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753B1 -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753B1
KR101447753B1 KR1020080029490A KR20080029490A KR101447753B1 KR 101447753 B1 KR101447753 B1 KR 101447753B1 KR 1020080029490 A KR1020080029490 A KR 1020080029490A KR 20080029490 A KR20080029490 A KR 20080029490A KR 101447753 B1 KR101447753 B1 KR 10144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stem information
information
update
pdcch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188A (ko
Inventor
안승진
임수환
김영미
서인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75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갱신하는 단계,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상으로 시스템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통보(update notification)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갱신 통보는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그 값이 토글(toggle)되는 시스템 정보의 버젼정보(SI version info) 및 상기 PDCCH상에서 상기 갱신 통보가 전송됨을 식별하게 하는 갱신 식별자를 포함한다.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소비를 절감하고 PDCCH의 복호화의 복잡도(Complexity)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Updated System Inform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WCDMA의 첫번째 진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은 중기적인(mid-term) 미래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무선 접속 기술을 3GPP에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 사항과 기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경쟁하는 무선 접속 기술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3GPP에서의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3세대 이후의 시스템에서 고려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가 낮은 복잡도로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 시스템이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볼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 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송신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전송되는 심볼의 간격이 길어져 심볼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는 OFDM을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부반송파의 일부를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다중 접속을 실현하는 다중 접속 방법을 말한다. OFDMA는 부반송파라는 주파수 자원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각각의 주파수 자원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주파수 자원은 사용자마다 상호 배타적으로 할당된다.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는 현재의 셀이나 이웃한 셀에서 사용하는 코드정보, 전력수준등 무선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단말은 최초에 기지국 시스템에 위치등록(registration)을 할 때 또는 핸드오버(handover)를 통해 새로운 기지국으로 넘어갈 때, 자신이 속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상태를 알 수 있고, 기지국에 접속시 그 접속 방법과 절차를 알 수 있다.
특정 단말의 RRC 계층과 기지국의 RRC 계층이 서로 RRC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을 때 해당 단말은 RRC 연결상태(Connected state)에 있고,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해당 단말은 휴지상태(Idle state) 상태에 있다고 한다. 단말이 휴지상태에 있다가 RRC 연결상태로 전환될 때는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부터 알게 된 접속 방식대로 접속을 시도한다.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시스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갱신(update)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먼저 단말에 알려준다. 이는 단말이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수신을 준비하게 하고 단말의 전력소비를 절감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제어정보의 형식에 관하여 아직까지 정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단말의 상태(휴지상태 또는 RRC 연결상태)마다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는 제어정보의 형식이 새롭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소비 절감,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는 제어정보의 전송시 오버헤드의 감소, 제어채널의 복호화(decoding)의 복잡도 감소를 제공하는 새로운 제어정보의 형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갱신하는 단계,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상으로 시스템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통보(update notification)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갱신 통보는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그 값이 토글(toggle)되는 시스템 정보의 버젼정보(SI version info) 및 상기 PDCCH상에서 상기 갱신 통보가 전송됨을 식별하게 하는 갱신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갱신 통보가 전송됨을 식별하게 하는 갱신 식별자를 찾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monitering)하는 단계, 만약 상기 PDCCH가 성공적으로 복호화되어 상기 갱신 통보에 포함된 버젼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한 버젼정보를 이전에 획득한 버젼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버젼정보와 상기 이전에 획득한 버젼정보가 다른 경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버젼정보는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그 값이 토글(toggle)되는 값이다.
단말이 휴지상태에서 호출목적(Paging Cause)이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위한 경우에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RRC 연결상태인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이 갱신 식별자를 BCCH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에만 내려주는 것이 아니라 전 구간에 걸쳐서 전송하므로 RRC 연결상태인 단말이 주기적으로 확인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PDCCH의 복호화의 복잡도(Complexity)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NB(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에서 기지 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기지국(20)은 단말(10)에 사용자 평면과 제어 평면의 종단점을 제공한다. 기지국(20) 간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인접한 기지국(20) 간에는 항상 X2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메쉬(meshed) 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functional split)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빗금친 블록은 무선 프로토콜 계층(radio protocol layer)을 나타내고, 빈 블록은 제어 평면의 기능적 개체(functional entity)를 나타낸다.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허가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단말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능, (2) 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3) S 게이트웨이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4)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5)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6)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MME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기지국들로 페이징 메시지의 분산, (2) 보안 제어(Security Control), (3) 아이들 상태 이동성 제어(Idle State Mobility Control), (4) S 베어러 제어, (5)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의 암호화(Ciphering) 및 무결 보호(Integrity Protection).
S 게이트웨이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페이징에 대한 사용자 평면 패킷의 종점(termination), (2) 단말 이동성의 지원을 위한 사용자 평면 스위칭.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연결 (Open System Interconnection; 이하 OSI) 모델은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층), L2(제2 계층), L3(제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에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이 있다.
상기 OSI 모델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과 비교할 때, 물리 계층은 L1에 해당하고, 그 상위의 MAC 계층 및 RLC 계층은 L2에 해당하며, RRC 계층은 L3에 해당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구조는 단말과 E-UTRAN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단말에서는 이 모든 프로토콜들이 하나의 개체 안에 들어가지만, E-UTRAN에서는 각 망 구성 요소별로 분산될 수 있다.
제1 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연결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MAC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 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물리 계층에는 데이터 다중화, 채널 코딩, 확산, 변조 등의 기술들이 적용된다. 이와 더불어, 무선 환경에서는 단말의 이동이나 주위 환경에 따라 무선신호가 수시로 변하므로,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요구된다.
제2 계층에 해당하는 무선 데이터링크 계층은 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으로 구성된다. 제2 계층의 MAC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 사이의 매핑을 담당하는 계층으로, RLC 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적절한 전송채널을 선택하고, 필요한 제어 정보를 MAC PDU(Protocol Data Unit)의 헤더(header)에 추가한다.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맵핑관계에 관하여는 후술된다.
제2 계층의 RLC 계층은 MAC 계층의 상위에 위치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있는 전송을 지원한다. 또한 RLC 계층은 무선 구간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RLC SDU(Service Data Unit)들을 분할(Segmentation)하고 연결(Concatenation)한다. 수신기의 RLC 계층에서는 수신한 RLC PDU들로부터 원래의 RLC SDU를 복구하기 위해 데이터의 재결합(Reassembly)기능을 지원한다.
각 RLC 개체(entity)는 RLC SDU의 처리 및 전송 방식에 따라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 TM),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 ; UM),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 AM)로 동작할 수 있다. 모든 RLC 모드들에 대하여 물리 계층에서의 CRC 오류 검출이 수행된다. 그리고 CRC 검사의 결과가 실제 데이터와 함께 RLC에 전달된다.
제2 계층의 PDCP 계층은 패킷교환 영역에서만 사용되며, 무선채널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IP패킷의 헤더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3 계층의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하위 계층을 제어하는 역할과 함께,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무선자원 제어정보를 교환한다. 단말의 통신 상태에 따라 다양한 RRC 상태가 정의되며, 필요에 따라 RRC 상태간 전이가 가능하다. RRC 계층에서는 시스템 정보방송, RRC 접속 관리 절차,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제어절차, 보안절차, 측정절차, 이동성 관리 절차(핸드오버)등 무선자원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절차들이 정의된다. RRC 계층은 단말과 망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이하에서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의 종류와 맵핑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은 RLC 계층과 MAC 계층 사이에서,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은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서 제공되는 채널이다. 전송채널은 논리채널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지만, 여러 개의 논리채널이 하나의 전송채널로 매핑될 수 있다. 논리채널과 전송채널의 중간에 위치한 MAC 계층은 이들 사이의 매핑 기능을 담당한다. 물리계층은 전송채널과 물리채널간의 매핑 기능을 담당한다.
각 논리채널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제어채널(Control Channel)과 트래픽채널(Traffic Channel)로 구분된다. 제어채널은 제어평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로서, 제어정보의 종류에 따라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를 사용하고, 트래픽채널은 사용자의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로서,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 MTCH(MBMS Traffic Channel)를 사용한다.
BCCH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단말에 알려주는 하향링크 채널이다. 시스템 정보에는 현재의 셀이나 이웃한 셀에서 사용하는 코드정보, 전력수준등 무선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PCCH는 단말의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채널로서, 망에서 특정 단말을 호출할 때 사용한다. 하나의 호출 메시지에는 하나 또는 여러 단말의 호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CCH는 특정 단말과 무선접속망(예를 들어 UTRAN) 사이의 전용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양방향 채널이다. 단말과 무선접속망 사이에서 교환되는 대부분의 제어메시지는 DCCH를 통해 전송된다. CCCH는 전용제어채널이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단말과 무선접속망 사이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양방향 채널이다. 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을 위해 단말의 식별정보 중 하나인 U-RNTI(UTRAN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가 포함된다. MCCH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MTCH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하향링크 채널이다.
DTCH는 특정 단말에 전용으로 할당된 전용 트래픽 채널로서 이 채널을 통해 트래픽 데이터가 전송되는 양방향 채널이다. MTCH는 모든 단말들 또는 특정 단말들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향링크 채널이다. 일반적으로 각 논리채널은 하나의 RLC 개체(entity)와 연결된다.
전송채널은 논리채널과는 달리 전송되는 데이터의 발생 특성에 의해 다양한 전송채널이 사용될 수 있는데, 크게 전용채널(Dedicated Channel)과 공용채널(Common Channel)의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전용채널은 특정 단말에 의해 전용으로 사용되는 채널을 의미하고, 공용채널은 여러 단말이 공용할 수 있는 전송채널을 의미한다.
하향링크 전송채널(downlink transport channel)에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단말의 호출정보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DL-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DL-MCH(Downlink-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상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UL-SCH(Uplink-Shared Channel)가 있다.
하향링크 전송채널이 매핑되는 하향링크 물리채널(downlink physical channel)에는 DL-SCH가 매핑되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있다. 상향링크 전송채널이 맵핑되는 상향링크 물리채널에는 RACH가 매핑되는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및 UL-SCH가 맵핑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있다. PUSCH는 물리 상향링크 공용 채널로서, 단말이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채널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의 2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어 영역은 제어신호만을 전송하는 영역으로, 제어채널인 PDCCH에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역으로, 데이터채널인 PDSCH에 할당된다. 제어채널과 데이터채널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신호는 사용자 데이터가 아닌 신호로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Acknowledgement)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제어 영역은 서브프레임의 시작부분에 위치하고, 데이터 영역은 제어영역이 끝난 다음 부분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서브프레임 상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의 배치는 제한이 아니다.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단말 입장에서 한 서브프레임 당 매 슬롯은 시간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서브프레임이 2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때, 한 서브프레임은 총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서브프레임에서 제어신호와 데이터 각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된다고 할 때, 처음 3개의 OFDM 심볼은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나머지 11개의 OFDM 심볼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 서브프레임 상에서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1개의 OFDM 심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1개의 부반송파와 1개의 OFDM 심볼은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라 불리기도 한다. 하향링크의 경우, 1개의 OFDM 심볼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개수는 단말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FDMA 시스템에서 1개의 OFDM 심볼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개수는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폭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개수가 된다.
도 4는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말(50)은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RF부(RF unit, 53),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5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55)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1)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이 구현되어,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각 계층들의 기능은 프로세서(51)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단말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54)는 단말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부(53)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을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도 5는 RRC 연결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정 단말의 RRC 계층 과 기지국의 RRC 계층이 서로 RRC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을 때 해당 단말은 RRC 연결상태(Connected state)에 있고,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해당 단말은 휴지상태(Idle state) 상태에 있다고 한다. 도 5는 휴지상태(Idle state)의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을 맺기 위한 RRC 연결 과정(RRC connection procedure)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휴지상태의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110). RRC 연결 요청 메시지는 초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식별자(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 연결 이유 등을 포함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시스템 정보 또는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통하여 가능한 랜덤 액세스 시그너처(random access signature) 및 RACH 기회(occasion)를 선택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S120). RRC 연결 설정 메시지는 단말의 고유 식별자인 셀 무선망 임시 식별자(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이하 C-RNTI), 무선 베어러 정보(radio bearer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C-RNTI는 특정한 셀내에서만 유효하다. 만일 핸드오버를 통해서 셀이 변경되는 되는 경우에는 단말은 변경된 기지국으로부터 C-RNTI를 새로 부여받는다.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C-RNTI를 이용하여 자신을 위한 PDCCH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로 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 시지를 전송한다(S130).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는 무선망 임시 식별자, 단말 성능 정보 등을 포함한다.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되고(S140), 단말은 RRC 연결상태(Connected state)가 된다.
RRC 연결상태에 있는 단말들은 다음의 4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공유 데이터 채널(shared data channel)과 연관된 제어채널(control channel)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제어채널에 데이터가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결정함. (2) 채널 품질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제공. (3) 인접한 셀의 측정(measurement)을 수행. (4) 시스템 정보의 획득.
한편, 휴지상태에 있는 단말들은 다음의 4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전력소모(Power Consumption)를 줄이기 위해 DRX(Discontinuous Reception) 방식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불연속적으로(discontinuously) 수신함. 이때,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수신할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 구간 동안에는 수면모드(Sleeping Mode) 상태에 있게 된다. (2) 수신통화를 감지(detect)하기 위해 호출채널(Paging Channel)을 모니터링(monitering). (3) 셀선택(Cell-selection) 또는 셀 재선택(Cell-reselection)의 수행. (4)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의 획득.
이와 같이 RRC 연결상태에 있는 단말과 휴지상태에 있는 단말들은 모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은 최초에 기지국 시스템에 위 치등록(registration)을 할 때 또는 핸드오버(handover)를 통해 새로운 기지국으로 넘어갈 때, 자신이 속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를 수신해야 한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상태를 알 수 있고, 기지국에 접속시 그 접속 방법과 절차를 알 수 있다. 단말이 휴지상태에 있다가 RRC 연결상태로 전환할 때는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부터 알게 된 접속 방식대로 접속을 시도한다.
도 6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이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기지국과 단말은 프레임 번호(Frame Number; FN)을 가지고 서로의 동기(syncronization)를 맞추며, 3G 계열에서는 상기 프레임 번호를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이라 한다. 시스템 프레임 번호는 일종의 카운터(counter)와 같은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 정보의 갱신은 특정한 무선 프레임 주기로 발생한다. 즉,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위한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의 개념이 사용된다.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스케줄링에 의해 정의된 대로, 변경 주기내에서 동일한 내용으로 여러번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변경 주기의 영역(boundary)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일정한 간격 N으로 나눈 값에 의해 정의된다. 네트워크가 시스템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갱신한 때,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갱신을 단말에 통보한다(notify). 이 과정은 하나의 변경 주기인 BCCH 변경 주기(n)에 걸쳐 이루어진다. 다음 변경 주기인 BCCH 변경 주기(N+1)에, 상기 네트워크는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갱신 통보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은 현재 자신이 알고 있는 시스템 정보가 다음 변경 주기 경계이전까지만 유효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다음 변경 주기 경계 다음에, 상기 단말은 새로운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휴지상태의 단말은 호출 메시지(paging message)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인식한다. RRC 연결상태의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 감지를 위한 목적에 의해 정의된 주기적인 시기(occasion)마다 제어채널인 PDCCH를 모니터한다. 만약 단말이 PDCCH에서 Paging-RNTI 또는 SC-RNTI(System Information Change-RNTI)를 감지하면, 상기 단말은 다음 변경 주기 영역에서,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것임을 알 수 있다(Paging-RNTI와 SC-RNTI에 관하여는 후술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다음 변경 주기 영역에서 PDCCH상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함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SI-RNTI(System Information-RNTI)를 이용하여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 대해서 PDCCH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C-RNTI를 같이 XOR(즉, 특정 단말을 위한 마스킹(UE specific masking))연산시켜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은 디마스킹(demasking)을 통해 PDCCH의 CRC가 자신의 C-RNTI에 의해 유도된 것인지를 확인한다. C-RNTI는 단말마다 고유한 값으로 주어지므로, 특정 단말의 C-RNTI로 마스킹된 PDCCH는 그 특정 단말만이 성공적으로 복호화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 단말에게 전용한(dedicated) 제어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C-RNTI 이외에도 PDCCH에 마스킹되는 식별자는 다양하다. PDCCH는 일종의 공유 제어채널로서, 기지국이 필요에 따라 식별자를 달리 마스킹함으로써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구분하거나, 또는 PDCCH를 통해 제어정보를 수신할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과 같이 시스템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셀내에서 단말은 RRC 연결상태(RRC Connected State) 및 휴지상태(Idle State)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인다. 단말의 상태에 따라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단말에 알려주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S200). 전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정보는 현재의 셀이나 이웃한 셀에서 사용하는 코드정보, 전력수준등 무선환경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parameter)들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이다. 시스템 정보는 주기성과 같은 동일한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가진 복수의 시스템 정보 블록을 운반한다. 동일한 주기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의 시스템 정보 블록들은 가장 자주 전송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주 시스템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및 시스템 정보가 언제 전송될지를 주로 가리키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마스터(System Information Master; SI-M)과 시스템 정보 1(System Information 1; SI-1) 하나의 시스템 정보 블록만을 운반하는 시스템 정 보 메시지의 특이한 버젼이다. 상기 SI-M 메시지는 BCH로 전송되며, 나머지 SI 메시지들은 DL-SCH로 전송된다.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통보(Update Notification)을 PDCCH상으로 전송한다(S210). 즉,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먼저 단말에 알려준다. 만약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단말에 알려주지 않고 갱신된 시스템 정보만을 전송한다면, 셀내의 모든 단말은 시스템 정보가 갱신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번 시스템 정보를 수신해야하는 부담이 있다. 이는 단말의 전력낭비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알려주기 전에 먼저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는 갱신 통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갱신 통보는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S220).
이하에서 갱신 통보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갱신 통보(Update Notification)는 시스템 정보가 갱신된 경우, 이를 미리 단말에 알려 갱싱된 시스템 정보의 수신을 준비하게 하는, 시스템 정보의 갱신에 관한 제어정보이다. 갱신 통보는 PDCCH상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이며, 단말의 상태(휴지상태 또는 RRC 연결상태)에 따라 그 형식(format)이 다를 수 있다. 표 1은 단말이 휴지상태(Idle State)에 있는 경우, PDCCH로 전송되는 갱신 통보의 형식(Format of Update Notification)을 나타낸다. 표 1은 PDCCH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5MHz인 경우의 예이다.
Purpose Used Bits Comment
Paging Cause 1 SI Update Notification or Call Connection
Resource Allocation 5 PRB assigned for paging is for further study. The number of bits depends which flexibility is allowed on range 5-14 bits in 5 MHz case
Transport Format 3 Transport format indicator. Transport block size (TBS) 2-5 bits
SI Version Info various Compare Received SI Version info with the last one
Paging RNTI+CRC 16 CRC masked with Paging RNTI
Payload Size
Signaling Entity 28
표 1을 참조하면, 갱신 통보의 형식은 호출 목적(Paging Cause), 자원할당(Resource Allocation), 전송형식(Transport Format), 시스템 정보의 버젼 정보(SI Version Info), 시스템 정보 갱신을 나타내는 갱신 식별자인 Paging-RNTI와 PDDCH의 CRC, 및 시그널링 개체(Signaling Entity)를 포함한다.
휴지상태의 단말에 대한 호출 목적은 다음의 2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첫째, 기지국이 휴지상태의 단말을 호연결(Call Connection) 상태로 유도하기 위한 경우이다. 둘째, 기지국이 셀내의 휴지상태의 단말에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기 위한 경우이다. 호출 목적은 1비트 정보로서, 0은 호연결을 나타내고, 1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일 뿐 비트정보와 그 의미간의 대응관계는 바뀔 수 있다. 호출 목적을 수신한 단말은 그 호출 목적에 따라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던지 아니면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받을 준비를 할 것이다. 만약, 호출 목적이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기 위한 경우이면, 단말은 버젼 정보를 참조하여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원할당과 전송형식은, 호출 목적이 호연결인 경우, PDSCH에서 호연결에 관련된 메시지가 어느 위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부터 할당되고, 얼마만큼의 자원블록을 차지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이다. 따라서, 호출 목적이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기 위한 경우라면, 갱신 통보의 형식은 자원할당과 전송형식을 제외한 호출 목적, 버젼 정보, 및 Paging-RNTI만을 포함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지국이 상기 자원할당과 전송형식을 따로 전송할 필요도 없고, 단말이 상기 자원할당과 전송형식을 별도로 알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PDCCH상에서 전송되는 Paging-RNTI에 의한 갱신 통보의 총 비트 수는 호출 목적에 관계없이 일정한 비트 수로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전송 비트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PDCCH상으로 전송되는 갱신 통보만으로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단말로 알려줄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PDSCH로 별도의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리기 위해 단말로 전송해야 할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양이 감소한다. 이는 하향링크 전송의 오버헤드를 줄이므로 시스템 수율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단말도 PDSCH를 복호화할 필요가 없어 전력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버젼정보(Version info; 이하 간단히 버젼정보라 함)는 시스템 정보가 갱신되는 횟수를 표현하는 인덱스(index)라 할 수 있으며, 번호 태그(Value Tag)라 불릴 수 있다. 단말이 특정 셀에 위치등록을 하거나 핸드오버를 통해 진입하면,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현재 시스템 정보의 버젼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때는, 미리 하나 증가된 버젼정보를 단말로 알려준다. 단말은 현재 수신한 버젼정보와 이전에 수신하여 저장했던 버젼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버젼정보는 초기값(예를 들어 0)부터 시작하여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그 값이 토클(toggle) 형식으로 변경되고, 최대값에 도달하면 모듈로(modulo) 연산에 의해 다시 초기값으로부터 시작한다.
예를 들어, 버젼정보가 3비트의 정보라 하면, 버젼정보는 0부터 7까지의 값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단말이 저장한 버젼정보가 3인데 새로이 수신한 버젼정보가 4라면, 단말은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버젼정보를 4로 다시 저장한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버젼정보의 비트수는 이와 다를 수 있으며, 1비트의 정보로서 on-off 형식으로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표현할 수도 있다.
갱신 식별자인 Paging-RNTI는 PDCCH상에서 상기 갱신 통보가 전송됨을 식별해주는 식별자이다. 단말이 셀에 등록하면 Paging-RNTI를 부여받는데, 이는 셀내의 모든 단말이 공통으로 부여받는 브로드캐스팅 제어정보일 수 있다. 즉, 셀 내의 모든 단말은 갱신 통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Paging-RNTI를 이용하여 PDCCH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monitering)한다. 일반적으로 RNTI는 PDCCH의 CRC에 XOR 연산에 의해 마스킹(masking)된다. 따라서, PDCCH의 CRC가 Paging-RNTI로 마스킹되어 있다면 단말은 Paging-RNTI를 통해서만 PDCCH를 디마스킹(demasking)하여 성공적으로 복호화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갱신 통보는 전술된 정보들 이외에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상향 그랜트(UL_Grant), 하향 그랜트(DL_Grant)의 상황에 따라 여러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 2는 단말이 RRC 연결상태(RRC Connected State)에 있는 경우, PDCCH로 전송되는 갱신 통보의 형식(Format of Update Notification)을 나타낸다. 표 2는 PDCCH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5MHz인 경우의 예이다. 단말이 RRC 연결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그 단말에 대해 호출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 갱신 통보 형식을 다음의 표 2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단말로 알려줄 수 있다.
Purpose Used Bits Comment
SI Version Info various Compare Received SI Version info with the last one
SC-RNTI & CRC 16 CRC masked with SC-RNTI
Payload Size
Signaling Entity 19
표 2를 참조하면, 갱신 통보의 형식은 시스템 정보의 버젼 정보(SI Version Info), 시스템 정보 갱신을 나타내는 갱신 식별자인 SC-RNTI(System information Change-RNTI)와 상기 SC-RNTI에 의해 마스킹되는 PDDCH의 CRC, 및 시그널링 개체(Signaling Entity)를 포함한다. 버젼정보는 상기 표 1에서 설명된 버젼정보와 그 개념 및 역할이 동일하다. 갱신 식별자인 SC-RNTI는 단말이 RRC 연결상태인 경우에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인식하게 해주는 식별자이다.
단말이 RRC 연결상태인 경우에는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만을 PDCCH로 알려주면 족하다. 즉,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알기 위해 단말이 PDSCH까지 복호화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갱신 통보는 주기적으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BCCH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 (n) 구간에서만 갱신 통보를 전송하였는데, 단말이 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갱신 통보를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현재의 버젼정보만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표 1 및 표 2에서 갱신 통보의 형식을 단말의 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표 1와 표 2에서 보여지는 여러가지 정보는 그 일부만이 갱신 통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호출목적이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기 위한 경우, 자원할당과 전송형식은 갱신 통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반면, 표 1에서 호출목적이 호연결인 경우, 버젼정보는 갱신 통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호출목적에 따라 또는 다른 기준에 의해 어떠한 정보가 제외되는데서 얻어지는 자원의 여유를 다른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제어정보간에 자원의 공유가 가능하므로 자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이 어떠한 상태(휴지상태 또는 RRC 연결상태)에서 시스템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통보를 수신한 후,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PDCCH를 모니터링(monitering)한다(S300). 모니터링은 갱신 통보가 상기 PDCCH상에서 전송됨을 식별하게 하는 갱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갱신 식별자는 Paging-RNTI 또는 SC-RNTI 일 수 있다. 단말은 갱신 식별자를 상기 PDCCH의 CRC에 디마스킹(demasking)하여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PDCCH CRC 오류를 검사하고, 상기 CRC 오류검사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PDCCH상에서 갱신 통보가 전송됨을 알 수 있다.
단말은 버젼정보가 획득되었는지 판단한다(S310). 상기 버젼정보는 갱신 통보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먼저 상기 PDCCH가 성공적으로 복호화되어야 버젼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버젼정보가 획득되었다는 것은 상기 PDCCH가 성공적으로 복호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만약 버젼정보가 성공적으로 획득되지 않으면, 단말은 계속하여 상기 갱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한다(S300).
만약 버젼정보가 성공적으로 획득되면, 단말은 상기 획득된 버젼정보가 이전에 획득하여 저장해 놓은 버젼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320).
만약 상기 획득된 버젼정보가 이전에 획득하여 저장해 놓은 버젼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은 다음 BCCH 변경 주기에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S330). 상기 획득된 버젼정보가 이전에 획득하여 저장해 놓은 버젼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음 BCCH 변경 주기에 시스템 정보가 갱신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단말은 다음 BCCH 변경 주기부터 SI-RNTI(System Information-RNTI)를 이용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하고, PDCCH가 성공적으로 복호화되면 복호화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PDSCH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획득된 버젼정보가 이전에 획득하여 저장해 놓은 버젼정보와 일치하면, 절차를 종료한다(물론 이 경우에 다음 BCCH 변경 주기에도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PDCCH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이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functional split)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도 4는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RRC 연결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이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11)

  1.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갱신하는 단계;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상으로 시스템 정보의 갱신에 관한 갱신 통보(update notification)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갱신 통보는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그 값이 토글(toggle)되는 시스템 정보의 버젼정보(SI version info) 및 상기 PDCCH상에서 상기 갱신 통보가 전송됨을 식별하게 하는 갱신 식별자를 포함하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통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식별자는 상기 PDCCH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마스킹(masking)되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식별자는 휴지상태(Idle State)인 단말의 호출을 위한 호출 식별자(paging-RNTI)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통보는 상기 PDCCH가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또는 단말의 RRC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지를 구분하는 호출 목적(paging cause)를 포함하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식별자는 RRC 연결상태인 단말에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는 시스템 정보 갱신 식별자(System Information Change-RNTI; SC-RNTI)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통보는 자원할당정보 및 전송형식(Transport Format) 정보를 더 포함하는,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8. 갱신 통보가 전송됨을 식별하게 하는 갱신 식별자를 찾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
    만약 상기 PDCCH가 성공적으로 복호화되어 상기 갱신 통보에 포함된 버젼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한 버젼정보를 이전에 획득한 버젼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버젼정보와 상기 이전에 획득한 버젼정보가 다른 경우, 갱신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버젼정보는 시스템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그 값이 토글(toggle)되는 값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식별자는 상기 PDCCH의 CRC에 마스킹된,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식별자는 휴지상태(Idle State)인 단말의 호출을 위한 호출 식별자(paging-RNTI)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식별자는 RRC 연결상태인 단말에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알려주는 시스템 정보 갱신 식별자(System Information Change-RNTI; SC-RNTI)인,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KR1020080029490A 2008-03-31 2008-03-31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KR10144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490A KR101447753B1 (ko) 2008-03-31 2008-03-31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490A KR101447753B1 (ko) 2008-03-31 2008-03-31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188A KR20090104188A (ko) 2009-10-06
KR101447753B1 true KR101447753B1 (ko) 2014-10-06

Family

ID=4153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490A KR101447753B1 (ko) 2008-03-31 2008-03-31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1855B (zh) * 2009-12-25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及通信系统中系统信息的更新方法
KR101785313B1 (ko) 2011-04-12 201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서브프레임 운용 및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20119174A (ko) * 2011-04-20 2012-10-30 주식회사 팬택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7028024A1 (en) * 2015-08-14 2017-02-23 Mediatek Singapore Pte. Ltd. Paging and random access response (rar) scheduling and dci form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582A (ko) * 2004-06-16 200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갱신통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582A (ko) * 2004-06-16 200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갱신통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188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29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파워 제어 명령 전송 방법
US9807756B2 (en) Method of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0154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US846732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related to point-to multipoint service
JP4991038B2 (ja) 移動通信端末のデータ受信方法
US9088932B2 (en) Method for processing pag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99585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モニターリング方法{methodformonitoringcontrolchannelinwirelesscommunicationsystem}
US8400939B2 (en) Method for monitoring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75621A1 (en) Method of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146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KR20090085519A (ko) 랜덤 접속의 접속 지연 재개 방법
KR20070080556A (ko) 무선 네트워크(network) 안에서 상향(uplink)및 하향(downlink) 대역폭(bandwidth)의선택 및 신호 방법
KR2009008326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검색 방법
KR2014003298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47753B1 (ko) 갱신된 시스템 정보의 전송방법
KR2010001038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절차의 수행 방법
KR2009002962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KR1015564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변경 여부 확인 방법
KR101514068B1 (ko) 제어 정보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