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314B1 - 자동 자침기 - Google Patents

자동 자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314B1
KR101449314B1 KR1020130081614A KR20130081614A KR101449314B1 KR 101449314 B1 KR101449314 B1 KR 101449314B1 KR 1020130081614 A KR1020130081614 A KR 1020130081614A KR 20130081614 A KR20130081614 A KR 20130081614A KR 101449314 B1 KR101449314 B1 KR 10144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der
magnetic contact
magnetic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용
박영재
Original Assignee
이경용
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용, 박영재 filed Critical 이경용
Priority to KR102013008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자침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의 중앙 영역에 자침 통과홀이 형성되는 외통;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자침 통과홀을 통해 상기 외통의 내외로 이동되는 자침; 상기 자침이 상기 외통의 중앙 영역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자침과 연결되어 상기 자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자침 가이드; 및 상기 자침 가이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자침기{Automatic acupuncture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자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어 통증 치료 시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 자침기에 관한 것이다.
자침기는 주로 양방에서 통증 치료 시 사용하는 의료기구이다. 통상의 자침기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147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자침기는 자침이 외통에 들어 있어서 위생상 유리하며, 나아가 외통 선단이 환부 중심에 위치할 수 있어 목적 환부를 정확히 치료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아지는 이점을 갖는다.
그렇지만 상기 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자침기는 수동 자침기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숙련된 기술을 요할 뿐 아니라 자침을 반복적으로 시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어 사용상 불편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자동 자침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147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어 통증 치료 시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 자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의 중앙 영역에 자침 통과홀이 형성되는 외통;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자침 통과홀을 통해 상기 외통의 내외로 이동되는 자침; 상기 자침이 상기 외통의 중앙 영역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자침과 연결되어 상기 자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자침 가이드; 및 상기 자침 가이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자침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침 가이드는, 상기 자침과 연결되어 상기 자침과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는 십자형 가이드부; 상기 십자형 가이드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 결합용 헤드; 및 상기 십자형 가이드부와 상기 홀더 결합용 헤드를 연결하는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 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더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 결합용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 및 상기 헤드 삽입부와 연통되게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네크가 배치되는 네크 배치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에는 다수의 살빼기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구동축 결합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통에서 상기 자침 통과홀의 반대편 타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통의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 홀더의 노출은 허용하면서 상기 자침 가이드의 노출을 저지하는 단턱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침을 보호하는 자침 보호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어 통증 치료 시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자침기의 내부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자침 가이드와 가이드 홀더 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자동 자침기의 내부 투영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 자침기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자침기의 내부 투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자침 가이드와 가이드 홀더 간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자동 자침기의 내부 투영 정면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 자침기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 자침기는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어 통증 치료 시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외통(120), 자침(130), 자침 가이드(140), 그리고 가이드 홀더(150)를 포함한다.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는 본 실시예의 자동 자침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계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 자침기는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와 함께 판매될 수도 있고, 별개로 판매될 수도 있다.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에는 구동축(111)이 마련된다. 구동축(111)은 가이드 홀더(150)에 연결되며, 구동장치 본체(112)에 대해 왕복 운동되면서 자침(130)을 전진(도 5) 혹은 후진(도 6) 왕복 운동시킨다. 구동장치 본체(112)는 왕복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의 구조와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외통(120)은 자침(130), 자침 가이드(140), 그리고 가이드 홀더(150)를 지지하는 일종의 외부 케이스이다.
본 실시예에서 외통(120)은 투명 혹은 반투명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된다. 때문에 내부 구성들, 즉 자침(130)을 비롯하여 자침 가이드(140)와 가이드 홀더(150)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외통(120)은 불투명의 플라스틱이거나 금속일 수 있다.
이러한 외통(120)은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의 중앙 영역에는 자침(130)이 통과되는 자침 통과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통(120)에서 자침 통과홀(121)의 반대편 타단부에는 플랜지부(122)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22)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경우에 따라 구성상 제외될 수 있다.
플랜지부(122)에 이웃된 외통(120)의 내벽에는 단턱부(123)가 형성된다. 단턱부(123)는 다른 영역보다 살의 두께가 좀 더 두꺼운 부분을 가리킨다.
이러한 단턱부(123)가 마련됨에 따라 도 4처럼 외통(120)으로부터 가이드 홀더(150)의 노출은 허용되되 자침 가이드(140)의 노출은 저지된다. 즉 가이드 홀더(150)의 최대 직경보다 좀 더 크게 제작되는 자침 가이드(140)는 단턱부(123)에 걸리기 때문에 외통(120)으로부터 쉽게, 즉 임의로 빠지지는 않는다.
물론, 강제로 잡아당기면 가이드 홀더(150)와 더불어 자침 가이드(140)가 외통(120)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
자침(130)은 양방에서 통증 치료 시 사용하는 의료용 바늘이다.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에 의해 왕복 운동되면서 자침 통과홀(121)을 통해 외통(120)의 내외로 전진(도 5) 혹은 후진(도 6) 왕복 운동된다.
자침 가이드(140)와 더불어 자침(130)은 사용 후 위생을 위해 교체된다. 이러한 자침(130)은 평상 시 자침 보호관(16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자침 가이드(140)는 자침(130)과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어 자침(130)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특히, 자침 가이드(140)는 자침(130)이 외통(120)의 중앙 영역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자침 통과홀(121)을 통해 외통(120)의 내외로 전진(도 5) 혹은 후진(도 6) 왕복 운동될 수 있도록 자침(130)과 연결되어 자침(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침 가이드(140)는, 자침(130)과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는 십자형 가이드부(141)와, 십자형 가이드부(141)의 단부에 형성되어 가이드 홀더(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 결합용 헤드(142)와, 십자형 가이드부(141)와 홀더 결합용 헤드(142)를 연결하는 연결 네크(143)를 포함한다.
십자형 가이드부(141)는 가이드 홀더(150)를 비롯하여 자침 가이드(140)의 전체 영역에서 가장 부피가 큰 부분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십자형 가이드부(141)는 단턱부(123)에 걸리기 때문에 외통(120)으로부터 쉽게, 즉 임의로 빠지지는 않는다.
십자형 가이드부(141)의 일단부에는 자침(130)이 연결되는 자침 연결헤드(144)가 마련된다. 물론, 자침 연결헤드(144) 없이 십자형 가이드부(141)에 자침(130)이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홀더 결합용 헤드(142)는 가이드 홀더(150)의 헤드 삽입부(152)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연결 네크(143)는 십자형 가이드부(141)와 홀더 결합용 헤드(142)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연결 네크(143)가 가이드 홀더(150)의 네크 배치홈부(153)에 배치되고 나면 가이드 홀더(150) 상에서 자침 가이드(14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다.
가이드 홀더(150)는 자침 가이드(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자침 가이드(140)는 교체되는 대상물이기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반해 가이드 홀더(150)는 내구성을 가지고 계속 사용되어야 하고, 또한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와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홀더(150)는 홀더 바디(151)와, 홀더 바디(151)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홀더 결합용 헤드(142)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152)와, 헤드 삽입부(152)와 연통되게 홀더 바디(151)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원형 단면의 연결 네크(143)가 배치되는 네크 배치홈부(153)를 포함한다.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 헤드 삽입부(152)가 위치되는 홀더 바디(151)에는 다수의 살빼기 구멍(154)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홀더 바디(151)의 배면에는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의 구동축(111)이 결합되는 구동축 결합 나사홀(15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의 구동축(111)을 가이드 홀더(150)의 구동축 결합 나사홀(155)에 결합시킨 후,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를 구동시키면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에 의해 자침(130)이 자침 통과홀(121)을 통해 외통(120)의 내외로 전진(도 5) 혹은 후진(도 6) 왕복 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통증 치료 시 사용될 수 있다.
통증 치료가 완료되면 가이드 홀더(150)로부터 자침 가이드(140)를 분리하여 자침(130), 자침 가이드(140) 및 외통(120)을 폐기하고 새로운 자침(130), 자침 가이드(140) 및 외통(120)을 가져다가 연결해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어 통증 치료 시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 111 : 구동축
112 : 구동장치 본체 120 : 외통
121 : 자침 통과홀 122 : 플랜지부
123 : 단턱부 130 : 자침
140 : 자침 가이드 141 : 십자형 가이드부
142 : 홀더 결합용 헤드 143 : 연결 네크
144 : 자침 연결헤드 150 : 가이드 홀더
151 : 홀더 바디 152 : 헤드 삽입부
153 : 네크 배치홈부 154 : 살빼기 구멍
155 : 구동축 결합 나사홀 160 : 자침 보호관

Claims (6)

  1.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의 중앙 영역에 자침 통과홀이 형성되는 외통;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자침 통과홀을 통해 상기 외통의 내외로 이동되는 자침;
    상기 자침이 상기 외통의 중앙 영역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자침과 연결되어 상기 자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자침 가이드; 및
    상기 자침 가이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자침 가이드는,
    상기 자침과 연결되어 상기 자침과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는 십자형 가이드부;
    상기 십자형 가이드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 결합용 헤드; 및
    상기 십자형 가이드부와 상기 홀더 결합용 헤드를 연결하는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 네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더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 결합용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 및
    상기 헤드 삽입부와 연통되게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네크가 배치되는 네크 배치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통에서 상기 자침 통과홀의 반대편 타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통의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 홀더의 노출은 허용하면서 상기 자침 가이드 중 상기 십자형 가이드부의 노출을 저지하는 단턱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홀더 바디의 배면에는 자침용 왕복 구동장치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구동축 결합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더는 상기 구동축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홀더로부터 상기 자침 가이드의 상기 홀더 결합용 헤드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자침 가이드 및 상기 자침 가이드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자침과 상기 외통이 함께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자침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에는 다수의 살빼기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자침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침을 보호하는 자침 보호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자침기.
KR1020130081614A 2013-07-11 2013-07-11 자동 자침기 KR10144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14A KR101449314B1 (ko) 2013-07-11 2013-07-11 자동 자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14A KR101449314B1 (ko) 2013-07-11 2013-07-11 자동 자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314B1 true KR101449314B1 (ko) 2014-10-08

Family

ID=5199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614A KR101449314B1 (ko) 2013-07-11 2013-07-11 자동 자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656A (zh) * 2020-02-21 2020-05-19 张明 神经内科用神经针刺恢复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333B1 (ko) * 1996-05-01 1999-06-15 이영희 근육내 자극구
JP2005027881A (ja) 2003-07-14 2005-02-03 Yoshimaro Ogawa 鍼治療装置
KR20090013054U (ko) * 2008-06-17 2009-12-28 신홍규 캡 하우징부재를 갖는 무통 사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333B1 (ko) * 1996-05-01 1999-06-15 이영희 근육내 자극구
JP2005027881A (ja) 2003-07-14 2005-02-03 Yoshimaro Ogawa 鍼治療装置
KR20090013054U (ko) * 2008-06-17 2009-12-28 신홍규 캡 하우징부재를 갖는 무통 사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656A (zh) * 2020-02-21 2020-05-19 张明 神经内科用神经针刺恢复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6275A3 (en) Endoscope therapeutic device
IN2012DN00590A (ko)
BRPI0407086A (pt) Dispositivo de liberação intradérmico com geometria de superfìcie de contato com a pele delineada
EA201001503A1 (ru) Практичное и безопа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ункционной биопсии
TW200640524A (en) Injection device for administering a medication liquid
WO2017079325A3 (en) Inj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m
TR200102047T2 (tr) Enjektör
KR101449314B1 (ko) 자동 자침기
SE1750057A1 (en) Syringe
KR200383707Y1 (ko) 금사 주입기
DE502004006257D1 (de) Mehrweg-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terile spritze
TN2014000494A1 (en) Disposable syringe and push rod for the same
US7211097B2 (en) Sanitary coupling for needle and mechanized micropigmentation and tattooing punch
CN104921762A (zh) 一种用于气管镜的内镜穿刺取样针
CN204364441U (zh) 针灸无痛进针器
CN203777012U (zh) B超定位肾囊肿穿刺针
KR101502555B1 (ko) 피부시술용 니들모듈
JP2007275386A (ja) 医療用把持鉗子
ATE339985T1 (de) Katheter mit punktionssensor
SE1750023A1 (en) Syringe
CN207822210U (zh) 便于单手操作的医用注射器
KR101431802B1 (ko) 치과용 시린지의 제어밸브
JP2004283239A (ja) 圧力注射器及び圧力注射器用カテーテル
KR101541058B1 (ko) 주사기용 흡입력 발생기
JP2012249716A (ja) 使い切り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