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397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397B1
KR101446397B1 KR1020120137545A KR20120137545A KR101446397B1 KR 101446397 B1 KR101446397 B1 KR 101446397B1 KR 1020120137545 A KR1020120137545 A KR 1020120137545A KR 20120137545 A KR20120137545 A KR 20120137545A KR 101446397 B1 KR101446397 B1 KR 10144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lens holders
holders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803A (ko
Inventor
주양현
최용복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3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에 적층 되며,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렌즈 홀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를 가압하는 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의 중심은 상기 조정부재의 가압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폰, 장난감(toy)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소형화된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작은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을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의 이미지 센서 칩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이미지 센서 칩에 렌즈를 통하여 사물을 집광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사물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달한다.
카메라 모듈에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어, 광 경로를 형성하는데,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오토 포커싱 유닛을 마련할 경우, 오토 포커싱 동작을 위해 설치되는 렌즈와 렌즈 배럴에 설치되는 복수 매의 렌즈들은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열될 필요가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의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카메라 안에 들어가는 렌즈들 사이의 편심은 최대한 줄여야 하지만, 현재 생산되는 렌즈 배럴은 복수 매의 렌즈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렌즈들을 삽입하여 조립할 때, 렌즈 배럴 제작 공차가 카메라 모듈 성능 및 수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고해상도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렌즈를 담는 렌즈 배럴의 제작 허용 공차는 카메라 렌즈 간의 편심 공차보다 크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 조립 시 수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115866 호(2010.10.2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0041032 호(2012.04.30.)
본 발명은 조립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매의 렌즈들의 중심을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렌즈 배럴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에 적층 되며,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렌즈 홀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를 가압하는 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의 중심은 상기 조정부재의 가압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홀더는 서로 다른 지름의 렌즈를 지지하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는 서로 면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렌즈 홀더가 지지하는 렌즈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고, 나사산 없이 매끈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측에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지름은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은 소정 간격 이격 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제 2 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는 나사부재, 핀 부재,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접착제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을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는 각각의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90도 간격으로 총 4개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과 복수 개의 렌즈 홀더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는 지지하는 렌즈의 지름이 커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적외선 차단필터가 설치된 베이스 및 복수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요크가 마련된 홀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은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마그네트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따라 광축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하는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이 보이스 코일 모터의 보빈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한 곳에 단 렌즈 무빙 액츄에이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멤스 액츄에이터, 액체 크리스털 렌즈, 피에조 폴리머 렌즈와 같은 비 멤스 액츄에이터, 실리콘 방식 액츄에이터 및 액체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렌즈 별로 별도의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이 렌즈 홀더들은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개별적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렌즈들의 중심을 렌즈 조립이 끝난 후에도 후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 매의 렌즈 정렬 불량이 발생된 렌즈 배럴을 폐기하지 않아도 되므로, 카메라 모듈의 조립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매의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배럴의 제작 공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더라도 렌즈 배럴의 제작 공차와 렌즈들 사이의 편심 공차를 동시에 보완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 조립 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 조립 단계에서 복수 개의 렌즈 들의 배열을 최대 성능이 나올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 분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 분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 이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일정 거리 이격 된 위치에 복수 매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을 배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오토 포커싱 기능 및/또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배럴을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제 1 하우징 (100)의 내부에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가 적층 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0)은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제 1 관통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공(101)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렌즈 홀더(110)와 대응되는 면에 90도 간격으로 4개, 제 2 렌즈 홀더(120)와 대응되는 면 및 제 3 렌즈 홀더(130)와 대응되는 면에 각각 90도 간격으로 4개씩, 총 12개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0)의 상측은 오픈된 개구부(102)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110~130) 중 가장 상측에 적층되는 제 3 렌즈 홀더(130)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하우징(100)의 상측을 오픈 하면, 상기 제 1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순서대로 제 1 렌즈 홀더(110), 제 2 렌즈 홀더(120) 및 제 3 렌즈 홀더(130)를 적층 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102)의 지름은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지름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만일 상기 개구부(102)의 지름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지름과 동일할 경우, 생산 과정 중에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렌즈 홀더들(110)(120)(130)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렌즈 홀더들(110)(120)(130)의 지름과 상기 개구부(102)의 지름의 차이를 너무 크게 형성할 경우, 적층 조립 과정 중에 편심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은 최대한 작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하우징(100)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바닥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110)(120)(130)이 지지하고 있는 복수 매의 렌즈들을 통과한 이미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의 지름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렌즈 홀더(110)에 설치되는 렌즈와 제 2 렌즈 홀더(120)에 설치되는 렌즈 및 제 3 렌즈 홀더(130)에 설치되는 렌즈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으나, 이 렌즈들을 지지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는 동일한 외곽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제 1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부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를 적층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두께는 지지하는 렌즈의 지름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지름은 지지하고 있는 렌즈의 지름이 커질수록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렌즈 홀더(110)가 지지하는 렌즈의 지름이 가장 작게 형성되고, 제 3 렌즈 홀더(130)가 지지하는 렌즈의 지름이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렌즈 홀더(110)의 두께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렌즈 홀더(130)의 두께는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제 1 렌즈 홀더(110)에 설치되는 렌즈의 지름이 가장 작고, 제 3 렌즈 홀더(130)에 설치되는 렌즈의 지름이 가장 큰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각의 렌즈 홀더들(110)(120)(130)의 배치 관계는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렌즈 홀더(110)의 제 1 면(111)과 제 2 렌즈 홀더(120)의 제 2 면(121) 및 제 3 렌즈 홀더(130)의 제 3 면(131)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면(111)과 마주보는 제 2 렌즈 홀더(120)의 바닥면, 제 2 면(121)과 마주보는 제 3 렌즈 홀더(130)의 바닥면 또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는 서로 면 접촉하여 적층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중앙에는 미도시된 렌즈가 설치될 수 있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삽입공(112)(122)(13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삽입공(112)(122)(132)의 지름은 설치되는 렌즈의 지름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 홀더(110)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11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나사산(113)은 기존에 렌즈 홀더가 삽입되는 미도시된 보빈 등의 구조물에 형성된 암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산(113)은 생략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서로 다른 크기의 렌즈 별로 별도의 렌즈 홀더를 구성하여 이들을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에 있으므로, 상기 나사산(113)의 구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하우징(100)의 외부에는 제 2 하우징(200)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들과 함께, 상기 제 1 하우징(10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하우징(200)은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어 전자기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보빈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고정 초점 방식의 카메라 모듈의 경우,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구조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 2 하우징(200)의 상기 제 1 하우징(100)의 제 1 관통공(10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관통공(20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101)(201)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중심을 움직일 수 있는 조정부재(15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150)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101)(201)에 삽입되어, 삽입된 끝단부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조정부재(150)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홀더(110)(120)(130)의 중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재(150)는 도 6에 도시된 도 3의 A-A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렌즈 홀더(120)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총 4개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제 2 렌즈 홀더(120)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150)를 90도 간격으로 배치하는 이유는 상기 조정부재(150)의 삽입 깊이에 따라 제 2 렌즈 홀더(120)의 중심을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의 상하좌우 4방 및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제 2 렌즈 홀더(120)의 중심과 광축을 물리적으로 정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3 홀더(110)(130) 또한, 상기 제 2 렌즈 홀더(120)와 동일하게 조정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작동 원리는 동일하다. 상기 조정부재(15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홀더(110)(120)(130)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은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조정부재(150)를 삽입하는 공정을 한꺼번에 수행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재(150)는 나사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101)(201)의 내부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고, 핀 형상의 가압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만일 조정부재(150)를 핀 형상의 가압부재로 형성하면,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조정 위치 고정을 위해, 상기 가압부재로 형성된 조정부재(150)의 위치 또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서는 상기 조정부재(150)를 상기 제 2 관통공(20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결합한 후에, 상기 제 2 관통공(201)의 나머지 공간부를 접착제(160) 등을 이용하여 폐쇄 및 고정할 수도 있는 구성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상기 접착제(160)가 경화되면, 상기 조정부재(150)의 위치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중심축 정렬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부재(150)를 나사로 형성할 경우, 제 2 하우징(200)의 외부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상기 조정부재(150)를 나사체결을 통해 위치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조정부재(150)를 탄성부재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이 탄성부재의 탄성 반발력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의 외주를 가압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을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면, 제 1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중심이 정렬하지 못하여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편심이 발생한 렌즈 홀더만을 움직여 중심을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렌즈 배럴 내부에 복수 매의 렌즈들을 삽입한 상태로 단일부재로 사출 성형 하는 기존 방식의 렌즈 배럴은 제조상의 오류 등으로 인해 편심이 발생하면 해당 렌즈 배럴 부품을 폐기하였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구성으로 기존의 렌즈 배럴의 구조를 개선하면, 복수 개의 렌즈들 마다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렌즈 홀더들(110)(120)(130)이 마련되어, 이 렌즈 홀더들(110)(120)(130)을 제 1 하우징(100)에 수용하고, 상기 제 1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움직여 중심축 정렬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렌즈 배럴을 조립하는 과정 중에 복수 매의 렌즈들의 중심축이 정렬되지 못하였을 경우, 편심 된 중심을 가지는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110)(120)(130) 중 어느 하나만을 움직여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하우징(200)은 렌즈 배럴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품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전자부품에 마련된 안착부 증이 이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렌즈 배럴에 총 3장의 렌즈를 사용하는 구성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의 디자인에 따라 렌즈의 매수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제 1 및 제 2 하우징(100)(200)으로 구성되는 렌즈 배럴은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카메라 모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100)(200)의 결합으로 형성된 렌즈 배럴이 VCM과 같은 오토 포커싱 유닛의 보빈이 되어, 광축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움직임 없이 상기 렌즈 배럴은 고정 배치되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측에 단 렌즈 무빙 방식의 액츄에이터가 마련되어 손떨림 보정 및/또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멤스 액츄에이터, 액체 크리스털 렌즈, 피에조 폴리머 렌즈와 같은 비 멤스 액츄에이터, 실리콘 방식 액츄에이터 및 액체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제 1 하우징 101; 제 1 관통공
110; 제 1 렌즈 홀더 120; 제 2 렌즈 홀더
130; 제 3 렌즈 홀더 150; 조정부재
160; 접착제 200; 제 2 하우징

Claims (18)

  1.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 공간에 적층 되며,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렌즈 홀더;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를 가압하는 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의 중심은 상기 조정부재의 가압에 의해 정렬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측에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지름은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은 소정 간격 이격 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서로 다른 지름의 렌즈를 지지하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 홀더는 서로 면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홀더가 지지하는 렌즈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제 2 관통공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나사부재, 핀 부재,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들을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 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각각의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 90도 간격으로 총 4개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복수 개의 렌즈 홀더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 홀더는 지지하는 렌즈의 지름이 커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카메라 모듈.
  16. 제 1 항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적외선 차단필터가 설치된 베이스 및 복수 개의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요크가 마련된 홀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은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마그네트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따라 광축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하는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이 보이스 코일 모터의 보빈으로 작동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한 곳에 단 렌즈 무빙 액츄에이터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멤스 액츄에이터, 액체 크리스털 렌즈, 피에조 폴리머 렌즈, 실리콘 방식 액츄에이터 및 액체렌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KR1020120137545A 2012-11-30 2012-11-30 카메라 모듈 KR10144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545A KR101446397B1 (ko) 2012-11-30 2012-11-30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545A KR101446397B1 (ko) 2012-11-30 2012-11-3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03A KR20140069803A (ko) 2014-06-10
KR101446397B1 true KR101446397B1 (ko) 2014-10-01

Family

ID=5112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545A KR101446397B1 (ko) 2012-11-30 2012-11-3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975A (ko) * 2020-09-01 202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5888B (zh) 2015-12-21 2020-04-03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可调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校准方法
WO2017071561A1 (zh) 2015-10-30 2017-05-04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可调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和应用
CN109709747B (zh) * 2015-12-02 2021-08-1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采用分体式镜头的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US10732376B2 (en) 2015-12-02 2020-08-04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lens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23617B1 (ko) * 2016-10-31 2024-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및 광학 기기
KR102491569B1 (ko) 2018-01-17 2023-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141A (ja) 2005-08-01 2007-02-15 Sharp Corp レンズ保持構造体、レンズ位置調整方法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88925B1 (ko) * 2007-11-30 2009-03-16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렌즈의 광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렌즈 홀더
WO2010038640A1 (ja) * 2008-10-01 2010-04-0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20100115866A (ko) *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렌즈의 광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렌즈 홀더 및 위치 조절 나사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141A (ja) 2005-08-01 2007-02-15 Sharp Corp レンズ保持構造体、レンズ位置調整方法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88925B1 (ko) * 2007-11-30 2009-03-16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렌즈의 광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렌즈 홀더
WO2010038640A1 (ja) * 2008-10-01 2010-04-0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20100115866A (ko) *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렌즈의 광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렌즈 홀더 및 위치 조절 나사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975A (ko) * 2020-09-01 202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83614B1 (ko) * 2020-09-01 2023-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03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6894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101446397B1 (ko) 카메라 모듈
CN105589278B (zh) 相机模块
US10620397B2 (en) Camera module
US9661196B2 (en) Camera module
US9369619B2 (en) Camera module having structure to reduce flare phenomenon
US10809487B2 (en) Optical system
KR102089445B1 (ko) 카메라 모듈
US10761291B2 (en) Lens driving mechanism
CN210803937U (zh) 透镜模块、相机模块及便携式电子设备
KR20100071566A (ko) 카메라모듈
US11693213B2 (en) Optical system
TWI726766B (zh) 相機模組與電子裝置
KR102044694B1 (ko) 카메라 모듈
US20120120511A1 (en) Voice coil motor
CN114731361B (zh) 相机模块
KR100985665B1 (ko) 카메라모듈
US8503120B2 (en) Voice coil motor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KR101236051B1 (ko) 카메라 모듈
KR102636724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20240085760A1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3455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140076406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