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121B1 - Sample Fix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ample Fix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121B1
KR101449121B1 KR1020120100707A KR20120100707A KR101449121B1 KR 101449121 B1 KR101449121 B1 KR 101449121B1 KR 1020120100707 A KR1020120100707 A KR 1020120100707A KR 20120100707 A KR20120100707 A KR 20120100707A KR 101449121 B1 KR101449121 B1 KR 10144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upper frame
lower frame
sea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4006A (en
Inventor
이재호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0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121B1/en
Publication of KR2014003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0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3Fatig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형 용접 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정확한 피로실험을 진행할 수 있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 형 용접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장치로서, 상기 시편의 일측에서 시편의 모서리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시편의 타측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이 고정하고 남은 모서리를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시편의 모서리가 안착하는 안착부 및 피로실험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imen fix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fixing a + type welding specimen to perform a precise fatigue test, and is a specimen fixing apparatus for fixing a + type welding specimen. The specimen fixing apparatus fixes the corners of the specimen at one side of the specimen And a lower frame fix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frame and remaining on the other side of the specimen,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orners of the specimen are seated, And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dispos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시편 고정장치{Sample Fixing Apparatus}Sampl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편의 피로수명 및 피로한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시편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편의 피로수명 및 피로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편을 고정함에 있어서, 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고정이 용이한 시편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men fixing apparatus used in a process of measuring fatigue life and fatigue limit of a specimen, and more specifically, to fix a specimen to fix a specimen in order to measure fatigue life and fatigue limit of the specim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men fix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fixed.

피로실험은 가공된 소재의 이용 피로균열 수명을 계측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하나의 단독 시편 또는 일부가 겹친 상태로 접합된 두 개의 시편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실험기에 조립 고정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The fatigue test is a method to measure the fatigue crack life of the processed material. Generally, one single specimen or two specimens joined in a partially overlapping state are assembled and fixed in a tensile test mach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최근 고객사의 품질 기준 강화 및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피로실험 소재로 + 자 형태로 접합된 소재를 사용하여 접합 피로실험을 수행한다. 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strengthening of the quality standards and requirements of the customers, joint fatigue tests are carried out by using materials bonded in a + shape as fatigue test materials.

이러한 + 자 형태 시편의 경우에 이를 고정하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아서, 피로실험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임기응변식으로 + 자 형태의 시편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소재의 정확한 피로실험을 진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얻어진 데이터 역시 신뢰할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 shaped specimen, there is no device for fixing i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the fatigue test. In case of using the fixed type specimen with the permanent sha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btained data can not reach a reliable level.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 형 용접 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정확한 피로실험을 진행할 수 있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cimen fix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fixing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and performing accurate fatigue testing.

본 발명은 + 형 용접 시편을 고정함에 있어서,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시편에 별도의 가공 없이 고정하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cimen fixing apparatus which fixes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easily and stably and fixes the specimen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또, 본 발명은 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cimen fix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fixing a specimen and obtaining reliable dat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specimen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 형 용접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장치로서, 상기 시편의 일측에서 시편의 모서리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시편의 타측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이 고정하고 남은 모서리를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시편의 모서리가 안착하는 안착부 및 피로실험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men fixing apparatus for fixing a + type welding specimen, which comprises an upper frame for fixing a corner of a specimen at one side of the specimen, and a lower frame for fixing a corner fixed at the other side of the specimen,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nclude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orners of the specimen are seated and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fatigue testing machine, Lt; / RTI >

또,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상기 시편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안착부를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서 한 쌍의 안착부 사이에 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provided with a pair of seating port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of the specimen, and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include grooves between the pair of seating portions.

또한, 상기 안착부, 홈,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Y'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홈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홈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ncluding the seating portion, the groove,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Y' shape, and the groov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grooves of the lower frame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시편을 고정하도록,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놓인 시편을 커버하며, 상기 시편과 밀착하도록 압박 수단을 구비하는 시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cimen support portion covering the specimen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to fix the specimen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pressing mean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pecimen.

이때, 상기 시편 지지부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와,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시편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안착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공간부 내면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시편을 가압하게 할 수 있다. The specimen supporting part include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ain body and a space part having one side opened and the seating part and a corner of the specimen to be inserted thereinto. The pressing par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press the seating part inserted in the space part,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can press the specimen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단부가 안착부를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박수단은 각 시편 지지부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ans may include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body and a bolt threaded on the thread, and an end portion pressing the seat, and the pressing means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sample support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 형 용접 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정확한 피로실험을 진행할 수 있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pecimen fix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ccurate fatigue testing by stably fixing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또, 본 발명은 + 형 용접 시편을 고정함에 있어서,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시편에 별도의 가공 없이 고정하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pecimen fixing apparatus that fixes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easily and stably and fixes the specimen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은 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pecimen fix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fixing a specimen and obtaining reliable data.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 형 용접 시편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안착부에 시편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 형 용접 시편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시편 지지부의 변형례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y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fram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ram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a specimen is fixed to a seat par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ssembly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modification of the specimen support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도 1 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조립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 형 용접 시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illustrat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and FIG. 2 is an assembled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A perspective view of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본 발명은 두 개의 일자형 부재(110, 120)가 용접된 + 형 용접 시편의 피로 수명 및 피로 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 형 용접 시편(100)을 고정하는 것으로, + 형 용접 시편의 일측에서 한 쌍의 시편의 모서리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10)과 상기 시편의 반대측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이 고정하고 남은 모서리를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3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ixing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100 for measuring the fatigue life and fatigue limit of a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welded with two linear members 110 and 120, And a lower frame 30 which fixes the remaining edges fixed by the upper frame 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ecimen.

상부 프레임(10)은 시편(100)의 모서리가 안착하는 안착부(12), 피로실험기에 장착되는 고정부(14) 및 상기 안착부(12)와 고정부(14)를 연결하는 바디(11)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2)는 시편(100)의 한 쌍의 모서리가 안착되게 되므로,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안착부(12) 사이에는 시편(1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The upper frame 10 includes a seat portion 12 on which the edge of the test piece 100 is seated, a fixing portion 14 mounted on the fatigue testing machine, and a body 11 connecting the seat portion 12 and the fixing portion 14 ). Since the pair of seats of the test piece 100 are seated on the seat part 12, the seat part 12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eat parts 12, 15). Accordingly, the upper frame 10 has a 'Y' shape as a whole.

상기 안착부(12)에는 시편(100) 및 시편(1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시편 지지부(20)와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13)이 복수 개 구비된다. 한편, 시편 지지부(20)는 시편(100)이 안착되는 안착부(12)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결합을 위한 관통홀(22)을 포함한다. 시편 지지부(20), 시편(100), 안착부(12)는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25)에 의해서 체결되며, 시편(100)을 사이에 두고 안착부(12)와 시편 지지부가 가압하여 시편(100)을 고정하게 된다. 시편(100) 역시 상기 체결 수단(25)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formed in the seating part 12 for coupling with the test piece supporting part 20 disposed between the test piece 100 and the test piece 100. On the other hand, the specimen supporting portion 2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12 on which the specimen 100 is seated, and includes a through hole 22 for engaging. The test piece supporting portion 20, the test piece 100 and the mounting portion 12 are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25 such as a bolt and press the seating portion 12 and the test piece supporting portion through the test piece 100, (100). In the test piece 100, a through hole 111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ans 25 passes is formed.

하부 프레임(30)은 시편(100)의 다른 두 모서리가 안착하는 안착부(32), 피로실험기에 장착되는 고정부(34) 및 상기 안착부(32)와 고정부(34)를 연결하는 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32)는 시편(100)에서 상부 프레임(10)에 안착되지 않은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가 안착되게 되며, 한 쌍의 안착부(32) 사이에는 시편(1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35)이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30)도 상부 프레임(10)과 같이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The lower frame 30 includes a seat portion 32 on which two other corners of the test piece 100 are seated, a fixing portion 34 mounted on the fatigue testing machine, and a body 34 connecting the seat portion 32 and the fixing portion 34. [ (31). A part of the specimen 10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seating parts 32. The other part of the specimen 100 is not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10, A groove 35 is provided. Therefore, the lower frame 30 also has a 'Y' shape like the upper frame 10 as a whole.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30)의 고정부(14, 34)는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에 위치하는 클램프(210, 220)에 고정되게 되는데,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30)이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고정부(14)와 하부 프레임(30)의 고정부(34)는 폭과 두께가 다르게 배치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s 14 and 34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clamps 210 and 220 in the same shape. The fixing portions 14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fixing portions 34 of the lower frame 30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widths and thicknesses so that the frames 30 can intersect with each other.

하부 프레임(30)의 안착부(32)에는 시편(100) 및 시편(1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시편 지지부(40)와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33)이 복수 개 구비된다. 한편, 시편 지지부(40)는 시편(100)이 안착되는 안착부(32)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결합을 위한 관통홀(42)을 포함한다. 시편 지지부(40), 시편(100), 안착부(32)는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45)에 의해서 체결되며, 시편(100)을 사이에 두고 안착부(32)와 시편 지지부(40)가 가압하여 시편(100)을 고정하게 된다. 시편(100) 역시 상기 체결 수단(45)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121)을 포함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are formed in the seating part 32 of the lower frame 30 for coupling with the test piece 100 and the test piece supporting part 40 disposed with the test piece 100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the specimen support portion 4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32 on which the specimen 100 is seated, and includes a through hole 42 for engagement. The test piece supporting portion 40, the test piece 100 and the mounting portion 32 are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45 such as a bolt and the test piece 100 and the test piece supporting portion 40 So that the test piece 100 is fixed. The test piece 100 also includes a through hole 121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ans 45 passes.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30)은 + 형 용접 시편(100)을 고정하기 때문에,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며, 평면상으로 봤을 때, 홈(15, 35) 부분이 겹쳐지면서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은 상기 시편(100)에서 용접된 제 1 부재(110)의 양 모서리를 고정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30)은 상기 시편(100)에서 용접된 제 2 부재(120)의 양 모서리를 고정하므로, 정확한 용접부의 피로 실험이 가능하다.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30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to fix the positive type welding specimen 100 so that the grooves 15 and 35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in a plan view . The upper frame 10 fixes both corners of the first member 110 welded in the specimen 100 and the lower frame 30 is fixed to the second member 120 ), It is possible to test the fatigue of an accurate welded portion.

다만,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에 시편(100)에 관통홀(111, 121)을 형성해야 하며, 관통홀(111, 121) 형성이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으며, 관통홀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실험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necessary to form the through holes 111 and 121 in the test piece 100 and it is not easy to form the through holes 111 and 121. In the case where the through hole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is not don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편 지지부(20, 40)를 개선한 다른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8 에 개시하고 있다. 도 4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안착부에 시편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 형 용접 시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pecimen support portions 20 and 40 are improved is shown in Figs.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ram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n assembled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 type welding specimen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도 4 내지 도 8 의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 의 상부 프레임(10)과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도 4 내지 도 8 의 실시예는 체결 수단(25; 도 1 참고)이 안착부(12)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관통홀(13)을 구비되지 않는다.
4 to 8, the upper frame 10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upper frame 10 of Figs. 4 to 8, the fastening means 25 (see FIG. 1) does not penetrate through the seating portion 12, and therefore, no separate through-hole 13 is provided.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도 두 개의 일자형 부재(110, 120)가 용접된 + 형 용접 시편의 피로 수명 및 피로 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 형 용접 시편을 고정하는 것으로, + 형 용접 시편의 일측에서 한 쌍의 시편의 모서리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10)과 상기 시편의 반대측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이 고정하고 남은 모서리를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3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in another embodiment, the + type welding specimen is fixed to measure the fatigue life and the fatigue limit of the + type welding specimen welded with the two flat members 110 and 120, And a lower frame 30 which fixes the remaining edges fixed by the upper frame 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ecimen.

상부 프레임(10)은 시편(100)의 모서리가 안착하는 안착부(12), 피로실험기에 장착되는 고정부(14) 및 상기 안착부(12)와 고정부(14)를 연결하는 바디(11)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2)는 시편(100)의 한 쌍의 모서리가 안착되게 되므로,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안착부(12) 사이에는 시편(1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The upper frame 10 includes a seat portion 12 on which the edge of the test piece 100 is seated, a fixing portion 14 mounted on the fatigue testing machine, and a body 11 connecting the seat portion 12 and the fixing portion 14 ). Since the pair of seats of the test piece 100 are seated on the seat part 12, the seat part 12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eat parts 12, 15). Accordingly, the upper frame 10 has a 'Y' shape as a whole.

안착부(12)에 시편(100)의 제 1 부재(110)가 안착된 후 상기 시편(100)의 제 1 부재(110)와 상기 안착부(12)는 공간부(19)를 포함하는 시편 지지부(16)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안착부(32)에 시편(100)의 제 2 부재(120)가 안착된 후 상기 시편(100)의 제 2 부재(120)와 상기 안착부(32)는 공간부(39)를 포함하는 시편 지지부(36)에 삽입된다. After the first member 110 of the test piece 10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2, the first member 110 and the seating part 12 of the test piece 100 are placed on the specimen 100 including the space part 19,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16). Similarly, after the second member 120 of the test piece 100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32, the second member 120 and the seating portion 32 of the test piece 100 include the space portion 39 And is inserted into a specimen support portion

시편 지지부(36)는 일면에 개구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37), 상기 본체의 개구를 통하여 구비되는 내부 공간부(39)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압박수단(38)의 일구성인 나사산(38a) 및 볼트(38b)를 포함한다.
The specimen supporting part 36 include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main body 37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 internal space part 39 provid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pressing part 38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38a) and a bolt (38b).

시편 지지부(36)의 공간부(39)에 안착부(32) 및 제 1 부재(120)가 삽입된 모습이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32 and the first member 120 are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39 of the sample supporting portion 36.

도 6 에서 보이듯이, 공간부(39)는 안착부(32) 및 제 1 부재(120)보다 큰 폭 및 이들의 두께의 합보다 큰 높이를 가지고 있어서, 시편 지지부(36) 내부의 공간부(39)로 안착부(32)와 제 1 부재(1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압박수단(38)은 안착부(32)를 중심으로 시편(100) 반대측면(32b)에서 상기 안착부(32)를 가압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안착부(32)의 안착면(32a), 제 2 부재(120), 공간부(39)의 내면(39a)이 밀착된다. 그에 따라서, 공간부(39)의 내면(39a)과 제 2 부재(120)가 면마찰하게 되어 시편(100)의 제 2 부재(120)가 고정될 수 있다. 6, the space portion 39 has a height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eating portion 32 and the first member 120 and the sum of their thicknesses, so that the space portion (not shown) inside the sample supporting portion 36 39, a part of the seating part 32 and the first member 120 can be inserted. The pressing means 38 presses the seat portion 32 from the opposite side surface 32b of the test piece 100 about the seat portion 32 so that the seat surface 32a of the seat portion 32, The second member 120 and the inner surface 39a of the space portion 39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39a of the space portion 39 and the second member 120 are rubb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member 120 of the test piece 100 can be fixed.

도 6(a), (b) 에서 보이듯이, 압박수단(38)은 시편 지지부(36)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38a)과 그에 결합되는 볼트(38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볼트(38b)가 나사산(38a)에 체결됨에 따라서, 볼트(38b)의 단부가 안착부(32)를 가압하며, 그 힘으로 공간부(39)의 내면(39a)과 제 2 부재(120)가 마찰고정되게 된다. 6 (a) and 6 (b), the pressing means 38 may be composed of a thread 38a formed on the specimen support 36 and a bolt 38b coupled thereto, The end portion of the bolt 38b presses the seat portion 32 and the inner surface 39a of the space portion 39 and the second member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friction with the threads 38a, And becomes fixed.

본 발명에서는 압박수단(38)으로 나사산(38a)과 볼트(38b)를 사용하였으나, 안착부(32)를 공간부(39)의 내면(39a)으로 가압할 수 있다면,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시편 지지부(36)에 고정된 실린더(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38a and the bolt 38b are used as the urging means 38. However, if the seat portion 32 can be pressed to the inner surface 39a of the space portion 39, other configurations can be used Of course. For example, a cylinder (not shown) fixed to the sample supporting portion 36 may be used.

도 7 에는 본 발명의 시편 고정장치가 피로 실험기의 상하 클램프(210, 220)에 장착되어 시편(100)을 고정하고 있는 모습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7 is a side view of the specimen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pecimen 100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clamps 210 and 220 of the fatigue testing apparatus.

도 7 에서 보이듯이, 시편(100)의 제 1 부재(110)는 상부 프레임(10)의 안착부(12)에 안착되어, 시편 지지부(16)의 내부 공간부(19, 도 4 참고)에 삽입되며, 시편의 제 2 부재(120)는 하부 프레임(30)의 안착부(32)에 안착되어 시편 지지부(36)의 내부 공간부(39, 도 5 참고)에 삽입된다. 각 시편 지지부(16, 36)에서는 압박수단(18, 38)이 안착부(12, 32)를 가압하여, 안착부(12, 32), 제 1, 2 부재(110, 120) 및 공간부의 내면이 밀착하며, 제 1, 2 부재(110, 120)는 마찰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
7, the first member 110 of the specimen 100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12 of the upper frame 10 and is held in the inner space portion 19 (see Fig. 4) of the specimen supporting portion 16 And the second member 120 of the specimen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32 of the lower frame 30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portion 39 of the specimen supporting portion 36 (see FIG. 5). In each of the specimen supporting portions 16 and 36, the pressing means 18 and 38 press the seating portions 12 and 32 to move the seating portions 12 and 32,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10 and 120 are fixed in position by friction.

도 4 내지 도 9 의 실시예에서 안착부(12, 32), 제 1, 2 부재(110, 120)는 면마찰에 의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별도의 관통홀(13, 111; 도 1 참고)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각 관통홀(13, 111)이 볼트로 결합될 필요도 없어서 고정이 용이하여 질 수 있다. 즉, 도 8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시편(100)은 가공 없이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를 용접하여 +형 용접 시편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시편의 피로 수명 및 피로 한도를 측정하는데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the embodiment of FIGS. 4 to 9, since the seating portions 12 and 32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10 and 120 are fixed by surface friction, separate through holes 13 and 111 (see FIG. 1) And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through holes (13, 111) are bol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xing can be facilitated.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test piece 100 can be used by forming the + type welded specimen by welding the first member 110 and the second member 120 without machining. This is because the fatigue life and fatigue It is easy to measure the limit.

도 9 에는 도 4 의 실시예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시편 지지부(16, 36)에서 압박수단(18, 38)은 각 시편 지지부(16, 36)의 평면 중앙부에 단일 개수로 배치할 수도 있지만, 도 9 에서와 같이 복수 개를 균형있게 배치하여 안착부(12, 32)를 가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9 에서는 각 시편 지지부(16, 36) 당 4 개의 압박 수단으로서의 볼트(18b)를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Fig. 9 shows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ans 18, 38 in the specimen supporting portions 16, 36 may be arranged in a single number in the plan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specimen supporting portions 16, 36.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ethod of pressing the seating portions 12 and 32. In Fig. 9, bolts 18b are used as four pressing means for each of the sample supporting portions 16 and 36. Fig.

도 9 에서 4 개의 압박수단(18, 38)을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복수의 압박수단을 써, 시편 지지부(16, 36)의 내면(19, 39)과 제 1 및 제 2 부재(110, 120)의 마찰을 증대시키고자 함이므로, 그 이상의 압박수단(18, 38)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9 shows the use of the four pressing means 18 and 38 by means of a plurality of pressing means so that the inner surfaces 19 and 39 of the specimen supports 16 and 36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10 and 12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sing means 18 and 38 may be further used.

10: 상부 프레임 11: 바디
12: 안착부 13: 관통홀
14: 고정부 15: 홈
16, 20: 시편 지지부 17: 본체
18: 압박수단 19: 공간부
30: 하부 프레임 31: 바디
32: 안착부 33: 관통홀
34: 고정부 35: 홈
36, 40: 시편 지지부 37: 본체
38: 압박수단 39: 공간부
100: + 형 용접 시편 110: 제 1 부재
120: 제 2 부재
10: upper frame 11: body
12: seat part 13: through hole
14: Fixed Government 15: Home
16, 20: specimen support part 17:
18: pressing means 19:
30: lower frame 31: body
32: seat part 33: through hole
34: Fixed portion 35: Home
36, 40: specimen support part 37:
38: pressing means 39:
100: + type welding specimen 110: first member
120: second member

Claims (7)

+ 형 용접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장치로서,
상기 시편의 일측에서 시편의 모서리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시편의 타측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이 고정하고 남은 모서리를 고정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시편의 모서리가 안착하는 안착부 및 피로실험기에 장착되도록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시편을 고정하도록,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놓인 시편을 커버하며, 상기 시편과 밀착하도록 압박 수단을 구비하는 시편 지지부를더 포함하고,
상기 시편 지지부는 직육면상의 본체와,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시편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안착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공간부 내면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시편을 가압하게 하는 시편 고정장치.
A specim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 type welding specimen,
An upper frame for fixing the edge of the specimen at one side of the specimen,
And a lower frame which fixes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frame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ecimen,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nclude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edge of the specimen is seated and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fatigue testing machine,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disposed so as to cross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 specimen support portion covering the specimen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so as to fix the specimen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having an urging mean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pecimen,
Wherein the specimen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body on a vertical plane, and a space portion having one side opened and the edge of the specimen is inserted,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presses the sea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thereby pressing the specimen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상기 시편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안착부를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서 한 쌍의 안착부 사이에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provided with a pair of seat port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of the specimen and include grooves between the pair of seat portions 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홈,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Y'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홈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홈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고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ncluding the seating part, the groove and the fixing part are formed in a Y shape, and the groove of the upper frame and the groove of the lower frame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pecimen hold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단부가 안착부를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means comprises a thread formed on the body and a bolt threaded on the thread and the end pressing the sea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은 각 시편 지지부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plurality of the pressing means are provided on each of the specimen supporting portions.
KR1020120100707A 2012-09-11 2012-09-11 Sample Fixing Apparatus KR101449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707A KR101449121B1 (en) 2012-09-11 2012-09-11 Sample Fix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707A KR101449121B1 (en) 2012-09-11 2012-09-11 Sample Fix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006A KR20140034006A (en) 2014-03-19
KR101449121B1 true KR101449121B1 (en) 2014-10-08

Family

ID=5064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707A KR101449121B1 (en) 2012-09-11 2012-09-11 Sample Fix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1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641B1 (en) * 2016-10-31 2023-07-07 한화오션 주식회사 Fixing jig apparatus for coupling force measurement of specimens coupled perpendicularly
KR102552640B1 (en) * 2016-10-31 2023-07-07 한화오션 주식회사 Fixing jig apparatus for coupling force measurement of specimens coupled cross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550U (en) * 1990-04-16 1991-12-27
KR20050098414A (en)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evaluating fatigue property of cross spot welded steel sheet
KR20080051473A (en) * 2006-12-05 2008-06-11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esting tension of welded materials
KR20120110532A (en) * 2011-03-29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Jig apparatus for tensile test of spot welding samp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550U (en) * 1990-04-16 1991-12-27
KR20050098414A (en)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evaluating fatigue property of cross spot welded steel sheet
KR20080051473A (en) * 2006-12-05 2008-06-11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esting tension of welded materials
KR20120110532A (en) * 2011-03-29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Jig apparatus for tensile test of spot welding sam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006A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7441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test specimen for compression testing
KR101432061B1 (en) Jig device for cutting test-pice
JP3215202U (en) Semiconductor chip inspection equipment
KR101891747B1 (en) Fixed jig apparatus for simulataneously controlling precision length and position for testing weld specimen of aircraft component
CN107063853B (en) Clamp for testing shear performance of V-shaped notch beam sample
KR101449121B1 (en) Sample Fixing Apparatus
CN106442120A (en) Fatigue test clamp device for T-shaped corner joint
KR101674720B1 (en) Vertical guide apparatus of specimen and a tensile tester of usin it
JP4827951B2 (en) A clip holder and a forming accuracy inspection jig provided with the clip holder.
US9116079B2 (en) Dynamic test fixture
CN106932615B (en)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CN206208647U (en) The fatigue test clamper of T-shaped corner joint
KR101074976B1 (en) Apparatus for testing compress and tensile
KR101510606B1 (en) Jig for tensile test
KR101277941B1 (en) Device for Treating Welded Test-Piece
CN112798406B (en) Clamp for testing shearing performance of composite material
KR101800651B1 (en) Plate form Pressure testing Device
CN112362467A (en) Plate-shaped sample centering device and centering structure for high-frequency fatigue test
KR20180047342A (en) Fixing jig apparatus for coupling force measurement of specimens coupled perpendicularly
KR20180047343A (en) Fixing jig apparatus for coupling force measurement of specimens coupled crossly
KR101899647B1 (en) Test-piece auxiliary apparatus for fatigue test
KR102143869B1 (en) position modify module for fixing specimen on hydraulic chuck and axial loading tester
KR20120045199A (en) Apparatus for load testing
CN204807004U (en) Utensil of examining of panel is adjusted to car seat back
KR200464779Y1 (en) Jig for 4-point bending test of beam type bending speci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