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533B1 -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533B1
KR101448533B1 KR1020070127579A KR20070127579A KR101448533B1 KR 101448533 B1 KR101448533 B1 KR 101448533B1 KR 1020070127579 A KR1020070127579 A KR 1020070127579A KR 20070127579 A KR20070127579 A KR 20070127579A KR 101448533 B1 KR101448533 B1 KR 101448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elastic
elastic member
ba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0668A (en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7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33B1/en
Publication of KR2009006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팝업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가 수직운동을 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걸림작용을 수행하는 돌기부;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작용핀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상기 제2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작용핀이 끼워지는 구멍을 구비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제어 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에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회전 레버부;와, 상기 회전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70127579

팝업 모듈, 카메라

A pop-up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op-up member and a base to which the pop-up member is vertically moved, the pop-up module comprising: a first elasticity Up member,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pop-up member to perform a latching action when the pop-up member is retracted, a second elastic member to receive a torsional moment when the pop-up member is retracted, A sliding member which is mounted so as to be capable of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has a working pin formed therein and has a first end receiving a force from the second elastic member when the pop-up member is received therein,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n opera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and a control member moun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Up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which is caught by the protrusion when the pop-up member is housed therein; and a third elastic member arranged to store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ever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p-up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Figure R1020070127579

Pop-up module, camera

Description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팝업 모듈(pop-up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피팝업부재를 팝업 및 수납시킬 수 있는 팝업 모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module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p-up module capable of popping up and storing a pop-up member in an electronic device.

카메라나 캠코더 등의 촬영 장치로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을 할 때에는 플래시의 사용이 필요하다. 촬영 장치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촬영장치의 플래시는 촬영 장치의 내부로 수납되고,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팝업 구조를 가지도록 종종 설계되고 있다. When taking pictures in a dark environment with a camera or camcorder, it is necessary to use a flash. A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gradually miniaturized, the flash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often hous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s often designed to have a pop-up structur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use is required.

또한, 촬영 장치 이외의 전자기기도 공간 및 디자인 등의 이유로 상기와 같은 팝업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photographing device are increasingly equipped with the above pop-up structure for reasons of space and design.

따라서,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을 위해 팝업 구조의 크기는 작아져야 하며, 제조 단가를 줄이기 위해 가급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팝업 구조를 구현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 size of the pop-up structure must be reduced in order to utilize the efficient space, and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pop-up structure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를 적게 차지하는 전자기기 팝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pop-up modul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occupies a small volume.

본 발명은, 피팝업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가 수직운동을 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걸림작용을 수행하는 돌기부;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작용핀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상기 제2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작용핀이 끼워지는 구멍을 구비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제어 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에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회전 레버부;와, 상기 회전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을 제공한다.A pop-up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op-up member and a base to which the pop-up member is vertically moved, the pop-up module comprising: a first elasticity Up member,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pop-up member to perform a latching action when the pop-up member is retracted, a second elastic member to receive a torsional moment when the pop-up member is retracted, A sliding member which is mounted so as to be capable of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has a working pin formed therein and has a first end receiving a force from the second elastic member when the pop-up member is received therein, A control member including an operating portion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and a control member moun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Up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which is caught by the protrusion when the pop-up member is housed therein; and a third elastic member arranged to store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ever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p-up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여기서,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직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이 형성되고, 상기 피팝업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봉에 대응 되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op-up member, at least one guide bar is formed on the base, and a guide hole corresponding to the guide bar is formed on the pop-up member.

여기서,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직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팝업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op-up member, at least on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base, and a guid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pop-up member.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원통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astic member may be a cylindrical coil spring.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elastic member may be a twisted coil spring.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설치핀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elastic member may be fitted to the mounting pin formed on the base.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에 전원이 인가될 때 자기력이 소멸되어 상기 이동부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내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고정될 수 있다.Her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olenoid member, the magnetic force is extinguished to allow the moving unit to move, and if the solenoid member is not powered, the moving unit can b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inside.

여기서, 상기 이동부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Here, when the moving part is in a movable state, the moving part can be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여기서, 상기 제어 부재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member may include a solenoid.

여기서, 상기 회전 레버부의 부분 중 상기 제3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부분에는 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에는 상기 제3 탄성부재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Here, a mounting hole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rotating lever portion that receives a force from the third elastic member, and a part of the third elastic member may be fitted in the mounting hole.

여기서, 상기 회전 레버부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 도록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rotation lever portion may be rotatably mounted on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base.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접촉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회전 레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Here, when the sliding member applies a force to the contact portion to rotate the rotation lever portion, the projection portion may be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portion.

여기서,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원통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hird elastic member may be a cylindrical coil spring.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이 촬상 장치용 팝업 모듈인 경우에, 상기 피팝업부재는 플래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where the pop-up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is a pop-up module for an imaging device, the pop-up member may include a flash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팝업 모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팝업 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팝업 모듈이 장착된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p-up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the miniaturization of the pop-up module can be achieved, and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pop-up module can be easily miniaturiz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팝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의 배면을 중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bottom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pop-up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은, 피팝업부재(110), 베이스(120), 제1 탄성부재(130), 제2 탄성부재(140), 슬라이딩 부재(150), 제어 부재(160), 회전 레버부(170) 및 제3 탄성부재(180)를 포함한다.1, 2, and 3, the pop-up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p-up member 110, a base 120, a first elastic member 130, And includes a resilient member 140, a sliding member 150, a control member 160, a rotating lever portion 170, and a third resilient member 180.

피팝업부재(110)는 베이스(120)에 대해 수직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 다. 팝업 모듈(100)을 카메라의 플래시부에 적용하게 되면, 플래시부를 구성하는 램프 등이 피팝업부재(110)에 내장되게 된다.The pop-up member 110 is mount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When the pop-up module 100 is applied to the flash unit of the camera, a lamp or the like constituting the flash unit is built in the pop-up member 110.

피팝업부재(110)는 상자 형상의 베이스(120)에 대해 수직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피팝업부재(110)에는 도 1의 z축 방향으로 4개의 가이드 구멍(111)이 형성되고, 베이스(120)에는 가이드 구멍(111)에 대응되는 4개의 가이드 봉(121)이 형성됨으로써, 피팝업부재(110)의 수직 운동시에 가이드 봉(121)이 가이드 구멍(111)에 끼워져 슬라이딩됨으로써, 피팝업부재(110)의 팝업 작용이 흔들림없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The pop-up member 110 is mount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x-shaped base 120. To this end, four guide holes 111 are formed in the pop-up member 110 in the z-axis direction of FIG. 1, and four guide rods 121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s 111 are formed in the base 120 Up member 110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guide hole 111 at the time of vertical movement of the pop-up member 110 so that the pop-up action of the pop-up member 110 is performed without shaking.

또한, 피팝업부재(110)의 양 측면에는 도 1의 z축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112)가 형성되고, 베이스(120)의 안쪽 측면에는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122)이 형성됨으로써, 피팝업부재(110)의 수직 운동시에 가이드 돌기(112)가 가이드 홈(122)에 끼워져 슬라이딩됨으로써, 피팝업부재(110)의 팝업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guide protrusion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p-up member 110 in the z-axis direction of FIG. 1 and the guide grooves 122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s 112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se 120, The guide protrusion 11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2 and slid when the member 110 is vertically moved so as to guide the pop-up movement of the pop-up member 110.

본 실시예에서는 피팝업부재(110)에 가이드 돌기(112)가 형성되고, 베이스(120)에는 가이드 홈(122)이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피팝업부재(110)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베이스(120)에는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guide protrusion 112 is formed on the pop-up member 110 and the guide groove 122 is formed on the base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pop-up member 110, and a guid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ase 120.

본 실시예에서는 피팝업부재(110)의 팝업 작용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가이드 구멍(111), 가이드 돌기(112), 가이드 봉(121), 가이드 홈(122)이 모두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피팝업부재(110)의 수직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면, 피팝업부재(110)의 가이드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피팝업부재(110)의 가이드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구멍(111)과 가이드 봉(121)의 구성이 없이, 가이드 돌기(112)와 가이드 홈(122)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hole 111, the guide protrusion 112, the guide rod 121, and the guide groove 122 are all applied to guide the pop-up action of the pop-up member 110. However, Not limit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op-up member 110 can be guided, the guide structure of the pop-up memb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guide structure of the pop-up memb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112 and the guide groove 122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피팝업부재(110)의 팝업 작용시 피팝업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 돌기(113)가 피팝업부재(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멈춤 돌기(113)는 피팝업부재(110)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면, 피팝업부재(110)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베이스(120)의 일부에 걸림으로써, 피팝업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embodiment, a detent projection 113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op-up member 110 to prevent the pop-up member 110 from separating from the pop-up member 110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popped up. The detent projection 113 engages with a part of the base 120 to prevent the pop-up member 110 from rising further when the pop-up member 11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

한편, 베이스(120)는 피팝업부재(110)가 장착되며, 팝업 모듈(100)의 전체 틀(frame)을 구성하는데,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120 is mounted with the pop-up member 110 and constitutes the entire frame of the pop-up module 100,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synthetic resin.

제1 탄성부재(130)는 원통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피팝업부재(110)의 저면에 형성된 제1 스프링홈(114)과 베이스(120)의 저면에 형성된 제2 스프링홈(124)에 외주가 끼워져 배치된다. The first elastic member 130 is formed of a cylindrical coil spring and includes a first spring groove 11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p-up member 110 and a second spring groove 1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20, Respectively.

또한, 제1 스프링홈(114)과 제2 스프링홈(124)에는 지지 돌기(114a)(12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지지 돌기(114a)(124a)에는 제1 탄성부재(130)의 내주가 끼워지게 된다.The support protrusions 114a and 124a are formed in the first spring groove 114 and the second spring groove 124. The support protrusions 114a and 124a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0, .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재(130)의 개수가 2개로 한정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부재(130)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재의 개수는 1개, 3개, 4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first elastic members 130 is limited to tw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number of the first elastic members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first elastic members may be one, three, four, or the like.

피팝업부재(110)의 수직 하강시, 제1 탄성부재(130)는 피팝업부재(110)에 눌려 압축되어,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피팝업부재(110)가 팝업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하강할 때, 제1 탄성부재(130)가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후,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상승하는 경우에, 저장한 탄성 위치에너지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팝업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pop-up member 110 is vertically lowered, the first elastic member 130 is compressed by the pop-up member 110 to be able to store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by arranging the first elastic member 130 to store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when the pop-up member 110 descends from the pop-up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Position to the pop-up position, the pop-up action is automatically enabled using the stored elastic potential energy.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팝업부재(110)의 배면에는 돌기부(115)와 스프링 걸림부(116)가 형성된다.3, protrusions 115 and spring catches 116 ar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p-up member 110. As shown in FIG.

돌기부(115)는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걸림 작용을 수행한다.The protrusion 115 performs a latching action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in the storage position.

스프링 걸림부(116)는 피팝업부재(110)의 하강시에 제2 탄성부재(140)의 일단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제2 탄성부재(140)의 일단이 끼워지는 홈(116a)을 구비한다.The spring engagement portion 116 is configured to press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lowered. For this purpose, the groove 116a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112)와 스프링 걸림부(116)는 피팝업부재(110)와 따로 형성된 후, 스크류 등으로 피팝업부재(110)에 장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와 스프링 걸림부는 피팝업부재와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 112 and the spring hook 116 are separately formed from the pop-up member 110 and then mounted on the pop-up member 110 with a screw or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spring catching portion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p-up member from the beginning.

한편, 제2 탄성부재(140)는 설치핀(125)에 끼워져 장착되는데, 설치핀(125)은 베이스(120)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설치핀(125)은 도 1의 y축 방향으로 배 치되게 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is fitted to the mounting pin 125 so that the mounting pin 125 is fixed to the base 120. Here, the mounting pin 125 is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핀(125)과 베이스(120)를 따로 형성한 뒤, 억지끼워맞춤으로 설치핀(125)을 베이스(120)에 장착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핀과 베이스를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설치핀을 베이스에 장착하는 방법도 접착제, 용접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pin 125 and the base 120 are separately formed and then the mounting pin 125 is mounted to the base 120 by interference f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in and the base can be integrally formed from the beginning. Also, various methods such as adhesive, welding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mounting the mounting pin on the base.

제2 탄성부재(14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 그 탄성 에너지가 저장되고, 팝업 작용시 저장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50)를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is composed of a torsion coil spr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stored is stored and the sliding member 150 is moved by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pop- .

즉,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에, 제2 탄성부재(140)의 일단(141)은 스프링 걸림부(116)의 홈(116a)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타단(142)은 슬라이딩 부재(150)의 걸림홈(15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One end 141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is configured to be fitted into the groove 116a of the spring engagement portion 116 and the other end 142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16a of the spring engagement portion 116 when the pop- (152) of the base plate (15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 스프링 걸림부(116)가 제2 탄성부재(140)의 일단(141)을 눌러주게 되면, 제2 탄성부재(140)에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제2 탄성부재(140)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150)에 소정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retracted and the spring engagement portion 116 presses one end 141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is twisted A moment acts on the sliding member 150 and a predetermined force acts on the sliding member 150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슬라이딩 부재(150)는 제2 탄성부재(140)로부터 전달된 힘을 회전 레버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베이스(120)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The sliding member 150 functions to transmi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to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and is mounted to the base 120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0.

이를 위해 슬라이딩 부재(150)의 배면에는 가이드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베이스(120)의 일면에는 가이드 돌출부(151)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1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150)는 가이드 돌출부(151)가 슬라이딩 홈(126)에 끼워져 움직일 수 있도록 조립됨으로써, 슬라이딩 운동시 슬라이딩 부재(15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a guide protrusion 15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150, and a sliding groove 12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120 to slide the guide protrusion 151. Therefore, the sliding member 1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uide protrusion 151 is fitted in the sliding groove 126 so that the sliding member 150 can move stably while the sliding member 150 does not move during the sliding movement.

슬라이딩 부재(150)의 일단에는 걸림홈(152)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152)은 제2 탄성부재(140)의 타단(142)에 끼워져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latching groove 15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liding member 150. The latching groove 152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142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to receive a force.

슬라이딩 부재(150)의 타단에는 힘작용부(153)가 형성되는데, 힘작용부(153)는 회전 레버부(170)의 접촉부(171)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 force acting portion 153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member 150. The force acting portion 153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171 of the rotating lever portion 170 and transmits a force.

슬라이딩 부재(150)의 중간부에는 작용핀(154)이 형성되는데, 작용핀(154)은 도 1의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어 부재(160)의 이동부(161)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150)의 운동을 구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operation pin 154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150. The operation pin 154 is formed in the y axis direction of Figure 1 and is sli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161 of the control member 160. [ Thereby restricting the motion of the member 150.

한편, 제어 부재(160)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어 부재(160)는 베이스(120)에 형성된 제어 부재 장착핀(127)에 끼워져 고정된다.The control member 160 includes a solenoid. The control member 160 is fixed to the control member mounting pin 127 formed on the base 120.

제어 부재(160)는 이동부(161) 및 작동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member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unit 161 and an operating unit 162.

제어 부재(160)에 전원을 인가하면 자기력이 소멸되어 이동부(161)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제어 부재(16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내부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부(161)가 작동부(162)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ntrol member 160, the magnetic force is extinguished to move the movable member 161. When power is not applied to the control member 160, the movable member 161 is moved by the internal magnetic force, (162) and does not move.

이동부(161)에는 구멍(161a)이 형성되는데, 그 구멍(161a)에는 작용핀(154)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A hole 161a is formed in the moving part 161, and the action pin 154 is fitted in the hole 161a.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부재(160)로서 솔레노이드를 포함한 장치가 사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에 따라 이동부를 이동시키거나 이동부를 작동부에 고정시킬 수만 있다면,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그 외의 기계적, 전기적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부재로서 용수철 등이 사용되는 기계적인 트리거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작동 매체로서 자기력이 아닌 열, 유체, 정전기 등을 이용한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apparatus including a solenoid is used as the control member 16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ther mechanical and electrical devices may be used without using a solenoid, as long as the moving part can be moved according to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ignal or the moving part can be fixed to the operating part. For example, a mechanical trigger system using a spring or the like as a control member may be used, and a system using heat, fluid, static electricity, etc., rather than magnetic force, may be used as the operation medium.

한편, 회전 레버부(170)는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회전 레버부(170)는 베이스(120)에 설치된 지지 부재(190)에 장착된다.The rotation lever 170 is mounted to the base 120 so that the rotation lever 17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120. For this purpose, the rotation lever 170 is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190 installed on the base 120. [

즉, 회전 레버부(170)의 중간부에는 장착구멍(170a)이 형성되고, 그 장착구멍에 장착핀(170b)이 끼워져 지지 부재(190)에 장착됨으로써, 회전 레버부(170)는 장착핀(170b)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조립자는 지지 부재(190)를 베이스(120)에 장착하기 위해, 스크류(191)를 지지 부재(190)에 형성된 구멍(192)에 관통시켜 베이스(120)에 형성된 구멍(120a)에 고정시킨다.That is, a mounting hole 170a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and the mounting pin 170b is fitted to the mounting hole and is mounted to the supporting member 190, (170b). Here, the assembler fixes the screw 191 to the hole 120a formed in the base 120 by passing the screw 191 through the hole 192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190 to mount the support member 190 on the base 12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레버부(170)는 베이스(120)와 별도로 구성된 지지 부재(190)에 장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부재(190)와 베이스(120)를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190)를 베이스(120)의 일부분으로 하여 사출 성형, 다이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is mounted on the support member 190 separately configured from the base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190 and the base 120 can be integrally formed from the beginning. That is, the support member 190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such as injection molding, die casting, or the like, as a part of the base 120.

회전 레버부(170)의 일단에는 접촉부(17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 부(172)가 형성된다.A contact portion 17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and a locking portion 172 is formed at the other end.

접촉부(171)는 힘작용부(153)와 접촉하며, 걸림부(172)는 피팝업부재(110)가 수납되는 경우 돌기부(115)에 걸리도록 구성된다.The contact portion 171 is in contact with the force application portion 153 and the engagement portion 172 is configured to catch the protrusion 115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received.

또한, 회전 레버부(170)의 부분 중 접촉부(171)의 이웃한 부분에는 설치구멍(173)이 형성되는데, 설치구멍(173)에는 제3 탄성부재(180)의 일단(181)이 고정되게 된다. One end 181 of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is fixed to the attachment hole 173 in the vicinity of the contact portion 171 of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 do.

제3 탄성부재(180)는 원통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coil spring.

제3 탄성부재(180)의 일단(181)은 설치구멍(173)에 끼워지고, 타단(182)은 베이스(120)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핀(128)에 끼워져 고정된다.One end 181 of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is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173 and the other end 182 is fitted and fixed to the spring mounting pin 128 formed on the base 120.

여기서, 제3 탄성부재(180)는, 힘작용부(153)으로부터 접촉부(17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 레버부(170)가 회전을 시작할 때부터, 제3 탄성부재(180)가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도록 배치한다. 그렇게 되면, 이후,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되어, 힘작용부(153)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는 경우에, 제3 탄성부재(180)에 저장된 탄성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회전 레버부(170)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렇게 되면, 슬라이딩 부재(150) 및 이동부(161)의 위치도 제2 탄성부재(140)의 힘이 작용하기 전의 원래의 위치로 원복된다.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is elastically deformed from the moment when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starts to rotate due to the force applied from the force application portion 153 to the contact portion 171, Position energy to store. Thereafter, when the pop-up member 110 pops up and the force applied from the force application portion 153 disappears, the elastic position energy stored in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is changed to kinetic energy, The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150 and the moving portion 161 is also 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efore the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is appli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탄성부재(180)의 일단(181)이 접촉부(171)에 이웃한 설치구멍(173)에 장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구멍을 걸림부(172)의 인근에 형성하고, 제3 탄성부재의 일단을 걸림부(172) 인근의 설치 구멍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제3 탄성부 재의 타단은 본 실시예의 경우와 반대되는 방향에 장착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181 of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hole 173 adjacent to the contact portion 17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hole can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engaging portion 172, and one end of the third elastic member can be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near the engaging portion 172. However,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third elastic member should be moun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se of this embodiment.

이하, 상기와 같이 설명한 팝업 모듈(100)의 내부 구조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이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p-up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p-up module 100 described above.

먼저, 피팝업부재(110)가 팝업 상태에서 수납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First, a process in which the pop-up member 110 reaches the stored state from the pop-up state will be described.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110)가 수납되는 경우에, 돌기부(115)와 걸림부(172)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110)가 수납된 경우에 돌기부(115)와 회전 레버부(170)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4A to 4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trusion 115 and the engaging portion 172 when the pop-up memb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Up memb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trusion 115 and the rotation lever 170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housed.

사용자가 피팝업부재(110)를 수납하기 위해, 피팝업부재(110)를 위에서 누르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기부(115)의 경사부(115a)가 걸림부(172)에 접촉하게 된다.When the user pushes the pop-up member 110 from above to accommodate the pop-up member 110, the inclined portion 115a of the second protrusion 115 engages with the engaging portion 172, as shown in Fig. .

계속하여, 사용자가 피팝업부재(110)를 누르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15)의 경사부(115a)는 걸림부(172)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경사부(115a)는 걸림부(172)에 소정의 힘(F)을 가하게 되고, 소정의 힘(F)의 수평성분(F1)은 걸림부(172)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렇게 되면, 회전 레버부(170)는 장착핀(170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3 탄성부재(180)는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4B, when the user presses the pop-up member 110, the inclined portion 115a of the protrusion 115 is lowered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72. At this time, The inclined portion 115a applies a predetermined force F to the engaging portion 172 and the horizontal component F 1 of the predetermined force F moves the engaging portion 172 to the right. Then,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mounting pin 170b,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stores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계속하여, 사용자가 피팝업부재(110)를 눌러, 경사부(115a)로부터 걸림 부(172)가 벗어나게 되면, 상기 소정의 힘(F)의 수평성분(F1)이 더 이상 걸림부(172)에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렇게 되면, 제3 탄성부재(180)에 저장되었던 탄성 위치에너지의 일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면서, 도 4c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72)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부(172)에 돌기부(115)가 걸리게 됨으로써, 피팝업부재(110)는 수납 상태에 있게 된다. When the user pushes the pop-up member 110 and the engaging portion 172 is released from the inclined portion 115a, the horizontal component F 1 of the predetermined force F is further released from the engaging portion 172 4C and Fig. 5, the engaging portion 172 is moved in the left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4C and Fig. 5, while part of the elastic position energy stored in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is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So that the pop-up member 110 is in the retracted state because the protrusion 115 is caught in the engaging portion 172. As a resul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팝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설명을 위해 도 6의 도면에서 피팝업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설명을 위해 도 6의 도면에서 베이스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경우에 제2 탄성부재, 슬라이딩 부재, 제어부재, 회전 레버부, 제3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p-up module when the pop-up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p-up member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sliding member, the control member, the rotation lever,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in the case of FIG. FIG.

한편,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제1 탄성부재(130)는 압축되어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stored state of the pop-up member 110, the first elastic member 130 is compressed and stores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또한, 피팝업부재(110)가 팝업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피팝업부재(110)가 하강하게 되고, 그 경우, 스프링 걸림부(116)가 제2 탄성부재(140)의 일단(141)을 소정의 힘(N)으로 누르게 됨으로써, 제2 탄성부재(140)는 비틀림 모멘트를 받게 된다.When the pop-up member 110 is changed from the pop-up state to the housed state, the pop-up member 110 is lowered. In this case, the spring hooking portion 116 contacts the first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141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N,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is subjected to a torsional moment.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모멘트를 받은 제2 탄성부재(150)는 소정의 힘(P1)으로 슬라이딩 부재(150)를 좌측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elastic member 150, which has received the twisting moment, pulls the sliding member 150 to the left with a predetermined force P1.

즉, 비틀림 모멘트를 받은 제2 탄성부재(140)의 타단(142)은 걸림홈(152)에 끼워져 소정의 힘(P1)으로 슬라이딩 부재(150)를 좌측으로 끌어당기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50)는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슬라이딩 부재(150)의 작용핀(154)은 소정의 힘으로 이동부(161)의 구멍(161a)의 내벽을 좌측으로 밀게 된다.That is, the other end 142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which has received the torsion moment,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152 and pulls the sliding member 150 to the left with a predetermined force P1. The member 150 tries to move leftward and the action pin 154 of the sliding member 150 pushes the inner wall of the hole 161a of the moving part 161 to the left with a predetermined force.

한편, 피팝업부재(110)가 수납 상태에 있으면, 제어 부재(16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됨으로써, 제어 부재(160)의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부(161)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50)도 움직이지 않게 되고, 힘작용부(153)에 접촉하는 접촉부(171)도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써, 돌기부(115)는 걸림부(172)에 계속 걸려 있게 되고, 피팝업부재(110)의 수납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in the stored state, power is not applied to the control member 160, so that the moving part 161 does not mov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of the control member 160. 6 to 9, the sliding member 150 also does not move, and the abutting portion 171 which contacts the force applying portion 153 also does not move, Up member 110 is kept in the state where the pop-up member 110 is held.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이 팝업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op-up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되는 순간에 제2 탄성부재, 슬라이딩 부재, 제어부재, 회전 레버부, 제3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된 직후의 팝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설명을 위해 도 11의 도면에서 피팝업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설명을 위해 도 11의 도면에서 베이스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ac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sliding member, the control member, the rotating lever portion,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at the instant when the pop-up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ps up.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p-up module immediately after a pop-up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pped up.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p-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se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11 with the base omitted.

전술한 바와 같이,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에는 제어 부재(16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제어 부재(160)의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부(161)가 움직 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이나 내부 제어 회로의 지시 등에 의해 제어 부재(160)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의 자기력이 소멸됨으로써, 이동부(161)가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그렇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50)의 작용핀(154)이 미는 힘에 의해 이동부(16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stored, power is not applied to the control member 160, and the moving unit 161 is not mov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of the control member 160. However,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ntrol member 160 by a user operation, an instruction of the internal control circuit, or the like,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is extinguished and the movable portion 161 becomes movable. The moving portion 161 is moved to the left side by the pushing force of the action pin 154 of the sliding member 150. [

이동부(16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딩 부재(15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힘작용부(153)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힘작용부(153)의 힘을 받은 접촉부(171)도 좌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접촉부(171)가 좌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회전 레버부(170)는 장착핀(170b)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3 탄성부재(180)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제3 탄성부재(180)는 탄성 위치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여기서, 제3 탄성부재(180)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전 레버부(170)가 장착핀(170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이유는, 제2 탄성부재(140)에 의하여 발생하여 슬라이딩 부재(150)를 거쳐 접촉부(171)에 작용하는 힘에 의한 모멘트가 제3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한 모멘트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When the moving unit 161 moves to the left, the sliding member 150 also moves to the left. As a result, the force acting portion 153 also moves to the left, and the contact portion 171,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force of the force acting portion 153, also tries to move to the left. When the contact portion 171 moves to the left,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mounting pin 170b. At this time, tensile force acts on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accumulates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The reason why the rotation lever portion 170 can rotate about the mounting pin 170b despite the presence of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is that the rotation of the sliding member 170 caus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The moment due to the force acting on the abutting portion 171 is greater than the moment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그와 같이, 회전 레버부(17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걸림부(17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돌기부(115)가 걸림부(172)와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피팝업부재(110)가 팝업이 되게 된다. 이 때, 피팝업부재(110)의 수납시에 제1 탄성부재(130)에 저장되었던 탄성 위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바뀌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팝업부재(110)가 자동으로 팝업되게 된다.As the rotary lever portion 170 rotates clockwise, the latch portion 172 also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portion 115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latch portion 172, 110) will pop up. At this time,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stored in the first elastic member 130 at the time of storing the pop-up member 110 is changed into kinetic energy, and the pop-up member 110 automatically moves to pop- .

팝업시에는 멈춤 돌기(113)가 베이스(120)의 일부에 걸림으로써, 피팝업부재(110)가 과도하게 상승함을 방지하여 베이스(120)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한다.Up protrusion 113 is caught on a part of the base 120 to prevent the pop-up member 11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120.

한편,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된 후의 과정을 설명한다.The process after the pop-up member 110 is popped up will be described.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되고 나면, 수납 상태시 피팝업부재(110)의 스프링 걸림부(116)도 위로 올라가게 되어, 제2 탄성부재(140)도 원래의 형상으로 원복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2 탄성부재(140)가 슬라이딩 부재(150)의 걸림홈(152)에 작용하는 힘(P1)과 작용핀(154)이 이동부(161)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지게 된다. When the pop-up member 110 is popped up, the spring engagement portion 116 of the pop-up member 110 is also lifted up in the stored state,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is also turned to its original shape. The force P1 acting on the engagement groove 152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40 and the force acting on the movement portion 161 of the action pin 154 disappear.

따라서, 제3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171)가 힘작용부(153)를 우측 방향(제어 부재 장착핀(127) 쪽의 방향)으로 당기는 힘만이 존재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이동부(161)는 원래의 위치로 후퇴되게 된다. 한편, 이동부(161)가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고, 제어 부재(160)에 전원이 끊어지게 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이동부(161)가 고정되게 된다. Therefore, only the force that the contact portion 171 pulls the force applying portion 153 in the rightward direction (the direction toward the control member mounting pin 127) is cau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elastic member 180, The moving part 161 is retre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portion 161 retreat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power is cut off to the control member 160, whereby the movable portion 161 is fixed by the magnetic force.

이상과 같이, 피팝업부재(110)가 수납되는 과정,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되는 과정 및 팝업된 후의 과정을 설명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storing the pop-up member 110, the process of pop-up the pop-up member 110, and the process after pop-up have been described.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이 카메라(200)의 플래시부에 적용되어 피팝업부재(110)가 팝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4 is a view showing a pop-up member 110 popped up when the pop-up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lash unit of the camera 200. FIG.

카메라(200)의 플래시부에 적용된 팝업 모듈(100)은, 카메라 외부의 밝기가 기준 밝기보다 작으면, 센서가 이를 측정하여, 내부의 제어 장치가 피팝업부재(110)를 자동으로 팝업시켜 플래시를 발광하여 촬영하게 된다.When the brightness of the outside of the camera is less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the sensor measures the brightness of the pop-up module 100, and the internal control device automatically pops up the pop-up member 110, And is photograph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구비하여 모듈화가 가능함으로써, 여러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p-up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can be modularized, the pop-up module 100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은, 그 내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 공수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팝업 모듈(100)이 장착된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p-up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latively simple,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nufacturing cost are reduced, but also the overall volume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pop-up module 100 is mounted can be easily realiz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 모듈(100)은 전자기기의 내부에 완전히 숨겨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 경우, 필요할 때에 피팝업부재(110)를 팝업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p-up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unted so as to be completely hidden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In this case, since the pop-up member 110 can be used by popping up when necessar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팝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p-up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2 is a bottom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pop-up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의 배면을 중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ck surface of a pop-up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되는 경우에, 돌기부와 걸림부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4A to 4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pop-up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돌기부와 회전 레버부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otation lever portion when the pop-up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수납된 경우에 팝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p-up module in a case where a pop-up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도 7은, 설명을 위해 도 6의 도면에서 피팝업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p-up member omitted in the drawing of Fig. 6 for the sake of explanation.

도 8은, 설명을 위해 도 6의 도면에서 베이스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Fig. 6 without the base for the sake of explanation.

도 9는, 도 6의 경우에 제2 탄성부재, 슬라이딩 부재, 제어부재, 회전 레버부, 제3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ac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sliding member, the control member, the rotating lever portion,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in the case of Fig. 6;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되는 순간에 제2 탄성부재, 슬라이딩 부재, 제어부재, 회전 레버부, 제3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을 도시 한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ac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sliding member, the control member, the rotating lever portion,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at the instant when the pop-up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ps up.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피팝업부재가 팝업된 직후의 팝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p-up module immediately after a pop-up member pops 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설명을 위해 도 11의 도면에서 피팝업부재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p-up member omitted in the drawing of FIG. 11 for the sake of explanation.

도 13은, 설명을 위해 도 11의 도면에서 베이스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drawing of Fig. 11, with the base omitt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팝업 모듈이 카메라의 플래시부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p-up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lash unit of a camer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팝업 모듈 110: 피팝업부재 100: pop-up module 110: pop-up member

111: 가이드 구멍 112: 가이드 돌기111: guide hole 112: guide projection

113: 멈춤 돌기 115: 돌기부 113: detent projection 115: protrusion

116: 스프링 걸림부 120: 베이스116: spring catch 120: base

121: 가이드 봉 122: 가이드 홈121: guide rod 122: guide groove

126: 슬라이딩 홈 130: 제1 탄성부재126: sliding groove 130: first elastic member

140: 제2 탄성부재 150: 슬라이딩 부재140: second elastic member 150: sliding member

151: 가이드 돌출부 152: 걸림홈151: guide protrusion 152:

153: 힘작용부 154: 작용핀153: force acting portion 154: action pin

160: 제어 부재 161: 이동부160: control member 161:

161a: 구멍 162: 작동부161a: hole 162:

170: 회전 레버부 171: 접촉부 170: rotation lever portion 171:

172: 걸림부 173: 설치구멍 172: engaging portion 173: mounting hole

180: 제3 탄성부재 190: 지지 부재 180: third elastic member 190: supporting member

200: 카메라200: camera

Claims (15)

피팝업부재와, 상기 피팝업부재가 수직운동을 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에 있어서, A pop-up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op-up member; and a base mounted so that the pop-up member vertically moves,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A first elastic member arranged to store elastic potential energy when the pop-up member is housed; 상기 피팝업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 걸림작용을 수행하는 돌기부;A protrusion disposed on the pop-up member and performing a latching action when the pop-up member is received;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제2 탄성부재;A second elastic member receiving a torsional moment when the pop-up member is received; 상기 베이스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작용핀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 시 상기 제2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슬라이딩 부재;A sliding member mount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formed with a working pin and having a first end receiving a force from the second elastic member when the pop-up member is received; 상기 작용핀이 끼워지는 구멍을 구비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제어 부재;A control unit including a moving unit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operating pin is fitted, and an opera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납시에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회전 레버부; 및A rotation lever part moun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having a contact part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sliding member and the other end having an engagement part engaged with the projection part when the pop-up member is received; And 상기 회전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And a third resilient member disposed to be able to store the elastic position energ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ev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직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이 형성되고, 상기 피팝업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봉에 대응되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Wherein at least one guide bar is formed on the bas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op-up member, and a guide hole corresponding to the guide bar is formed on the pop-up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피팝업부재의 수직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팝업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Wherein at least on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bas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op-up member, and a guid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pop-up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원통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comprises a cylindrical coil spr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composed of a torsion coil spring.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설치핀에 끼워져 장착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fitted to the mounting pin formed on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Wherein the sliding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 latching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 부재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Wherein the control member comprises a solenoid,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될 때 자기력이 소멸되어 상기 이동부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내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고정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Wherein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solenoid, the magnetic force is extinguished to allow the moving unit to move, and the moving unit is fixed by internal magnetic force when no power is applied to the soleno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동부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And the moving unit mov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when the moving unit is movab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회전 레버부의 부분 중 상기 제3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부분에는 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에는 상기 제3 탄성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전 자기기용 팝업 모듈.Wherein a mounting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rotation lever portion that receives a force from the third elastic member and a part of the third elastic member is fitted in the mounting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회전 레버부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And the rotation lever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on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접촉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회전 레버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가 해제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Wherein when the sliding member applies a force to the contact portion to rotate the rotation lever portion, the projection portion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원통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And the third elastic member is constituted by a cylindrical coil spr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이 촬상 장치용 팝업 모듈인 경우에, 상기 피팝업부재는 플래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Wherein the pop-up member includes a flash portion when the pop-up module for the electronic device is a pop-up module for an imaging device.
KR1020070127579A 2007-12-10 2007-12-10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1014485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579A KR101448533B1 (en) 2007-12-10 2007-12-10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579A KR101448533B1 (en) 2007-12-10 2007-12-10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668A KR20090060668A (en) 2009-06-15
KR101448533B1 true KR101448533B1 (en) 2014-10-08

Family

ID=4099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579A KR101448533B1 (en) 2007-12-10 2007-12-10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53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3977A (en) * 1997-12-22 1999-07-09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built-in flashing device
JP2002214675A (en) * 2001-01-16 2002-07-31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JP2004163736A (en) * 2002-11-14 2004-06-10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built-in strobosco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3977A (en) * 1997-12-22 1999-07-09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built-in flashing device
JP2002214675A (en) * 2001-01-16 2002-07-31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JP2004163736A (en) * 2002-11-14 2004-06-10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built-in strob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668A (en)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628B1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US775641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pop-up flash structure
KR101315895B1 (en) Imaging apparatus
JP4196952B2 (en) Electronics
JP2011013641A (en) Movement mechanism of movable member, and imaging apparatus
CN112953582B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5258441A (en) Pop-up flash for imaging apparatus
CN108471009A (en) Deck component,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CN108598742B (en) Deck component,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CN113489823B (en) Electronic equipment
KR101448533B1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CN111246057A (en) Flip formula camera device and intelligent terminal
CN110380593B (en) Function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459318B1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JP5848059B2 (en) Electronics
CN109995907B (en) Functional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7266830B2 (en) Lock mechanism for digital disc player
US8559810B2 (en) Extendable emitte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9960323B (en) Electronic device
KR101683454B1 (en) Pop-up device
KR101596221B1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providing electric motor
KR101310234B1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JP5131043B2 (en) Display unit movable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KR101242623B1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KR101623831B1 (en)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exter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