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420B1 -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420B1
KR101448420B1 KR1020140016492A KR20140016492A KR101448420B1 KR 101448420 B1 KR101448420 B1 KR 101448420B1 KR 1020140016492 A KR1020140016492 A KR 1020140016492A KR 20140016492 A KR20140016492 A KR 20140016492A KR 101448420 B1 KR101448420 B1 KR 10144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water
work
fish
breed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표
이우재
임봉수
허윤성
신우철
최석진
Original Assignee
영어조합법인 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어조합법인 해연 filed Critical 영어조합법인 해연
Priority to KR102014001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어체의 생리학적 측정작업시 작업대를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여 작업대의 프레임 내부로 양식수를 공급시켜 어류의 채란 및 인공수정 생산 작업동안에 사육수 온도와 같은 온도로 유지시켜 작업부 바닥에 채란된 알을 수집하고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대 프레임이 복수개 설치되고, 지지대 프레임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갖는 작업대 몸체가 지지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작업대 몸체 또는 지지대 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에는 육상 양식장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육수 공급공이 형성되고, 작업대 몸체의 어느 한 측면에는 사육수 배출공이 설치되어 양식장 사육수가 작업대 내부로 공급되어 양식장의 사육수온과 작업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양식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 Worktable for collecting eggs from fish }
본 발명은 양식어류의 인공수정을 위해서 어류의 채란, 채정시 및 어체의 몸체 측정 시에 육상 양식장 사육수를 작업대 몸체 또는 지지대 프레임 내부로 유입시켜서 작업대의 온도를 사육수 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유지시켜 어류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고 작업 효율을 증가시켜줄 수 있도록 한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해수 어류 양식은 1973년에 방어 양식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남해안의 환경 여건상 활발한 양식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5년부터 우리나라 환경에 잘 맞는 넙치의 종묘 생산에 성공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에서 해수 양식 대상 어종으로 각광받는 넙치는 일명 광어라고 불리고 눈이 있는 쪽은 빗비늘로 덮혀 있으며, 체색은 갈색바탕에 유백색의 무늬가 산재되어 있고, 눈이 없는 쪽은 둥근 비늘로 흰색을 띄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넙치는 전장 90cm까지 성숙하는 대형어이고, 암컷 40cm, 수컷 35cm 크기로 성장하면 방란, 방정할 수 있는데 포란수는 전장 60.5~71.5cm 크기인 경우에 400만 개 전후이고, 잘 성숙된 자연산 친어에서 생식소 중량 지수는 20에 가까우며, 난소의 중량이 400g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자연산란은 3~4개월 간에 거쳐 배란하고, 이 기간 동안에 1마리의 암컷이 20회 이상 산란하며 소형어미는 1회 산란할 때에 15~20만 개의 알을 낳지만 대형 어미는 1마리가 하루에 100만개를 산란하며 전 산란기 중에 1000만~3600만 개의 알을 낳는다.
넙치의 알은 분리 부성란이며, 완숙란은 지름 0.94~0.98mm 전후이고, 유구는 1개이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온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18~20℃에서 약 48시간이 걸린다. 부화 자어는 10일 전후로 머리 뒤쪽의 등 부분에 돌기가 생기기 시작하고, 20일경에는 6개의 긴 가시로 자라는데, 그 중 4~5번째 것이 특히 길다. 사육 수온이 18℃ 전후일 때, 부화 후 약 30일 정도에서 체장 11mm 전후로 되어 변태하게 되고, 좌우 상칭형이 변형되면서 오른쪽 눈이 머리의 등 뒤 선을 따라 왼쪽으로 옮겨가 부화 후 약 35일 정도가 되면 체장 약 14mm정도로 되어 변태가 끝난다.
한편, 대량의 종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성숙한 친어를 채란, 채정하여 인공수정을 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채란은 일반적으로 천연 친어로부터 채란하는 방법, 호르몬제 주사에 의한 방법, 양성 친어의 자연산란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천연 친어로부터 채란하는 방법은 바다에서 잡은 친어 중에서 충분히 성숙한 것을 골라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채란, 채정하여 인공수정을 시키는 방법으로 어획할 때에 친어상태에 따라 그 실시 가능 여부와 채란량에 영향을 끼친다.
호르몬제 주사에 의한 방법은 산란기에 어획된 성숙한 친어가 산란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란과 성숙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제를 주사하여 1~2일간 완전 성숙을 기다려 채란, 채정하여 인공수정시키는 방법이다.
양성 친어의 자연 산란에 의한 방법은 수조에 친어를 수용하고 장기간 양성한 다음, 자연 산란을 시키는 방법으로 건강한 알을 확보하는 데 좋으며 친어를 장기간에 걸쳐 양성, 관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계획된 종묘를 생산할 수 있다.
최근에는 대량생산을 위한 인공수정을 위해 성숙한 친어를 채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친어를 천으로 덮힌 수평면위에 여러명이 잡아 고정시킨 후, 한사람이 한 방향으로 친어의 몸통을 손으로 밀어내어 알을 짜내어 수집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작업동안 외부 기온이 사육수 수온과 달라 어체의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어류의 품질이 손상되고 채란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노동력과 시간의 소모가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으나 현재 이러한 방법을 대체 할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작업대 등의 개발은 보고되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62626호에는 황복 수정란 부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침성 점착란인 황복의 알을 수정하기 위해 원뿔 모양이 역방향으로 위치한 형태의 깔때기 하단에 사육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단 일부에는 사육수 배출을 위한 유출 구멍을 형성하되 유출입 제어가 가능하여 유입수의 역류와 수정란의 유실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지는 황복 수정란 부화기에 사육수와 산성백토를 혼합하여 폭기시킨 후 세란된 수정란을 교반, 교질을 제거하는 구성을 개시하였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863호에는 가축의 수정란 이식용구에 관한 것으로, 필터유입호수와 연통되는 필터 용기의 뚜껑과 뚜껑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점액질 분리를 위한 1차 걸름망과 뚜껑아래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형사형성된 주면에 2차 걸름망을 다수군데 형성되고, 채집물이 바닥면을 중심으로 모아지기 위해 원추형에 가깝게 오목형성되며 하부에 배출호수가 연결되도록 깔때기 식으로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수정란 채집용 필터의 구성을 개시하였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특1995-0024879호에는 클램프 및 통상의 동력공구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쌍의 받침목아암들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쌍의 지지다리들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각 쌍의 받침목아암들은 체결클립과 체결막대에 의하여 다른 작업대장치와 양측에서 단부-대-단부 방식 및 측면-대-측면 방식의 두가지 방법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측판궤도와 외측판궤도이 형성된 하나의 천공된 지지표면을 포함하는 거울상의 테이블 상단부를 포함하는 절첩가능한 작업대장치의 구성을 개시하였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1998-0041433호에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설치되는 제 1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서 전후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판과, 상기 베이스 및 작동판의 설정된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판 후면 좌,우에 2개 1조로 설치되는 제 2구동수단과, 상기 제 2구동수단의 일단은 크레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구동수단 고정 브라케트에 연결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상의 소정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스트와, 상기 다수개의 포스트의 상끝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도르래 고정판 지지프레임과, 상기 도르래 고정판 지지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 고정판과, 상기 도르래 고정판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도르래와, 크레인 프레임에 고정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도르래 고정판 지지프레임 부근에 설치되는 작업대 고정받침판과 상기 베이스 전면에 좌우 이동 및 상하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한 유리창문 흡착기구로 형성된 각도조정이 가능한 고가용 작업대의 구성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대 프레임이 복수개 설치되고, 지지대 프레임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갖는 작업대 몸체가 지지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작업대 몸체 또는 지지대 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에는 육상 양식장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육수 공급공이 형성되고, 작업대 몸체의 어느 한 측면에는 사육수 배출공이 설치되어 양식장 사육수가 작업대 내부로 공급되어 양식장의 사육수온과 작업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구성은 개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대를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작업대의 프레임 내부로 양식수를 공급 순환시켜 어류의 채란 및 인공수정 생산 작업동안에 사육수 온도와 같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부 바닥에 채란된 알을 수집하고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대 프레임이 복수개 설치되고, 지지대 프레임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갖는 작업대 몸체가 지지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작업대 몸체 또는 지지대 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에는 육상 양식장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육수 공급공이 형성되고, 작업대 몸체의 어느 한 측면에는 사육수 배출공이 설치되어 양식장 사육수가 작업대 내부로 공급되어 양식장의 사육수온과 작업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작업대 몸체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고 일정한 공간을 갖는 작업부와 보조작업부로 이루어지고 작업부 바닥의 어느 한 부분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통공이 형성되며, 작업부에는 작업부 측벽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별되는 일정 높이를 갖는 거치대가 형성되고 거치대와 작업부 측벽사이에는 해수 배출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치대에는 측정용 눈금이 형성된 작업판이 설치되고 작업대 몸체와 지지대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합성수지, 고분자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가지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부 바닥에 형성된 통공하부에는 채란용기가 고정되어 작업대에서 채란된 난을 모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사육수를 작업대 프레임 내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킬 수 있는 작업대로서 열전도가 쉬운 재질로 이루어져 사육수의 수온이 작업대 재질로 열전도되어 어류의 채란 또는 수정란 생산하는 작업동안 작업대의 온도와 어류가 서식한 환경수온이 비슷하게 유지되어 외부환경에 민감한 어류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부 바닥방향으로 통공을 형성시키고 통공에 고정시킬 수 있는 채란관을 통해 채란된 알의 수집이 용이하고 채란관을 구성하는 배출부는 눈금이 표시되어 알의 양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채란과 동시에 알의 양을 조절하여 저장할 수 있고, 작업부에 작업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작업판과 작업부를 분리, 조립함으로서 하나의 작업대에서 여러 가지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어류의 채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의 작업대 몸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의 작업대 몸체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의 배출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에 작업판이 설치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에 설치되는 작업판의 형태를 A와 B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에 설치되는 채란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와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의 어류의 채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기존의 어류의 채란 및 생산과정은 채란하고자 하는 어류를 스펀지 또는 천으로 덮어 작업대에 놓은 후, 어체에 인위적인 힘을 가해 채란 및 생산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방법은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대의 온도가 사육수의 수온과는 달라 외부환경에 민감한 어체에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품질저하를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어류의 채란과 수정란 생산을 위한 작업대의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채란작업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는 사용자의 용도에 따른 일정 길이와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대 프레임 상부에는 지지대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작업대 몸체가 설치되며 지지대 하부에는 물건을 놓을 수 있는 선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업대 몸체, 지지대 프레임 및 선반 등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강도가 강하면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작업대의 경우는 가공방법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합성수지, 고분자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열전도율이 높아야하는 것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 작업대 몸체 또는 지지대 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에 양식장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육수 공급공을 형성하고, 작업대 몸체의 어느 한 측면에는 사육수 배출공이 설치하여 양식장 사육수가 작업대 내부로 공급됨으로서 양식장의 사육수온과 작업대의 온도가 동일 또는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의 작업대 몸체 사시도를 나타낸다. 작업대 몸체는 어류의 알을 채란하거나 실질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부와 작업시에 필요한 물건이나 어류의 체중을 잴 수 있는 체중계를 놓을 수 있는 보조 작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대 몸체의 크기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세로 600mm x 가로 1400mm x 높이 160mm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작업대 몸체 상부 표면의 테두리 가장자리에는 약 11mm 간격으로, 높이 약 10mm정도의 방지턱이 형성되어 어류의 알을 채란하거나 생산하는 작업동안 사육수나 이물질이 작업대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대 몸체는 속이 빈 파이프와 같이 공간을 갖는 구조이고, 작업대 몸체의 어느 한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type A와 같이 사육수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여 양식장에서 이용되는 사육수를 작업대 몸체 내부로 공급시킬 수 있다. 사육수는 양식장 수조로 입수하기 위한 여과된 사육수를 주입하는것도 가능하고,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수조에서 사용된 사육수를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여과된 사육수와 사용된 사육수는 온도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어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작업대 몸체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등의 열전도가 쉬운 재질에 일정온도를 갖는 수온이 열전도 됨으로서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 작업동안 작업대를 어류가 사육된 수온과 같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어체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type A와 같이 작업대 몸체 내부에만 사육수가 공급되는 경우 무게중심이 상부에 집중되는 top heavy 구조로 작업대가 전복될 수도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type B와 같이 작업대 전체 프레임 내부를 파이프와 같이 비어있는 구조로 형성시켜 지지대 프레임 하부를 통해 사육수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여 무게중심을 하부로 집중시키는 under heavy구조로 변형시킬 수 있다. 작업대의 하부로 부터 사육수를 유입시키면 작업대를 순환시킨 사육수가 상부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육수 공급라인 등의 설치가 가능하다.
보조 작업부는 약 세로 500mm x 가로 320mm x 폭 80mm의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보조 작업부의 외벽 중 어느 한 측벽은 비어있어 다양한 크기의 체중계와 작업기구를 놓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작업부는 약 세로500mm x 가로 600mm x 폭 170mm의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공간 바닥 어느 한 부분에는 바닥방향으로 일정 직경의 통공을 형성하여 작업대에서 채란시킨 알을 통공을 통해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작업부의 외벽 어느 한 측벽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생산용 작업대의 작업대 몸체 측면도를 나타낸다. 작업대 몸체의 작업부 공간 좌, 우 내부 측벽에는 "ㄴ" 형태의 작업판을 안착시킬 수 있는 프레임의 거치대가 형성되어 작업판을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대 몸체 내부는 파이프와 같이 비어있는 형태로서 작업대 몸체외부의 어느 한 측면에 사육수 파이프가 하나 이상 작업대 몸체내부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처럼 사육수 파이프를 통해서 양식장의 사육수가 작업대 몸체 내부로 순환할 수 있다. 작업대 몸체 역시 열전도가 쉬운 재질로 형성되어 사육수와 같은 온도로 작업대 몸체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동안 어체가 받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어류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사육수는 작업대 몸체 내부를 순환하여 온도를 유지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되거나 정화되어 양식장으로 다시 공급되어 사육수가 갖는 일정수온을 경제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에너지를 절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생산용 작업대의 배출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배출관은 거치대의 오목파게 파인 바닥부분에 설치되고 작업부의 4개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배출관을 통해서 작업판에서 생성된 이물질이나 양식수가 배출되기 때문에 채란을 위한 알과의 분리하는 작업이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에 작업판이 설치되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작업판은 작업부 바닥과 대응할만한 크기와 아크릴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고 작업판은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도 6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작업부에 끼워서 조립시키는 방법을 실시예로 나타내었고 작업판의 어느 한 부분에만 외벽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외벽을 손으로 집어 착탈 및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형성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생산용 작업대에 설치되는 작업판의 형태를 A와 B로 나타낸다. 작업판은 용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type A는 아크릴판에 눈금자가 표시되어 있어 어체의 몸길이를 측정할시 에 사용할 수 있고 type B는 작업부 바닥에 형성된 통공과 같은 위치와 직경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어류의 채란시에 알을 채집할시에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에 설치되는 채란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채란관은 작업부 바닥의 통공에 고정 설치되고 채란된 알이 주입되는 주입부와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배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입부는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부는 주입부 하부와 이어지는 파이프 형태로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주입부와 배출부 사이에는 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채란된 알의 양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배출부 외측 표면에는 눈금을 표시하여 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용 작업대를 이용함으로써, 어류를 채란 및 채정 작업시에 작업대가 사육수와 비슷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어체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어류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막아주고 채란작업의 효율을 증가시켜 양식산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양식 기반확대 및 수산분야의 발전은 물론, 생산 기술의 국제경쟁력 제고로 어업인 소득증대에 기여 가능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작업대 몸체 20: 보조작업부
30: 작업부 31: 통공
32: 작업판 33: 거치대
34: 배출관 40: 사육수 파이프
50: 채란관 51: 주입부
52: 조절밸브 53: 배출부
100: 지지대프레임 200: 선반

Claims (5)

  1.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대 프레임이 복수개 설치되고, 지지대 프레임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고 하방으로 오목하고 일정한 공간을 갖는 작업부와 보조작업부로 이루어진 작업대 몸체가 지지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에 있어서,
    작업대 몸체 또는 지지대 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에는 육상 양식장 사육수를 작업대 몸체 또는 프레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양식장 사육수 공급공이 형성되고,
    작업대 몸체 또는 지지대 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에는 작업대 몸체 또는 프레임 내부로 공급된 육상 양식장 사육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양식장 사육수 배출공이 설치되어
    육상 양식장에서 배출된 일정 온도를 갖는 양식장 사육수가 작업대 몸체 내부를 거쳐 배출됨으로서 작업대 몸체의 표면 온도를 양식장 사육수의 수온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대 몸체의 작업부 바닥 어느 한 부분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하부에는 채란용기가 고정되어 작업대에서 채란된 난을 모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작업부에는 작업부 측벽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별되는 일정 높이를 갖는 거치대가 형성되고 거치대와 작업부 측벽사이에는 해수 배출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4. 제3항에 있어서 거치대에는 측정용 눈금이 형성된 작업판이 설치되고 작업대 몸체와 지지대 프레임은 스테인레스, 합성수지, 고분자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가지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5. 삭제
KR1020140016492A 2014-02-13 2014-02-13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KR101448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92A KR101448420B1 (ko) 2014-02-13 2014-02-13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92A KR101448420B1 (ko) 2014-02-13 2014-02-13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420B1 true KR101448420B1 (ko) 2014-10-23

Family

ID=5199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492A KR101448420B1 (ko) 2014-02-13 2014-02-13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4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6814A (zh) * 2014-10-30 2015-03-11 厦门大学 一种室内的中华乌塘鳢苗种中间培育方法
CN106614150A (zh) * 2017-02-04 2017-05-10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亲鱼固着器
CN109258528A (zh) * 2018-12-06 2019-01-25 江苏省淡水水产研究所 鲟鱼人工催产手术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198U (ja) * 2003-05-29 2004-02-19 有限会社大西冷熱 冷却作業台
JP2008289372A (ja) * 2007-05-22 2008-12-04 Senken:Kk 食品加工用の作業テーブル
KR101262626B1 (ko) * 2012-11-06 2013-05-08 충청남도 황복 수정란 부화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198U (ja) * 2003-05-29 2004-02-19 有限会社大西冷熱 冷却作業台
JP2008289372A (ja) * 2007-05-22 2008-12-04 Senken:Kk 食品加工用の作業テーブル
KR101262626B1 (ko) * 2012-11-06 2013-05-08 충청남도 황복 수정란 부화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6814A (zh) * 2014-10-30 2015-03-11 厦门大学 一种室内的中华乌塘鳢苗种中间培育方法
CN106614150A (zh) * 2017-02-04 2017-05-10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亲鱼固着器
CN106614150B (zh) * 2017-02-04 2023-09-01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亲鱼固着器
CN109258528A (zh) * 2018-12-06 2019-01-25 江苏省淡水水产研究所 鲟鱼人工催产手术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60993B (zh) 一种红尾副鳅鱼苗的人工繁育方法
KR101947328B1 (ko) 양식장용 어류의 분리 부성란 보관장치
CN107258650A (zh) 一种水产养殖池
KR101448420B1 (ko) 어류의 채란 및 수정란 생산을 위한 육상 양식장용 작업대
CN104170778A (zh) 胭脂鱼循环水控温规模繁育方法
CN104642212A (zh) 白甲鱼人工繁育方法
CN104161000A (zh) 一种杂交鲤鱼与彭泽鲫的杂交育种方法
CN107646746A (zh) 一种蜂王培育装置以及培育方法
CN109845668A (zh) 一种黑斑原鮡流水养殖培育驯化的方法
CN105075949A (zh) 一种斑点鳟人工繁育方法
KR101498426B1 (ko) 육상 양식장용 복합작업대
CN106942084A (zh) 一种畜牧业自动循环饮水装置
CN109937953A (zh) 利用循环水进行黑斑原鮡培育驯化养殖的方法
KR101479839B1 (ko) 관상어 번식 축양용 복합수조
CN212232703U (zh) 一种渔业养殖桶装置
KR100261437B1 (ko)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CN108464237B (zh) 一种用于改善海水养殖网箱局部环境的藻帘装置
CN209433263U (zh) 一种节能水温控制装置
JPH0249689B2 (ko)
CN104756912A (zh) 一种鲇鱼人工孵化池
CN105850791A (zh) 一种新型养鱼网箱装置
CN109845687A (zh) 黑斑原鮡培育驯化的循环水养殖系统
CN219395942U (zh) 一种提高花鲢产量和效益的养殖装置
CN109937954A (zh) 一种黑斑原鮡培育驯化的流水养殖系统
CN220000424U (zh) 一种澳洲淡水龙虾用的全自动孵化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