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711B1 -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711B1
KR101447711B1 KR1020130034425A KR20130034425A KR101447711B1 KR 101447711 B1 KR101447711 B1 KR 101447711B1 KR 1020130034425 A KR1020130034425 A KR 1020130034425A KR 20130034425 A KR20130034425 A KR 20130034425A KR 101447711 B1 KR101447711 B1 KR 101447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ower
power transmitting
stag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210A (ko
Inventor
성정환
유희범
김유석
임정아
최봉화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11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7/00Auxiliary apparatus for artist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출연자의 몸에 부착된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의 구동을 위한 동력 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여 필요시마다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동력 전달 장치는 공연용 신발을 착용한 출연자가 무대 구조물 위에서 사용하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무대 구조물의 바닥홈에 마련되는 모터 및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공연용 신발에 장착되며, 바닥홈에 공연용 신발이 안착되면 모터와 결합하여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므로, 장치의 비대화를 줄이고, 동력 장비를 의상에서 제외할 수 있어 유사 시 안전 문제 및 오류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Mechanical device for stage managing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의상의 변화를 통해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 뮤지컬, 콘서트 등 다양한 공연을 위해서는 조명, 마이크, 스피커 등의 다양한 무대장치들이 요구되며, 이들 무대장치들은 공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무대에서는 공연의 특성에 따라 출연자의 의상 변화를 통해 극적인 연출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공연의 출연자는 의상의 변화를 통한 연출효과를 얻어내기 위해 기계장치를 보이지 않게 착용하고, 필요시마다 해당 기계장치를 작동시켜 의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출연자가 의상 변형을 위해 기계장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은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의상을 변형시키는 자동식과, 수동으로 기계장치에 힘을 주어 의상을 변형시키는 수동식이 있다.
한편, 상술한 의상 변형 방식 중 자동식은 동력 장치를 몸에 보이지 않게 착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비대화를 가져와 변형의 크기나 속도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고, 수동식은 출연자에 의해 수동으로 의상을 변형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극적인 연출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실용신안 제2000-001353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출연자의 몸에 부착된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의 구동을 위한 동력 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여 필요시마다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공연용 신발을 착용한 출연자가 무대 구조물 위에서 사용하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대 구조물의 바닥홈에 마련되는 모터; 및 상기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공연용 신발에 장착되며, 상기 바닥홈에 상기 공연용 신발이 안착되면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상기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바닥홈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홈의 상부로 출력용 잭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의 출력용 잭과 결합될 수 있도록 모터 연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연결 로드는 상기 출연자가 일반적인 보행 시 상기 무대 구조물의 바닥 부재와 마찰이 없도록 상기 공연용 신발의 후단을 통과하여 오목한 홈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플렉시블 샤프트와,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의 주위를 나선형으로 권취한 강판과, 상기 강판 위에 피복된 고무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 연결 로드와 연결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는 동력 전달 부재에 포함되는 샤프트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 고정단과, 상기 커넥터 고정단과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와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동작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무대 구조물에 위치한 모터에 결합되면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기어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날개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날개부는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기어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상하 이동하여 상기 날개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일단이 상기 샤프트 커넥터와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모터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어 동력이 전달 또는 전달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주위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강판과, 상기 강판 위에 피복되는 고무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커넥터 고정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기어 결합하여 상하 이동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의 수직 이동축을 형성하는 기어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대 구조물에는 바닥홈이 마련되며, 상기 바닥홈의 하부에는 상기 모터의 출력용 잭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의 출력용 잭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무대 구조물의 바닥홈에는 중력 감지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중력 감지 센서에서 출연자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출연자의 몸에 부착된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의 구동을 위한 동력 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여 장치의 비대화를 줄이고, 동력 장비를 의상에서 제외할 수 있어 유사 시 안전 문제 및 오류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무대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에 포함되는 동력 전달 부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동력 전달 부재의 사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에 포함되는 동력 전달 부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의 실시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무대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무대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력 전달 장치(100)는 무대 구조물(10)의 바닥 부재(20)에 마련되는 모터(30)와, 상술한 모터(30)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 신호를 전송하며,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 박스(40)와, 상술한 모터(3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전달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대 구조물(10)의 바닥 부재(20)는 일정 너비를 가진 바닥홈(25)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홈(25)의 하부에는 모터(30)가 장착될 수 있다. 모터(30)는 바닥홈(25)의 상부로 돌출되는 출력용 잭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용 잭은 동력 전달 부재(50)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50)는 일단이 모터(30)에 결합되고 타단이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에 결합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50)는 사용자의 의상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모터(30)와 결합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50)는 모터(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에 전달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무대의 출연자가 착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동력 전달 부재(50)를 통해 모터(30)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기어 장치 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방향의 동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에 직물과 같은 기타 구성이 결합되어 연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여러 가지 동작으로 결합된 직물 등의 형태 또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무대 구조물(10)은 지지 골조(12)와, 지지 골조(12) 위에 얹어지는 다수의 바닥 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골조(12)는 다수의 지주(14)가 행과 열을 지어 배열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그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동력 전달 장치(100)는 상술한 것처럼, 동력 전달 부재(50)와 모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50)는 미리 제작된 공연용 신발(300)에 일단이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2a의 ‘가’를 참조하면, 동력 전달 부재(50)는 공연용 신발(300)의 후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공연용 신발(300)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발과는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50)는 공연용 신발(300)의 후단을 통과하여 밑단에 모터(30)와 연결되는 모터 연결 로드(5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연결 로드(54)는 도 2a의 ‘나’를 참조하면, 공연용 신발(300)의 후단을 관통하여 밑단에 마련되며, 공연자가 일반적인 보행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바닥 부재(20)와 마찰이 없도록 공연용 신발(300)의 오목한 홈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공연용 신발(300)은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바닥 부재(20)에 마련되는 바닥홈(25)에 안착될 수 있으며, 바닥홈(25)에 안착 시 내부에 삽입된 동력 전달 부재(50)의 모터 연결 로드(54)와 미리 마련된 모터(30)의 체결용 잭(30a)이 결합될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동력 전달 부재(50)와 연결되어 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도 2d를 참조하면, 공연용 신발(300)과 결합된 동력 전달 부재(50)를 통해 에너지 즉,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대 연출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미도시된 기어 장치들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필요한 방향의 동력으로 전환시켜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에 포함되는 동력 전달 부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동력 전달 부재의 사용단면도이다.
동력 전달 부재(50)는 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플렉시블 샤프트(51)와, 상술한 플렉시블 샤프트(5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 샤프트(51) 주위를 감싸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된 플렉시블한 강판(52)과, 상술한 강판(52) 위에 피복된 고무피복(53)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피복(53) 내부에는 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연결 로드(54)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 연결 로드(54)는 플렉시블 샤프트(51)와 연결조인트(55)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에 포함되는 동력 전달 부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동력 전달 부재(50)의 플렉시블 샤프트(51)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여러 가지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며, 도 4에서는 일예를 도시하기로 한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동력 전달 부재(50)의 플렉시블 샤프트(51)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단(210)과, 상술한 커넥터 고정단(210)과 결합되는 기어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샤프트(51)는 동력 전달 부재(5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 즉, 회전력을 기어부재(220)에 전달할 수 있다.
기어부재(220)는 커넥터 고정단(210)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221)와, 상술한 제1기어(221)와 기어 결합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2기어(222)와, 상술한 제2기어(222)의 수직 이동축을 구성하는 기어 고정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기어(221)는 내부가 기어 형태로 마련되며, 동력 전달 부재(5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222)는 제1기어(221)의 내부에 기어 결합되어 제1기어(221)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제2기어(222)의 일단에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의 날개부(225)가 와이어(224)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기어(2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날개부(225)가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의 실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출연자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를 착용하고, 무대 구조물(10) 위를 활보할 수 있다. 출연자가 무대 구조물(10)의 바닥홈(25)에 공연용 신발을 안착시키면 바닥홈(25)에 마련된 모터(30)와 출연자의 몸에 장착된 동력 전달 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바닥홈(25)에 마련된 모터(30)와 출연자의 몸에 장착된 동력 전달 부재(50)가 결합되면, 모터(30)의 회전력이 동력 전달 부재(50)를 통해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는 모터(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무대 연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모터(30)와 동력 전달 부재(50)가 결합되면 바로 동력을 전달되는 방법과, 모터(30)와 동력 전달 부재(50)가 결합되고 외부의 동력 전달 명령이 미도시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면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과, 바닥홈(25)에 중력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바닥홈(25)에 공연용 신발이 안착되는 것이 확인되면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다만, 상술한 방법 외에 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무대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과 비교 시 바닥홈(25)에 중력감지센서(400)가 더 포함된다. 즉, 동력 전달 장치(100)는 무대 구조물(10)의 바닥 부재(20)에 마련되는 모터(30)와, 상술한 모터(3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전달 부재(50) 및 바닥 부재(20)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중력감지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대 구조물(10)의 바닥홈(25)에는 모터(30) 및 중력감지센서(400)가 설치되며, 출연자가 착용한 공연용 신발(300)이 바닥홈(25)에 안착되면, 모터(30)는 동력 전달 부재(50)와 연결되고, 중력감지센서(400)는 출연자에 의한 중력을 감지할 수 있다.
중력감지센서(400)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중력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는 중력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30)를 회전시켜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2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12)

  1. 공연용 신발을 착용한 출연자가 무대 구조물 위에서 사용하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대 구조물의 바닥홈에 마련되는 모터; 및
    상기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공연용 신발에 장착되며, 상기 바닥홈에 상기 공연용 신발이 안착되면 상기 모터와 결합하여 상기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바닥홈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홈의 상부로 출력용 잭이 돌출되어 마련되는 동력 전달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의 출력용 잭과 결합될 수 있도록 모터 연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연결 로드는 상기 출연자가 일반적인 보행 시 상기 무대 구조물의 바닥 부재와 마찰이 없도록 상기 공연용 신발의 후단을 통과하여 오목한 홈 내부에 마련되는 동력 전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플렉시블 샤프트와,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의 주위를 나선형으로 권취한 강판과, 상기 강판 위에 피복된 고무 피복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 연결 로드와 연결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
  6. 동력 전달 부재에 포함되는 플렉시블 샤프트와 결합되는 커넥터 고정단과,
    상기 커넥터 고정단과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무대 구조물에 위치한 모터에 결합되면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기어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날개부를 동작시키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와 상기 날개부는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기어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상하 이동하여 상기 날개부를 동작시키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일단이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와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모터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어 동력이 전달 또는 전달 해제되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주위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강판과, 상기 강판 위에 피복되는 고무 피복을 포함하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커넥터 고정단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기어 결합하여 상하 이동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의 수직 이동축을 형성하는 기어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대 구조물에는 바닥홈이 마련되며, 상기 바닥홈의 하부에는 상기 모터의 출력용 잭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모터의 출력용 잭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대 구조물의 바닥홈에는 중력 감지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중력 감지 센서에서 출연자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동력이 전달되는 무대 연출용 기계장치.
KR1020130034425A 2013-03-06 2013-03-29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 KR101447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4026 2013-03-06
KR1020130024026 2013-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210A KR20140111210A (ko) 2014-09-18
KR101447711B1 true KR101447711B1 (ko) 2014-10-10

Family

ID=5175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425A KR101447711B1 (ko) 2013-03-06 2013-03-29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8009B (zh) * 2019-09-10 2021-10-08 扬州哈工科创机器人研究院有限公司 换装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365Y1 (ko) 2000-05-08 2000-11-15 이해석 무대의상
KR20030082060A (ko) * 2002-04-16 2003-10-22 동양기전 주식회사 시트모터 동력전달기구
US20100093254A1 (en) 2008-10-10 2010-04-15 Mattel, Inc. Doll With Dress That Transforms to Wings
KR101177859B1 (ko) 2012-03-23 2012-08-28 황보석 부채 선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365Y1 (ko) 2000-05-08 2000-11-15 이해석 무대의상
KR20030082060A (ko) * 2002-04-16 2003-10-22 동양기전 주식회사 시트모터 동력전달기구
US20100093254A1 (en) 2008-10-10 2010-04-15 Mattel, Inc. Doll With Dress That Transforms to Wings
KR101177859B1 (ko) 2012-03-23 2012-08-28 황보석 부채 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210A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09817A (ja) 自動化されたフットウェア・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駆動機構
CN205874787U (zh) 电动晾衣机
CN1886716A (zh) 力反馈触觉接口
KR101447711B1 (ko) 무대 연출용 기계 장치 및 그것의 동력 전달 장치
CN108555954A (zh) 一种自动抓举零件的机电设备
TWI657778B (zh) 用來轉動捲簾或類此者的軸件的裝置
CN105697928B (zh) 管道行走机器人
CN205504343U (zh) 管道行走机器人
CN106154869A (zh) 一种远程临场智能机器人、远程临场交互系统及其方法
CN105997430A (zh) 一种直接驱动与间接驱动相结合的上肢康复机器人
CN109603090A (zh) 一种组合健身器材
JP6810850B2 (ja) 自動的に階段を上れるトランク
CN205636231U (zh) 一种晾衣架结构和系统
CN207132298U (zh) 升降装置
KR102239347B1 (ko) 체공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WO2017049895A1 (zh) 豢养兽力发电系统
CN113317633A (zh) 一种具有支撑功能的鞋柜
CN200986648Y (zh) 卷筒式自卷扬升降电动投影幕
CN205773009U (zh) 一种升降装置的线体收放机构
CN103353385B (zh) 低噪音式振荡冲击试验机
CN102864618B (zh) 摆出式晾衣架升降滑轮装置
CN111305513A (zh) 一种定距离放置墙面装饰装置
CN215132824U (zh) 智能机械导盲犬
CN209880113U (zh) 一种钢琴踏板位移采集装置
CN204997681U (zh) 新型舞台表演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