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745B1 -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자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자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745B1
KR101447745B1 KR1020070079603A KR20070079603A KR101447745B1 KR 101447745 B1 KR101447745 B1 KR 101447745B1 KR 1020070079603 A KR1020070079603 A KR 1020070079603A KR 20070079603 A KR20070079603 A KR 20070079603A KR 101447745 B1 KR101447745 B1 KR 101447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resource blocks
resource allocation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350A (ko
Inventor
허윤형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7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C-FDMA)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SC-FDMA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기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 가능한 자원 개수를 제한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자원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 개수만을 이용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자원할당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쥴링 정보의 비트수를 줄일 수 있다.
SC-FDMA, uplink, resource information, DFT limitation

Description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자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RESOURCE INFORMATION IN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본 발명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SC-FDMA라고 한다)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동일한 전송 구간에 전송하고자 할 때 효율적으로 제어 채널 전송 자원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방향 다중 접속 방식은 크게 비직교(Non-orthogonal) 다중 접속 방식과 직교(orthogonal) 다중 접속 방식의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비직교 다중 접속 방식이란 다수의 단말로부터의 전송되는 역방향 신호들이 서로 직교하지 않는 다중 접속 방식을 말하며, 상기 비직교 다중 접속 방식의 일례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고 한다) 방식이 있다. 직교 다중 접속 방식이란 다수의 단말로부터의 역방향 전송들이 서로 직교하는 다중 접속 방식을 말하며, 상기 직교 다중 접속 방식의 예로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FDMA라고 한다) 방식, 시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TDMA라고 한다) 방식 등이 있다.
통상적인 패킷 데이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 다중 접속 방식으로 상기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과 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이 혼합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즉, 여러 사용자들의 전송 신호가 주파수 및 시간 상에서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이라 하면, 상기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 및 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혼합된 형태를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통상의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대표적인 예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SC-FDMA 방식이 있다. FDMA 방식들은 다수의 단말들이 서로 다른 부반송파(sub-carrier)를 통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단말들의 신호 구분이 가능토록 하는 다중 접속 방식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SC-FDMA 방식중의 하나로, 다중 접속 사용자들간의 직교성을 보장해 주고 단일 반송파 전송에 기반하여 OFDM에 비하여 낮은 PAPR을 달성할 수 있는 LFDMA(Localized FDMA) 방식 송신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이산 퓨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이하 DFT라 한다)과 역 고속 퓨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IFFT라 한다)을 이용한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DFT와 IFFT를 이용한 송신기 구현은 높지 않은 하드웨어 복잡도로 LFDMA 시스템 파라미터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OFDM과 SC-FDMA의 차이점을 송신기의 구조 측면에서 보면, LFDMA 송신기에서는 OFDM 송신기에서 다중 반송파 전송에 이용되는 IFFT(102)의 전단에 DFT 프리코더(precoder)(101)가 추가된다. 송신 변조 심벌(103)은 블록단위로 DFT(101)로 입력된다. DFT(101)의 출력신호는 IFFT(102) 입력으로 매핑될 때 인접한 부반송파들로 이루어진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전송된다. 맵퍼(Mapper)(104)는 DFT(101)의 출력신호를 실제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으로 맵핑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통상의 SC-FDMA 시스템에서 단말이 임의의 할당된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205로 표시되는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이하 RB라고 한다)은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서브 캐리어로 구성되고, 시간 영역에서 하나 혹은 여러 개의 SC-FDMA 심볼로 구성된다. SC-FDMA 시스템은 단일 캐리어 특성(single carrier property)을 만족하기 위해서, 한 단말에게 항상 연속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해야 한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1(UE1)에게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15, 16번의 2개의 RB가 할당되고, 단말 2(UE2)에게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10~14번의 다섯 개의 RB가 할당되며, 단말 3(UE3)에게는 1~9번의 RB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에게 연속적인 자원만을 할당할 수 있는 경우, 스케쥴링된 주파수 자원을 알려주는 자원 정보 시그널링 방식으로서 RB의 개수와 RB의 시작 지점을 알려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2의 예에서 기지국이 각 단말에게 시그널링 해주는 자원 정보를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UE 자원 정보
UE1 RB 개수 = 2, 시작 지점=15
UE2 RB 개수 = 5, 시작 지점=10
UE3 RB 개수 = 9, 시작 지점=1
시스템의 전체 대역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RB의 개수가 다른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RB 개수당 필요한 비트 수는 다음 표 2와 같다.
RB 개수 25 50 75 100
# of bit 10 12 14 14
이때 할당된 RB의 개수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RB의 시작지점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RB 개수당 필요한 비트수를 각각 1비트씩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즉, RB 개수=1이면 RB1~RB100 까지 어떤 RB나 스케쥴링 가능하지만, RB 개수=2 이면 (RB1, RB2), (RB2,RB3),…, (RB99,RB100)까지 99개의 시작 지점을 가질 수 있고, RB=3이면 (RB1, RB2, RB3), (RB2, RB3, RB4), (RB3, RB4, RB5),…, (RB98, RB99, RB100)의 98개의 시작 지점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각 RB 개수별로 사용 가능한 시작 지점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스케쥴링 가능한 RB 개수와 시작시점의 조합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서 전체 RB=100인 경우 사용 가능한 모든 조합의 개수는 5050개이다. 그래서 100개의 RB인 경우, RB의 개수 정보와 시작지점을 알려주기 위해서는 각각 7비트씩 총 14비트가 필요하지만, 사용 가능한 조합만을 시그널링한다면 13비트만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논의되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에서 단말의 송신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용 가능한 DFT 크기를 제한해야 하며, 따라서 DFT 크기 M이 2, 3, 5를 인수로 갖는 값만으로 제한된다. 다시 말해서 다음 수학식 1을 만족하는 RB 개수만을 사용하게 된다.
Figure 112007057563928-pat00001
위의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07057563928-pat00002
은 할당된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개수이고,
Figure 112007057563928-pat00003
는 한 RB당 사용 가능한 서브캐리어의 개수이고,
Figure 112007057563928-pat00004
는 각각 0 또는 양의 정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RB 당 서브캐리어 개수가 12이고 RB의 개수 =1인 경우, 전송 가능한 서브캐리어 개수는 12로 DFT 크기=12가 되는데, 12 = 2*2*3 이므로 전송 가능하다. 그러나 RB 개수=7 인 경우에는 전송 가능한 서브캐리어의 개수는 12 * 7 = 2 * 2* 3 * 7 으로 7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송이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DFT 크기 제한에 걸려서 상향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RB 개수가 줄어들면 실제 시그널링해야 하는 자원 정보의 경우의 수도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RB의 개수와 RB의 시작점을 알려주는 방식을 사용하여 모든 가능한 경우를 알려주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를 고려해서 사용 가능한 RB 개수만을 시그널링한다면 자원 정보 시그널링을 위해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비트 수도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를 고려한 구체적인 시그널링 방법이 제안되지 않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향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자원의 개수가 제한되는 경우에 주파수 자원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하지 않는 RB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RB 개수의 조합만으로 순서를 정하여 인덱스를 정의한 후 이 인덱스와 RB 개수와 RB의 시작 지점을 이용하여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RB 개수의 조합 정보와 RB의 시작 지점을 함께 알려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단말에게 할당할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을 결정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에 매핑되는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시작지점과, 상기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시작지점에 매핑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에 매핑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자원 할당 정보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확인된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블록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자원 할당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시작 지점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자원 블록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에 해당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할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을 결정하고, 미리 저장된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에 매핑되는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과, 상기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에 매핑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에 매핑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미리 저장된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자원 할당 정보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확인된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블록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자원 할당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에 해당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SC-FDMA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기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 가능한 자원 개수를 제한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자원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자 원 개수만을 이용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알려준다.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자원할당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쥴링 정보의 비트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향링크 SC-FDMA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효율적으로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사용 가능한 DFT 크기가 제한됨에 따라 할당 가능한 전체 RB 개수중 일부만을 사용하는 경우, 되도록 작은 비트수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RB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RB 개수로 인덱스를 정의하고, RB 개수 정보와 RB 시작 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자원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원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0개의 RB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RB가 100개인 경우에 스케쥴링 가능한 RB의 개수의 집합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RB 개수 set = {1,2,3,4,5,6,8,9,10,12,15,16,18,20,24,25,27,30,32,36,40,45,48,50,60,64,72,75,80,90,96,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들 각각에 대해서 다음 표 3과 같이 인덱스를 정의한다.
Index (i) RB 개수 P(i) Index (i) RB 개수 P(i) Index (i) RB 개수 P(i) Index (i) RB 개수 P(i)
1 1 9 10 17 27 25 60
2 2 10 12 18 30 26 64
3 3 11 15 19 32 27 72
4 4 12 16 20 36 28 75
5 5 13 18 21 40 29 80
6 6 14 20 22 45 30 90
7 8 15 24 23 48 31 96
8 9 16 25 24 50 32 100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자원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원 정보 시그널링에 필요한 정보 비트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 할당한 RB 개수(m)와 RB의 시작지점(n)을 각각 알려주지 않고 이들을 조합한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조합한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으로 표 3의 순서에 맞추어 RB 개수와, 이 RB 개수에서 할당 가능한 RB 시작지점 값의 조합을 모두 나열하고, 이 조합에 대하여 인덱스를 정의하여 시그널링할 수도 있지만, 각 RB 개수별로 RB의 시작 지점이 결정되므로 하기의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조합한 정보를 시그널링 할 수도 있다.
즉, 301단계에서 스케쥴러는 기지국 내의 단말들에게 할당할 RB 개수(m)와 어떤 RB를 할당할지, 즉 RB의 시작지점(n)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302단계에서 RB 개수에 맵핑된 인덱스 정보를 알아낸다.
303 단계에서는 다음 수학식 3에 따라 시그널링해야하는 자원 정보(X)를 결정한다. 즉, RB 개수(P(k))가 정해지면 해당 RB 개수의 이전 RB 개수(P(k-1))까지 모든 조합 RB 개수의 합에서 해당 시작지점 값을 더해주는 것으로 전체 조합중에서 특정 RB 개수와 시작지점의 조합의 위치(X)를 알려주게 된다.
Figure 112007057563928-pat00005
위의 수학식 3에서 N은 전체 RB의 개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 = 100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i(m)은 RB 개수 m에 해당하는 index의 값이며, P(k)는 k번째 인덱스에 해당하는 RB의 개수이다.
마지막으로 304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어채널을 통해서 자원 정보인 X 값을 단말에게 알려준다.
다음으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여 실제 할당된 RB 개수와 RB의 시작 지점을 알아내는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X를 수신한 단말은 402단계와 403단계에서 i=1부터 시작하여 최대 I까지 i를 1씩 증가시키면서 다음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Figure 112007057563928-pat00006
상기 수학식 4에서 I는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RB 개수로 표 3의 경우에는 32가 된다.
403단계는 테이블에서 X가 위치하는 i를 알아내기 위해서 체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i를 찾은 경우, 단말은 403단계의 수행을 중단하고 404단계로 진행하여 i를 스케쥴링된 i_s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말은 405단계에서 인덱스와 실제 RB 개수가 정의된 표 3을 이용하여 할당된 RB 개수(m_s)를 상기 i_s에 해당하는 P(i_s)로 설정한다. 그리고 406단계로 진행하여 i 와 X 값을 이용하여 RB의 시작지점(n_s)을 구한다. 단말은 RB 개수와 시작지점을 알아내면 자신에게 할당된 주파수 자원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407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해당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반적인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므로 장치에 대한 도면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전송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상향링크 SC-FDMA에서 주파수 자원을 스케쥴링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서 전송할 자원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수신한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RB 개수와 시작 지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2)

  1.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할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을 결정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에 매핑되는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과, 상기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에 매핑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의 비트수는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시작지점을 나타내는 비트수의 합보다 작은 자원 할당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은, 다음 식에 따라 상기 자원 할당 정보(X)를 결정하는 자원 할당 정보 전송 방법.
    Figure 112012061233293-pat00013
    위의 식에서 m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이고, n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 지점이고, N은 무선 자원 블록의 총 개수이고, P(k)는 인덱스(i)에 따른 무선 자원 블록 개수임.
  4.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에 매핑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자원 할당 정보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확인된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블록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자원 할당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 지점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에 해당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 정보 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의 비트수는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시작지점을 나타내는 비트수의 합보다 작은 자원 할당 정보 수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다음식에 따라 상기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자원 할당 정보 수신 방법.
    Figure 112014017843989-pat00008
    위의 식에서 X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자원 할당 정보이고, N은 무선 자원 블록의 최대 개수이고, P(k)는 인덱스 k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블록 개수이며, i는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무선 자원 블록 개수임.
  7.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할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을 결정하고, 미리 저장된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에 매핑되는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과, 상기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에 매핑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의 비트수는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시작지점을 나타내는 비트수의 합보다 작은 기지국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음 식에 따라 상기 자원 할당 정보(X)를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
    Figure 112012061233293-pat00014
    위의 식에서 m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이고, n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 지점이고, N은 무선 자원 블록의 총 개수이고, P(k)는 인덱스(i)에 따른 무선 자원 블록 개수임.
  10.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 블록의 개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지점에 매핑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미리 저장된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자원 할당 정보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별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확인된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블록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자원 할당 정보와, 상기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주파수축상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에 해당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의 비트수는 상기 무선 자원 블록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수와 상기 무선 자원 블록의 시작지점을 나타내는 비트수의 합보다 작은 단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음 식에 따라 상기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 장치.
    Figure 112014017843989-pat00015
    위의 식에서 X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자원 할당 정보이고, N은 무선 자원 블록의 최대 개수이고, P(k)는 인덱스 k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 블록 개수이며, i는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무선 자원 블록 개수임.
KR1020070079603A 2007-08-08 2007-08-08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자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447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603A KR101447745B1 (ko) 2007-08-08 2007-08-08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자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603A KR101447745B1 (ko) 2007-08-08 2007-08-08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자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350A KR20090015350A (ko) 2009-02-12
KR101447745B1 true KR101447745B1 (ko) 2014-10-06

Family

ID=4068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603A KR101447745B1 (ko) 2007-08-08 2007-08-08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자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426A (ko) * 2009-10-06 2011-04-13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 방법 및 그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10094760A (ko) * 2010-02-17 2011-08-24 주식회사 팬택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활성/비활성 지시 메시지 송신방법 및 장치
CN103945542A (zh) 2010-05-24 2014-07-23 Lg电子株式会社 用于分配不连续上行资源的方法和装置
WO2011152663A2 (ko) * 2010-06-01 201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77B1 (ko) 2006-01-1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KR100881967B1 (ko) 2006-01-06 2009-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정보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67B1 (ko) 2006-01-06 2009-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정보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34677B1 (ko) 2006-01-1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350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5056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CN107046722B (zh) 调度定时间隔的确定方法及装置
US9107210B2 (en) Resource allocation
JP551343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ンネル信号化方法
KR102444764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CN108111281B (zh) 数据信道参数配置方法及装置
CN116489794A (zh) 无线通信系统的资源分配方法、装置和系统
KR102139309B1 (ko) 네트워크 노드,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그 방법들
JP5088506B2 (ja) 広帯域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物理資源管理方法及び物理資源管理装置
KR20090113377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101656291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801097A (zh) 物理上行共享信道调度信息的指示方法
KR20090122203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RU2735237C1 (ru) Сигнализац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ресурсов
JP5574872B2 (j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4424661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pusch)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90073368A (ko)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KR100876802B1 (ko)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자원의 할당및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47745B1 (ko)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자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083741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8633051B (zh) 确定数据传输资源的方法、装置、终端、基站及设备
EP2819476A1 (en) Resource allocation with low signalling overhead
CN109792307B (zh) 从一个ofdm模式到另一ofdm模式的切换
KR1017102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835164B (zh) 无线网络中用于同步资源分配指示信息次序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