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055B1 -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회로부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회로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055B1
KR101448055B1 KR1020130049098A KR20130049098A KR101448055B1 KR 101448055 B1 KR101448055 B1 KR 101448055B1 KR 1020130049098 A KR1020130049098 A KR 1020130049098A KR 20130049098 A KR20130049098 A KR 20130049098A KR 101448055 B1 KR101448055 B1 KR 10144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ower
access
network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923A (ko
Inventor
스티븐 팜
Original Assignee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2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위한 전력 관리 기술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호스트되는(hosted) 자원(미디어 서빙 서비스와 같은)에 대한 액세스 및 그것의 해제를 위한 요청들을 통신한다.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전력 관리 기능성은 이런 요청들에 기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자원에 대한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자원은 상기 자원의 해제를 위한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불활성 상태(inactive state)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원에 대한 액세스는 상기 전력 관리 기능성에 의해 개별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자원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에 관련한 정보는 프록시 디바이스(proxy device)에 의해 제공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기반 전력 관리{SERVICE BASED POWER MANAGEMENT IN A NETWORK}
관련된 특허들/특허 출원들에 대한 교차 참조(CROSS REFERENCE TO RELATED PATENTS/PATENT APPLICATIONS)
가출원 우선권 주장(Provisional Priority Claim)
본 미국 실용 특허 출원은 참조로서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병합되고 모든 목적들을 위하여 본 미국 실용 특허 출원의 일부를 이루는 다음의 미국 특허 가출원들에 대해 35.U.S.C.§119(e)에 따라 우선권을 주장한다:
1 . 계류중인 2012년 6월 1일 출원된 "SERVICE BASED POWER MANAGEMENT IN A NETWORK," (Attorney Docket No BP24977) 명칭의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61/641,293.
발명의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실시예들은 요청되지 않은 서비스(non-requested service)들의 해제(release) 및 관리를 통한 디바이스에서의 감소된 전력 소모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들, 셋탑 박스들(STBs), 전기기기들 및 컴퓨터들과 같은 홈에서의 디바이스들은 종종 홈의 중요한 전기 소비처들로 실질적으로 열거된다. 점증적으로, 이런 디바이스들에 의해 낭비되는 에너지의 양은 상당하고 그리고 피크 에너지 수요들(peak energy demands)을 충족시키기 위한 전력 그리드(power grid)의 능력에 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내에서 전력 콘센트(power outlet)들에 플러그(plug)된 디바이스들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자는 전기에 대한 감소된 지출로 이어지고 그리고 에너지 생성과 관련된 환경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줄임으로써 그의 또는 그녀의 전체 전기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때때로, 홈의 유저(user)들은 설사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또는 "오프(off)" 전력 상태로 스위치 되었을지라도 디바이스가 여전히 의미있는 전력 양을 소비하고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할 수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유저가 디바이스가 오프(off)일 것으로 여기는 때조차도 제조업자 개별 제품들을 예측할 수 없는 유저 입력에 빠른 응답들을 준비하기 위해서 디바이스의 많은 회로부(통신 인터페이스들)가 활성(active)상태에 남아 있도록 디자인하는 제조업자들의 경향에 기인한다.
전력 절약에 대한 이전 접근법들은 각각의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모의 감소에 집중되었다. 이런 접근법들은 홈에서의 각각의 디바이스들의 집합 세트(set)에 관한 전체 전력 소모에서의 현저한 개선을 낳았다. 예를 들어,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더 적은 전력이 요구되도록 디바이스 회로부 그 자체가 제품들의 세대들에 거쳐서 개선되었다. 마찬가지로, 전력의 전체 소모가 감소되도록 디바이스의 일부 기능성은 시간 기간들 동안에 비활성화(deactivate)될 수 있다. 이런 유형들의 기술들은 다른 디바이스들의 고려 없이 각각의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것에 집중하였다.
다양한 통신 수단들을 통하여 홈에서의 디바이스들을 통신에 관하여 결합하는 것에 대한 경향이 또한 있다.이런 수단들은 종종 네트워킹 및 직접 연결 기술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들간의 연결은 디바이스들 사이의 정보, 자원(resource)들 또는 컨텐츠(content)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디바이스들 즉시 이용할 수 있는(ready)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활성상태(active)로 남아 있는 것이 기대된다. 이것은 디바이스들이 항상 연결된 상태(connected state)에 있는 것을 기대하는 최근 소비자 행동을 반영한다. 따라서, 디바이스 제조자들에게는 종종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디바이스가 활성상태인 시간의 양을 줄이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디바이스가 활성상태(active)인 시간의 양을 증가시키는: 반대 조건들이 제시된다.
본 발명은 요청되지 않은 서비스(non-requested service)들의 해제(release) 및 관리를 통한 디바이스에서의 감소된 전력 소모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라, 디바이스들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을 위해 할당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갖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에 관련한 서비스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액세스를 위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에 관련한 전력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 상태 정보는 전력 레벨들에 해당하는 값들의 열거된 셋(s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는 가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서비스 성능들, 서비스 사용량 상태, 관련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상태, 서비스의 현재 가용 가능성, 및 서비스의 향후 가용 가능성(future availability of a servic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감소된 전력 상태로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는 프록시 성능들을 갖는 제 3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향후 가용 가능성의 표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세스를 위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스케줄 된 비활성 상태의 기간(scheduled period of inactivity) 완성에 이어서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세스를 위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는 미디어 서빙 서비스(media serving servic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에 관련한 서비스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라, 디바이스들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네트워크는 서비스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전력 제어기(internal power controller)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의 해제를 위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전력 제어기는 상기 서비스를 감소된 전력 상태로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를 감소된 전력 상태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단계에 앞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미결정 요청(pending request)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를 위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 전력 상태로 배치하는 상기 내부 전력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는 프록시 성능(proxy capabilities)들을 갖는 제 3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록시 동작들에서의 사용을 위해 서비스에 관련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상기 제 3 디바이스로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라,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인터랙트(interact)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 회로부(Device circuitry)가 제공되고,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을 지원하고 상기 디바이스 회로부는,
자원(resource);
상기 자원에 결합된 인터페이스 회로부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는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자원에 액세스(access)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
상기 자원에 관련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고; 및
상기 자원에 대한 액세스 및 그것의 해제를 위한 요청들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와 결합된 프로세싱 회로부(processing circuitry); 및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 및 상기 자원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자원에 대한 액세스 및 그것의 해제를 위한 요청들에 응답하여 상기 자원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력 관리 제어기(power management controlle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전력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가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라, 디바이스들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에서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을 위해 할당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갖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에 관련한 서비스 상태 정보(service status information)에 대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액세스를 위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이후에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감소된 전력 상태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서비스 성능들, 서비스 사용량 상태, 관련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상태, 서비스의 현재 가용 가능성, 및 서비스의 향후 가용 가능성(future availability of a servic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라, 디바이스들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서비스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전력 제어기(internal power controller)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의 해제를 위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전력 제어기는 상기 서비스를 감소된 전력 상태로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서비스 성능들, 서비스 사용량 상태, 관련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상태, 서비스의 현재 가용 가능성, 및 서비스의 향후 가용 가능성(future availability of a servic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라,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인터랙트(interact)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 회로부(Device circuitry)에 있어서,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을 지원하고, 상기 디바이스 회로부는,
자원(resource);
상기 자원에 결합된 인터페이스 회로부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는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자원에 액세스(access)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
상기 자원에 관련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고; 및
상기 자원에 대한 액세스 및 그것의 해제를 위한 요청들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와 결합된 프로세싱 회로부(processing circuitry); 및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 및 상기 자원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자원에 대한 액세스 및 그것의 해제를 위한 요청들에 응답하여 상기 자원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력 관리 제어기(power management controller),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서비스 성능들, 서비스 사용량 상태, 관련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상태, 서비스의 현재 가용 가능성, 및 서비스의 향후 가용 가능성(future availability of a servic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기반 전력 관리에 의하면, 요청되지 않은 서비스(non-requested service)들의 해제(release) 및 관리를 통하여 디바이스에서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1d는 디바이스들과 다양한 데이터 저장 위치들(data storage locations)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표현들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및 디바이스들을 예시하는 기능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STB)/게이트웨이 (GW)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자원 기반 전력 관리(service/resource based power management)를 예시하는 기능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를 위한 방법의 로직 다이어그램(logic diagram)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관리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동작 가능한 필수적인 기능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측면들은 연결된 디바이스(connected device)의 서비스들에 관한 요청(request)들의 시그널링(signaling) 및 기능성 그리고 그것의 서비스들의 관련된 해제(release)들에 관한 것이다. 비록 아래의 설명은 특정 통신 네트워크 기술들 및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참고로 하지만,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상이한 배열들을 지원하는 다른 네트워크 기술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채용될 수 있다. 추가하여, 아래의 설명은 "디바이스들(devices)", "기능들(functions)" 및 "기능성(functionality)"을 참고로 한다. 디바이스 동작의 일부로서 주어진 기능 "x"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x" 디바이스로 또는 "x" 기능으로 또는 "x" 기능성으로 호환하여 지칭될 수 있다.
도 1a-1d는 디바이스들과 다양한 데이터 저장 위치들(data storage locations)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표현들이다. 도 1a에 관련하여, 엔터테인먼트 또는 정보 프로그래밍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세 개의 텔레비전 (TV) 모니터들을 가진 대표적인 홈 환경이 예시된다. 프로그래밍은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발원될 수 있고 그리고 케이블, 위성, xDSL, 광 파이버들, 로컬 무선 통신 경로들 등등을 통하여 홈에 분배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소스는 복수개의 소스들로부터의 컨텐츠를 분배하는 다이렉트 브로드캐스트 위성 네트워크 또는 케이블 텔레비전과 같은 전용 비디오 분배 네트워크의 부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그래밍 소스는 인터넷,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과 같은 범용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텔레비전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의 부분일 수 있다. 주어진 네트워크의 다양한 부분들을 통하여, 프로그래밍 컨텐츠는 여러 가지 인식된 프로토콜들에 따라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신호들로서 수송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은 영화들, 텔레비전 쇼들, 커머셜(commercial)들 또는 다른 광고(advertisement)들, 교육 컨텐츠, 비디오 게임 컨텐츠, 인포머셜(infomercial)들 또는 다른 프로그램 컨텐츠 및 옵션으로서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디지털 권리 취급 데이터, 제어 데이터, 프로그래밍 정보,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demographic data), 프로그램 컨텐츠와 관련하여 전송될 수 있는 추가적인 그래픽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런 프로그램 컨텐츠와 관련된 추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비디오 컨텐츠는 또한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될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는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주문형 비디오(VOD:video on demand) 및 유사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래밍 등등으로서 발송 될 수 있다.
홈 또는 다른 구내들내에서, 프로그래밍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선, 광학 및 무선 통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LAN들)을 통하여,아마 게이트웨이(GW) 디바이스를 통하여 분배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각 텔레비전 모니터는 통상적으로 텔레비전 모니터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수신된 신호들 및 컨텐츠를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하나의 흔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interface device)는 종종 셋탑 박스(STB)로 지칭된다. 통상의 배열에서의 각 STB는 프로그래밍 및 피쳐(feature)들의 비슷한 유형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된 텔레비전 모니터들 상에서 향유될 수 있도록 유사한 기능성 및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STB의 기능성 및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자원들 동조(tuning), 저작권이 있는 자료(copyrighted material)를 보호하기 위한 조건부 액세스 기술(conditional access technology), 및 시간 시프트 방식(time shifted manner)에서의 프로그래밍/컨텐츠의 녹화 및 플레이백 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상업용 HDD는 단일 셋탑 박스에 의해 필요로 될 수 있는 것 보다 더 큰 성능(capability) 및 용량(capacity)을 갖는다. 도 1b는 통신에 관하여 결합된 복수개의 STB들간에 단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공유되는 것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를 예시한다. 비록 HDD가 STB1 내에 예시되었지만, HDD는 STB2 및 STB3를 포함하는 몇몇 위치들 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HDD는 예시된 STB들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c에서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 공유 HDD가 도시된다. 앞에서의 배열들에서, HDD들은 빈번하게 "상시-온(always on)" 또는 스핀 모드(spinning mode)에 있을 수 있다. 자원들을 통합(함으로써, 주어진 구내에서의 총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기회가 있다. 따라서, 각각이 자기 자신의 HDD 및 관련된 전력 소모를 가진 세 개의 STB들 대신에, 단지 단일의 HDD 소모 전력이 있을 수 있다.
도 1d는 MoCA(Multimedia over Coax Alliance)에 의해 전파되는 것과 같은 연결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래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대표적인 예로서, 디바이스 STB1은 디바이스 STB3에 대하여 기능성(들)을 제공한다. 해당 기능성은 서비스들, 컨텐츠 및/또는 자원들(문맥상으로 적절한 때에는 "서비스들"로서 본 출원에서 총괄하여 언급되는)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STB1은 "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로서 기능을 하고 STB3은 "미디어 수신기(media receiver)"로서 기능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화된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 및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들)(202)을 예시하는 기능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 및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사이의 통신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선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204) 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 및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는 개개의 것들 또는 복수개의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개별 통신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들(204)에 결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의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는 홈 네트워크의 편성(formation) 및 유지보수(maintenance)를 지원하기 위해서 많은 기능들, 서비스들 및 자원들을 포함한다. 특별히, 보고 관리 및 프로세싱(210)은 관련된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들(202)내의 디바이스 보고 기능들(21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이런 정보는 예를 들어 서비스 가용 가능성(service availability) 및 다른 상태 데이터(214)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하여,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기능들 및 성능들, 디바이스 모델 번호(들), 디바이스 구성들, 소프트웨어 버전들, 부속된 주변 기기들 및 다운스트림 디바이스들, 디바이스 자원들 및 사용량(usage) 등등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정보(216)를 제공할 수 있다. 가용 가능한 자원들 및 현재의 자원 사용량에 관련한 디바이스 정보는 동적인 전력 관리(내부 전력 제어기에 의해 노드 자원들의 전력 관리와 같은), 자원 할당 및 관리, 액세스 중재(access arbitration) 등등의 목적들을 위하여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내의 여러 노드들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수집, 저장 및/또는 보고하는 책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고(reporting)는 주기적인 기준 및/또는 다른 인트라/인터 네트워크 자원들 및 디바이스들과의 동작상의 연동(operational engagement)들 동안에 홈 네트워크에 가입에 대하여 필요로 될 수 있다.
다시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에 관련하여, 추가의 기능성 및 자원들이 제한 없이: 네트워크 정보 캡쳐 및 저장 관리(218) ; 분배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 서비스들이 서로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220); 이하에서 더 충분하게 설명될 전력 관리 기능성(222); 네트워크 및 가입된 데이터/자원들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관리(224); 및 (웹) 서버 서비스들(226)를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는 추가로 전술한 것에 대응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뿐만 아니라 본 출원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추가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일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는 네트워크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의 카테고리 및 성질(nature)를 결정(예,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의 수단들에 의해)할 수 있다. 필요한 때, 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200)내의 기능성은 이어서 디바이스에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예, 전력 관리 통신 기능들) 및 기본 드라이버들(underlying drivers)의 인스톨을 명령하거나 또는 트리거(trigger)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사전에 인스톨된 (pre-installed) 전력 관리 통신 성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동작들은 디바이스의 고유 기능들로부터의 최소한의 개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는 네트워크에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많은 추가 기능들 및 자원들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 제어 기능들(228)은 클라이언트/슬레이브(client/slave) 기능들(230), 서버/마스터(server/master) 기능들(232), 및 그것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기능들은 디바이스 (재) 구성, 지시된 자원 할당, 전력 관리, 관리되는 자원 중재, 브리징 동작들(bridging operations)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기능들은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가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 자신을 연루시키는 인터랙션(interaction)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노드들 또는 노드들의 그룹들 사이에서의 여러 인터랙션들을 수립, 관리 및 종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된 실시예의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는 예를 들어 관련 애플리케이션들 및 서비스들(236)(슬레이브 및 마스터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는) 지원하기 위해 API(234)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전력 관리 인터랙션들(238)이 또한 제공된다. 추가하여, 보안 및 액세스 제어(240)는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202)가 안전한 네트워크 연결들을 수립하거나 또는 그것들과 인터페이스하고 내부 및 외부 네트워크 자원들에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 에 의해 예시된 여러 기능 빌딩 블럭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디바이스들에 전체로서 또는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집적 회로 디바이스는 보고 기능성(reporting functionality), 디바이스 제어 성능들, 마스터/슬레이브 기능들, 보안 및 액세스 제어 모듈들 등등을 제공하는 보고 모듈(reporting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집적 회로 디바이스는 온보드 프로세싱 성능(onboard processing capability)들 및/또는 프로세서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몇몇 기능들은 동작 시스템 및/또는 동작 시스템 커널(kernel) 위에 로딩된 소프트웨어 내에 전체로서 또는 부분으로 통합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STB)/게이트웨이 (301)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STB/게이트웨이 (301)는 외부 소스들로부터 신호들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의해 소비될 수 있는 컨텐츠로의 변환을 포함하는 많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STB/게이트웨이 (301)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브리징(bridging) 및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로서 또한 동작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의 STB/게이트웨이 (30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들/링크들을 통하여 주거용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305) 및 외부 미디어 시스템들(307)와 인터랙트(interact)한다.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들/링크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양한 송신 미디어- 동축 케이블, 차폐 이중와선 케이블(shielded twisted pair cable), 광 파이버 케이블(fiber ¬optic cable), 전력선 와이어들, 및 무선 미디어(라디오 주파수들, 마이크로웨이브, 위성, 적외선 등등)를 활용할 수 있고 그리고 다양한 통신 및 네트워킹 프로토콜들(TCP/IP, UPnP, IPv6 등등)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추가하여,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들/링크들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직접 무선 연결들, 피어 투 피어(peer-to-peer) 링크들 등을 이용하는 멀티-홉 네트워크(multi-hop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미디어 시스템들(307)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 위성 및/또는 지상파 텔레비전 시스템 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헤드엔드 장비 및 서비스들은 추가 프로세싱 및 분배를 위해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하는 케이블 헤드엔드와 같은 이런 시스템들에 의해 활용될 수 있고, 그리고 인터넷 연결 및 VoIP 서비스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들의 STB/게이트웨이 (301)는 외부 미디어 시스템들(307) 또는 주거용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305)로부터 추가 프로세싱 및 분배를 위하여 압축되지 않거나 또는 압축된 디지털 비디오, 디지털 오디오 및 다른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프론트 엔드(313)을 포함한다. 프론트 엔드(313)는 특정 채널들을 분리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동조기 회로부(319a)를 포함한다. 동조기 회로부(tuner circuitry)(319a)로부터의 신호들은 이어서 바이너리 포맷/스트림으로의 변환을 위해 아날로그-디지털(ADC:analog-to-digital) 회로부(320a)에 그리고 복조 회로부(321a)에 제공된다. 일단 바이너리 포맷으로 하면, 순방향 오류 정정(FEC:forward error correction) 회로부(322a)는 수신된 바이너리 스트림의 무결성을 체크한다. 바이너리 스트림(binary stream)으로부터 추출된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는 이어서 다운스트림 디바이스(downstream device)들에 의한 소비에 적합한 포맷들로 디코딩(예, 디코딩(325)에 의해)될 수 있다. 복조 회로부(321a)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조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프론트 엔드(313)는 예를 들어, 쌍방향 디지털 텔레비전(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네트워크화된 DVR 기능성, DOCSIS 애플리케이션들 상에서의 IP 비디오 및 3D 그래픽 지원을 더 지원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도체 디바이스들로 집적될 수 있다. 추가하여, 다수의 동조기 회로부(319a)(인 밴드 및 아웃 오브 밴드 동조기들을 포함), ADC 회로부(320a) 및 복조 회로부(321a)는 상이한 변조 기법들 및 텔레비전 표준들(PAL, NTSC, ATSC, SECAM, DVB-C, DVB-T(2), DVB-H, ISDB, T-DMB, 오픈 케이블(Open Cable)과 같은)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STB/게이트웨이(301)의 기능성은 스마트폰 또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이 실시예에서, "프론트 엔드"(313)는 셀룰러(3G, 4G, IMT-어드밴스드(Advanced) 등) 또는 WAN(wide area network)(HetNet, Wi-Fi, WiMax,등) 인터페이스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PHY 및 기저 대역 기능들)를 포함한다.인터페이스는 OFDM, OFDMA, SC-FDMA, QPSK, QAM, 64QAM, CSMA, MIMO,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조(modulation) 및 다중화 기술(multiplexing technique)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는 트랜시버(319b), 아날로그-디지털(ADC:analog-to-digital) 및 디지털-아날로그(DAC:digital-to-analog) 회로부, 복조 및 변조 회로부(321b) 및 FEC (터보 코드들 또는 LDPC 코드들) 회로부(322b)를 포함한다. 인코딩, 디코딩 및 트랜스코딩(325) 기능들은 프로세싱 회로부 및 스토리지(311)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STB/게이트웨이 (301)는 주거용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305) 및/또는 외부 미디어 시스템(307)와 통신을 위해 (WAN(wide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회로부(315)를 또한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부(315)를 통하여, STB/게이트웨이 (301)는 업스트림 자원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STB/게이트웨이 (301)에 결합된 이런 자원들 및 디바이스들(예, 디바이스들(341-349))사이의 (양방향) 브리지드(bridged) 통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STB/게이트웨이 (301)은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부(317)을 통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들(341-349)와 인터랙트(interact)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모듈(331)은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중계하고 그리고 가용 가능한 쌍방향 서비스들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디지털) 텔레비전(341) 또는 다른 미디어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임의의 실시예들에서, 텔레비전 또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모듈(331)은 원격 유저 인터페이스(RUI:remote user interface)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오디오 인터페이스(333)는 오디오 프로그래밍 또는 오디오 라이브러리 액세스(audio library access)를 오디오 시스템(343)에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부(317)는 원격 제어(345)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 (335)를 더 포함한다. 종래 원격 제어 동작들에 추가하여, 원격 제어(345)는 관련 소비자 디바이스들에 중계되거나 또는 매핑되는 음성(voice) 및/또는 제스처(gesture) 제어 신호들을 더 공급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들(337) 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347)와의 통신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게임 인터페이스들(339)은 게임 시스템(349)와의 쌍방향 통신을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이런 통신들은 예를 들어 게임 플랫폼(gaming platform)에서의 외부 플레이어들 및/또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멤버들 사이의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인터페이스(Power management interface)(340) 기능성은 디바이스들(341-349) 사이에서 전력 절약 동작들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예들의 STB/게이트웨이(301)는 상기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랙션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프로세싱 회로부 및 스토리지(311)(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 서비스들 지원부(services support)(323) 및 디코딩/인코딩/트랜스코딩 기능성(325)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들에서 서비스들 지원부(323)는 본 출원에서 개시된 것처럼 동작 가능한 전력 관리(327), 브리징(bridging)(328), 및 미디어 서버-수신기 서비스들(329)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한다.프로세싱 회로부 및 스토리지 (311)는 네트워크 자원으로서 전체로 또는 부분으로 가용 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부 제조자들은 디바이스 기능성 또는 컴포넌트들이 활성인 시간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디바이스 내에 전력 제어기(power controller)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것에 유의한다. 단일 디바이스 내에서는, 디바이스 전력 제어 기능성이 단일 디바이스 내 컴포넌트들을 모니터, 제어 및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방법론이 효과적(그리고 유저가 과도하게 번거롭지 않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전력 제어기는 HDD 가 컨텐츠를 서비스, 기록 또는 조사하는데 활용되고 있지 않는 시간의 기간들 동안에 저장 기능성내에서 HDD를 불활성(inactive) 상태로 할 수 있다. 단일 디바이스 내에서, 전력 제어기는 레코딩 스케줄(recording schedule) 또는 유저 입력과 같은 내부 정보 및 요청들에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액세스(ready access)를 갖는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자원 기반 전력 관리(service/resource based power management)를 예시하는 기능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일 예시로서 단일 HDD의 자원들을 공유하도록 하는 세 개의 STB들(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들)의 예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술들은 외부 자원들에 자원 요청(resource requests)들 및 자원 해제(resource releases)들을 통신하기 위해 본 출원에 제공된다. 특정 자원에 대한 모든 미결정(pending) 요청들이 해제되면, 해당 자원과 관련된 전력 제어기는 전력 소모를 감소하기 위해서 해당 자원을 억지로 불활성 상태로 가게 할 수 있다. 주어진 디바이스는, 예시 및 한정 없는 방식에 의해, 통신 자원들, 미디어 서빙(media serving) 및 미디어 수신(media receiving) 서비스들, 프로세싱 용량, 스토리지 자원들, 애플리케이션들, 트랜스코딩 자원들, 튜닝 자원들, 보안 자원들 등등을 포함하는 다수 유형들의 자원들을 통합시킬 수 있다.
산업에서 이전까지,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전력 상태에 관해서 모노리식 엔티티(monolithic entity)으로 간주되었다. 역사상, 디바이스는 "온(on)" 또는 "오프(off)", 오프 상태 또는 오프 스위치는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완전히 제거하는,의 전력 상태들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디바이스 내에 컴포넌트들은 다른 컴포넌트들이 오프(off)인 동안 일부 컴포넌트들이 온(on)에 있는 것을 허용하는 분리되고 그리고 개별적으로 스위치 가능한 전력 소스들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분리된 스토리지 기능성은 활성상태에 남아 있는 동안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기능성은 불활성 상태일 수 있다. 이 개별적인 상태들의 집합은 종종 유저들의 편의를 위해 "스탠바이(stand-by)"로 종종 라벨(label)된다.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것은 추가로 개별 컴포넌트들이 임의 시간 기간들 동안 온 또는 오프로 스위치 될 수 있다는 뉘앙스가 된다.
때때로 물리적 디바이스로서 언급되는 물리적 제품은 논리 엔티티들로 표현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물리적 회로들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논리 엔티티(logical entities)들은 네트워킹 통신 계층들 또는 동작 기능성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물리적 디바이스 내에는, 통신 방법들 및 프레임워크들(frameworks)을 나타내는 추가 논리 기능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TB인 물리적 디바이스의 상황에서, DLNA 및 UPnP 호환 가능한 기능성과 같은 추가 기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DLNA 및 UPnP 둘 모두는 임의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이들 표준들은 해당 기능성을 확장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가 DLNA 및 UPnP 프레임워크들을 확장하는 상황하에서 설명되는 때, 본 발명은 이런 표준들/프레임워크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들 사이의 메시징은 전형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IP)와 같은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기술 및 TCP, UDP, SOAP 등과 같은 계층 4 전송 또는 세션 기술을 이용하는 계층 1 및 계층 2 연결 기술(예를 들어Wi-Fi, IEEE 802.11ad, WiGiG 또는 MoCA)에 의해 수송된다. 본 발명의 구현들은 이런 기술들의 확장의 상황하에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표준들/프레임워크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하여, 주어진 통신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는 각 상태가 동작의 상이한 특성들을 전형적으로 가지는 동작의 상이한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oCA 2.0 호환 가능한 인터페이스는 다음 상태들 : 활성상태(Active) (M0), 저전력 아이들 상태 (M1), 스탠바이상태 (M2) 및 슬립상태 (M3)을 갖는다. 상태들은 메시지들을 송신 또는 수신, 제어 데이터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능력에서, 그리고 다른 상태들로의 이동에서 다르다. 다른 예로서, Wi-Fi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는 Wi-Fi 멀티미디어 전력 절약(WMM-PS:Wi-Fi Multimedia Power Save)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의 특정 타입은 디바이스내의 다른 기능성과는 독립적인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전력 상태들을 통신하고 요청하기 위한 계층 2 특정 수단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전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왜 통신 인터페이스 전력 상태가 변화하고 있는지 또는 왜 특정 기능 컴포넌트들이 활성상태 또는 불활성상태에 남아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들을 가지지 않는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그것의(계층-2) 서빙 디바이스(serving device)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것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이 주기적으로 불활성상태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서빙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의 관련 통신 인터페이스들이 불활성상태 기간에 있는 동안에 미디어 서버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메시지들을 버퍼 할 수 있다. 만약 통신 인터페이스가 불활성 상태인 동안에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할 필요가 있으면, 그것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턴 온하거나 또는 그것의 스케줄 된 활성상태 시간까지 대기할 수 있다. 만약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불활성상태 기간들에 대한 지식을 갖는다면, 어느 하나는 통신을 개시할 적절한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특별히, 만약 다른 컴포넌트가 불활성 상태이면, 그것의 상태는 시그널 될 수 있다.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네트워크의 임의 장점들을 고려하면 아래의 가정들은 : 물리적 디바이스는 그것 내에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분리되고 별개의 엔티티들/자원들/서비스들을 가짐; 물리적 디바이스내의 그것의 자원들을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한 모든 결정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내부 전력 제어기는 많이 만듦; 외부 요청 디바이스는 다른 물리적 디바이스의 내부 특징들의 세부사항들을 전반적으로는 알지 못함; 내부 전력 제어기는 그것의 물리적 디바이스에 대한 내부적 및 외부적 요청을 수신함; 내부 전력 제어기는 그것이 해당 결정 신호를 보냈다는 전제하에 요청을 이행하지 않을 지를 선택할 수 있음; 외부 디바이스들은 전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다른 물리적 디바이스들의 특정 기능 블럭들을 요청하지 않음;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추가하여, 설사 통신 인터페이스가 활성상태, 도우징(dozing), 스탠바이, 불활성 상태 등과 같은 상태들을 가질 수 있는 물리적 디바이스 내에 하나의 컴포넌트이라 할지라도, 통신 수단은 역시 두 개의 물리적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필요하다. 그러나, 통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전력 상태들에서 지연되는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다른 외부 디바이스가 통신을 시도하는 동안에 하나의 디바이스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불활성상태에 있다면, 통신은 폐기될 수 있거나 또는 어던 경우들에서는 버퍼링되고 지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물리적 디바이스 내부의 기능 블럭들의 모든 셋(set)이 단순히 "슬립(sleep)"상태 또는 "어웨이크(awake)"상태에 있지는 않는다. 일부가 "슬립"상태에 있는 동안 일부는 "어웨이크"상태 일 수 있다. 특별히, 홈 네트워크 연결은 자원 요청들이 그것을 구성할 수 있도록 종종 전부 슬립상태에 있지는 않는다. 비디오 출력, 트랜스코딩, 컨텐츠 서버등과 같은 물리적 디바이스내의 기능들은 로컬 및 원격 요청에 의존하여 "슬립-유사(sleep-like)"상태와 " 어웨이크-유사(awake-like)"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4에 관련하여, 서비스 서버 (400) 기능성은 물리적 디바이스에서 도시된다. 서비스 서버(400)내에서의, 서비스 및 상태 관리자(SSM:service and state manager)(406)는 물리적 디바이스내의 서비스들 및 그것의 상태들의 리스트에 대한 내부 및 외부 요청에 응답하고 그리고 특정 서비스들에 대한 요청들 뿐만 아니라 특정 서비스들의 해제들에 응답한다. SSM (406)는 전력 제어 기능성(408) 및 예를 들어 미디어 서빙 서비스 (410) 및 미디어 수신 서비스 (412)와 같은 개별 서비스들와 같은 내부 자원들과 통신한다. 예시된 실시예의 SSM (406) 및 전력 제어 기능성(408)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인터페이스들(414) 과 또한 인터랙트(interact)한다.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서버 클라이언트 (402) 기능성은 또한 물리적 디바이스로 도시된다. 서버 클라이언트 (402)내의, 서비스 및 상태 요청자(SSR:service and state requestor)(416)는 물리적 디바이스내의 서비스들의 리스트 및 상태에 관한 통신을 위한 내부 및 외부 요청들에 응답하거나 또는 개시(연결 인터페이스들(420))하고 특정 서비스들을 위한 요청들 또는 그것들의 해제에 응답한다. SSR(416)는 개별 서비스들 예를 들어 미디어 수신 서비스(418)와 같은 내부 자원들과 통신한다.
동작의 일 대표적인 모드에서, 유저가 다른 디바이스상에 저장된 컨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할 때, 유저는 관련된 서비스 클라이언트 (402) 디바이스와 인터랙트한다. SSR(416)은 서비스 서버 (400)의 SSM (406)과의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인터랙트한다. SSR (416)은 서비스 서버(400)상에서의 가용 가능한 서비스들( 및 관련된 상태들)의 리스트를 먼저 요청할 수 있다. 적절한 서비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빙 서비스(410)의 결정 후에, SSR (416)은 즉시 또는 미래의 희망하는 시간에 SSM (406) 이 서비스 클라이언트(402)로 가용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상태에 의존하여, SSM (406)은 미디어 서빙 서비스(410) 을 위한 필요 컴포넌트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전력 제어 기능성(408)와 인터랙트한다. 미디어 서빙 서비스는 그것의 사용에 대한 다른 요청들이 있었다면 벌써 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서비스 클라이언트(402)가 컨텐츠의 활용을 종료할 때, SSR (416)은 미디어 서빙 서비스(410)를 해제하기 위해서 통신 링크를 통하여 SSM (406)과 인터랙트한다. 전력 제어 기능성(408)와 결합한 SSM (406)은 미디어 서빙 서비스(410)의 컴포넌트들이 해당 특정 서비스에 대한 다른 요청들에 의존하여 비활성화 상태로 회귀하게 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서버(400)는 비활성 상태에서 그것의 서비스들을 다른 디바이스에 대하여 가용 가능하게 또한 여전히 제공할 수 있는 연결 인터페이스(들)(414)를 포함하는, 많은 기능들을 배치하기를 원할 수(구성 또는 유저 인터랙션에 의해) 있다. 연결 인터페이스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는 SSM (406)에 대한 요청들은 지연되거나 드랍(drop)될 수 있다. 이런 이슈들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제 3 물리적 디바이스 --서비스 프록시(404) -- 서비스 서버(400)을 대신하여 프록시된 정보를 캐시 그리고 제공할 수 있다. 일단 서비스 프록시(404) 및 서비스 서버(400)가 상호간에 서비스 프록시(404)가 관련 정보를 캐시하는 것을 동의하면, 서비스 프록시는 서비스 서버 SSM (406)를 대신하여 그것의 SSM (422)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그것의 SSR (424)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록시(404)는 잠재적으로 가용 가능한 서비스들에 관련한 정보를 가지고 서비스 서버(들)(400)을 대신하여 응답한다. 이런 정보는 예를 들어 연결 인터페이스(들)(414) 및 연결 인터페이스(들)(414)이 추가 통신을 위해 가용 가능할 수 있는 시간들 및 수단들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가 직접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하는 것을 또한 허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비스 프록시(404)는 서비스 서버(400)에 관련한 현재의 전력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것에만 의해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의 변화에 대한 요청들은 서비스 서버(400)와 직접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프록시(404)는 설사 그것이 즉시 그 자신을 대표하여 응답할 수 없을지라도 서비스 클라이언트(402)가 서비스 서버(400)를 인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상태에 관련한 정보는 서비스들에 대하여 수송되는 정보의 추가정보(supplement)로서 수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PnP 프레임워크내의 심플 서비스 탐지 프로토콜(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또는 저 전력 서비스 상태 변수들이 활용될 수 있다. SSDP에 대한 확장은 디바이스 기준마다 대신에 서비스 기준 마다(a p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상태에 관련한 정보는 현존하는 서비스 정보에 대한 수정으로서 수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상태에 관련한 정보는 서비스에 대하여 제공되는 정보 예를 들어 확장 Bonjour 또는 mDNS에 대한 추가정보로서 수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보는 HTTP를 이용하여 수송되는 XML 문서에 수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인터페이스(414)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IEEE 1905 호환 프레임워크의 계층 2 TLV들을 이용하여 통신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연결 인터페이스(414)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수립된 계층 2 수단들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내로 수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상태 번호 또는 명칭, 슬립 기간, 응답 시간(response time)의 레이턴시(latency)(만약 슬립 기간과 다르다면), 버스트 비트 레이트(burst bit rate),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연결, 메시지 길이의 제한치 등: 정보 항목들의 각각은 연결 전력 상태 정보/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하여, 활성화 상태, 비활성 상태, 다음 스케줄 된 활성상태 기간, 향후 활성화 기간에 대한 요청, 서비스 제한들, 전력 레벨들에 해당하는 값들의 열거된 셋(set) 중 하나 등: 정보의 각각은 서비스 전력 상태 정보/설명에 포함될 수 있다. 주어진 물리적 디바이스는 서비스 서버(400), 서비스 클라이언트(402), 서비스 프록시(406)의 예시된 성능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수용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를 위한 방법(500)의 로직 다이어그램(logic diagram)이다. 이 실시예의 단계 502에서, 서비스 서버/제공자는 서비스 클라이언트로부터 희망하는 서비스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이러한 서비스 상태 정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원되는 서비스들의 리스트, 전력 상태 정보, 서비스 성능들, 서비스 사용량 상태, 관련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상태,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향후 가용 가능성,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암시적/명백한(implicit/explicit) 요청, 현재 서비스 가용 가능성의 ACK(acknowledgement)(임의 서비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의한 액세스의 승인으로 해석될 수 있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서비스 상태 정보를 즉각 대답하는 통신을 함으로써 단계 504에서 응답한다. 이런 정보는 임의의 실시예들(예, 서비스 서버가 전력 상태 또는 서비스 상태 고려사항들 때문에 때맞춘 응답을 제공할 수 없을 때)에서는 프록시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또는 단계 502에서의 최초 요청과 함께),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단계 506에 표시된 것처럼 희망하는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502는 향후에 명시되지 않은 지점에서 개시될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후속 요청과 함께 서비스 클라이언트의 개시 또는 주기적인 유지보수 동작들, 구성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단계 508에서, 요청이 향후 시간에서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것이라고 결정되면, 해당 요청은 단계 510에서 실행되는 캐시(cache)되고 큐잉(queue)된다.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서버는 희망하는 시간에 앞서서 요청된 서비스의 개시를 시작하도록 선택할 수 있어서 해당 서비스는 희망하는 시간에서는 완벽하게 가용 가능하고 그리고 활성 상태에 있는다. 만약 서비스 클라이언트 요청이 즉각적이고 그리고 서비스가 단계 512에서 판단된 것처럼 현재 불활성 상태에 있다면, 서비스 서버/제공자는 단계 516에서의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서비스 액세스를 제공하기 전에 서비스를 활성화시킨다(단계 514).
다음, 단계 518에서, 서비스 서버/ 제공자는 서비스 해제 통지(service release notification), 타임머 종결(timer expiration), 또는 다른 수단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서비스 완성의 감지를 대기한다.이 서비스 해제의 감지에 이어서, 단계 520에서 예시된 실시예의 서비스 서버/제공자는 서비스가 감소된 전력 상태(예를 들어, 오프 상태)로 진입하게 하여서 디바이스들 및 서비스들의 집합에 대하여 네트워크 전력 절약(network power savings)을 제공한다. 감소된 전력 상태는 서비스를 위하여 관련되지 않은 미결정 요청들을 다루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연기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관리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동작 가능한 필수적인 기능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 및 트랜시버 회로부 (60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 상에서 주거용 네트워크(626)와 디바이스(600)사이에서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디바이스(600)의 성능들 및 구성에 의존하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쌍방향일 수 있고 그리고 전용 또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할 수 있다. 통신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프로파일 및 자원 정보, 유저 및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 제어 신호들, 오디오/비디오 컨텐츠, 호스트 된 서비스 데이터와의 인터랙션들, 유저 데이터, 중계되는 정보, 서비스를 위한 요청 및 그것의 해제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600)는 통신, 서비스들 및 디바이스와 다른 네트워크 노드,제 3자들, 소프트웨어 에이전트(agent)들 등 사이의 연락(associations)을 프로세스 및 관리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싱 회로부(604)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싱 회로부(604)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관리 로직(614)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서비스 탐지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 제어부(616) , 자원/서비스 관리(618) 및 보안/인증(620) 기능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관리 애플리케이션 (6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600)은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그리고 정적 또는 동적 메모리(624)에 유지될 수 있는 프로파일 정보를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런 프로파일 정보는 디바이스 및/또는 유저가 자신의 이미지 및 그것의 성능들을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에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별히, 디바이스 /자원 프로파일 정보 (606) 및 유저 프로파일 정보 (608)는 다양한 전력 관리 인터랙션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정 디바이스의 성능들 및 조건들에 의존하여, 디바이스 또는 유저 프로파일은 정적 또는 동적일 수 있다.
임의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600)는 유저 인터페이스 회로부(610)을 통하여 유저(들)과 인터랙트 할 수 있다. 디바이스(600) 에 대한 유저 입력은 예를 들어, 키패드를 통한 데이터 입력,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 디바이스, 게임 제어기, 디바이스 제어 버튼들, 음성 또는 제스처 명령들,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600)에 대한 인가된 액세스 또는 그것의 인가된 제어는 고유한 바이오인식 식별자(biometric identifier)들, 패스워드들, 토큰 기반 식별(token-based identification), 운전 면허증 또는 여권과 같은 신뢰된 허가들 또는 서류들, 및 유사한 인증 또는 지불 수단들을 통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디바이스(600)는 코어(core) 또는 기본 기능성 (622)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미디어 디코딩 및/또는 렌더링(rendering)기능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성능들을 갖는 미디어 플레이어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네트워킹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주로 기능을 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이용될 수 있는, 용어들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및 "대략(approximately)"은 그 대응하는 항목에 대한 산업계에서 수용되는 허용오차(industry-accepted tolerance) 및/또는 항목들 사이의 상대성(relativity)을 제공한다. 이러한 산업계에서 수용되는 허용오차는 1 퍼센트(percent) 미만 내지 50 퍼센트까지의 범위이고, 구성요소 값들, 집적회로 프로세스 변동들, 온도 변동들, 상승 및 하강 시간들, 및/또는 열 잡음(thermal noise)에 대응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항목들 사이의 이러한 상대성은 수 퍼센트의 차이로부터 10배 차이까지의 범위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이용될 수 있는, 용어(들) "동작 가능하게 결합됨(operably coupled to)", "결합됨(coupled to)", 및 "결합함(coupling)"은 항목들 사이의 직접 결합 및/또는 개입 항목을 통한 항목들 사이의 간접 결합을 포함하고(예를 들어, 항목은 구성요소, 소자, 회로, 및/또는 모듈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음), 간접 결합에 대하여, 개입 항목은 신호의 정보를 변형하지 않지만, 그 전류 레벨, 전압 레벨, 및/또는 전력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추가로 이용될 수 있는, 추론된 결합(inferred coupling)(즉, 하나의 소자가 추론에 의해 또 다른 소자에 결합됨)은 "결합됨"과 동일한 방식의 2개의 항목들 사이의 직접 및 간접 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훨씬 더 이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동작가능(operable to)" 또는 "동작 가능하게 결합됨(operably coupled to)"은, 항목이 활성화될 때, 하나 이상의 그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 접속들, 입력(들), 출력(들), 등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항목들에 대한 추론된 결합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훨씬 더 이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와 관련된(associated with)"은 별개의 항목들 및/또는 다른 항목 내에 내장된 하나의 항목의 직접 및/또는 간접 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어 "호의적으로 비교함(compares favorably)"는 2개 이상의 항목들, 신호들 등의 사이의 비교가 희망하는 관계를 제공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희망하는 관계가 신호 1이 신호 2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일 때, 호의적인 비교는 신호 1의 크기가 신호 2의 크기보다 클 때, 또는 신호 2의 크기가 신호 1의 크기보다 작을 때에 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용어 "프로세싱 모듈(processing module), "프로세싱 회로(processing circuit)"및/또는 "프로세싱 유닛(processing unit)"은 단일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중앙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 로직 회로부, 아날로그 회로부, 디지털 회로부, 및/또는 동작 명령들에 기반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신호들을 조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메모리 및/또는 집적된 메모리 소자일 수 있거나 이것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소자는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장된 회로부 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정적 메모리(static memory), 동적 메모리(dynamic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하나를 초과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은 중앙에 위치되거나(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버스 구조를 통해 함께 직접 결합됨), 분산될 수 있음(예를 들어, 로컬 영역 네트워크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 결합에 의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스테이트 머신, 아날로그 회로부, 디지털 회로부, 및/또는 로직 회로부를 통해 그 기능들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경우, 대응하는 동작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소자는 스테이트 머신, 아날로그 회로부, 디지털 회로부, 및/또는 로직 회로부를 포함하는 회로부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거나, 이 회로부의 외부에 있을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또한, 메모리 소자는 도면들의 하나 이상에서 예시된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소자는 제조 물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시된 기능들의 성능 및 그것들의 관계를 예시하는 방법 단계들을 돕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 기능적 구성 블록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기술된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하게 수행되기만 하면,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또는 순서들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취지 내에 있다. 또한, 이 기능적 구성 블록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떤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하게 수행되기만 하면,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어떤 중요한 기능을 예시하기 위하여, 순서도 블록들이 본 출원에서 임의로 정의될 수도 있다. 활용되는 한도까지,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시퀀스는 달리 정의될 수 있고, 어떤 중요한 기능을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적 빌딩 블록들 및 순서도 블록들 둘 모두의 이러한 대안적인 정의들 및 시퀀스들은 이와 같이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취지 내에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기능적 빌딩 블록들, 및 다른 예시적인 블록들, 모듈들 및 컴포넌트들은 예시된 바와 같이 또는 별개의 구성요소들, 특정 용도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들 및 유사한 것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적어도 부분으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예시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다. 장치, 제조 물품, 머신, 및/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프로세스(process)의 물리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설명된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 도면에 걸쳐, 실시예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번호들을 이용할 수 있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병합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이거나 상이한 것들일 수 있다.
특히 상반되게 기술되지 않았으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도면들 중의 임의의 도면의 소자들로의 신호들, 이 소자들로부터의 신호들, 및/또는 이 소자들 사이의 신호들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연속 시간 또는 이산 시간(discrete time), 및 싱글-엔디드(single-ended) 또는 차동(differentia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경로가 싱글-엔디드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는 경우, 그것은 또한 차동 신호 경로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신호 경로가 차동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는 경우, 그것은 싱글-엔디드 신호 경로를 또한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아키텍처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버스들, 소자들 사이의 직접 접속, 및/또는 다른 소자들 사이의 간접 결합을 이용하는 다른 아키텍처들이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모듈"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이용된다. 모듈은 프로세싱 모듈, 기능적 블럭, 하드웨어, 및/또는 본 출원에서 설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만약 모듈이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되면, 하드웨어는 독자적으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서브-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것들의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들 및 특징들의 구체적인 조합들은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설명되었지만, 이 특징들 및 기능들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체적인 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이 다른 조합들을 명확하게 병합한다.

Claims (15)

  1. 디바이스들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에서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을 위해 할당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갖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에 관련한 서비스 상태 정보(service status information)에 대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액세스를 위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 이후에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감소된 전력 상태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서비스 성능들, 서비스 사용량 상태, 관련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상태, 서비스의 현재 가용 가능성, 및 서비스의 향후 가용 가능성(future availability of a servic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에 관련한 전력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정보는 전력 레벨들에 해당하는 값들의 열거된 셋(s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는 가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 상기 네트워크는 프록시 성능들을 갖는 제 3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삭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액세스를 위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스케줄된 비활성 상태의 기간(scheduled period of inactivity) 완성에 이어서 발생하는, 방법.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액세스를 위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가 제공되는, 방법.
  11. 디바이스들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소모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서비스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전력 제어기(internal power controller)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의 해제를 위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해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전력 제어기는 상기 서비스를 감소된 전력 상태로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서비스 성능들, 서비스 사용량 상태, 관련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상태, 서비스의 현재 가용 가능성, 및 서비스의 향후 가용 가능성(future availability of a servic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을 포함하는, 방법.
  12.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인터랙트(interact)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 회로부(Device circuitry)에 있어서,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을 지원하고, 상기 디바이스 회로부는,
    자원(resource);
    상기 자원에 결합된 인터페이스 회로부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는 상기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자원에 액세스(access)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
    상기 자원에 관련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통신하고; 및
    상기 자원에 대한 액세스 및 그것의 해제를 위한 요청들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와 결합된 프로세싱 회로부(processing circuitry); 및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 및 상기 자원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자원에 대한 액세스 및 그것의 해제를 위한 요청들에 응답하여 상기 자원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력 관리 제어기(power management controller),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서비스 성능들, 서비스 사용량 상태, 관련 연결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상태, 서비스의 현재 가용 가능성, 및 서비스의 향후 가용 가능성(future availability of a service):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회로부.
  13.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기는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바이스 회로부.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는 전력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회로부.
  15. 삭제
KR1020130049098A 2012-05-01 2013-05-01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회로부 KR101448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1293P 2012-05-01 2012-05-01
US61/641,293 2012-05-01
US13/660,804 US9825767B2 (en) 2012-05-01 2012-10-25 Service based power management in a network
US13/660,804 2012-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923A KR20130122923A (ko) 2013-11-11
KR101448055B1 true KR101448055B1 (ko) 2014-10-07

Family

ID=4809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098A KR101448055B1 (ko) 2012-05-01 2013-05-01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회로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5767B2 (ko)
EP (1) EP2661012B1 (ko)
KR (1) KR101448055B1 (ko)
CN (1) CN103384201B (ko)
HK (1) HK1186876A1 (ko)
TW (1) TWI5384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745B1 (ko) * 2013-04-05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장치 및 방법
CN104426926B (zh) * 2013-08-21 2019-03-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定时发布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GB2526573A (en) * 2014-05-28 2015-12-02 Blueberry Consultants Ltd Controlling a server
JP6538867B2 (ja) 2015-02-20 2019-07-03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メッセージバスサービスディレクトリ
US10846041B2 (en) * 2015-05-18 2020-11-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any, L.P. Audio and video processors
KR101709971B1 (ko) * 2015-08-27 2017-02-24 전자부품연구원 능동 대기 모드 지원을 위한 upnp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88554B1 (ko) * 2015-09-24 2019-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셋톱 박스의 대기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ip 주소 확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셋톱 박스, 전력 관리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105A (ko) * 2007-12-12 2009-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절감요소 내장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서버 및 그제어 방법
US20110072103A1 (en) * 2009-09-24 2011-03-24 Buffalo Inc. Local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87903A1 (en) * 2009-10-14 2011-04-14 Neil William Macdougall Controlling a power state of 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3709B2 (ja) 1997-09-30 2006-01-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源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US7739718B1 (en) * 2002-08-23 2010-06-15 Arris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nsing the state of a video display device
JP2005175625A (ja) * 2003-12-08 2005-06-30 Hitachi Ltd 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229228A1 (en) * 2004-04-07 2005-10-13 Sandeep Relan Unicast cable content delivery
US20060031887A1 (en) * 2004-04-30 2006-02-09 Sparrell Carlton J Centralized resource manager
US20060005052A1 (en) * 2004-06-30 2006-01-05 Roe Bryan Y Power management mechanism for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US9778718B2 (en) * 2009-02-13 2017-10-03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Power supply and data center control
US20120185718A1 (en) * 2009-10-07 2012-07-1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apparatus, network management app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105A (ko) * 2007-12-12 2009-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절감요소 내장 홈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서버 및 그제어 방법
US20110072103A1 (en) * 2009-09-24 2011-03-24 Buffalo Inc. Local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87903A1 (en) * 2009-10-14 2011-04-14 Neil William Macdougall Controlling a power state of 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84201B (zh) 2016-10-05
TWI538439B (zh) 2016-06-11
EP2661012B1 (en) 2015-12-09
US9825767B2 (en) 2017-11-21
CN103384201A (zh) 2013-11-06
HK1186876A1 (zh) 2014-03-21
TW201347462A (zh) 2013-11-16
EP2661012A1 (en) 2013-11-06
US20130298174A1 (en) 2013-11-07
KR20130122923A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055B1 (ko)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회로부
US84181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US91134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er-side handling of a low-power client in a wide area network
US7698467B2 (en) Method for transforming contents in the DLNA system
US20060031888A1 (en) Centralized resource management and un-managed device support
JP6683410B2 (ja) 装置電力状態制御方法及びコントローラ
KR20140039028A (ko) 저-소모 스탠바이 모드를 탈출하기 위한 방법, 및 연관된 디바이스
WO2005094075A2 (en) Centralized resource management and un-managed device support
CN102244604A (zh) 一种家庭网关的服务质量控制方法及家庭网关及系统
EP26618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distribution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WO2015077983A1 (zh) 在家庭网络中播放媒体的装置和方法
EP2510647B1 (en) Network based remote power management
WO2015196766A1 (zh) 带宽控制方法、iptv终端设备及通信系统
JP5220427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端末、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KR101860191B1 (ko) 에너지 효율적인 홈 비디오 캐시 운영 방법 및 장치
US10057643B2 (en) UPn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standby mode
JP2010050654A (ja) 映像受信装置、映像伝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