카, 항공 상품, 티켓 상품, 생활 용품, 관광 상품, 뷰티 상품, 레저 상품 및 배달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메타 데이터를 검색어로 웹 크롤러(Web Cralwer)를 이용하여 물품과 함께 구매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천발 발리행 항공권과, 발리발 인천행 항공권에 대한 메타 데이터에 발리, 항공 출발 시각, 항공 도착 시간이 포함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구성부(330)는, 출발 시각 및 도착 시각과, 발리라는 검색어로 웹 사이트, 앱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SNS 등에서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성부(330)는, 인천발 발리행 항공권의 도착 시각과, 발리발 인천행 항공권의 출발 시각 내에 함께 예약 가능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부(330)는, 호텔, 관광지, 마사지 샵, 수상 레저 등과 같이 함께 구매될 수 있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구성부(330)는, 수집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물품 메타 데이터에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리 항공권에, 호텔, 관광지, 마사지 샵, 수상 레저를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구성부(33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집된 정보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은 숙박, 관광지는 관광지 예약 티켓, 마사지 샵은 스킨 바디케어, 수상 레저는 여행 레저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구성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정보 중 시간 및 날짜에 기초하여 필요한 수량을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정보 중 설정된 수량에 따라 정보가 태깅된 물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숙박은 1일을 기준으로 1개만 구성되면 되고, 항공권은 출발일자에 1개씩 구성되면 되며, 수상 레저는 전 일정에 적어도 하나, 마사지 샵도 전 일정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면 가능하다. 즉, 시간과 날짜에 맞게 수량이 정해진 품목이 존재하므로, 구성부(330)는, 카테고리별로 겹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량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수량에 따라 물품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구성부(330)는, 선택된 물품을 패키지화할 수 있다.
업로드부(350)는,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는, 웹 사이트, 앱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사이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수신부(3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구매하는 구매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수신부(3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단계별로 물품을 선택하는 이벤트를 수신하고, 이에 맞는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구매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제주도로 여행을 간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a) 지역을 제주도로 선택하고, (b) 항공사를 선택하고, (c) 숙소의 종류를 선택하며, (d) 렌터카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고, (e) 관광지에서 사용가능한 티켓을 예매할 것인지를 선택하면, 제 2 수신부(370)는, (f)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이 모두 포함된 패키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리스트 업할 수 있다. 그리고, (g)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가 완료되거나 예약을 하는 경우, 예약 이벤트는 바로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 전송되고, (h) 제 2 수신부(370)는, 잔여 물품 수량을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와 실시간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전송부(390)는,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에 대한 예약 확정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가격 및 물품 잔여 수량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와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잔여 수량은 한정되어 있는데 수요가 많은 경우, 물품 가격은 증가할 수 있고, 물품 잔여 수량은 많은데 수요가 적은 경우, 물품 가격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와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구성부(330)는, 업데이트되는 가격 및 수량에 기초하여, 물품 데이터의 물품 가격이 상승하거나 물품 잔여 수량이 줄어드는 경우, 기 설정된 패키지 가격 또는 기 설정된 패키지 수량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에 포함된 물품의 종류 또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 가격이 19만9천원인데, 패키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물품의 가격이 상승하거나 잔여 수량이 줄어드는 경우, 다른 물품을 제거하거나 다른 물품을 가격이 낮은 물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이 항공 상품, 렌터카 상품, 숙박 상품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는, 구매 정보 또는 예약 정보가 수신되면 XML 연동 방식으로 구매 또는 예약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부터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리고 나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물품을 검색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사이트를 통하여 검색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물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품을 패키지화하거나 또는 단일 물품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물품을 구매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물품 구매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 제공함과 동시에 예약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 예약 정보, 즉 확정, 변경 또는 취소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물품 수량이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매가 완료된 경우 판매 또는 취소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매가 확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포인트 또는 캐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구매가 취소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0)의 포인트 또는 캐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에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물품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물품 공급처, 즉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에서 판매 대상 물품의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물품 공급처에서 직접 가격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의 연계를 통한 XML 연동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물품을 구성할 때, 실시간 예약 가능한 물품 구성을 통하여, 결제와 동시에 예약 확정을 할 수 있으며, 각 단계별로 관리자가 판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패키지화된 물품이 결제된 경우, 각 항목별 물품에 따른 이용 방법 내지 그 수단을 사용자 단말(100)로 푸시 메시지, SMS, MMS, 이메일을 포함한 연락 수단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후 여행 일정 변경 등의 변경 사항이 발생된 경우에는,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에서 제시하는 변경 수수료를 적용하여 변경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와 판매 또는 입점 제휴를 통하여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를 점유할 수 있도록 판매 시스템 제공형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의 판매, 결제, 취소, 환불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부터 물품 가격 및 물품 잔여 수량을 포함한 물품 데이터를 수신하고(S5100), 메타 데이터를 검색어로 물품과 함께 구매되는 정보를 수집한다(S5200).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된 정보를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S5300), 카테고리로 정보를 분류하고(S5400), 시간 및 날짜에 기초하여 필요한 수량을 설정하고(S5500), 정보가 태깅된 물품을 설정된 수량에 따라 선택한다(S5600).
여기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택된 물품을 패키지화하고(S5700),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부터 가격 및 수량을 업데이트받아(S5800), 기 설정된 패키지 가격이 현재 패키지화된 패키지 가격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S5900).
또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패키지 가격보다 현재의 패키지 가격이 낮은 경우, 해당 물품의 패키지를 사이트에 업로드하고(S591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매 이벤트가 전송되는 경우(S5930),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로 예약 확정 이벤트를 전송하고(S5940),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400)와 수량 및 가격을 동기화한다(S5950, S5960).
상술한 단계들(S5100~S596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6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물품 가격 및 물품 잔여 수량을 포함하는 물품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0).
그리고 나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물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한다(S6200).
여기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업로드한다(S6300).
또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구매하는 구매 이벤트를 수신한다(S6400).
마지막으로,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에 대한 예약 확정 이벤트를 전송한다(S6500).
이와 같은 도 6의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물품 가격 및 물품 잔여 수량을 포함하는 물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물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상기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구매하는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에 대한 예약 확정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데이터는, 상기 물품 데이터의 속성을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물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메타 데이터를 검색어로 웹 크롤러(Web Cralwer)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과 함께 구매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메타 데이터에 태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집된 정보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정보 중 시간 및 날짜에 기초하여 필요한 수량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정보 중 설정된 수량에 따라 정보가 태깅된 물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물품을 패키지화하는 것을 수행함에 따라 실행되는 것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상품 및 서비스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은, 식품, 의류, 가전, 여행 상품, 숙박 상품, 렌터카, 항공 상품, 티켓 상품, 생활 용품, 관광 상품, 뷰티 상품, 레저 상품 및 배달 상품을 포함하는 것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가격 및 물품 잔여 수량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 공급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와 동기화되는 것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물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데이터의 물품 가격이 상승하거나 상기 물품 잔여 수량이 줄어드는 경우, 기 설정된 패키지 가격 또는 기 설정된 패키지 수량에 맞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에 포함된 물품의 종류 또는 수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KR1020140085129A 2014-07-08 2014-07-08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4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129A KR101449669B1 (ko) 2014-07-08 2014-07-08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129A KR101449669B1 (ko) 2014-07-08 2014-07-08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669B1 true KR101449669B1 (ko) 2014-10-23

Family

ID=5199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129A KR101449669B1 (ko) 2014-07-08 2014-07-08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6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475B1 (ko) * 2015-11-24 2017-07-03 쿠팡 주식회사 상품 출고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7180370A (zh) * 2016-03-10 2017-09-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商品对象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7180369A (zh) * 2016-03-10 2017-09-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商品对象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432A (ko) * 2002-04-04 2003-10-10 전상균 실시간 패키지상품 제작시스템을 포함하는 상품거래시스템및 그 패키지상품 등록방법
KR20090010333A (ko) * 2007-07-23 2009-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물품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404343B1 (ko) 2011-05-13 2014-06-11 박영남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가격 책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432A (ko) * 2002-04-04 2003-10-10 전상균 실시간 패키지상품 제작시스템을 포함하는 상품거래시스템및 그 패키지상품 등록방법
KR20090010333A (ko) * 2007-07-23 2009-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물품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404343B1 (ko) 2011-05-13 2014-06-11 박영남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가격 책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475B1 (ko) * 2015-11-24 2017-07-03 쿠팡 주식회사 상품 출고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7180370A (zh) * 2016-03-10 2017-09-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商品对象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7180369A (zh) * 2016-03-10 2017-09-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商品对象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1931B2 (en) Inventory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US10600095B2 (en) Kiosk management system
US9972046B2 (en) Mobile transactions with a kiosk management system
US9984352B2 (en) Kiosk network in a kiosk management system
JP6293908B2 (ja) キオスク管理システムによるモバイル取引
US20130103539A1 (en) Intelligent shopping assistant
KR101868583B1 (ko) 객관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맹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378780A (zh) 重定意图递送到照管递送/提取位置的包裹的路线的系统和方法
CN109155021A (zh) 用于管理由顾客从零售商购买的产品的库存的系统和方法
KR101859055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230082B2 (ja) デバイスの位置情報に基づいてデバイスにリワードを提供するサーバ、方法、及びデバイス
US20170032290A1 (en) Personalized shopping and routing
JP2017194780A (ja)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電子レシートセンタ、見切り予測情報管理方法および見切り予測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2540147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골프 여행 서비스 시스템
KR20170117842A (ko) 휴게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49669B1 (ko) 실시간 다채널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US10163094B2 (en) Light-life system and application
KR102276162B1 (ko) 매출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795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mobile business profitability
KR101714274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36499A (ko) 소셜미디어 연동 지역기반 할인패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32520A (ko) Ict를 활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85670B1 (ko) 맞춤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4056302A (ja) 商品又はサービスの推薦システム並びに商品又はサービスの推薦方法
KR101743405B1 (ko) 관광 상품 판매 촉진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