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623B1 -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Google Patents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7623B1 KR101447623B1 KR1020140034143A KR20140034143A KR101447623B1 KR 101447623 B1 KR101447623 B1 KR 101447623B1 KR 1020140034143 A KR1020140034143 A KR 1020140034143A KR 20140034143 A KR20140034143 A KR 20140034143A KR 101447623 B1 KR101447623 B1 KR 101447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mer
- tube
- support
- ignition
- sepa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4—Fitting or extracting primers in or from fuzes or char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6—Dismantling fuzes, cartridges, projectiles, missiles, rockets or bom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 저장중인 고폭탄의 약협을 정비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하여 약협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뇌관의 비군사화로 인한 약협 내부 오염을 방지와, 모재의 손상없이 뇌관결합체(뇌관+점화약관)의 분리와, 가공에 의해 뇌관 결합구의 규격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약협을 폐기하지 않고 추진장약과 뇌관 결합체만을 신품으로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기 저장중인 고폭탄의 약협을 정비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하여 약협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뇌관의 비군사화로 인한 약협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고, 모재의 손상없이 뇌관결합체(뇌관+점화약관)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약협을 폐기하지 않고 추진장약과 뇌관 결합체만을 신품으로 교체해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폭탄은 신관과 신관에 결합되는 탄두와 탄두에 결합되는 약협으로 구성된다.
신관은 탄약이 발사되면 목표지점에서 충격으로 인해 폭발을 일으켜 탄두 내에 있는 고폭약을 기폭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부분 금속으로 구성되고 화공약품이 들어있는 부분은 밀폐된 금속 막에 쌓여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탄두는 고폭약이 폭발하면서 탄체가 파열되어 파편효과 및 폭풍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고폭약을 탄체가 감싸고 있어 밀폐된 형태로 구성되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약협은 추진장약과 뇌관결합체를 감싸고 있는 부분으로, 황동 또는 철로 만들어지고, 탄두와 약협은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내부 하측의 중심에는 뇌관 결합구가 형성된다.
장기간 보관된 폭탄은 약협의 발청과 뇌관결합체의 노후 및 추진제의 안정제 휘발로 인하여 불발탄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현재는 약협을 폐기 후 신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기존 약협 정비에서는 뇌관 결합구로부터 뇌관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뇌관결합구의 규격이 기준 규격보다 확장된다. 상기 확장된 뇌관결합구의 축소가공기술력 부족으로 약협의 모재에 크랙손상을 발생시킴으로 단순히 뇌관 결합체만을 교체할 수는 없으며, 부득이하게 약협 전체를 신품으로 교체하는 정비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뇌관결합구가 확장된 상태에서 뇌관을 결합하여 틈새가 발생되거나, 뇌관결합구 축소과정에서 생성된 크랙으로 인해 뇌관 결합시 틈새가 발생되므로, 상기 생성된 틈새로 가스가 새어나오게 되며, 이러한 가스누출은 사격시 중요한 결함 요소로 작용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약협 전체를 교체한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약협을 모두 폐기하고 신품으로 대체하는 방식은 많은 예산낭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뇌관결합구를 원상태로 복원시켜 약협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폐약협정비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1283453호(2013.07.02 등록; 이하 '등록발명' 이라 함)에서는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의 뇌관결합구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약협의 뇌관결합구 정비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 등록발명은 추진장약을 제거한 약협을 가공용 드릴로 기존보다 넓은 직경의 확장된 뇌관결합구를 형성하면서 뇌관을 제거하고, 이를 뇌관결합구 정비치구를 통해 뇌관결합구의 직경을 축소시키고, 축소된 뇌관결합구를 규격화한 다음 새로운 뇌관을 장착하여 약협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뇌관결합구를 축소시키는 장치인 뇌관결합구 정비치구는 뇌관결합구의 주위를 프레스로 압박하여 뇌관결합구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등록발명은 뇌관결합구에 설치된 뇌관을 제거하기 위해 드릴을 사용함으로 드릴에 의한 뇌관기폭이 이루어질 수 있어 뇌관결합구 손상은 물론 약협 내면까지 손상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대처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단지 뇌관결합구 정비치구를 이용하여 뇌관결합구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문제만을 해소한 것이다.
즉, 등록발명은 뇌관결합구가 확장되는 원인에 대한 대처방안보다는 발생된 뇌관결합구에 대한 처리방안만을 제시하고 있어 점화약관 분리과정에서의 뇌관결합구의 손상문제, 뇌관 기폭으로 인한 약협 내면 손상문제, 뇌관분리과정에서의 뇌관결합구 손상문제 등에 대해서는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아울러 상기 약협의 뇌관결합구로부터 뇌관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상기 드릴을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약협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뇌관을 일측방향으로 밀어 분리하는 압착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드릴에 의한 뇌관기폭의 위험성은 다소 줄였으나, 뇌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뇌관이 기폭되는 위험성을 갖고 있어 뇌관기폭에 의한 약협의 내면손상에 대한 문제점은 여전히 내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은,
폐약협 정비과정에서 점화약관의 분리와, 뇌관의 기폭과, 비군사화된 뇌관 분리에서 약협 내면과 뇌관결합구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규격범위 내로의 뇌관결합구 축소와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약협과 뇌관 사이의 틈새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폐약협 정비치구의 제공과 이를 이용한 정비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약협 정비치구는,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점화약관 분리, 뇌관기폭, 비군사화된 뇌관분리, 뇌관결합구 축소, 새로운 뇌관결합체를 결합하도록 뇌관결합구 가공을 통해 약협을 정비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에 있어서, 상기 약협으로부터 점화약관의 분리는, 점화약관 분리테이블과; 상단에는 통공을 통해 약협의 점화약관을 내입하면서 점화약관의 나사결합부분에 고정되는 척이 결합되고, 하단은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결합되는 척고정내관과; 상기 척고정내관을 내포하도록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수직설치되는 관체로, 상부로는 척고정내관의 척이 돌출되도록 하고, 하단이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결합되는 약협고정외관과; 상기 약협고정외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약협고정외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지는 약협을 약협고정외관과 동일축으로 배치하면서 약협과 밀착되어 일체화시키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와; 상기 척고정내관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 작동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화약관 분리치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약협으로부터 뇌관의 기폭은, 약협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이 약협 내측의 하부면과 접하는 기폭관과; 상기 기폭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고 약협 내면에 밀착되어 약협을 기폭관과 동일축으로 배치시키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와; 상기 기폭관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고 기폭관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기폭테이블과; 상기 기폭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부에 안치되되 하부면에는 약협바닥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홈을 형성하여 약협바닥부를 일부 내입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공이를 수직안치하되 공이의 상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공이 하단의 첨단부는 약협의 뇌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공이안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뇌관기폭치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약협으로부터 뇌관의 분리는, 약협의 내부로 삽입되는 분리관과; 상기 분리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고 약협 내면에 밀착되어 약협을 분리관과 동일축으로 배치시키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와; 상기 분리관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테이블과; 상기 분리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부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지지봉을 돌출시켜 상기 분리관에 끼워지는 약협의 뇌관과 접하게 하는 받침판과; 상기 분리관의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면에 안치되고 중앙에는 뇌관이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뇌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긴 두께를 갖는 누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뇌관분리치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약협으로부터 뇌관결합체의 분리는, 뇌관결합체 지지테이블과; 상기 뇌관결합체 지지테이블이 상부에 설치되는 원주형태로 상단 중심에는 동일축을 갖는 지지돌기가 돌출되고, 지지돌기의 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동일축을 갖는 원주돌기가 형성된 고정지지주와; 상기 고정지지주의 상부에 동일축으로 배치되어 상부로는 뇌관결합체의 점화약관이 내입되고 하부로는 지지돌기의 일부가 내입되는 관체로, 상단에는 약협 내부로 삽입되어 약협 바닥부에 접하는 약협거치원판부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외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이동지지관과; 상기 고정지지주의 원주돌기와 이동지지관의 하부를 내포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지지관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지지주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되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단은 이동지지관의 플랜지를 삽통되어 단부에 너트를 결합시켜 이동지지관이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가이드볼트와; 상기 이동지지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면에 안치되고 중앙에는 뇌관결합체가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뇌관결합체의 뇌관길이보다 긴 두께를 갖는 누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뇌관결합체분리치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은,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에 있어서,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추진장약을 분리제거하는 추진장약 제거단계와; 점화약관이 분리된 약협은 배출공이 형성된 기폭테이블과, 배출공을 내포하도록 기폭테이블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기폭관과, 기폭관 외면의 상하부에 돌출되어 기폭관에 끼워지는 약협 내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로 구성되는 뇌관기폭치구에서 기폭관에 도립하여 끼워넣어 뇌관과 약협내면을 기폭관으로 차단시키는 단계; 뇌관을 공이로 타격하여 기폭관 내부에서 기폭시키고, 기폭에 의해 발생된 열 및 화약연소 찌꺼기는 약협 내면에 묻지 않고 기폭관 하부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뇌관의 비군사화가 이루어지는 뇌관 비군사화단계; 비군사화된 뇌관이 장착된 약협을 뇌관분리치구의 도립시켜 분리관에 끼워넣고, 약협 바닥에 누름판을 안치한 다음 프레스로 누름판을 가압하여 분리관 상단에 설치된 받침판이 뇌관을 축방향으로 밀어 약협으로부터 뇌관을 분리시키는 뇌관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에 있어서,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추진장약을 분리제거하는 추진장약 제거단계와; 추진장약이 제거된 약협은, 배출공이 형성된 기폭테이블과, 배출공을 내포하도록 기폭테이블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기폭관과, 기폭관 외면의 상하부에 돌출되어 기폭관에 끼워지는 약협 내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로 구성되는 뇌관기폭치구에서 기폭관에 도립하여 끼워넣어 뇌관과 점화약관의 결합체인 뇌관결합체와 약협을 기폭관으로 차단시키는 단계; 공이 타격으로 뇌관결합체를 기폭관 내부에서 기폭시키고, 기폭에 의해 발생된 열 및 화약연소 찌꺼기는 약협 내면에 묻지 않고 기폭관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뇌관의 비군사화가 이루어지는 뇌관결합체 비군사화단계; 비군사화된 뇌관결합체가 장착된 약협을 뇌관결합체분리치구의 이동지지관에 도립시켜 끼워넣어 뇌관결합체의 점화약관이 이동지지관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하고, 약협 바닥에 누름판을 안치한 다음 프레스로 누름판을 가압하여 약협을 하부로 하강시키되 약협에 고정된 뇌관결합체는 고정지지주의 고정돌기에 의해 진행이 억제되어 뇌관을 상부로 밀어내고, 상부로 표출된 뇌관결합체 상단부를 집게로 파지한 다음 축방향으로 당겨 이동지지관과 약협으로부터 뇌관결합체를 분리시키는 뇌관결합체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은,
뇌관결합구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뇌관결합체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뇌관결합체를 분리하기 이전에 비군사화과정을 먼저 수행하여 뇌관결합체 분리과정에서의 기폭에 의한 작업 위험을 방지하고, 비군사화과정에서도 뇌관결합체 기폭시에 발생된 고열과 화약연소찌꺼기가 약협 내면으로 전달되지않고 외부로 배출시켜 약협 오염을 방지한다. 따라서, 약협의 가공을 최소화하면서 결함없는 정비가 이루어도록 하여 약협의 재사용율을 증대시킴으로써 고폭탄의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와 도 1b는 고폭탄 구성 및 탄두분리와 추진장약을 제거한 약협을 도시한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약관 분리치구 및 분리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기폭치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분리치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결합체 분리치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6a 내지 도 6c는 뇌관결합구 축소치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결합구 규격화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약협입구 규격화치구를 이용한 약협입구 규격화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약협 정비방법의 과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약협 정비방법의 과정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약관 분리치구 및 분리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기폭치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분리치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결합체 분리치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6a 내지 도 6c는 뇌관결합구 축소치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뇌관결합구 규격화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약협입구 규격화치구를 이용한 약협입구 규격화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약협 정비방법의 과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약협 정비방법의 과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고폭탄의 구성도이고, 도 1b는 탄두를 분리하고 추진장약을 제거한 약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고폭탄(100)은 105mm 폭탄을 예로 한 것으로, 전단에 신관(110)이 형성된 탄두(120)와, 상기 탄부 후미에 결합되어 탄두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화약을 저장하는 약협(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약협(10)은 바닥의 뇌관결합구(16)에 뇌관(14)이 결합되고, 뇌관으로부터 약협 내부로 길게 점화약관(13)이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점화약관 주위의 약협 내부에는 추진장약(11)이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폭탄(100)은 뇌관(14) 타격시 발화가 이루어지고 발화력은 점화약관(13)으로 전달하면서 일순간에 추진장약(11)을 발화시켜 급격하게 가스를 생산하여 내부압력에 의해 탄두(120)가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고폭탄(100)은 장시간 보관으로 인해 화약류의 발화력 저하로 불발탄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일정기간이 소요되면 화약류를 교체하는 폐약협정비가 이루어진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약관 분리치구 및 분리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탄두를 분리하고 추진장약을 제거한 약협(10)은 점화약관 분리치구(20)에 의해 점화약관(13)을 분리시킨다.
상기 점화약관 분리치구(20)는 점화약관 분리테이블(21)과; 상단에는 통공을 통해 약협의 점화약관을 내입하면서 점화약관의 나사결합부분에 고정되는 척(221)이 결합되고, 하단은 점화약관 분리테이블(21)에 결합되는 척고정내관(22)과; 상기 척고정내관을 내포하도록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수직설치되는 관체로, 상부로는 척고정내관의 척(221)이 돌출되도록 하고, 하단이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결합되는 약협고정외관(23)과; 상기 약협고정외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약협고정외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지는 약협(10)을 약협고정외관(23)과 동일축으로 배치하면서 약협과 밀착되어 일체화시키는 상부지지대(24) 및 하부지지대(25)와; 상기 척고정내관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모터(26)와; 상기 모터 작동을 단속하는 스위치(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척고정내관(22)의 상단에 고정된 척(221)은 축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으로 점화약관(13)이 내입되도록 하고, 뇌관(14)과 나사결합된 부분 또는 이와 근접된 부분을 파지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점화약관(13)은 척(221)과 고정되는 부분의 직경을 다른 부분보다 크게 형성하여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척(221)은 통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단홈을 형성하여 점화약관이 강하게 내입되면 척 단부가 벌어져 자체 탄성에 의해 점화약관을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척(221)은 척고정내관(22) 상단에 나사결합 또는 탈착방식의 결합이 이루어져 약협으로부터 분리된 점화약관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척고정내관(22)의 하단은 점화약관 분리테이블(21)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설치되거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척고정내관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는 척고정내관의 하단을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베어링 결합하고, 모터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척고정내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모터(26)의 동력전달은 기어결합에 의한 동력전달방식 또는 벨트에 의한 동력전달방식 또는 에어모터에 의한 회전방식등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약협고정외관(23)은 점화약관 분리테이블(21)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은 척(221)과 일정거리 간격을 유지시켜 동일축으로 설치되도록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척고정내관(22)과 약협고정외관(23)은 약협(10)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약협을 약협고정외관에 끼웠을 때 약협 단부가 테이블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지지대(24)와 하부지지대(25)는 약협고정외관(23)의 외면을 따라 다수로 돌출된 돌기형태로 형성되거나, 하나의 링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되는 길이로는 약협고정외관의 외면과 약협 내면 사이의 길이로 돌출되어 끼워지는 약협을 지지해 척고정내관과 약협고정외관 및 약협이 모두 동일축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대에는 단턱을 더 형성하여 약협고정외관이 약협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약협(10)은 도립상태에서 도 2b와 같이 점화약관 분리치구(20)에 결합하고, 척고정내관(22)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약협고정외관에 지지받은 약협(10)과 뇌관(14)은 고정되고, 척에 고정된 점화약관(13)만 회전이 이루어져 뇌관(14)과 점화약관(13)의 나사결합이 풀리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기폭치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뇌관기폭치구(30)는 약협(10)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이 약협 내측의 하부면과 접하는 기폭관(31)과; 상기 기폭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고 약협 내면에 밀착되어 약협을 기폭관과 동일축으로 배치시키는 상부지지대(32) 및 하부지지대(33)와; 상기 기폭관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고 기폭관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배출공(341)이 형성된 기폭테이블(34)과; 상기 기폭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부에 안치되되 하부면에는 약협바닥부(15)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홈을 형성하여 약협바닥부(15)를 일부 내입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공이(36)를 수직안치하되 공이의 상부는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공이 하단의 첨단부는 약협의 뇌관(14)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공이안치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폭관(31)은 약협의 내부 바닥면과 접하는 상단에 기밀성이 우수하면서 고열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인 기밀부재를 더 설치하여 면접부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32)와 하부지지대(33)는 점화약관 분리치구(20)의 상부지지대(24) 및 하부지지대(2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만 뇌관기폭치구의 하부지지대(33)는 기폭테이블(34)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폭관(31)을 지지하면서 도립상태로 끼워지는 약협(10)과 기폭관(31)이 동일축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폭테이블(34)은 하부로 일정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뇌관기폭으로 발생된 열과 화약연소찌꺼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폭테이블의 배출공(341)에는 관을 배관시켜 배출되는 화약연소찌꺼기를 정화한 다음 배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공이안치대(35)는 일정두께의 원판으로 형성하고 중앙의 통공에 공이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에 상부로 돌출관을 형성해 돌출관 내에 공이(36)를 안치하는 형태로 제공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뇌관기폭치구(30)에 약협(10)을 도립상태로 끼워넣고 해머(37)로 공이(36)를 타격하면 충격력에 의해 뇌관(14)이 기폭된다. 이때 기폭에 발생된 고열과 화약연소찌꺼기는 기폭관(31) 내부를 통해 기폭테이블(34)의 배출공(341)으로 배출됨으로 고열과 화약연소찌꺼기가 약협 내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분리치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뇌관분리치구(40)는, 약협의 내부로 삽입되는 분리관(41)과; 상기 분리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고 약협 내면에 밀착되어 약협을 분리관과 동일축으로 배치시키는 상부지지대(42) 및 하부지지대(43)와; 상기 분리관(41)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테이블(44)과; 상기 분리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부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지지봉(451)을 돌출시켜 상기 분리관에 끼워지는 약협의 뇌관(14)과 접하게 하는 받침판(45)과; 상기 분리관의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면에 안치되고 중앙에는 뇌관이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뇌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긴 두께를 갖는 누름판(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관(41)은 관 또는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42)와 하부지지대(43)는 뇌관기폭치구(30)의 상부지지대(32) 및 하부지지대(3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지지대(42)는 덮개형태로 형성하여 분리관의 상단과 상부측면을 동시에 덮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대(43)는 지지테이블(44)에 일체로 결합되어 분리관(41)을 지지하면서 약협과 분리관을 동일축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45)의 지지봉(451)은 약협의 바닥부(15)의 뇌관결합구(16)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하여 뇌관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46)은 도시된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원판형 이외에 도립상태로 분리관에 끼워진 약협의 바닥부를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도시된 프레스(47) 가압방식 이외에 해머에 의한 타격방식도 적용될 수 있고, 가압으로 분리관이 약협 내부로의 삽입되는 깊이를 한정하기 위해 하부지지대에 단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뇌관분리치구(40)는 도립상태로 약협(10)을 분리관(41)에 끼워넣고 프레스(47)와 누름판(46)을 이용하여 약협의 바닥부(15)를 하부로 가압하면 약협은 분리관(41)의 상부지지대(42)와 하부지지대(43)에 안내되면서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약협(10) 내부에는 고정된 받침판(45)의 지지봉(451)이 약협의 뇌관(14)을 지지함으로 최종적으로는 뇌관이 지지봉에 밀려 뇌관결합구(16)로부터 탈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뇌관결합구의 손상없이 뇌관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뇌관결합체 분리치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뇌관결합체 분리치구(80)는, 뇌관결합체 지지테이블(81)과; 상기 뇌관결합체 지지테이블이 상부에 설치되는 원주형태로 상단 중심에는 동일축을 갖는 지지돌기(821)가 돌출되고, 지지돌기의 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동일축을 갖는 원주돌기(822)가 형성된 고정지지주(82)와; 상기 고정지지주의 상부에 동일축으로 배치되어 상부로는 뇌관결합체(12)의 점화약관(13)이 내입되고 하부로는 지지돌기(821)의 일부가 내입되는 관체로, 상단에는 약협(10) 내부로 삽입되어 약협 바닥부(15)에 접하는 약협거치원판부(831)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외면에는 플랜지(832)가 형성된 이동지지관(83)과; 상기 고정지지주의 원주돌기(822)와 이동지지관의 하부를 내포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지지관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스프링(84)과; 상기 고정지지주(82)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되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단은 이동지지관의 플랜지(832)를 삽통되어 단부에 너트를 결합시켜 이동지지관이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가이드볼트(85)와; 상기 이동지지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면에 안치되고 중앙에는 뇌관결합체가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뇌관결합체의 뇌관길이보다 긴 두께를 갖는 누름판(8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지지주(82)는 약협(10) 내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하여 뇌관결합체(12) 분리작업시 고정지지주(82)의 상부가 약협에 내입되어 약협이 축 중심에서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고정지지주(82)는 뇌관결합체(12)를 분리하기 위해 프레스 가압시 하강하는 약협의 하단이 뇌관결합체 지지테이블(81)에 부딪히지 않도록 약협이 하강 이동폭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821)는 이동지지관(8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이동지지관의 내부에서 뇌관결합체의 점화약관(13) 단부와 접한다. 따라서, 프레스(87) 가압으로 약협이 하강할 때 지지돌기(821)가 뇌관결합체(12)의 하강이동을 방지하여 약협으로부터 뇌관결합체가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뇌관결합체(12)는 뇌관 또는 뇌관과 점화약관이 결합되는 부분이 약협의 뇌관결합구(16)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뇌관(14)을 약협의 뇌관결합구(16)로부터 탈거함으로써 약협에 뇌관결합체를 고정시키는 힘을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돌기(821)의 하부에는 동일축으로 원주돌기(822)가 형성된다. 상기 원주돌기는 후술되는 스프링(84)의 하부에 내입되어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이동지지관(83)은 관체로 내부 중공부에는 뇌관결합체 중 점화약관(13)이 삽입되어 프레스 가압력에 의해 중심축으로부터 점화약관이 일측으로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해 프레스 가압방향의 역방향으로 반발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이동지지관(83)은 내경을 점화약관(13)의 직경보다 약간 큰 길이로 형성하여 이동지지관 중공부에서 점화약관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이동지지관(83) 내면과 점화약관(13)의 이격틈을 2mm 이내로 형성하여 지지와 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지지관의 약협지지원판부(831)는 약협 내부의 바닥부(15)와 접하는 것으로 접하는 면을 약협 바닥부의 굴곡과 동일 또는 최대한 동일한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약협에 가해지는 프레스 가압력을 약협 바닥부 전체면을 통해 전달받아 가압력 전달과정에서의 약협 및 이동지지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협지지원판부(831)의 직경은 약협 내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하여 뇌관결합체 분리단계에서 약협의 상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동지지관의 플랜지(832)는 이동지지관(83)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상부에 위치함으로 플랜지(832) 하부로 이동지지관의 하단이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돌출된 부분은 스프링(84)의 상부에 내입되어 스프링을 이동지지관과 동일축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시킨다.그리고 이동지지관(83)은 하단의 입구를 상협하광의 원뿔형태로 확장하여 고정지지주의 지지돌기가 이동지지관의 중공으로 내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84)은 상술한 바와같이 스프링의 하부는 고정지지주의 원주돌기(822)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링의 상부는 이동지지관(83)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이 측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제한하고 축방향인 수직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스프링(84)의 축방향 탄성변형 길이는 적어도 뇌관결합구(16) 길이의 1~3배 범위로 형성하여 뇌관결합구에 결합된 뇌관결합체 부위가 뇌관결합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뇌관결합체 중 뇌관결합구에 결합되는 부위를 점화약관보다 조금 큰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부분이 뇌관결합구에서 이탈되면 뇌관결합체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볼트(85)는 고정지지주(82) 상부면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일체화한 것으로, 고정지지주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2개 이상으로 배치되어 이동지지관의 플랜지(832)를 삽통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볼트(85)는 이동지지관(83)의 플랜지(832)와는 결합없이 삽통되도록 장착되어 이동지지관이 스프링(8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지지주(82)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지지관(83)은 원주돌기(822)에 의해 하향이동이 제한되고 가이드볼트(85)에 의해 상향이동이 제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볼트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으로는 너트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뇌관결합구 축소치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뇌관결합구 축소치구(50)는 약협을 지지하는 고정판(51)과; 약협 내부로 내입되어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몸체(5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51)은 정립상태의 약협 바닥부를 안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압력전달과정에서 약협의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몸체(52)는 약협 내부의 하부인 뇌관결합구 주위를 가압하고 약협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압밀부(53)와, 하단이 상기 압밀부에 결합되고 상단은 삽입된 약협의 상부로 돌출되어 프레스(56)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 압력전달봉(54)과, 상기 압력전달봉의 상부측면에 형성되어 압력전달봉의 삽입깊이를 한정하고 압밀부와 같이 약협과 압력전달봉을 동일축상에 배치시키는 상부지지대(55)로 구성된다.
상기 압밀부(53)는 약협과 접하는 하단면이 약협의 내측하부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약협의 뇌관결합구(16) 주위와 면접되는 부분을 더 돌출시켜 가압력이 뇌관결합구 주변에 집중되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압밀부(53)는 도 6c에서와 같이 뇌관결합구(16)에 삽입되는 삽입돌기(531)를 더 형성하여 가압력에 의해 악협바닥부가 성형될 때 뇌관결합구(16)의 직경이 축소되는 정도를 한정할 수 있다. 이는 이후 뇌관결합구의 규격화과정에서 드릴에 의해 깎이는 량을 최소화하여 약협 바닥부의 구조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뇌관결합구 축소치구에 의해 뇌관결합구의 직경을 축소시킨 약협은 도 7과 같이 뇌관결합구의 규격 직경을 갖는 드릴(60)을 장착한 밀링선반을 이용하여 직경이 축소된 뇌관결합구(16)를 깎아 규격화한다.
아울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약협입구 규격화치구를 이용하여 약협의 입구를 동심도를 일체화시키는 규격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약협입구 규격화치구(70)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인 테이블(71)과; 상기 테이블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주축대(72)와; 상기 주축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수평축을 갖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면이 규격사이즈의 약협입구 동심도를 갖는 관형의 받침관(73); 상기 주축대의 연장부 상부에 실린더실을 설치하고 주축대의 연장부를 관통하여 받침관 방향으로 인출되는 실린더로드로 구성된 실린더(74)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부면이 약협입구 동심도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해머(75)로 구성된다.
이러한 약협입구 규격화치구(70)는 밀링머신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뇌관결합구의 규격화가 완료된 약협(10)의 입구를 주축대의 받침관(73)에 끼워넣어 고정시킨 후 회전시키고, 실린더(74)에 의해 해머(75)를 상하 이동시켜 약협입구를 타격함으로써 약협 입구를 규격의 동심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약협입구를 규격화한 약협(10)은 다양한 추가 공정을 수행한 다음 뇌관결합체를 약협 바닥부의 외측을 통해 약협 뇌관결합구로 삽설하여 결합을 완료시킨다.
상기 다양한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본 발명의 폐약협 정비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추진장약 제거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추진장약을 분리제거하는 단계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추진장약을 제거한다.
다음으로는 점화약관 분리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점화약관 분리치구를 이용하여 약협을 도립상태로 점화약관 분리치구의 척고정내관에 점화약관을 고정시키고, 약협은 약협고정외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척고정내관을 회전시킴으로써 약협의 바닥부에 고정된 뇌관과 점화약관의 나사결합이 풀리면서 분리된다.
점화약관이 분리된 약협은 뇌관과 약협내면을 기폭관으로 차단시키는 단계와, 뇌관을 기폭시키는 뇌관 비군사화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뇌관과 약협내면을 기폭관으로 차단시키는 단계에는 약협을 뇌관기폭치구의 기폭관에 도립하여 끼워넣고, 상기 뇌관 비군사화단계에는 공이를 타격으로 뇌관 기폭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폭에 의해 발생된 열 및 화약연소 찌꺼기는 기폭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기폭에 의한 약협 내면의 손상을 방지한다
뇌관의 비군사화가 완료된 약협은 뇌관분리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비군사화된 뇌관이 장착된 약협을 뇌관분리치구의 도립시켜 분리관에 끼워넣고, 약협 바닥에 누름판을 안치한 다음 프레스로 누름판을 가압하여 분리관 상단에 설치된 받침판이 뇌관을 축방향으로 밀어 약협으로부터 뇌관을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뇌관이 분리된 약협은 뇌관결합구 직경축소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뇌관이 분리된 약협을 정립하여 뇌관결합구 축소치구의 고정판에 고정시키고, 약협 내부로 압력전달봉을 내입한 다음 프레스로 압력전달봉을 가압하여 압력전달봉이 뇌관결합구의 주변을 가압해 뇌관결합구 직경을 축소시키는 단계이다.
다음으로는 뇌관결합구 규격화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직경이 축소된 뇌관결합구를 드릴을 이용하여 규격사이즈로 가공하여 규격화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뇌관결합구 직경축소단계와 뇌관결합구 규격화단계 사이에는
형광자분을 이용한 자분탐상(시험체에 자장을 걸어 자화시킨 후 자분을 적용하여 결함부에서 발생된 누설자장으로 인해 형성된 자분지시를 관찰하여 결함의 크기, 위치, 형상을 검출하는 방법이다.)으로 약협 내부의 크랙을 검사하는 크랙검사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크랙검사단계는 축소된 뇌관결합구 주변의 크랙발생을 점검하기 위해 형광자분을 약협에 뿌리고 약협 내부의 크랙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다. 상기 형광자분 탐상장비로는 약협 내부로 투입이 가능한 카메라와,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뇌관결합구 규격화단계 다음으로는 약협입구 규격화단계, 약협 디스케일단계, 코팅단계, 뇌관결합체 결합단계, 추진장약 충진단계가 더 이루어진다.
상기 약협입구 규격화단계는 약협의 내부곡률반경과 동일한 직경의 고정대에 약협 입구를 끼워넣어 회전시키고, 측면에는 약협의 외부곡률반경과 동일한 내면을 갖는 해머로 약협 입구 외면을 타격하여 약협입구의 동심도를 규격화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약협 디스케일(descale)단계는 동심도를 규격화한 약협을 스케일제거제(descale solution)로 디스케일하여 내외부의 발청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스케일 제거제로는 공지된 다양한 스케일제거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koryo ETCH 100(가온시스템 제품) 또는 koryo ETCH 100A(가온시스템 제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약협의 재질이 동재질일 경우에는 인산(phosphoric acid)과 활성화제(activation agent)가 주성분인 koryo ETCH 100을 사용하고, 약협의 재질이 철재질일 경우에는 가성소다(caustic acid)와 활성화제(activation agent)가 주성분인 koryo ETCH 100A을 사용하여 디스케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스케일제거제로 디스케일한 약협은 코팅단계가 더 수행된다. 상기 코팅단계는 약협의 재질이 동재질일 경우에는 방청코팅을 하고, 철재질일 경우에는 바니쉬(varnish)에 의한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바니쉬를 이용한 코팅은 약협에 2회 바니쉬를 코팅한 다음 180~200℃의 온도에서 20~40분간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범위 이상의 온도와 시간으로 건조할 경우 코팅층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하의 온도와 시간으로 건조할 경우에는 완전한 건조가 되지 않아 외부압력에 의해 코팅층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이 완료된 약협은 뇌관결합체 결합단계가 수행된다. 즉, 약협 바닥부에 형성된 뇌관결합구에 뇌관과 점화약관이 결합된 뇌관결합체를 동일축으로 결합한다.
상기 뇌관결합체가 결합된 약협 내부에는 추진장약을 충진하는 추진장약 충진단계를 더 수행함으로써 폐약협 정비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폐약협 정비방법은 점화약관 분리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뇌관결합체 전체를 비군사화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한 바와같이 추진장약 제거단계 다음으로 뇌관결합체와 약협내면을 기폭관으로 차단시키는 단계와 뇌관결합체 비군사화단계가 수행된다.
먼저 뇌관결합체와 약협내면을 기폭관으로 차단시키는 단계에는 추진장약이 제거된 약협을 뇌관기폭치구의 기폭관에 도립하여 끼워넣는다. 다음으로 뇌관결합체 비군사화단계로 공이를 이용하여 뇌관을 타격해 뇌관이 점화됨과 동시에 점화약관을 기폭시켜 뇌관결합체가 뇌관기폭치구의 기폭관 내에서 기폭되는 비군사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기폭에 의해 발생된 열 및 화약연소 찌꺼기는 뇌관기폭치구의 기폭관을 통해 기폭테이블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약협 내면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뇌관결합체의 비군사화가 완료되면 뇌관결합체 분리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비군사화된 뇌관결합체가 장착된 약협을 뇌관결합체분리치구의 이동지지관에 도립시켜 끼워넣어 뇌관결합체의 점화약관이 이동지지관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동지지관에 약협장착이 완료되면 약협 바닥에 누름판을 안치하고 프레스로 누름판을 가압하여 약협을 하부로 하강시킨다. 이때 약협에 고정된 뇌관결합체는 고정지지주의 고정돌기에 의해 하강 진행이 억제되어 뇌관결합체를 약협 상부로 밀어낸다. 상기 약협 상부로 표출된 뇌관결합체는 상단부를 집게로 파지한 다음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지지관과 약협으로부터 뇌관결합체를 분리시킴으로써 뇌관결합체 분리과정에서 기폭발생에 의한 약협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뇌관결합체 분리단계 다음으로는 뇌관만 비군사화하여 분리하는 실시예와 같이 뇌관결합구 직경축소단계, 크랙검사단계, 뇌관결합구 규격화단계, 약협입구 규격화단계, 약협 디스케일단계, 코팅단계, 뇌관결합체 결합단계 및 추진약 충진단계가 선택적으로 진행되어 폐약협 정비를 완료할 수 있다.
100 : 고폭탄
110 : 신관 120 : 탄두
10 : 약협
11 : 추진장약 12 : 뇌관결합체
13 : 점화약관 14 : 뇌관
15 : 바닥부 16 : 뇌관결합구
20 : 점화약관 분리치구
21 : 점화약관 분리테이블 22 : 척고정내관
23 : 약협고정외관 24 : 상부지지대
25 : 하부지지대 26 : 모터
27 : 스위치 221 : 척
30 : 뇌관기폭치구
31 : 기폭관 32 : 상부지지대
33 : 하부지지대 34 : 기폭테이블
35 : 공이안치대 36 : 공이
37 : 해머 341 : 배출공
40 : 뇌관분리치구
41 : 분리관 42 : 상부지지대
43 : 하부지지대 44 : 지지테이블
45 : 받침판 46 : 누름판
47 : 프레스 451 : 지지봉
50 : 뇌관결합구 축소치구
51 : 고정판 52 : 가압몸체
53 : 압밀부 54 : 압력전달봉
55 : 상부지지대
531 : 삽입돌기
60 : 드릴
70 : 약협입구 규격화치구
71 : 테이블 72 : 주축대
73 : 받침관 74 : 실린더
75 : 해머
80 : 뇌관결합체 분리치구
81 : 뇌고나결합체 지지테이블
82 : 고정지지주 83 : 이동지지관
84 : 스프링 85 : 가이드볼트
86 : 누름판 87 : 프레스
821 : 지지돌기 822 : 원주돌기
831 : 약협거치원판부 832 : 플랜지
110 : 신관 120 : 탄두
10 : 약협
11 : 추진장약 12 : 뇌관결합체
13 : 점화약관 14 : 뇌관
15 : 바닥부 16 : 뇌관결합구
20 : 점화약관 분리치구
21 : 점화약관 분리테이블 22 : 척고정내관
23 : 약협고정외관 24 : 상부지지대
25 : 하부지지대 26 : 모터
27 : 스위치 221 : 척
30 : 뇌관기폭치구
31 : 기폭관 32 : 상부지지대
33 : 하부지지대 34 : 기폭테이블
35 : 공이안치대 36 : 공이
37 : 해머 341 : 배출공
40 : 뇌관분리치구
41 : 분리관 42 : 상부지지대
43 : 하부지지대 44 : 지지테이블
45 : 받침판 46 : 누름판
47 : 프레스 451 : 지지봉
50 : 뇌관결합구 축소치구
51 : 고정판 52 : 가압몸체
53 : 압밀부 54 : 압력전달봉
55 : 상부지지대
531 : 삽입돌기
60 : 드릴
70 : 약협입구 규격화치구
71 : 테이블 72 : 주축대
73 : 받침관 74 : 실린더
75 : 해머
80 : 뇌관결합체 분리치구
81 : 뇌고나결합체 지지테이블
82 : 고정지지주 83 : 이동지지관
84 : 스프링 85 : 가이드볼트
86 : 누름판 87 : 프레스
821 : 지지돌기 822 : 원주돌기
831 : 약협거치원판부 832 : 플랜지
Claims (12)
-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점화약관 분리, 뇌관기폭, 비군사화된 뇌관분리, 뇌관결합구 축소, 새로운 뇌관결합체를 결합하도록 뇌관결합구 가공을 통해 약협을 정비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에 있어서,
상기 약협으로부터 점화약관의 분리는,
점화약관 분리테이블과;
상단에는 통공을 통해 약협의 점화약관을 내입하면서 점화약관의 나사결합부분에 고정되는 척이 결합되고, 하단은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결합되는 척고정내관과;
상기 척고정내관을 내포하도록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수직설치되는 관체로, 상부로는 척고정내관의 척이 돌출되도록 하고, 하단이 점화약관 분리테이블에 결합되는 약협고정외관과;
상기 약협고정외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약협고정외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지는 약협을 약협고정외관과 동일축으로 배치하면서 약협과 밀착되어 일체화시키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와;
상기 척고정내관을 축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 작동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화약관 분리치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고정내관은 척과 나사결합되어 탈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점화약관 분리, 뇌관기폭, 비군사화된 뇌관분리, 뇌관결합구 축소, 새로운 뇌관결합체를 결합하도록 뇌관결합구 가공을 통해 약협을 정비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에 있어서,
상기 약협으로부터 뇌관의 기폭은,
약협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이 약협 내측의 하부면과 접하는 기폭관과;
상기 기폭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고 약협 내면에 밀착되어 약협을 기폭관과 동일축으로 배치시키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와;
상기 기폭관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고 기폭관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기폭테이블과;
상기 기폭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부에 안치되되 하부면에는 약협바닥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홈을 형성하여 약협바닥부를 일부 내입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공이를 수직안치하되 공이의 상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공이 하단의 첨단부는 약협의 뇌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공이안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뇌관기폭치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점화약관 분리, 뇌관기폭, 비군사화된 뇌관분리, 뇌관결합구 축소, 새로운 뇌관결합체를 결합하도록 뇌관결합구 가공을 통해 약협을 정비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에 있어서,
상기 약협으로부터 뇌관의 분리는,
약협의 내부로 삽입되는 분리관과;
상기 분리관 외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고 약협 내면에 밀착되어 약협을 분리관과 동일축으로 배치시키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와;
상기 분리관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테이블과;
상기 분리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부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지지봉을 돌출시켜 상기분리관에 끼워지는 약협의 뇌관과 접하게 하는 받침판과;
상기 분리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면에 안치되고 중앙에는 뇌관이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뇌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긴 두께를 갖는 누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뇌관분리치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는 외면이 약협 내면에 면접하도록 링형태 또는 축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뇌관결합체 기폭, 비군사화된 뇌관결합체 분리, 뇌관결합구 축소, 새로운 뇌관결합체를 결합하도록 뇌관결합구 가공을 통해 약협을 정비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에 있어서,
상기 약협으로부터 뇌관결합체의 분리는,
뇌관결합체 지지테이블과;
상기 뇌관결합체 지지테이블이 상부에 설치되는 원주형태로 상단 중심에는 동일축을 갖는 지지돌기가 돌출되고, 지지돌기의 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동일축을 갖는 원주돌기가 형성된 고정지지주와;
상기 고정지지주의 상부에 동일축으로 배치되어 상부로는 뇌관결합체의 점화약관이 내입되고 하부로는 지지돌기의 일부가 내입되는 관체로, 상단에는 약협 내부로 삽입되어 약협 바닥부에 접하는 약협거치원판부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외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이동지지관과;
상기 고정지지주의 원주돌기와 이동지지관의 하부를 내포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지지관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지지주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되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단은 이동지지관의 플랜지를 삽통되어 단부에 너트를 결합시켜 이동지지관이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가이드볼트와;
상기 이동지지관을 내포하도록 끼워진 약협 바닥면에 안치되고 중앙에는 뇌관결합체가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뇌관결합체의 뇌관길이보다 긴 두께를 갖는 누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뇌관결합체분리치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 -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에 있어서,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추진장약을 분리제거하는 추진장약 제거단계와;
약협 바닥면의 뇌관에 나사결합된 점화약관을 점화약관분리치구의 척에 고정되도록 약협을 도립시켜 끼워넣은 후 축중심으로 회전시켜 뇌관으로부터 점화약관을 분리시키는 점화약관 분리단계와;
점화약관이 분리된 약협은 배출공이 형성된 기폭테이블과, 배출공을 내포하도록 기폭테이블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기폭관과, 기폭관 외면의 상하부에 돌출되어 기폭관에 끼워지는 약협 내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로 구성되는 뇌관기폭치구에서 기폭관에 도립하여 끼워넣어 뇌관과 약협내면을 기폭관으로 차단시키는 단계;
뇌관을 공이로 타격하여 기폭관 내부에서 기폭시키고, 기폭에 의해 발생된 열 및 화약연소 찌꺼기는 약협 내면에 묻지 않고 기폭관 하부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뇌관의 비군사화가 이루어지는 뇌관 비군사화단계;
비군사화된 뇌관이 장착된 약협을 뇌관분리치구의 분리관에 도립하여 끼워넣고, 약협 바닥에 누름판을 안치한 다음 프레스로 누름판을 가압하여 분리관 상단에 설치된 받침판이 뇌관을 축방향으로 밀어 약협으로부터 뇌관을 분리시키는 뇌관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에 있어서,
탄두를 분리한 약협으로부터 추진장약을 분리제거하는 추진장약 제거단계와;
추진장약이 제거된 약협은, 배출공이 형성된 기폭테이블과, 배출공을 내포하도록 기폭테이블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기폭관과, 기폭관 외면의 상하부에 돌출되어 기폭관에 끼워지는 약협 내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로 구성되는 뇌관기폭치구에서 기폭관에 도립하여 끼워넣어 뇌관과 점화약관의 결합체인 뇌관결합체와 약협을 기폭관으로 차단시키는 단계;
공이 타격으로 뇌관결합체를 기폭관 내부에서 기폭시키고, 기폭에 의해 발생된 열 및 화약연소 찌꺼기는 약협 내면에 묻지 않고 기폭관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뇌관의 비군사화가 이루어지는 뇌관결합체 비군사화단계;
비군사화된 뇌관결합체가 장착된 약협을 뇌관결합체분리치구의 이동지지관에 도립시켜 끼워넣어 뇌관결합체의 점화약관이 이동지지관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하고, 약협 바닥에 누름판을 안치한 다음 프레스로 누름판을 가압하여 약협을 하부로 하강시키되 약협에 고정된 뇌관결합체는 고정지지주의 고정돌기에 의해 진행이 억제되어 뇌관을 상부로 밀어내고, 상부로 표출된 뇌관결합체 상단부를 집게로 파지한 다음 축방향으로 당겨 이동지지관과 약협으로부터 뇌관결합체를 분리시키는 뇌관결합체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뇌관분리단계 또는 뇌관결합체분리단계 다음으로는 뇌관 또는 뇌관결합체가 분리된 약협을 정립하여 뇌관결합구 축소치구의 고정판에 고정시키고, 약협 내부로 압력전달봉을 내입한 다음 프레스로 압력전달봉을 가압하여 압력전달봉이 뇌관결합구의 주변을 가압해 뇌관결합구 직경을 축소시키는 뇌관결합구 직경축소단계와;
상기 직경이 축소된 뇌관결합구를 드릴을 이용하여 규격사이즈로 가공하여 규격화하는 뇌관결합구 규격화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뇌관결합구 직경축소단계와 뇌관결합구 규격화단계 사이에는
형광자분을 이용한 자분탐상으로 약협 내부의 크랙을 검사하는 크랙검사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뇌관결합구 규격화단계 다음으로는
약협의 내부곡률반경과 동일한 직경의 고정대에 약협 입구를 끼워넣어 회전시키고, 측면에는 약협의 외부곡률반경과 동일한 내면을 갖는 해머로 약협 입구 외면을 타격하여 입구의 동심도를 규격화하는 약협입구 규격화단계와;
동심도를 규격화한 약협을 디스케일하여 내외부의 발청을 제거하는 약협 디스케일단계와;
뇌관결합구 규격화가 이루어진 약협을 방청코팅 또는 바니쉬코팅을 하는 코팅단계와;
코팅 후 뇌관결합구에 새로운 뇌관결합체를 결합하는 뇌관결합체 결합단계와;
뇌관결합체가 결합된 약협 내부에 추진장약을 충진하는 추진장약 충진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약협 디스케일단계에는 koryo ETCH 100(가온시스템 제품) 또는 koryo ETCH 100A(가온시스템 제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케일제거제에 의해 디스케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약협 정비치구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3544 | 2013-11-25 | ||
KR20130143544 | 2013-11-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7623B1 true KR101447623B1 (ko) | 2014-10-07 |
Family
ID=5199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4143A KR101447623B1 (ko) | 2013-11-25 | 2014-03-24 |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762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9596B1 (ko) * | 2012-06-27 | 2012-12-07 | 김인영 | 뇌관결합홀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KR101283453B1 (ko) | 2013-03-29 | 2013-07-08 | 김인영 |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의 뇌관결합홀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약협의 뇌관결합홀 정비방법 |
KR101351866B1 (ko) | 2013-08-14 | 2014-01-15 | 김인영 |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의 뇌관결합체 분리 방법 |
-
2014
- 2014-03-24 KR KR1020140034143A patent/KR1014476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9596B1 (ko) * | 2012-06-27 | 2012-12-07 | 김인영 | 뇌관결합홀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KR101283453B1 (ko) | 2013-03-29 | 2013-07-08 | 김인영 |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의 뇌관결합홀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약협의 뇌관결합홀 정비방법 |
KR101351866B1 (ko) | 2013-08-14 | 2014-01-15 | 김인영 |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의 뇌관결합체 분리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23706C (zh) | 爆破处理方法 | |
KR101283453B1 (ko) |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의 뇌관결합홀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약협의 뇌관결합홀 정비방법 | |
KR101209596B1 (ko) | 뇌관결합홀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
CN100334417C (zh) | 用于销毁弹药上所安装引信的方法和设备 | |
EP2023075A1 (en) | Pressure vessel | |
US4819562A (en) | Explosive charge containing magazine for ram setting gun | |
US3326084A (en) | Light gas cartridge | |
KR101447623B1 (ko) | 폐약협 정비치구 및 이를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
CN113503780B (zh) | 一种掉落式引信试验方法 | |
CN113503781B (zh) | 一种旋转落锤式引信试验方法 | |
KR101351866B1 (ko) |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의 뇌관결합체 분리 방법 | |
JP3987870B1 (ja) | 爆破処理用耐圧容器内の浄化方法 | |
US5974937A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and explosive charge from a shaped charge munition | |
KR101514367B1 (ko) | 포병탄약의 노후된 뇌관을 정비하기 위한 장치 | |
US6901835B1 (en) | Cone and charge extractor | |
US5388499A (en) | Cartridge for explosively operated industrial tools | |
CN101970178A (zh) | 用于将蓄气筒与气体紧固设备的传输和燃烧室填充部件固定和断开的蓄气筒适配器 | |
CA2125454C (en) | Cartridge for explosively operated industrial tools | |
US902193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laboration of ammunition | |
JP2004271012A (ja) | 空薬莢の分解装置 | |
KR101372817B1 (ko) |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의 뇌관결합체 체결방법 | |
EP0273777A1 (en) | Explosive charge containing magazine for ram setting gun | |
CN215177316U (zh) | 一种使枪弹弹壳与底火帽快速分离装置 | |
JP2707504B2 (ja) | 対戦車用無反動砲の推薬起爆装置 | |
KR101455677B1 (ko) | 냉각공정과 도금공정을 이용한 폐약협 정비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