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905B1 - 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905B1
KR101448905B1 KR1020070140895A KR20070140895A KR101448905B1 KR 101448905 B1 KR101448905 B1 KR 101448905B1 KR 1020070140895 A KR1020070140895 A KR 1020070140895A KR 20070140895 A KR20070140895 A KR 20070140895A KR 101448905 B1 KR101448905 B1 KR 101448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xing
frame
reflective she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2701A (en
Inventor
유병천
황용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905B1/en
Priority to US12/255,261 priority patent/US7819574B2/en
Publication of KR2009007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을 생성하는 램프 유닛과, 램프 유닛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반사 시트를 백라이트 어셈블리 내에 고정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assembl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light assembl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assembly. Whereby the reflective sheet can be secured within the backlight assembly without the use of an adhesive member.

백라이트, 광원, 반사시트, 수납 프레임, 오목부 A backlight, a light source, a reflective sheet, a storage frame,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echnical Field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assembly,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사 수납 프레임을 통해 반사 시트를 고정하여 반사 시트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assembl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light assembl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assembly.

평판 표시 장치 중의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단위 픽셀의 액정 배열을 변화시켜 광 투과량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목표로 하는 화상을 표시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다.A liquid crystal display (LCD), which is on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is a device for changing a liquid crystal arrangement of a unit pixel to adjust a light transmission amount, thereby displaying a target image.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not emit light by itsel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backlight assembly disposed und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provid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과 광원의 광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중의 하나가 반사 시트이다. 반사 시트는 광원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반사 시트는 표시 패널의 반대 방향(즉, 광원의 하측 영 역으로)으로 조사된 광원의 광을 표시 패널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를 통해 광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acklight assembly includes a light source and various elements that provide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to the display panel. One of these elements is a reflective sheet. The reflective sheet is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light source. Therefore, the reflective sheet reflects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play panel (i.e., in the lower area of the light source) toward the display panel. Thus, the efficiency of the light source can be improved.

이와 같은 반사 시트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제작을 위한 조립 공정시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구조물에 접착되었다. 즉, 종래의 경우 얇은 반사시트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부착시킨 다음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반사 시트를 하부 구조물에 부착하였다. 하지만, 반사시트가 얇아 잘 휘어지기 때문에 반사시트를 하부 구조물의 해당 영역에 부착시키기 어려웠다. 특히 반사 시트의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되었다. 이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반사 시트와 하부 구조물은 열팽창/수축 계수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열팽창/수축 계수가 서로 다른 소개가 접착되어 있을 경우 열적 변형에 의해 접착 영역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Such a reflective sheet was adhered to the lower structure by a double-sided adhesive tape or an adhesiv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backlight assembly.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a thin reflective sheet, and then a reflective sheet is attached to the lower structure using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owever, since the reflective sheet is thin and bends well,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reflective sheet to the corresponding region of the substructure. This problem is further exacerbated as the size of the reflective sheet increases. This causes the assemblability of the backlight assembly to deteriorate. Further, the reflective sheet and the lower structure have different thermal expansion / contraction coefficients. Therefore, if the thermal expansion / shrinkage coefficie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noise is generated in the adhesive region due to thermal de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을 갖는 반사 수납 프레임의 오목홈에 반사 시트를 인입시켜 별도의 접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사 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fixing a reflective sheet A backlight assembl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반사 시트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소음 불량을 개선 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light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of a reflective sheet and improving noise defects,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There is provided a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fram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a reflection sheet for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and a storage frame having at least one recess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reflection sheet .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sheet receiving space into which a part of the reflective sheet is led, and an opening of the sheet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 a side wall region of the receiving frame.

상기 수납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hat the accommodating frame has a plurality of the concave portions and that the reflective sheet has a protruding portion that enters into the seat inflow sp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 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reflection sheet is provided in a side wall region of the accommodating frame provided with the opening,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region of the opening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It is effective to include an inclined portion.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상측에 위치하는 광학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reflection sheet is provided in a side wall region of the accommodating frame provided with the opening,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region of the opening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optical plate including an inclined portion and located above the projection.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reflection sheet is provided on a side wall region of the accommodating frame provided with the opening,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projection for fixing the reflection sheet, It is effective to include at least on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상기 반사 시트가 인입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t least one sheet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reflection sheet is inserted to fix the reflection sheet.

상기 오목부는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내측벽면에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반사 시트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hat the concave portion further includes a reflection sheet fixing portion in the form of a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at entrance space.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사선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The cross section of the seat inflow space may have a shape of at least one of a linear shape, a curved shape, an oblique shape, and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receiving space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pening area.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시트 인입 공간을 갖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시트 인입 공간으로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 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cave portion has a sheet receiving spac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reflecting sheet has a protruding portion that enters the sheet receiving space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상기 수납 프레임에 결합 되고, 상기 광원을 고정하는 램프 고정 프레임 및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과 상기 수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광학 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o further include a lamp fixing frame coupled to the storage frame and fixing the light source, and an optical film part supported by the lamp fixing frame and the storage frame.

상기 결합된 상기 수납 프레임과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bottom plat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frame and the lamp fixing fra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A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fram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and including a reflection sheet for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recess for fixing the reflection shee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light supplied from the backlight assembly.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hat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seat inflow space into which a part of the reflection sheet is drawn, and an opening of the seat inflow space is provided in a side wall region of the accommodation frame.

상기 수납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accommodating frame has a plurality of the concave portions, and the reflective sheet has protrusions that are inserted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상기 개구가 마련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reflection sheet is provided on a side wall region of the accommodating frame provided with the opening,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projection for fixing the reflection sheet, And at least on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상기 반사 시트가 인입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t least one sheet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reflection sheet is inserted to fix the reflection sheet.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사선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seat inflow space may have a straight shape, a curved shape, an oblique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eat entrance space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pening are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사 시트가 인입되는 오목부를 갖는 수납 프레임을 설치하여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도 반사 시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orage frame having a concave portion into which a reflective sheet is introduced, so that the reflective sheet can be stably fixed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립 공정시 반사 시트를 수납 프레임의 오목부 내측으로 인입시켜 반사 시트가 들뜨거나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사 시트의 조립을 단순화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reflection sheet from being lifted or dropped by pulling the reflection sheet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housing frame during the backlight assembly assembly process, simplifying the assembly of the reflection sheet, and simplify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backlight assembly .

또한, 본 발명은 반사 시트가 오목부의 시트 인입 공간 내에서 인입되기 때문에 열에 의해 반사 시트가 확장 또는 수축하는 경우 충분한 유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lective sheet is drawn in the seat entrance space of the concave portion,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when the reflective sheet expands or contracts due to heat.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오목홈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A in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to 9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cave groove reg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assembly 10 and a backlight assembly 20.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액정 표시 패널(100)과, 구동 회로부(200)와, 패널 지지 부재(300)와 상부 수납 부재(400)를 포함한다. The display assembly 1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 driving circuit unit 200, a panel supporting member 300, and an upper receiving member 400.

액정 표시 패널(100)은 컬러 필터와 공통 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110)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rm transistor; TFT)와 화소 전극이 형성된 하부 기판(1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는 액정층이 마련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ncludes an upper substrate 110 on which a color filter and a common electrode are formed, and a lower substrate 120 on which a thin firm transistor (TFT) and a pixel electrode are formed. A liquid crystal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110 and the lower substrate 120.

상부 기판(110) 상에는 차광 패턴과,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 G, B 컬러 필터가 형성된다. 차광 패턴과 컬러 필터 상에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위치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차광 패턴과 컬러 필터가 하부 기판(1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upper substrate 110, a light shielding pattern and R, G, and B color filters, which are color pixels in which light passes and a predetermined color is expressed, are formed. A common electrod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or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is disposed on the light shielding pattern and the color filter. If necessary, the light shielding pattern and the color filt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20.

하부 기판(12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복수의 화소 전극에 각기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The lower substrat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arranged in a matrix and thin film transistors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A data line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a gate line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게이트 라인에 턴온 전압을 인가하면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턴온된다. 이때, 데이터 라인을 통해 화상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턴온된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데이터 라인의 화상 신호가 화소 전극에 차징 된다. 이로인해 하부 기판(120)의 화소 전극과 상부 기판(110)의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계에 의해 두 기판 사이에 마련된 액정의 배열이 변화된다. 액정은 그 배열의 변화에 따라 광투과율이 변경된다. 이를 통해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When a turn-on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line, the thin film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gate line are turned on. At this time, when an image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data line, the image signal of the data line is charged to the pixel electrode by the turned-on thin film transistor. Thus,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of the lower substrate 120 and the common electrode of the upper substrate 110. Therefore,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s provid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is changed by the electric fiel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quid cryst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rrangement. Thus, a desired image is obtain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10)의 상측면과 하부 기판(120)의 하측면에는 편광시트(13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the polarizing sheet 13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20.

구동 회로부(200)는 액정 표시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동 회로부(200)는 콘트롤 IC(integrated circuit)를 탑재하고 하부 기판(120)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210)을 구비한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2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 전압 생성을 위한 전압 생성부와,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계조 전압 생성부와, 화상 신호를 데이터 라인 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턴온 전압을 게이트 라인에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부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 기판(1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 회로 기판(210)에는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마련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1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220)을 통해 하부 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IC 칩 형태로 제작되어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물론 IC 칩 형태의 데이터 구동부가 연성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210)에 실장된 각부는 필요에 따라 하부 기판(120)에 실장될 수도 있다.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e driving circuit unit 20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210 on which a control IC (integrated circuit) is mounted and a predetermined signal is applied to a data line and a gate line of the lower substrate 12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PCB 210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n internal voltage, a gradation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gradation voltage, a data driver for providing an image signal to the data line, And a gate driver for providing the gate line. Here, the gate driv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20 as needed. In this case,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ate driv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bstrate 120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20. The data driver is fabricated in the form of an IC chip and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course, a data driver in the form of an IC chip may be mount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urther, each part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bstrate 120, if necessary.

패널 지지부재(300)는 액정 표시 패널(100)을 지지한다. 패널 지지부(3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제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재(3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프레임 몸체부(310)와, 프레임 몸체부(310)의 내측벽 하부 영역에서 프레임 몸체부(310)의 내부 빈 공간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부(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돌출부(320)는 액정 표시 패널(100)을 지지한다. 즉, 액정 표시 패널(100)은 돌출부(320) 상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320)가 형성되지 않은 프레임 몸체부(310)의 내측벽(돌출부 상측의 내측벽)은 액정 표시 패널(100)을 고정시킨다. 즉, 프레임 몸체부(310)의 내측벽은 액정 표시 패널의 측면을 감쌓아 액정 표시 패널이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잡아 준다. 상기 프레임 몸체부(310)와 돌출부(320)는 단일 몸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패널 지지부재(300)는 프레스 공정 또는 몰드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재(300)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panel supporting member 300 support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e panel supporting portion 300 is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1, the panel supporting member 300 includes a frame body 310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inner hollow space area of the frame body 310 in an area below the inner wall of the frame body 310 And has a protruding protrusion 320. Here, the protrusion 320 support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at i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s placed on the protrusion 320. The inner wall (the inner wall on the upper side of the projection) of the frame body 310 in which the protrusion 320 is not formed fix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n other words, the inner side wall of the frame body portion 310 tilts the sid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o catch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The frame body 310 and the protrusion 32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The panel supporting member 30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ressing process or a molding process. It is effective that the panel supporting member 300 is made of resin such as plastic.

상부 수납 부재(400)는 액정 표시 패널(100)과 패널 지지부재(300)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20)를 수납한다. 상부 수납 부재(4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에 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수납 부재(4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틀 형태의 평면부(410)와, 평면부(41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연장된 측벽부(420)를 갖는다. 평면부(410)와 측벽부(420) 내측 공간에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0)과 패널 지지부재(300)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20)를 수납한다. 이를 통해 상기 구성 요소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상기 요소들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한다. 상부 수납 부재(400)는 강도가 우수하고, 가벼우며, 변형이 적은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housing member 400 accommodat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e panel support member 300, and the backlight assembly 20. Preferably, the upper housing member 400 is fixedly coupled to the backlight assembly 20. The upper housing member 400 has a rectangular portion 410 of a rectangular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a side wall portion 420 extending from an edge region of the flat portion 410.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e panel supporting member 300, and the backlight assembly 20 ar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lane portion 410 and the side wall portion 420. Thereby preventing the components from escaping and protecting the components from damage by external impacts. The upper housing member 40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having excellent strength, light weight, and little deformation.

다음으로,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 유닛(즉, 광원; 500)과, 램프 유닛(500)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600)와, 반사 시트(60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780)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70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램프 유닛(500)을 고정하는 램프 고정 프레임(800)과, 램프 유닛(500) 상에 마련된 광학 플레이트(예를 들어 열 차단판(900))과 광학 필름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플레이트는 광의 확산 기능 및/또는 열 차단 기능을 갖는 투광성 물질의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플레이트로 열 차단판(9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수납 프레임(700)과 램프 고정 프레임(800)의 바닥면에 결합하는 바닥판(1300)을 더 구비한다. 이를 통해 수납 프레임(700), 램프 고정 프레임(800) 및 바닥판(1300)에 의해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이 수납 공간에 램프 유닛(500), 반사 시트(600) 등이 수납될 수 있 다. 여기서, 반사 시트(600)와 바닥판(1300) 사이에 열 확산판(1100)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열 확산판(1100)은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램프 유닛(500), 반사 시트(600), 수납 프레임(700), 램프 고정 프레임(800), 열 차단판(900) 및 광학 필름부(1000)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부재(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수납 부재(1200)는 생략이 가능하다. Next, the backlight assembly 20 includes a lamp unit (that is, a light source 500) that generates light, a reflective sheet 600 that reflects the light of the lamp unit 500, And includes a receiving frame 700 having at least one recess 780. The backlight assembly 20 includes a lamp fixing frame 800 for fixing the lamp unit 500, an optical plate (for example, a heat blocking plate 900) provided on the lamp unit 500, As shown in FIG. Here, the optical plate is preferably a plate of a light-transmissive substance having a light diffusion function and / or a heat interception function. In this embodiment, an optical plate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a heat shield plate 900. And a bottom plate 130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frame 700 and the lamp fixing frame 800. The storage space is formed by the housing frame 700, the lamp fixing frame 800, and the bottom plate 1300. The lamp unit 500, the reflection sheet 600, and the like can be housed in this storage space. Here, it is effective that the heat diffusion plate 1100 is provided between the reflective sheet 600 and the bottom plate 1300. Of course, the heat diffusion plate 1100 can be omitted if necessary. The backlight assembly 20 includes a lamp unit 500, a reflection sheet 600, a housing frame 700, a lamp fixing frame 800, a heat shield plate 900, and an optical film unit 1000 And a lower receiving member 1200 for receiving the lower receiving member. Here,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can be omitted.

램프 유닛(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510)와, 복수의 램프(510)를 각기 지지하는 램프 홀더(520)를 포함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유닛(500)은 일측에 마련된 램프와, 램프의 광을 광학 필름부(1000)에 제공하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램프 유닛(500) 즉, 광원은 복수의 광원들이 부착된 프레임에서 부분적으로 발광한다.The lamp unit 500 includes a plurality of lamps 510 and a lamp holder 52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lamps 510 as shown in FIG. The lamp unit 500 may include a lamp provided on one side and a light guide plate for providing the light of the lamp to the optical film unit 1000. [ The lamp unit 500, that is, the light source partially emits light in a frame to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ttached.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510)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램프의 길이 방향이 하부 수납 부재(1200)의 장축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램프 몸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장축 방향과 수평하게 배치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개수의 램프(51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램프(510)로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510)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램프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 판을 구비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lamps 5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p is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lamp body. Further, a larger number of lamps 510 can be arranged than in the case of horizontally arranging the lamps. Thus,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assembly can be improved. Here,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is used as the lamp 510. However, not limited thereto, various types of lamps may be used.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lamp may be used as the lamp 510. The light emitting diode lamp has a base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mounted.

상기의 램프 홀더(520)는 램프(510)의 양 끝단 영역 즉, 전극 단자 영역에 마련된다. 상기 램프 홀더(520)를 램프 고정 프레임(800)으로 고정시켜 램프(510)를 백라이트 어셈블리(20)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램프 홀더(520)는 복수의 램프(510)의 양 끝단 영역을 지지하도록 바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램프(5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U자 형상, N자 형성, M자 형상 및 사행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 유닛(500)은 램프(5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별도의 콘넥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lamp holder 5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mp 510, that is, the electrode terminal region. The lamp holder 520 may be fixed to the lamp fixing frame 800 to fix the lamp 510 in the backlight assembly 20. At this time, the lamp holder 52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to support both end regions of the plurality of lamps 510. Here, the lamp 510 is formed in an I-shape as shown in FI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U-shape, N-shape, M-shape, and meandering shape. In addition, the lamp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nnector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mp 510.

여기서,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램프 유닛(500)을 하부 수납 부재(1200)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램프 유닛(5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81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상측벽(801)과, 외측벽(802) 그리고, 내측벽(803)을 구비한다. 외측벽(802)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고, 내측벽(803)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이와 같이 내측벽(803)에 소정의 기울기를 주어 내측벽(803) 방향으로 조사된 광을 광학 필름부(1000)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열 차단판(900)이 내측벽(80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내측벽(803)에는 열 차단판(900)이 위치하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lamp fixing frame 800 fixes the lamp unit 500 to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To this end, the lamp fixing frame 800 has a fixing groove 810 for fixing the lamp unit 500. As shown in FIG. 1, the lamp fixing frame 800 includes an upper wall 801, an outer wall 802, and an inner wall 803. The outer wall 802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and the inner wall 803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In this way, the inner wall 803 can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guide the light irradiated toward the inner wall 803 to the optical film unit 1000. In addition, the heat shield plate 900 can be fixed to the inner wall 803. [ At this time, the inner wall 803 may be formed with a step portion where the heat shield plate 900 is located.

그리고, 외측벽(802)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측벽에 밀착된다. 물론 하부 수납 부재(1200)가 측벽이 없을 경우 외측벽(802)이 수납 부재의 측벽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램프 유닛(5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810)이 내측벽(803)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홈(8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803)의 하측 영역의 일부가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고정홈(810)은 램프(5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고정홈(810)으로 램프 유닛(500)의 램프 홀더(520)가 인입되어 램프 유닛(500)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510)의 양 끝단 영역에 각기 램프 고정 프레임(800)이 마련된다. 여기서, 램프 고정 프레임(800)의 연장 길이는 하부 수납 부재(1200)의 장축 방향과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평면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하부 수납 부재(12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바 형상(소정 두께를 갖는 직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두 장변 영역에 위치한다. 그리고, 램프 고정 프레임(800)은 복수의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outer wall 80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Of course, when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has no side wall, the outer wall 802 may serve as a sidewall of the housing member. Here, a fixing groove 810 for fixing the lamp unit 50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803. Here, as shown in FIG. 1, the fixing groove 810 is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lower side region of the inner side wall 803 is recessed in the upwar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grooves 810 are formed by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lamps 510. The lamp holder 520 of the lamp unit 500 is drawn into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810 and the lamp unit 500 is fixed. In this embodiment, lamp fixing frames 800 are provided at both end regions of the lamp 510. Here, it is effective that the extension length of the lamp fixing frame 800 is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lamp fixing frame 800 is formed in a bar shape (line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this time, the lamp fixing frame 800 is positioned at the two long sides of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The lamp fixing frame 80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blocks.

상술한, 반사 시트(600)는 램프 유닛(500)의 하측 영역과 측면 영역의 일부에 마련된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600)는 램프 유닛(500)에서 발광된 광 중, 상측 방향(즉, 광학 필름부(1000) 방향) 이외의 방향(예를 들어, 하측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을 상측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트(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유닛(500)의 하측에 마련된 수평면(610)과, 수평면(610)의 끝단에서 램프 유닛(500)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620)과, 경사면(620)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면(630)을 포함한다. 이때, 수평면(61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인접 배치된다. 경사면(620)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 고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고정면(630)의 일부가 수납 프레임(700)에 의해 고정된다. The reflective sheet 600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a lower side region and a part of the side region of the lamp unit 500. The reflective sheet 600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lamp unit 500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upward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film unit 1000) (for example,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upward direction. 1 and 2, the reflection sheet 600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610 provided below the lamp unit 500 and a slope surface 610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amp unit 500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surface 610. [ (620), and a securing surface (630)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inclined surface (620). At this time, the horizontal surface 6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It is effective that the slope 620 has a constant slope. Then, a part of the fixing surface 630 is fixed by the receiving frame 700.

상술한 수납 프레임(7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된다. 수납 프레임(700)의 일측에는 반사 시트(60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780)가 마련된다. 오목부(780) 내측으로 반사 시트(600)가 인입되어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The above-described storage frame 700 is made in the shape of a pipe with an empty interior. At least one concave portion 780 for fixing the reflective sheet 6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frame 700. The reflective sheet 60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780 to fix the movement of the reflective sheet 600.

수납 프레임(7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710), 내측벽(720), 상측벽(730) 및 하측벽(740)을 구비한다. 즉, 수납 프레임(700)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 형성된 외측벽(710) 및 내측벽(720) 그리고, 외측벽(710)과 내측벽(720)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측벽(740) 및 외측벽(710)과 내측벽(720)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측벽(730)을 포함한다.The housing frame 700 has an outer wall 710, an inner wall 720, an upper wall 730 and a lower wall 74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eceiving frame 700 includes an outer wall 710 and an inner wall 720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ower wall 740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inner wall 720 with the outer wall 710, And an upper side wall 730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ide wall 720.

그리고, 수납 프레임(700)은 내측벽(720)의 일부에서 연장된 제 1 지지부(750)와, 상측벽(730)의 일부에서 연장된 제 2 지지부(760)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수납 프레임(700)은 내측벽(720)의 하측 영역에서 연장된 제 3 지지부(7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벽(720)에 오목부(780)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오목부(7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720)의 일부가 수납 프레임(700)의 내부 공간으로 리세스된 오목홈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780)는 반사 시트(600)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S)(즉, 오목홈의 홈)을 포함한다. 시트 인입 공간(S)의 개구는 상기 내측벽(720)에 마련된다. 그리고, 시트 인입 공간(S)의 개구 하측 영역에 제 1 지지 부(750)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housing frame 700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750 extending from a portion of the inner wall 720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760 extending from a portion of the upper wall 730. The housing frame 7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pport portion 770 extending from a lower region of the inner wall 720. Here, it is effective that the concave portion 78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wall 720. 3 and 4, a part of the inner wall 7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ess recess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frame 700. As shown in FIG. 4, the concave portion 780 includes a sheet receiving space S (i.e., a groove of the concave groove) into which the reflective sheet 600 is introduced. An opening of the sheet inlet space S is provided in the inner side wall 720.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750 is provided in the opening-lower region of the sheet introduction space S.

평면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하부 수납 부재(12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수납 프레임(700)은 대략 바 형상(소정 두께를 갖는 직선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수납 프레임(70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두 단변 영역에 위치한다. 즉, 외측벽(71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벽면에 밀착되고, 하측면(740)은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외측벽(710)이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벽면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housing frame 7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ar shape (line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this time, the housing frame 700 is located in the two short side regions of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That is, it is effective that the outer side wall 7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and the lower side surface 7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At this time, the outer side wall 710 may serve as a wall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벽(730) 상에는 광학 필름부(1000)가 안치된다. 그리고, 상측벽(730) 상부 영역으로 돌출된 제 2 지지부(760)는 광학 필름부(1000)를 고정시킨다. 제 2 지지부(760)는 상측벽(730)과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연장부와, 수직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측벽과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 연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 연장부는 광학 필름(1000)의 들뜸을 방지한다. 제 2 지지부(760) 상에는 패널 지지부재(300)가 안착된다. 제 2 지지부(760)와 패널 지지부(300) 사이에는 이둘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재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optical film portion 1000 is placed on the upper wall 730. The second support portion 760 protruding from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wall 730 fixes the optical film portion 1000. The second support portion 760 includes a vertical extens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ide wall 730 and a horizontal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ide wall at the end of the vertical extension. The horizontal extension prevents lifting of the optical film (1000). The panel support member 300 is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760. A separate join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portion 760 and the panel supporting portion 300 to join the two.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720)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되고, 이 분리된 영역들이 동일 직선 상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inner wall 7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se separated regions may not be formed on the same straight line.

내측벽(720)에는 제 1 지지부(750), 제 3 지지부(770) 및 오목부(780)가 형성된다. A first support portion 750, a third support portion 770, and a concave portion 780 are formed on the inner sidewall 720.

제 3 지지부(770)는 내측벽(720)의 하부 영역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제 3 지지부(770)에는 계단형 단차가 마련된다. 상기 계단형 단차 상에 열 확산판(1100) 이 안치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제 3 지지부(770)는 생략이 가능하다. 즉, 열 확산판(1100)이 하부 수납 부재(1200)의 바닥면에 직접 안치될 경우 제 3 지지부(770)를 생략할 수 있다. The third support portion 770 protrudes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inner wall 720.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770 is provided with a stepped step. A heat dissipating plate 1100 is placed on the stepped step. Of course,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770 can be omitted if necessary. That is, when the heat diffusion plate 1100 is directly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770 can be omitted.

제 1 지지부(750)는 내측벽(720)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751)와, 돌출부(751)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 경사부(752)를 구비한다. 여기서, 돌출부(751)에는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 일부가 밀착된다. 또한, 돌출부(751) 상에는 열 차단판(900)이 위치한다. 돌출부(751)는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과 열 차단판(900)을 지지한다. 돌출부(751) 상에 반사 시트(600)과 열 차단판(9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반사 시트(6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는 돌출부(751) 상의 열 차단판(900)이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을 눌러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사부(752)에는 반사시트(600)의 경사면(752) 일부가 밀착된다. 경사부(752)의 기울기에 따라 반사 시트(600)의 경사면(752)의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752)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경사면(752)의 상측 영역과 밀착 되도록 연장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부(752)의 연장 길이는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750)는 제 3 지지부(770)의 상측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지지부(750)는 반사 시트(600)를 지지하고, 제 3 지지부(770)는 반사 시트(600) 하부에 마련된 열 확산판(1100)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이때, 제 1 지지부(750)의 형성위치는 램프(510)의 크기와, 반시 시트(600)와 열 차단판(9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벽(720)의 전체 높이를 1로 할 경우, 제 1 지지부(750)는 내측벽(720)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0.6 내지 0.9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750 includes a protrusion 751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720 and an inclined portion 75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751 to have a downward slope. Here, a portion of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on sheet 6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projection 751. A heat shield plate 900 is disposed on the protrusion 751. The protrusion 751 supports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on sheet 600 and the heat shield plate 900. The reflection sheet 600 and the heat shield plate 90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protrusion 751 to fix the reflection sheet 600. [ This is because the heat shield plate 900 on the protrusion 751 presses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ve sheet 600. A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752 of the reflection sheet 6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clined portion 752.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752 of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752. [ 2 and 3, the inclined portion 752 is extended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region of the inclined surface 752 of the reflective sheet 6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xtending length of the inclined portion 752 can be freely varied. Here,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upporting part 75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upporting part 770. This is because the first support portion 750 supports the reflective sheet 600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770 supports the heat dissipation plate 1100 provided under the reflective sheet 600. [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750 can be vari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amp 5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rrier sheet 600 and the heat shield plate 900. Here, when the total height of the inner wall 720 is 1, the first support portion 750 is preferably formed at a height of 0.6 to 0.9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inner wall 720.

제 1 지지부(750)의 인접 영역에는 오목부(780)가 형성된다. 여기서,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의 개구 하측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750)의 돌출부(751)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은 그 단면이 직선 형상을 갖는다. A concave portion 780 is formed in an adjacent reg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750. Here, it is effective that the opening lower region of the seat inflow space S of the concave portion 780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protruding portion 751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750 as shown in FIG. 4, the sheet receiving space S of the concave portion 780 has a straight section in cross section.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은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시트 인입 공간(S)으로 인입된 상기 고정면(630)에 의해 반사 시트(600)는 별도의 접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납 프레임(7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에 반사 시트(600)의 일부가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시트(6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오목부(780)의 인접 영역 즉, 제 1 지지부(750) 영역에서 반사 시트(600)를 열 차단판(900)이 누르고 있기 때문에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립 공정시 오목부(780) 내측으로 반사 시트(600)의 일부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반사 시트(600)가 들뜨거나 떨어져 나가는 것을 잡아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6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 시트(600)는 시트 인입 공간(S)내에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광원 유닛(500)의 열에 의해 반사 시트가 확장 또는 수축하는 경우 충분한 유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2 to 4,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ve sheet 600 is inserted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S of the concave portion 780.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fixed to the receiving frame 700 without using a separate adhesive subassembly by the fixing surface 630 drawn into the sheet inlet space S. [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lection sheet 600 from escaping because a part of the reflection sheet 600 is drawn into the seat inflow space S of the recess 780, Since the heat shielding plate 900 presses the reflective sheet 600 in the region of the support part 750, the movement of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prevented.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lifted or removed only by pushing a part of the reflective sheet 600 into the concave portion 780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backlight assembly. Thus,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improved. Further,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stretched or shrunk in the sheet receiving space S. Accordingly, when the reflective sheet expands or contracts due to the heat of the light source unit 500, a sufficient clearance space can be secured.

여기서, 시트 인입 공간(S)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직선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시트(6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의 단면 형상은 곡선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선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하측 방향으로 굽어진 곡선 형상의 시트 인입 공간(S)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 인입 공간(S)은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곡선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S)가 뒤집힌 V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S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S)이 꺽여 형성되는 경우 시트 인입 공간(S)으로 들어간 반사 시트(600)가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고, 움직임이 더욱 제한된다. 여기서, 도 6에서와 같이 뒤집힌 V자 형상의 시트 인입 공간(S)의 상측 꼭지점 영역을 곡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반사 시트(600)의 인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S)은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곡된 직선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직선, 사선 및 곡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S)을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상으로 제작하여 시트 인입 공간(S)으로 인입된 반사 시트(600)를 절곡시킬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4, the sheet receiving space S is not limited to a straight line in cross section,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fix the reflective sheet 600. 5, the sectional shape of the sheet receiving space S of the concave portion 78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FIG. 5, a curved sheet inlet space S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heet inlet space S may be curved upward. Further, as in the modified example of Fig. 6, the sheet inlet space S can be formed in an inverted V-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an S shape. When the sheet receiving space S is formed in such a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sheet 600 which has entered the sheet receiving space S can not easily escape and the movement is further restricted. Here, as shown in FIG. 6, the upper vertex region of the inverted V-shaped sheet inlet space S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the reflective sheet 600. Also, as in the modification of Fig. 7, the sheet introduction space S can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straight line and a slant line are combi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formed into a bent straight line shape, or a straight line, a slant line, and a curved line combined form. In this manner, the sheet introducing space S can be formed in a shape combining a straight line and a diagonal line, and the reflective sheet 600 drawn into the sheet introducing space S can be bent.

또한, 도 8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오목부(780)의 내측에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돌기 형태의 고정부(782)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782)는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을 형성하는 내벽들의 일부에서 돌출된다. 이때, 고정 부(782)가 형성된 영역의 시트 인입 공간(S)의 높이는 반사 시트(600)의 높이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높이는 반사 시트(6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반사 시트(600) 두께보다 약 1 내지 30%정도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시트 인입 공간(S)으로 인입된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시트 인입 공간(S) 내의 고정부(782)가 반사 시트(600)를 누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8에서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782)가 도시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782)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오목부내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줄어드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폭의 최소 두께는 반사 시트(60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시트 인입 공간(S)으로 반사 시트(600)를 밀어 넣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시트(600)는 시트 인입 공간(S)을 형성하는 내벽들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통해 반사 시트(600)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이는 것을 고정 시킬 수 있다. 8, a fixing portion 782 in the form of a protrusion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reflection sheet 60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ss 780. [ The fixing portion 782 protrudes from a part of the inner walls forming the sheet receiving space S of the concave portion 78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seat inflow space S in the region where the fixing portion 782 is formed is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reflection sheet 600. That is, the height is preferab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sheet 600 or about 1 to 30% hig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sheet 60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reflective sheet 600 drawn into the sheet inlet space S can be fixed. This is because the fixing portion 782 in the sheet receiving space S presses the reflective sheet 600. 8, a fixing portion 782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s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xing portion 78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side.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may projec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recess. 9, the cross section of the seat inflow space S of the concave portion 780 can be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pening region. Here,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width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sheet 600. Here, when the reflective sheet 600 is pushed into the sheet inlet space S, the reflective sheet 600 is fixed by the inner walls forming the sheet inlet space S as shown in FIG. This makes it possible to fix the movement of the reflective sheet 600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780)에 얇은 두께(약 1mm 이하)의 반사 시트가 인입 고정된다. 따라서, 오목부(780) 개구의 직경을 작게 제작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오목부(780)을 제작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 프레임(700)을 압출 공정을 통해 제작한다. 이는, 압출 공정이 프레스 공정 및 몰드 공정에 비하여 미세 패턴의 설계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오목부(780)를 갖는 수납 프레 임(700)으로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수납 프레임으로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reflective sheet having a small thickness (about 1 mm or less)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recess 780.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recess 780 should be made small.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 concave portion 780, the accommodating frame 700 is manufactur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is is because the extrusion process is easier to design a fine pattern than the press process and the mold process. It is effective to use aluminum as the storage frame 700 having the concave portion 780 described abov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se an aluminum extrusion frame as a storage frame.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수납 프레임(700)의 제 1 지지부(750)의 경사부(752)가 연장되어 하측의 제 3 지지부(77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 1 지지부(750)의 돌출부(751) 하부에 연장된 내측벽(720) 영역이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제 1 지지부(750)가 내측벽(720) 역할을 수행하고, 제 3 지지부(770)가 하측벽(740)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S)을 감싸는 벽면과 제 1 지지부(750)가 내측벽(72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When the inclined portion 752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750 of the receiving frame 700 is extended and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770 on the lower sid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rea of the inner side wall 720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ide wall 751 may be omitted. This means that the first support part 750 serves as the inner side wall 720 and the third support part 770 can serve as the lower side wall 740. That is, the wall supporting the seat inflow space S of the concave portion 780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750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inner wall 720.

열 확산판(1100)은 램프 유닛(500) 하측 영역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확산판(1100)은 반사 시트(600)의 수평면(610) 하측 영역에 마련된다. 이때, 열 확산판(1100)은 램프 유닛(500)의 열을 확산시켜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열 확산판(1100)으로 열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하여, 램프 유닛(500)의 열을 빠르게 흡수하고,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바르게 방출 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heat dissipating plate 1100 i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amp unit 500. As shown in FIG. 2, the heat dissipation plate 1100 is provided in a region below the horizontal surface 610 of the reflection sheet 600. At this time, the heat diffusion plate 1100 diffuses the heat of the lamp unit 500 to prevent heat from being concentrated. The heat dissipation plate 1100 can quickly absorb the heat of the lamp unit 500 and can discharge the absorbed heat to the outside by using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열 차단판(900)은 램프 유닛(500) 상측 영역에 위치한다. 열 차단판(900)은 램프 유닛(500)의 열이 광학 필름부(1000)와, 디스플레이 에셈블리(10)(즉, 액정 표시 패널(100))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통해 램프 유닛(500)의 열에 의해 광학 필름부(100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eat shield plate 900 i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amp unit 500. The heat shield plate 900 blocks the heat of the lamp unit 500 from being conducted to the optical film portion 1000 and the display assembly 10 (i.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tical film unit 1000 and the display assembly 10 from being deteriorated by the heat of the lamp unit 500.

광학 필름부(1000)는 열 차단판(900) 상측 영역에 위치한다. 광학 필름부(1000)는 휘도 향상 시트(1010) 및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1020)를 구비한다. 휘도 향상 시트(1010)는 자신의 투과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방향의 광은 반사 시킨다. 확산 시트(1020)는 램프 유닛(5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갖도록 광을 확산시킨다. 이때, 광학 필름부(1000)는 확산 시트(102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확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필름부(1000)는 필요에 따라 광의 특성을 변경시키는 다양한 광학 시트 또는 광학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optical film portion 1000 is located on the upper region of the heat shield plate 900. The optical film portion 1000 includes a brightness enhancement sheet 1010 and at least one diffusion sheet 1020. The brightness enhancement sheet 1010 transmits light travel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its transmission axis and reflects light in other directions. The diffusion sheet 1020 diffuses light so tha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amp unit 500 has a uniform distribution over a wide range. At this time, the optical film unit 1000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plate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diffusion sheet 1020. The optical film unit 10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optical sheets or optical plates that change the light characteristics as required.

하부 수납 부재(1200)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하부 수납 부재(1200)는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제작된다. 하부 수납 부재(1200)는 램프 유닛(500), 램프 고정 프레임(800), 반사 시트(600), 수납 프레임(700) 및 광학 필름부(1000)를 수납 공간에 수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요소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요소들이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has a storage space. The lower receiving member 1200 is made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The lower housing member 1200 houses the lamp unit 500, the lamp fixing frame 800, the reflection sheet 600, the housing frame 700, and the optical film unit 1000 in the storage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elements from escaping and preventing the elements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impac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에,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Further, the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Hereinafter,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이다.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반사 시트(600)와, 반사 시트(600)를 고정하는 수납 프레임(700)을 구비한다. 수납 프레임(7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710), 내측벽(720), 상측벽(730) 및 하측벽(740)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납 프레임(700)은 내측벽(720)의 일부에서 연장된 제 1 지지부(750)와, 내측벽(720)의 하측 영역에서 연장된 제 3 지지부(7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750) 상에는 반시 시트(600)와 열 차단판(900)이 놓여진다. 제 3 지지부(770) 상에는 열 확산판(1100)이 놓여진다. 상기 상측벽(730) 상에는 광학 필름부(1000)가 놓어지게 된다. 이때, 광학 필름부(1000)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지지부(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측벽(730)과 접하는 패널 지지부(300) 면에 계단형의 단차를 형성하고, 단차 영역에 광학 필름부(1000)가 놓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backlight assembly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reflection sheet 600 and a storage frame 700 for fixing the reflection sheet 600. The housing frame 700 has an outer wall 710, an inner wall 720, an upper wall 730 and a lower wall 740 as shown in Fig. The receiving frame 7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ing portion 750 extending from a portion of the inner side wall 720 and a third supporting portion 770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wall 720. A barrier sheet 600 and a heat shield plate 900 are laid on the first support part 750. A heat dissipating plate 1100 is placed on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770. The optical film part 100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wall 730. At this time, the optical film part 1000 can be fixed by the panel supporting part 300 shown in FIG. That is, a stepped step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nel supporting part 300 contacting the upper side wall 730, and the optical film part 1000 may be placed on the stepped area.

제 1 지지부(750)가 형성된 내측벽(720)에는 반사 시트(600)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홈 형상의 복수의 오목부(780)가 형성된다. 복수의 오목부(780)는 각기 복수의 시트 인입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 인입 공간으로 반사 시트(600)의 일부(즉, 끝단 영역)가 인입되어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복수의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으로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끝단 영역 일부가 인입된다. 이때, 복수의 오목부(7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직선 선상(즉, 내측벽(720)과 제 1 지지부(750)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오목부(780)는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에는 이격된 오목부(780)에 대응하는 요철 패턴(631)이 형성된다. 즉, 고정면(630)의 돌출 영역이 오목부(780)에 인입된다. 이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가장자리 영역에 요철 패턴(631)이 형성되고, 요철 패턴(631)의 철부 영역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됨으로 인해 고정면(630)이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잡아 줄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도고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 패턴(631)의 철부 영역을 복수의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으로 밀어 넣음으로 인해 반사 시트(600)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recesses 780 in the form of concave grooves for fixing the reflective sheet 60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720 formed with the first support part 750. Each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780 has a plurality of seat entrance spaces. A part of the reflective sheet 600 (that is, an end region) is drawn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to fix the movement of the reflective sheet 600. A part of the end region of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ve sheet 600 is drawn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78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780 are formed in a single straight line (that is, a point where the inner wall 720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750 meet) as shown in FIG. Each of the concave portions 78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ncave / convex pattern 631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780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ve sheet 600 is formed. That is,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fixing surface 630 is drawn into the concave portion 780. The concave and convex pattern 631 is formed in the edge region of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ve sheet 600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concave and convex pattern 631 is drawn into the sheet inlet space of the concave portion 780, (630) can be mov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s. Therefore,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fixed without using any adhesive. In addition, since the convex portion of the concave / convex pattern 631 is pushed into the seat inflow space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780, the assembly of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completed. Thus, the assembly of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simplified, an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cklight assembly can be simplified.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오목부(780)는 단일의 시트 인입 공간을 갖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과 연통된 복수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내측벽(720)의 일부를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 시켜 단일의 시트 인입 공간과 개구를 갖는 오목홈 형태의 오복부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개구 영역에 개구의 일부를 막는 복수의 커버 패턴을 함께 형성한다. 이를 통해 단일의 시트 인입 공간과 복수의 개구를 갖는 오목부(78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오목부(780)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오목부(780)와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recess 780 may have a single sheet receiving space and a plurality of openings communicating with the sheet receiving space. This recesses a portion of the inner sidewall 720 inwardly to produce a recessed groove shaped recess having a single sheet receiving space and opening. 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ver patterns are formed together with the opening region to cover a part of the opening.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oncave portion 780 having a single sheet inlet space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t this time, the concave portion 780 described above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and role as the concave portion 780 explained in the second embodiment.

또한,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의 조립 단면도이다.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반시 시트(600)를 고정하는 수납 프레임(700)을 구비한다. 고정 프레임(700)은 외측벽(710), 내측벽(720), 상측벽(730) 및 하측벽(740)을 구비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내측벽(720)에는 내측벽(7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지지부(750)와,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78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지지부(750)는 내측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751)와, 돌출부(751)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된 경사부(752)와, 돌출부(751) 상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돌기(753)를 구비한다. 오목부(780)는 반사 시트(600)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반사 시트(600)는 상기 고정 돌기(753)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632)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backlight assembl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frame 700 for fixing the back sheet 600. The fixed frame 7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having an outer side wall 710, an inner side wall 720, an upper side wall 730 and a lower side wall 740. The inner side wall 720 has a first support portion 750 protruding outwardly of the inner side wall 720 and a recess 780 recessed inward. The first support part 750 includes a protrusion 751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an inclined part 75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751 to have a downward slope, And ha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753. The concave portion 780 has a sheet entrance space into which the reflection sheet 600 is introduced. In the reflective sheet 600 of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holes 632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s 753 are formed.

여기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780)의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는 제 1 지지부(750)의 돌출부(751)인접 영역에 형성된다. 시트 인입 공간에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일부 영역이 인입될 경우 고정면(630)의 다른 일부 영역은 제 1 지지부(750) 상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고정 돌기(753)가 반사 시트(600)의 홀(632)과 결합하게 된다. 즉, 홀(632)이 고정 돌기(753)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일부 영역이 오목부(780)에 인입되고, 반사 시트(600)에 형성된 홀(632)이 고정 돌기(753)에 인입됨으로 인해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opening of the seat receiving space of the recess 780 is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protruding portion 751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750. When a portion of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ve sheet 600 is drawn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another portion of the fixing surface 630 is placed on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750.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753 is engaged with the hole 632 of the reflection sheet 600. That is, the hole 632 is fitted in the fixing protrusion 753. A portion of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ve sheet 600 is drawn into the concave portion 780 and the hole 632 formed in the reflective sheet 600 is drawn into the fixing protrusion 753, 600 can be fixed.

그리고, 상기 돌출부(751) 상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차단판(900)이 놓여지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열 차단판(900)도 돌출부(751) 상에 형성된 고정 돌기(75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열 차단판(90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고정 돌기(753)에 대응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 돌기(753)는 상기 제 1 지지부(750)와 단일 몸체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돌기(753)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작된 다음 상기 제 1 지지부(750)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heat shield plate 900 is placed on the protrusion 751.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heat shield plate 900 may be fixed by a fixing protrusion 753 formed on the protrusion 751. For this purpose, grooves or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s 753 may be formed in the edge regions of the heat shield plate 900. The fixing protrusion 753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with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750. 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753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separate process and then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750.

또한,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4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상술한 제 1 내지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의 조립 단면도이다.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 프레임(70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S. 13 and 14, the backlight assembly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frame 700.

수납 프레임(700)은 반사 시트(600)가 인입되는 오목부(780)와, 오목부(780) 내측으로 인입된 반사 시트(600)를 고정시키는 시트 고정 부재(790)를 구비한다. 오목부(780)는 시트 인입 공간을 갖는다. 시트 인입 공간 내측으로 반사 시트(600)의 고정면(630)의 일부가 인입된다. 시트 고정 부재(790)는 적어도 그 일부가 시트 인입 공간으로 인입되어 시트 인입 공간으로 인입된 반사 시트(600)를 고정시킨다.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는 반사 시트(600)가 시트 인입 공간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반사 시트(600)의 두께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 영역으로 시트 고정 부재(790)를 삽입한다. 시트 고정 부재(790)에 의해 개구 영역의 반사 시트(600)를 눌러 줌으로 인해 반사 시트(6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시트 고정 부재(790)는 반사 시트(600)가 인입된 후에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 영역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그 단면의 최소폭이 상기 개구 영역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고정 부재(790) 단면의 최소폭은 반사 시트(600)가 인입된 후의 개구영역의 폭보다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고정 부재(790)의 단면을 살펴보면, 시트 고정 부재(790)는 일 끝단이 뾰족한 형상을 갖고 타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폭이 점차로 증대되고, 이후, 동일한 폭을 갖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시트 고정 부재(790)의 단면 형상이 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housing frame 700 includes a recess 780 into which the reflective sheet 600 is inserted and a sheet fixing member 790 that fixes the reflective sheet 600 that is drawn into the recess 780. The concave portion 780 has a sheet receiving space. A part of the fixing surface 630 of the reflection sheet 600 is drawn inwardly of the sheet introduction space. At least a part of the sheet fixing member 790 is drawn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to fix the reflective sheet 600 which has been drawn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The opening of the sheet introduction space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on sheet 600 so that the reflection sheet 6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heet entrance space. In this embodiment, the sheet fixing member 79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rea of the sheet introduction space as shown in Fig. The movement of the reflective sheet 600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reflective sheet 600 in the opening area by the sheet fixing member 790. [ The sheet fixing member 79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rea of the sheet receiving space after the reflection sheet 600 is draw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width of the cross sec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region. More preferably, the minimum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fixing member 79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area after the reflection sheet 600 is drawn. As shown in FIG. 14,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fixing member 790 has a sharp tip at one end, and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fixing member 790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ther end. Width < / RTI > In Figs. 13 and 14, the sheet fixing member 790 has a pentagonal cross-sectional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or a semicircular shape.

상기 시트 고정 부재(790)를 시트 인입 공간으로 삽입하는 경우, 시트 고정부재(790)에 의해 개구 영역의 반사 시트(600)가 눌리게 된다. 따라서, 반사 시트의 보호를 위해 시트 고정 부재(790)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을 갖는 물질로는 고무, 합성수지 및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바 형태의 단일의 시트 고정 부재(790)가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될 수 있 음이 도시되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 고정 부재(790)는 복수 개로 분리 제작되어,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When the sheet fixing member 790 is inserted into the sheet introduction space, the reflection sheet 600 in the opening area is pressed by the sheet fixing member 790.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reflective sheet, the sheet fixing member 79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the material having elasticity, rubber, synthetic resin, and silicone rubber can be used. In Fig. 13, it is shown that a single sheet fixing member 790 in the form of a bar can be inserted into the sheet entrance spa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eet fixing member 79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inserted into the sheet inlet space.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 단면도. 2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영역의 확대 단면도.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A of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 내지 도 9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오목홈 영역의 확대 단면도.Figs. 5 to 9 are enlarged sectional views of a concave groove reg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의 조립 단면도.12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단한 분해 사시도.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의 조립 단면도.14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backlight assembl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0 : 백라이트 어셈블리10: display assembly 20: backlight assembly

100 : 액정 표시 패널 200 : 구동회로부100: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200: driving circuit part

300 : 패널 지지 부재 400 : 상부 수납 부재300: panel supporting member 400: upper housing member

500 : 램프 유닛 600 : 반사 시트500: lamp unit 600: reflective sheet

700 : 수납 프레임 720 : 내측벽700: storage frame 720: inner side wall

750 : 지지부 780 : 오목부750: Support portion 780:

790 : 시트 고정 부재 800 : 램프 고정 프레임790: sheet fixing member 800: lamp fixing frame

900 : 열 차단판 1000 : 광학 필름부900: heat blocking plate 1000: optical film part

1100 : 열 확산판 1200 : 하부 수납부재1100: heat diffusion plate 1200: lower storage member

Claims (20)

광을 생성하는 광원;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A reflective sheet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and refl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And 상기 반사 시트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되,And a housing frame having at least one concave portion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reflective sheet,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reflection sheet is provided in one side wall region of the storage fram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오목부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reg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with a downward slop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마련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Wherein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sheet receiving space into which a part of the reflective sheet is led, and an opening of the sheet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 a side wall region of the receiving fram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Wherein said accommodating frame has a plurality of said recesses,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Wherein the reflective sheet has protrusions that enter into the sheet inlet sp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돌출부 상측에 위치하는 광학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plate located above the proj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reflective sheet,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Wherein the reflective sheet includes at least on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j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반사 시트가 인입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heet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heet introduction space into which the reflection sheet is inserted to fix the reflection sheet.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오목부는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내측벽면에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반사 시트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Wherein the recess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like reflecting sheet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eat entrance space.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사선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entrance space has at least any one of a linear shape, a curved shape, an oblique shape, and a combination thereof.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receiving space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pening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시트 인입 공간을 갖고, Wherein the concave portion has a sheet inlet spac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시트 인입 공간으로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Wherein the reflective sheet has protrusions that extend into the sheet inlet space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납 프레임에 결합 되고, 상기 광원을 고정하는 램프 고정 프레임; 및A lamp fixing frame coupled to the storage frame and fixing the light source; And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과 상기 수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광학 필름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film portion supported by the lamp fixing frame and the storage frame. 청구항 12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결합된 상기 수납 프레임과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And a bottom plate position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combined storage frame and the lamp fixing frame.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광원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A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a backlight assembly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and including a reflective sheet for reflect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recess for fixing the reflective sheet; And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light supplied from the backlight assembly,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reflection sheet is provided in one side wall region of the storage fram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오목부의 하측 영역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서 하향 기울기를 갖고 연장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reg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청구항 14에 있어서, 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부가 인입되는 시트 인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개구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일측벽 영역에 마련된 액정 표시 장치.Wherein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 sheet receiving space into which a part of the reflective sheet is led, and an opening of the sheet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 a side wall region of the receiving frame. 청구항 15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수납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Wherein said accommodating frame has a plurality of said recesses,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의 시트 인입 공간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Wherein the reflective sheet has protrusions that are drawn into the sheet receiving sp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청구항 15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reflective sheet,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Wherein the reflective sheet includes at least on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ject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반사 시트가 인입된 상기 시트 인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And at least one sheet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heet introduction space into which the reflection sheet is inserted to fix the reflection sheet. 청구항 15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사선 형상 및 이들이 조합된 형상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Wherein the cross-section of the sheet entrance space has a straight line shape, a curved line shape, a diagonal line shape, and a combination thereof. 청구항 15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시트 인입 공간의 단면은 개구 영역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sheet receiving space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n opening area.
KR1020070140895A 2007-12-28 2007-12-28 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48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95A KR101448905B1 (en) 2007-12-28 2007-12-28 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2/255,261 US7819574B2 (en) 2007-12-28 2008-10-21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95A KR101448905B1 (en) 2007-12-28 2007-12-28 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01A KR20090072701A (en) 2009-07-02
KR101448905B1 true KR101448905B1 (en) 2014-10-13

Family

ID=4079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895A KR101448905B1 (en) 2007-12-28 2007-12-28 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19574B2 (en)
KR (1) KR1014489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47583U (en) * 2008-04-22 2008-12-21 Wistron Corp Shock-absorbing structure for absorbing shock of a display panel and related display device
TWI390284B (en) * 2008-05-15 2013-03-21 Wintek Corp Backlight module
US8109647B2 (en) 2009-07-28 2012-02-07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EP2515028B1 (en) * 2009-12-18 2017-05-03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TWI402575B (en) * 2009-12-18 2013-07-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with film positioning functio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568012B2 (en) * 2010-01-18 2013-10-29 Lg Innotek Co., Ltd. Lighting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473051B (en) * 2011-02-17 2015-02-11 Innolux Corp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564732B2 (en) * 2011-07-26 2013-10-2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 cover of LCD, backlight module and LCD
US8696189B2 (en) * 2011-08-18 2014-04-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ght-guild-plate positioning sheet and corresponding backlight module
KR101293172B1 (en) * 2011-11-16 2013-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Illuminating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US9244299B2 (en) * 2011-11-22 2016-01-2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of display device
TWI432850B (en) * 2011-12-30 2014-04-01 Au Optronics Corp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TWM435617U (en) * 2012-03-02 2012-08-11 Chunghwa Picture Tubes Ltd Display module
US8902381B2 (en) * 2012-10-11 2014-12-0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94969B1 (en) * 2013-08-13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303414B2 (en) * 2013-11-11 2018-04-04 船井電機株式会社 Display device
TWI516717B (en) * 2014-03-19 2016-01-11 瑞儀光電股份有限公司 Frame structure and backlight module
CN105782765A (en) * 2014-12-17 2016-07-20 通用电气照明解决方案有限公司 LED lamp device
JP6653132B2 (en) * 2015-03-24 2020-02-26 シャープ株式会社 Light source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104808379B (en) 2015-05-21 2018-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odular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JP6568727B2 (en) * 2015-06-22 2019-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Light source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530804B1 (en) * 2016-08-31 2023-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80034774A (en)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539512B1 (en) * 2016-09-29 2023-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67852B2 (en) * 2019-01-02 2021-07-20 Hisense Visual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1399269B (en) * 2019-01-02 2022-10-0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21131502A (en) * 2020-02-21 2021-09-09 船井電機株式会社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939A (en) * 2005-10-17 2007-04-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3015B2 (en) * 2001-12-31 2006-12-26 Innovations In Optics, Inc. Led white light optical system
JP2004220889A (en) * 2003-01-14 2004-08-0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TWI257509B (en) * 2003-08-27 2006-07-01 Au Optronics Corp Direct backlight module
JP4590283B2 (en) * 2004-05-21 2010-12-01 シャープ株式会社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60019654A (en) * 2004-08-28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Back 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4513759B2 (en) * 2005-04-27 2010-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Surface light source device
KR101244954B1 (en) * 2007-01-30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939A (en) * 2005-10-17 2007-04-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19574B2 (en) 2010-10-26
KR20090072701A (en) 2009-07-02
US20090168405A1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905B1 (en) 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29579B1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1318303B1 (en) Display device
TWI418898B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7784989B2 (en) LED backlight unit including light guide plate with fixing means
US8704974B2 (en) Backlight assembly comprising a light-sourcing unit fixing frame with a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nterlocks the light-sourcing unit fixing frame to a housing
US7118265B2 (en) Optical member,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853715B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436963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2010016523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ood heat radiating function
JP2005235771A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JP2007109643A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it
KR20100033196A (en)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optical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10097086A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112312A (en) Back 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80012702A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62154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3802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0887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119252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RU2488034C1 (en) Illuminator, reflection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80015317A (en) Backlight unit comprising support of light source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ppor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backlight unit
US8434926B2 (en) Light source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source apparatus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08001251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4771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