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354B1 - 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354B1
KR101446354B1 KR1020080033714A KR20080033714A KR101446354B1 KR 101446354 B1 KR101446354 B1 KR 101446354B1 KR 1020080033714 A KR1020080033714 A KR 1020080033714A KR 20080033714 A KR20080033714 A KR 20080033714A KR 101446354 B1 KR101446354 B1 KR 10144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teel sheet
strength
phas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3883A (en
Inventor
카즈아끼 하꼬모리
유우지 구스모토
후유끼 요시다
이치로 치쿠시
다까시 오타니
류로우 구라하시
마사히코 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야마 세이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야마 세이꼬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나까야마 세이꼬쇼
Publication of KR2008009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높은 강도 및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는 신규한 고-강도 Si-Cr 함유 열간 압연 강판 및 상기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강도 강판은 이전 오스테나이트의 입자 크기를 10㎛ 이하로 조절하고, 권취 온도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얻어진 강판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을 부피비로 5% 내지 20%; 마텐자이트 상을 부피비로 10% 이하; 및 베이나이트 상을 나머지 부피비로 포함한다.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자 크기는 1㎛ 이하이고,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는 균일하게 분산된다.

Figure R1020080033714

강판, 압연, 오스테나이트, 베이나이트, 마텐자이트, 강도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high-strength Si-Cr-containing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er strength and excellent workabil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teel sheet.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particle size of the old austenite to 10 탆 or less and appropriately selecting the coiling temperature. The obtained steel sheet contains 5 to 20% of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in a volume ratio; 10% or less by volume of the martensitic phase; And a bainite phase in the remaining volume ratio. The particle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is 1 占 퐉 or less, and the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are uniformly dispersed.

Figure R1020080033714

Steel plate, rolling, austenite, bainite, martensite, strength

Description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본 출원은 2007. 4. 17.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 2007-108759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된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7-108759 filed on April 17, 2007,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높은 인장 강도와 뛰어난 가공성을 가지는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and excellent workability, and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뛰어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는 고-강도 강판에 대한 최근의 요구는, 예컨대 자동차와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지구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자동차 분야에서 CO2 등과 같은 배출 가스의 양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각 차체의 중량을 더욱 줄이는 것이 절대적이다. 차체의 중량 감소를 위해, 차체에 사용되는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켜 강판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차 내에서의 사용자의 안전은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도, 강판의 강도는 보다 개선되어야 한다.A recent demand for high-strength steel sheets that can exhibit excellent processability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n relation to automobiles. In terms of global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emissions such as CO 2 in the automotive sector. For this reas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urther reduce the weight of each vehicle body.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used for the vehicle body. In addition, the safety of the user in the car must be ensured. For this purpose,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must be further improved.

그러나, 강판 강도의 증가는 그것의 가공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강도가 보 다 높은 강판은 일반적인 프레스 몰딩 등과 같은 냉간 가공(cold working)에 적용하기 곤란해질 것이다.However, an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may reduce its workability, and a steel sheet having a higher strength may be difficult to apply to cold working such as general press molding.

열간 가압(hot pressing)은 열간 프레스 가공 공정으로, 통상적으로 극히 소량의 탄성 복원을 야기하여, 바람직한 형상 동결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열간 가압시의 경화 효과로 인해, 이 방법은 현저하게 높은 강도와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부분(parts)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공정은 강판의 열간 프레스 가공 이전에 강판을 가열할 것을 요구하고, 또한 열간 프레스 가공 이후에는 제조 규모를 줄일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 공정은 가공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열된 강판과 접촉해야 하는 몰드의 보다 짧은 수명은 제조 원가를 불가피하게 증가시킨다.Hot pressing is a hot pressing process, which typically results in a very small amount of resilient restoration and exhibits desirable shape freezing properties. In addition, due to the curing effect during hot pressing, this method can present parts with significantly higher strength and higher precision. However, this process requires that the steel sheet be heated before the hot press working of the steel sheet, and after the hot press working, the production scale is required to be reduced. Therefore, this process has a possibility of remarkably lowering the processing efficiency. In addition, a shorter lifetime of the mold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ed steel sheet inevitably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 열간 프레스 가공 이후의 강판의 연신율은 감소될 것인데, 그로 인해 열간 프레스된 부재는 어떤 외부의 힘, 충격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약한 변형만으로도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강판은 일반적으로 약한 충격 흡수능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간 프레스된 부분을 자동차 등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부품으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The elongation of the steel sheet after the hot press working will be reduced so that the hot pressed member can be broken by only a slight deformation caused by some external force, impact or the like. Therefore, steel plates of this type are generally evaluated as having a weak shock absorption capability.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use such a hot-pressed portion as a core component for ensuring safety of automobiles and the like.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용체화 처리(solid solution treatment)에 의한 보강, 석출을 이용한 보강, 결정립 미세화(grain refinement)에 의한 보강, 및 저온 변태 상을 이용한 보강을 들 수 있다. 용액 처리 또는 다량의 합금 첨가가 요구되는 석출을 포함하는 보강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것만으로는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된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보강 을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강도의 개선은 어느 정도로 제한된다. 저온 변태 상을 이용한 보강이 1200MPa를 초과하는 강판을 제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 하더라도, 이 방법이 그러한 강도의 개선과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고는 기대할 수 없다.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rength, there are a reinforcement by solid solution treatment, a reinforcement by precipitation, a reinforcement by grain refinement, and a reinforcement using a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 It is impossible to manufacture a steel sheet with remarkably improved strength only by employing a reinforcement mechanism including precipitation requiring a solution treatment or a large amount of alloying addition. Even when the reinforcement by grain refinement is used, the improvement of the strength is limited to some extent. Although reinforcement using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s is very effective in producing steel sheets in excess of 1200 MPa, this method can not be expected to improve the ductility to balance and improve such strength.

일반적으로, 강도가 보다 높을수록 연성은 보다 낮을 수 있어, 가공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In general, the higher the strength, the lower the ductility can be, which tends to reduce the workability.

고-강도 강판 중 향상된 연성을 가지는 것으로 공지된 재료로서, 페라이트와 마텐자이트 상으로 이루어진 2상(dual phase) 강판, 및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으로 이루어진 변태 유기 소성(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TRIP) 강판이 있다.Among the high-strength steel sheets, materials known to have improved ductility include dual phase steel plates composed of ferrite and martensitic phase, and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consisting of ferrite, bainite and retained austenite phase , TRIP) steel plate.

상기 2상 강판은 경질 마텐자이트 상을 페라이트 상 내에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매우 경질인 마텐자이트 상으로 인해, 변태 시 현저한 가공 경화가 유발되어, 강판에 보다 높은 연성이 제공된다.The two-phase steel sheet is formed by finely dispersing a hard martensite phase in a ferrite phase. Due to the very hard martensitic phase, a significant work hardening is caused in the transformation, and a higher ductility is provided to the steel sheet.

상기 TRIP 강판의 일예는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다.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을 함유하는 이러한 타입의 강판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의 양과 변형에 대한 복원성에 의존하여, 모두 가공 유기 변태로부터 유래된 매우 우수한 연성과 성형성을 나타낸다.Examples of the TRIP steel sheet ar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 This type of steel sheet containing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exhibits excellent ductility and formability all derived from the processed organic transformation, depending on the amount of retained austenite phase and the resilience against deformation.

그러나, 1200MPa를 초과하는 강도를 가진 강판을 얻기 위한 시도는, 지연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지연 파괴"란 각 부재의 가공 및 조립시에는 크래킹 및/또는 파괴가 유발되지 않다가, 그것을 사용하는 동안에 갑자기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 다.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고-강도 강판은, 페라이트 상과 같은 연질 상을 가능한 한 줄이고,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의 부피비를 베이나이트 상 및/또는 단련된 마텐자이트 상과 같은 저온 변태 상에 비해 4% 미만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항-지연 파괴 특성을 제공하고자 한다.However, attempts to obtain a steel sheet having a strength exceeding 1200 MPa may cause delayed fracture. "Delayed fracture" refers to a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the use and assembly of each member without causing cracking and / or fracture.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has a soft phase such as a ferrite phase as small as possible and a residual austenite phase volume ratio of less than 4% as compared with a low temperature phase transformation phase such as a bainite phase and / or a tempered martensitic phase To thereby provide a more preferable anti-delay fracture property.

특허 문헌 1: JP-A-No. 60-43425Patent Document 1: JP-A-No. 60-43425

특허 문헌 2: JP-A-No. 9-104947Patent Document 2: JP-A-No. 9-104947

특허 문헌 3: JP-B-No. 3247908Patent Document 3: JP-B-No. 3247908

보다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냉간 가공에서의 연신율 특성이 향상된 강판으로는, 상기에서 언급한 2상 강판 및 TRIP 강판을 들 수 있다.The two-phase steel sheet and the TRIP steel sheet described above are examples of the steel sheet with improved elongation characteristics in cold working while maintaining a higher strength.

상기 2상 강판에서는, 합금의 첨가량이 보다 적은 경우에도 보다 높은 강도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 경화로 인해 보다 균일한 연신율 특성도 얻을 수 있다.In the above two-phase steel sheet, even 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alloy is smaller, higher strength can be achieved, and more uniform elongat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due to work hardening.

상기 TRIP 강판은 보다 높은 연성을 나타내고, 보다 우수한 딥 드로잉(deep drawing)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 재료는 복잡한 형상, 보다 높은 가공성 및 보다 향상된 강도를 요구하는 부분이나 부재를 제공하는데 적합하다.The TRIP steel sheet exhibits higher ductility and has a better deep drawing characteristic. Therefore, this material is suitable for providing a part or member requiring a complicated shape, higher workability and higher strength.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TRIP 강판은, 압연 후 냉각 단계에서 원료를 450~650℃에서 4~20초 동안 유지시켜 페라이트 상을 오스테나이트 상 내에 출현시키고, 그것을 350℃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하고, 로드 재료 주변에 권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In the TRIP steel shee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ferrite phase is caused to appear in the austenite phase by holding the raw material at 450 to 650 ° C. for 4 to 20 seconds in the cooling step after rolling, cooling it to a temperature of less than 350 ° C., And then winding it around.

특허 문헌 2에서는, 압연 후 냉각 공정에서 오스테나이트 상 내에서의 페라 이트 상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원료를 Ar3 내지 Ar1에서 서서히 냉각시키거나 또는 대략 Ar3을 압연 완성 온도로 한 후 350~500℃ 범위 내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로드 재료 주변에 권취한다.In Patent Document 2, in order to promote the formation of the ferrite phase in the austenite phase in the cooling step after rolling, the raw material is gradually cooled in Ar3 to Ar1, or approximately 350 to 500 ° C , And wound around the rod material.

상기 TRIP 강판은 마텐자이트 상,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 및/또는 베이나이트 상이 페라이트 모상(parent phase) 내에 분산된 구조를 가지고, 우수한 강도 및 연신율 특성을 나타낸다.The TRIP steel sheet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rtensitic phase, a residual austenite phase, and / or a bainite phase are dispersed in a ferrite parent phase, and exhibits excellent strength and elongation characteristics.

그러나, 점 용접(spot welding) 특성을 보증할 수 있는 C≤0.20%의 조건 하에서는 800MPa 정도의 인장 강도만을 얻을 수 있을 뿐이어서, 보다 향상된 가공성이 소망된다. 따라서, 상기 조건하에서는 현저하게 높은 강도를 가지는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다.However, under the condition of C? 0.20%, which can guarantee the spot welding characteristic, only a tensile strength of about 800 MPa can be obtained, so that further improved workability is desir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steel sheet having a remarkably high strength under the above conditions.

압연 이후 중간에 완만한 냉각 공정 없이 500℃ 미만의 온도까지 원료를 점진적으로 냉각시키는 방법에서도, 압연 완성 온도를 대략 Ar3 정도로 설정하면 미세한 페라이트 상의 출현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대략 Ar3의 온도에서 압연한 열간 압연 강판 재료의 질에 있어서는, 재료의 비등방성(anisotropy)이 바람직하지 않게 클 수 있다.Even in the method of progressively cooling the raw material to a temperature of less than 500 ° C without a gentle cooling step in the middle after the rolling, if the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set to about Ar 3, the appearance of the fine ferrite phase can be promoted. However, in the quality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material rolled at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Ar 3, the anisotropy of the material may be undesirably large.

게다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열간 압연 강판은 낮은 압연 가공성을 나타내고, 대략 A1에서의 냉각 동안 일시 정지로 인해 조악한 페라이트 입자와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인접하여 존재하는 금속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hot-rolled steel she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low rolling workability and has a metal structure in which coarse ferrite particles and residual austenite grains are adjacent to each other due to temporary stop during cooling at approximately A1.

지연 파괴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강판에 용해된 수소는 결정상을 결정하는 인자이며,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 내에 우선적으로 포획된다. 특히, 충격을 받거나 가 공된 마텐자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 사이의 경계면, 즉, 가공 유기 변태 부위는 매우 가능성이 높은 수소 포획 부위로 여겨진다.Hydrogen dissolved in a steel plate considered as a cause of delayed fracture is a factor for determining a crystal phase and is preferentially trapped in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In particular, the interface between the impacted or treated martens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that is, the processed organic transformation site, is considered to be a very likely hydrogen trapping site.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조악할수록 가공 유기 변태를 겪은 마텐자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 사이의 경계면의 면적 비율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부피에 비해 감소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포획되는 수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지연 파괴의 위험을 보다 높인다. 만약 마텐자이트 상과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이 인접하여 공존할 경우(M-A 상태로), 파괴의 확대가 촉진되어 파괴의 위험을 더욱 높일 수 있다.As the retained austenite grains coarser, the area ratio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martens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that underwent the processed organic transformation will decrease relative to the volume of the retained austenite grains.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captured hydrogen increases, increasing the risk of delayed failure. If the martensite phase and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coexist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tate of M-A), the expansion of fracture can be promoted to further increase the risk of fracture.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고-강도 강판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양을 제한하여 항-지연 파괴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보다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가공성을 얻기 위해서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사용이 실질적으로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제한이 없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존재가 항-지연 파괴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gh-strength steel she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3 attempts to improve the anti-delay fracture property by limiting the amount of retained austenite. However, in order to obtain excellent workability while maintaining a higher strength, the use of retained austenite is practically effectiv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presence of the above-mentioned unrestricted residual austenite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anti-delayed fracture characteristics.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자들은 입자 크기가 1㎛ 이하인 7개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10㎛2 당 미세하게 분산된(부피비가 5% 내지 20% 범위 이내인) 베이나이트 상을 가진 강판으로서, 보다 높은 강도 뿐만 아니라 보다 바람직한 가공성 및 튼튼한 항-지연 파괴 특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저-합금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steel sheet having a bainite phase in which 7 or more residual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 탆 or less are finely dispersed (having a volume ratio within a range of 5% to 20%) per 2 탆 square, Alloy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exhibit not only higher strength but also more preferable workability and robust anti-delay fracture property.

많은 실험들을 통해, 본 발명자들은 적절한 압연 조건을 채용하고, 강판용 성분들의 적절한 조성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바람직한 고-강도의 강판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적절한 조성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슬래브를 고압 조건 하에서 열간 조 압연(rough hot rolling)하고, 다듬질 압연 공정(finigh rolling process)에서 고온 조건하에서 후반 고 변형 압연(strain rolling)을 완료하고, 수 초 동안 공랭(air-cooling) 후 냉각 공정을 시작하고, 가공된 재료를 적절한 온도에서 권취하여, 저-합금 강판에 보다 높은 강도 및 우수한 연성뿐만 아니라, 튼튼한 항-지연 파괴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a number of experiment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suitable high-strength steel sheet can be obtained by adopting suitable rolling conditions and selecting an appropriate composition of the components for the steel sheet. That is, a slab containing components of appropriate composition is subjected to rough hot rolling under high pressure conditions, finish of second stage high strain rolling unde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in a finishing rolling process, The cooling process after air-cooling is started and the processed material is roll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provide a low-alloy steel sheet with a higher strength and excellent ductility as well as a strong anti-delay fracture property.

본 발명의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을 부피비로 5% 내지 20%; 마텐자이트 상을 부피비로 0% 내지 10%; 및 베이나이트 상을 나머지 부피비로 포함하고, 여기서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을 구성하는 입자의 입자 크기는 1 ㎛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전 오스테나이트의 입자 크기는 10㎛ 이하이고, 상기 입자의 평균 어스펙트비는 2.0 이하이다.The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5 to 20% by volume of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0% to 10% by volume of the martensitic phase; And a bainite phase in the remaining volume ratio, wherein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constituting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is 1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the particle size of the old austenite is not more than 10 mu m, and the average aspect ratio of the particles is not more than 2.0.

열간 압연 이후 오스테나이트 결정의 입자 크기를 10㎛ 이하로 조절하여(도 3), 베이나이트 상의 라스 구조(lath structure)를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베이나이트 변태를 완성하여, 입자 크기가 1㎛ 이하인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10㎛2 당 7개 이상의 입자 밀도로 상기 상 내에 미세하고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도 8).After the hot rolling, the grain size of the austenite crystal is adjusted to 10 탆 or less (Fig. 3), so that the lath structure on the bainite can be made finer. In addition, a uniform bainite transformation can be completed, and the residual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 탆 or less can be finely and effectively dispersed in the phase at a grain density of 7 or more per 10 탆 2 (Fig. 8).

이런 방식으로, 비교적 다량인 잔류 오스테나이트에 의한 가공 유기 소성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연성이 제공된 강판에서도 우수한 항-지연 파괴 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excellent anti-delay fractur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even in a steel sheet provided with high ductility by using the processed organic calcination by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retained austenite.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어스펙트비를 2.0 이하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도 3), 압연 방향과 상기 압연 방향의 수직 방향 모두로 늘여진 재료의 비등방성을 줄임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4).By adjusting the aspect ratio of the old austenite particles to 2.0 or less (Fig. 3),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anisotropy of the material extending in both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은: C(0.13~0.21중량%), Si(0.5~2.0중량%), Mn(0.2~1.0중량%), Cr(1.0~4.0중량%), Ni(0.02~1.0중량%), Mo(0.05~0.4중량%), P(0~0.010중량%), S(0~0.003중량%), N(0.005~0.015중량%), 및 나머지 성분으로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진다.Preferably, the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 (0.13-0.21 wt%), Si (0.5-2.0 wt%), Mn (0.2-1.0 wt%), Cr (1.0-4.0 wt% , Ni (0.02-1.0 wt.%), Mo (0.05-0.4 wt.%), P (0-0.010 wt.%), S (0-0.003 wt.%), N (0.005-0.015 wt.%)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와 같이 선택된 성분을 적절한 타입과 양으로 포함하는 화학 조성은, 상기에서 언급한 상을 포함하고 소망하는 기계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고-강도 강 판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elected type and amount of the above-selected components in the appropriate type and amount can facilitate the formation of a high-strength steel sheet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phases and exhibiting the desired mechanical properties.

상기의 합금 원소들은 열간 압연 후 냉각하는 단계 및 냉각된 재료를 권취하는 단계에서 본 발명의 소망하는 강판 구조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나이트 변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Cr과 Si가 주요 원소로서 포함된다. 이들 원소의 양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베이나이트 변태가 촉진될 수 있고, 마텐자이트 상의 형성이 억제될 수 있어, 목적으로 하는 강도를 가지는 전체 상을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above alloying elements can constitute the desired steel shee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ooling after hot rolling and the step of winding the cooled material, Cr and Si,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bainite transformation, are included as main elements do. By controlling the amounts of these elements, the bainite transformation can be promoted, the formation of the martensite phase can be suppressed, and the whole phase having the desired strength can be controlled.

각 성분의 효과를 이하에 기술한다.The effect of each component is described below.

상기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판의 두께는 1.0 내지 3.0mm, 인장 강도(TS)는 1200MPa 이상, 및 연신율은 13% 이상(JIS No.5 시험편)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preferably has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 is 1.0 to 3.0 mm, the tensile strength (TS) is 1200 MPa or more, and the elongation is 13% or more (JIS. 5 specimen).

즉, 이 강판은 상기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높은 강도와 보다 우수한 연신율 특성을 나타낸다.That is, this steel sheet can have the above structure and exhibits higher strength and better elongation property.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1) C(0.13~0.21중량%), Si(0.5~2.0중량%), Mn(0.2~1.0중량%), Cr(1.0~4.0중량%), Ni(0.02~1.0중량%), Mo(0.05~0.4중량%), P(0~0.010중량%), S(0~0.003중량%), N(0.005~0.015중량%), 및 나머지 성분으로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의 슬라브(압연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1) C (0.13-0.21 wt%), Si (0.5-2.0 wt%), Mn (0.2-1.0 wt%), Cr (1.0-4.0 wt%), Ni (0.02-1.0 wt% 0.05 to 0.4% by weight), P (0 to 0.010% by weight), S (0 to 0.003% by weight), N (0.005 to 0.015% by weight) and the balance of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Rolling material);

(2) 재가열로의 추출 온도가 1250℃ 이상; 조 압연기의 출구-측 온도가 1030℃ 이상; 및 각각의 조 압연 최종 3회 패스(pass)의 압하율(reduction ratio)이 30% 이상인 조건 하에서 강 재료(steel material)를 조 압연하는 단계;(2) the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reheating furnace is 1250 DEG C or higher; The outlet-side temperature of the rough rolling mill is at least 1030 占 폚; And subjecting the steel material to a rough rolling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eduction ratio of each of the roughing passes in the last three passes is 30% or more;

(3) 다듬질 압연기의 출구-측 온도가 950℃ 이상; 다듬질의 전반(front-stage)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각 압연기의 압하율이 40% 이상(이는 6개의 압연기를 사용하는 경우이고, 7개의 압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압연기를 사용한다), 및 다듬질의 후반(rear-stage)에서 3개의 압연기로 인해 프레스된 상태에서의 축적된 변형이 0.5 이상인 조건 하에서 상기 강 재료를 다듬질 압연하는 단계; 그리고(3) the outlet-side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is at least 950 ° C; The first through third rolling mills in the front-stage of the finishing process have a rolling reduction of not less than 40% (this is the case where six rolling mills are used and in the case of using seven rolling mills, the first to fourth rolling mills are used ) And finishing the steel material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ccumulated deformation in the state pressed by three mills in the rear-stage of finishing is 0.5 or more; And

(4) 상기 강 재료를 2~6초 동안 공랭하고, 이어서 수냉(water-cooling)하는 냉각 단계와, 상기 강 재료를 550~650℃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4) cooling the steel material by air-cooling for 2 to 6 seconds, followed by water-cooling, and winding the steel material at a coiling temperature of 550 to 650 ° C.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 이력(도 1)을 채용하여 저-합금 베이나이트 상을 얻음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열간 스트립 밀을 이용한 열간 압연 후 급속 냉각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온도 조건에서 재료를 권취하는 단계에서, 주요 합금 원소로서 Cr 및 Si를 가하고 Mn 및 Ni를 덜 함유하는 조성을 선택함으로써 마텐자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미세하게 분산된 베이나이트의 균일한 상을 얻을 수 있다(도 7(b)).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by obtaining a low-alloy bainite phase by employing a temperature history (Fig. 1)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rapid cooling after hot rolling using a hot strip mill, and cooling the material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winding step, a homogeneous phase of bainite in which martensite and retained austenite are finely dispersed can be obtained by adding Cr and Si as main alloy elements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less Mn and Ni (see Fig. 7 b)).

Si의 첨가로 카바이드의 석출을 조절하고, 보다 균일한 베이나이트 상을 형성하여, 0.8% 이상의 탄소 밀도를 가지는 오스테나이트를 다량으로 잔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향상된 강도와 보다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는 강판을 얻을 수 있다(도 11).The addition of Si can control the precipitation of carbide, form a more uniform bainite phase, and retain a large amount of austenite having a carbon density of 0.8% or more. In this way, a steel sheet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better processability can be obtained (Fig. 11).

열간 압연 다듬질 온도를 950℃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어스펙트비를 2.0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도 3).By adjusting the hot rolling finishing temperature to 950 DEG C or higher, the aspect ratio of the old austenite particles can be adjusted to 2.0 or less (FIG. 3).

롤에서 압연 재료 최상위(topmost portion)의 절삭 실패(biting failure)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듬질 압연시, 필요에 따라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압연기에서(6 단계의 다듬질 압연기를 사용하는 경우임, 7 단계의 다듬질 압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내지 여섯 번째 압연기를 사용함) 기대되는 압하량(또는 미리 정해진 압연을 위해 본래 설정된 압하량)에 비해 강 재료의 최상위의 압하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의 압하량은 각 압연기에서 기대되는 양에 비해 10% 미만으로 증가된 것이다. 또한, 증가된 압하량으로 압연된 길이는 압연 재료의 최상위의 절삭 위치에서부터 측정했을 때 5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biting failure of the topmost portion of the rolled material in the roll, it is desirable that the finish rolling be carried out in the first to fifth rolling mills (as in the case of using a finishing mill of six stages,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maximum reduction amount of the steel material in comparison with the expected reduction amount (or the originally set reduction amount for the predetermined rolling) by using the first to sixth rolling mills when the finishing mill is used. The amount is increased to less than 10% of the expected amount in each rolling mill.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length rolled with an increased reduction amount is within 5 m as measured from the uppermost cutting position of the rolled material.

압연 공정 동안 압연 재료와 롤 사이의 슬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최종 압연기를 포함하여 다듬질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압연기 각각은 특수한 하이-그립 롤을 작업 롤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To prevent slippage between the rolled material and the roll during the rolling process,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special high-grip roll as the work roll for each of the first through third mills, including the final mill.

이하에서 설명할 제조시의 테스트는 상기에서 제공한 바와 같은 조건을 채용하는 것으로 상기의 고-강도 강판을 손쉽게 얻을 수 있음을 증명한다.The test at the time of manufacture as described below proves that the above-mentioned high-strength steel sheet can be easily obtained by adopting th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고-강도 강판에서,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베이나이트 상 내에 5% 내지 20%의 부피비로 병입되어 10㎛2 당 7개 이상의 입자 밀도로 미세하게 분산된다. 따라서, 서로 대치되는 강도와 가공성을 모두 강판에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항-지연 파괴 특성도 제공할 수 있다.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rength steel sheet, the retained austenite is feed at a weight ratio of 5% to 20% in the bainite phase is finely dispersed in 10㎛ 2 more than 7 per particle density. Therefore, both the strength and the workability which are mutually opposed to each other can be provided to the steel sheet, and excellent anti-delay fracture characteristics can be also provided.

고-강도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고-강도 강판을 손쉽게 그리고 튼튼하게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ducing a high-strength steel sheet, the above-mentioned high-strength steel sheet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robustly.

이하, 120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가공성과 항-지연 파괴 특성을 요구하는, 박판 강(sheet steel)을 가공하여 부분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박판 강의 일 구현예 및 상기 박판 강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thin plate steel used for producing a sheet steel by processing a sheet ste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in plate steel, which requires good workability and anti-delay breaking property while maintaining a tensile strength of 1200 MPa or more .

상기 강판은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을 가진다: C(0.13~0.21중량%), Si(0.5~2.0중량%), Mn(0.2~1.0중량%), Cr(1.0~4.0중량%), Ni(0.02~1.0중량%), Mo(0.05~0.4중량%), P(0~0.010중량%), S(0~0.003중량%), N(0.005~0.015중량%), 그리고 나머지 성분에는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이 포함된다.The steel sheet has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following components: C (0.13-0.21 wt%), Si (0.5-2.0 wt%), Mn (0.2-1.0 wt%), Cr (1.0-4.0 wt% 0 to 0.003% by weight), N (0.005 to 0.015% by weight),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include Fe and others Inevitable impurities ar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박판"이란 1.0mm 내지 3.0mm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강판은 보다 높은 가공성 및 강도를 요구하는 자동차, 소비 전기 제품, 전자 장치 등의 부분으로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은 강 파이프 재료로 적용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thin plate" means a steel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0 mm to 3.0 mm. The steel sheet produc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above composition can be mainly used as parts of automobiles,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electronic devices, etc., which require higher workability and strength. The steel sheet may also be applied as a steel pipe material.

먼저, 강판의 성분을 설명한다.First, the components of the steel sheet will be described.

탄소(C)의 양은 0.13~0.21% 범위 내이어야 한다.The amount of carbon (C) should be in the range of 0.13 to 0.21%.

C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성분이다. 만약 C의 양이 0.13% 미만이면 충분한 안정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C의 양은 0.13%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그 양이 0.21%를 초과하면, 용접된 부위가 너무 딱딱해져서 부러질 수 있다. 그러한 상황은 형성된 박판 강의 사용을 어느 정도 제한한다. 따라서, C의 양에 대해 상기와 같은 상한이 제시된다. 즉, C의 양을 0.13~0.21%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의도에 부합하는 복합 구조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C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to stabilize the retained austenite. If the amount of C is less than 0.13%, sufficient stability can not be obtained. Therefore, the amount of C should be 0.13% or more. However, if the amount exceeds 0.21%, the welded portion becomes too hard and can break. Such a situation somewhat restricts the use of formed sheet steel. Therefore, the upper limit as described above for the amount of C is presented.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by setting the amount of C within the range of 0.13 to 0.21%, a composite structure meeting the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규소(Si)의 양은 0.5~2.0% 범위 내이어야 한다. Si도 또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Si는 용체화 보강에 의해 얻어진 강도를 향상시킨다. Si의 양이 0.5% 이상이면, 바람직한 복합 구조와 재료의 품질을 얻을 수 있다. Si의 양이 많을수록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보다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Si의 양이 2.0%를 초과하면, 강도와 연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특성이 과잉 충족될 것이므로, 비용 절감의 관점에서 Si 양의 상한은 2.0%로 설정되어야 한다.The amount of silicon (Si) should be in the range of 0.5 to 2.0%. Si also acts to stabilize the retained austenite. In addition, Si improves the strength obtained by solution strengthening. When the amount of Si is 0.5% or more, a desirable composite structure and material quality can be obtained. The greater the amount of Si, the more the retained austenite can be increased and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However, if the amount of Si exceeds 2.0%, the upper limit of the Si amount should be set to 2.0% from the viewpoint of cost reduc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satisfying both strength and ductility will be excessively satisfied.

크롬(Cr)의 양은 1.0~4.0% 범위 내이어야 한다. Cr은 베이나이트 상을 출현시킬 수 있으며, 또한 형성된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amount of chromium (Cr) should be in the range of 1.0 to 4.0%. Cr can form a bainite phase, and the strength of the formed steel sheet can be improved.

Cr의 양이 1.0% 미만이면 페라이트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바람직하게 높은 강도의 강판을 얻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따라서, Cr의 양은 1.0%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그 양이 4.0%를 초과하면 마텐자이트 상을 생성할 수 있어, 강판의 강도는 너무 강하게, 항-지연 파괴 특성은 불충분하게 한다. 따라서, 4.0%를 상한으로 설정한다.If the amount of Cr is less than 1.0%, the amount of ferrite increases excessivel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btain a steel sheet having a preferable strength. Therefore, the amount of Cr should be 1.0% or more. However, when the amount exceeds 4.0%, a martensitic phase can be generated, and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becomes too strong and the anti-delayed fracture characteristic becomes insufficient. Therefore, 4.0% is set as the upper limit.

망간(Mn)의 양은 0.2~1.0% 범위 내이어야 한다. 만약 Mn의 양이 0.2% 미만이면, 강판의 제조가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그 양은 0.2% 이상이어야 한다.The amount of manganese (Mn) should be in the range of 0.2 to 1.0%. If the amount of Mn is less than 0.2%, the production of the steel sheet will become difficult. Therefore, the amount should be at least 0.2%.

보다 높은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Mn을 가능한 한 많이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것을 과량으로 첨가하면 마텐자이트 상이 생성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구조를 얻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Mn 양의 상한은 1.0%로 설정하여야 한다.In order to achieve higher strength, it is preferable to add Mn as much as possible. However, when it is added in an excess amount, a martensitic phase can be produced, making it impossible to obtain the desir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upper limit of the Mn content should be set to 1.0%.

니켈(Ni)의 양은 0.02~1.0% 범위 내이어야 한다. Ni는 용체화 보강에 의해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Ni의 양을 너무 증가시키면, 마텐자이트 상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부주의한 첨가는 생산 비용의 증가를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그 상한은 1.0%로 설정되어야 한다.The amount of nickel (Ni) should be in the range of 0.02 to 1.0%. Ni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by solution strengthening. However, if the amount of Ni is increased too much, a martensitic phase can be produced. Inadvertent additions will also result in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s. Therefore, the upper limit should be set to 1.0%.

몰리브덴(Mo)은 Cr과 같이 베이나이트 상을 출현시킬 수 있고, 또한 형성된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Mo 카바이드로 인한 수소 포획 효과(hydrogen trapping effect)는 강판에 항-지연 특성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부주의한 첨가는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잔류 재결정을 과도하게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Mo의 양은 0.05~0.40%의 범위 내로 설정하여야 한다.Molybdenum (Mo) can form a bainite phase like Cr and can als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formed steel sheet. In addition, the hydrogen trapping effect due to Mo carbide is useful for providing anti-delay properties to the steel sheet. However, inadvertent addition will not only increase the cost, but will also cause excessive recrystallization. Therefore, the amount of Mo should be set within the range of 0.05 to 0.40%.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P)의 양을 가능한 한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원소의 상한은 0.010%로 설정되어야 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weldabilit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phosphorus (P)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upper limit of this element should be set to 0.010%.

또한,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황(S)의 양도 가능한 한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원소의 상한은 0.003%로 설정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weldabilit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sulfur S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upper limit of this element should be set to 0.003%.

질소(N)의 양은 0.005~0.015% 범위 내이어야 한다. 탄소와 유사하게, 질소도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그것이 과잉으로 존재하면 용접성을 저하시킬 것이다. 따라서, 그 양의 범위는 0.005~0.015% 정도로 설정되어야 한다.The amount of nitrogen (N) should be within the range of 0.005 to 0.015%. Similar to carbon, nitrogen is also useful for stabilizing the austenite phase. However, if it exists in excess, it will deteriorate the weldability. Therefore, the range of the amount should be set to about 0.005 to 0.015%.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생산된 슬래브는 이어서 재가열 후 열간 압연되거나, 또는 캐스팅 후 즉시 열간 압연된다.The slabs produced in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are then hot-rolled after reheating, or hot-rolled immediately after ca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제조 공정에서 열간 압연의 온도 이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여기에 또한 이전 오스테나이트의 입자 크기도 나타낸다. 가로축은 경과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Figure 1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temperature history of hot roll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lso shows the particle size of the prior austenite.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elapsed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emperature.

열간 압연시, 재가열로의 추출 온도는 1250℃로 설정하였다. 그러한 고온 조건으로 인해 재가열로에서 일부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불가피한 성장이 유발될 것이나, 이 온도는 다듬질 후 950℃의 표면 온도를 바람직하게 확보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그러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크기 또는 직경은 다음 압연 공정에서 줄여질 것이다. 따라서, 다듬질 압연기를 통과하기 이전에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크기를 가능한 한 미세하게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조 압연 공정에서는, 조 압연기의 출구 측 1030℃ 이상의 출구 측 온도에서, 조 압연 동안의 최종 3회 패스의 각 압하율을 3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결정 입자 크기를 미리 35㎛ 이하까지 줄인다. 도 2는 조 압연 후의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크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가공된 재료는 다듬질-이전 크롭 절단기(pre-finish crop shearing machine)로 절단된다.At the time of hot rolling, the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reheating furnace was set at 1250 ° C. Such high temperature conditions will result in the inevitable growth of some austenite grains in the reheating furnace, but this temperature is chosen to desirably ensure a surface temperature of 950 占 폚 after finishing. However, the size or diameter of the austenite particles will be reduced in the next rolling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as finely as possible before passing through the finishing mill. Therefore, in the rough rolling step, the crystal grain size is reduced to 35 μm or less in advance by setting the respective reduction rates of the final three passes during rough rolling at an outlet side temperature of 1030 ° C. or more on the outlet side of the roughing mill to 30% or more . Fig. 2 shows the size of the prior austenite grains after rough rolling, where the worked material is cut into a pre-finish crop shearing machine.

다듬질의 전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압연기에 대해서는(6개의 다듬질 압연기를 사용하는 경우임, 7개의 다듬질 압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압연기를 사용함), 압연기 당 압하율을 40% 이상으로 설정한다. 다듬질의 후반 3개 압연기에 대해서는 프레스된 상태에서의 축적된 변형을 0.5 이상으로 설정하고, 다듬질 압연기의 출구 측 온도를 950℃ 이상으로 확실하게 설정하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크기가 10㎛와 같거나 작게 한다. 또한, 다듬질 압연 후 2~6초 동안 공랭하고, 이어서 수냉한다. 권취 온도는 550℃ 내지 650℃로 설정한다. 상기 공랭 단계에서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크기를 또한 조절한다. 즉,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가공 변형을 없애기 위해, 열간 압연 단계 동안, 열간 압연-후 열간 가동 냉각(post-hot-rolling hot run cooling)을 시작하기 이전에,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크기를 10㎛ 이하로 조절한다.For the first to third mills of finishing (using six finishers, using seven finishers when using a finisher, the first to fourth mills are used), the reduction rate per mill is at least 40% Setting. For the latter three rolling mills of finishing, the accumulated deformation in the pressed state was set to 0.5 or more, and the outlet side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was reliably set to 950 DEG C or higher, so that the size of the austenite grains was equal to or smaller than 10 mu m Small. It is also air-cooled for 2 to 6 seconds after finish rolling, followed by water cooling. The coiling temperature is set to 550 to 650 占 폚. In the air cooling step, the size of the austenite particles is also adjusted. That is to say, prior to starting the post-hot-rolling hot run cooling during the hot rolling step to remove the processing strai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The size is adjusted to 10 μm or less.

도 3은 SEM 상 관측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9.3㎛이고, 균일하게 과립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장축/단축의 평균 어스펙트 비는 1.7이다.3 shows the results of observation of the prior austenite grains of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M observatio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rior austenite particles is 9.3 占 퐉 and exhibits a uniformly granulated structure. The average aspect ratio of the major axis / minor axis is 1.7.

압연 완성 온도가 950℃ 이하인 저온 압연을 이용하고, 다듬질의 후반 3개 압연기의 축적된 변형을 0.5 이하로 설정하여 채용하는 경우, 오스테나이트 입자는 점점 커지고(10㎛ 이상), 각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형상이 압연으로 인해 편평해져 비등방성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도 4는 다듬질 압연기의 출구 측 온도(FDT)와 연신율의 비등방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신율의 비등방성은 FDT가 950℃ 이하일 때 나타낸다. 여기서 비등방성은 식 │C-L│/(C+L)/2 (L은 압연 방향으로의 연신율을, C는 압연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의 연신율을 말한다)으로 정의된다. 이 공식으로 얻은 값이 작을수록 비등방성이 낮다.When a low temperature rolling with a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of 950 占 폚 or less is used and the cumulative deformation of the finishing three rolling mills is set at 0.5 or less, the austenite grains gradually increase (10 占 퐉 or more) The shape may become flat due to the rolling, resulting in an increase in anisotropy. Fig. 4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at the outlet side (FDT) of the finish rolling mill and the anisotropy of elongation. 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anisotropy of the elongation is shown when the FDT is 950 DEG C or lower. Here, anisotropy is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C-L | / (C + L) / 2 where L is the elongation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C is the elonga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The smaller the value obtained by this formula, the lower the anisotropy.

본 명세서에서, "변형"이란 이하의 식: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modified"

ε = (h0-h1)/{(h0+h1)/2} ε = (h 0 -h 1) / {(h 0 + h 1) / 2}

에서 ε으로 표현되는 값을 의미하고, 각 지점(각 단계, 또는 조 압연 시의 각 패스)마다 입구 측 강판의 두께 h0와 출구 측 강판의 두께 h1 사이의 차이를 양 두께의 평균 두께로 나눈다.,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h 0 of the inlet side steel plate and the thickness h 1 of the outlet side steel plate at each point (each step or each pass at the time of rough rolling) is defined as an average thickness of both thicknesses Share it.

본 명세서에서, "축적된 변형"이란 이하의 식: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accumulated strain "

εc = εn + εn-1 / 2 +εn-2 / 4? c =? n +? n-1 /2 +? n-2 /4

에서 εc로 표현되는 값을 의미하고, 다듬질의 후반 3개 지점 각 단계(각 패스)의 변형을, 금속 상에 부여된 각 효과의 강도를 고려하여, 가중된 측정치를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여기서 최종 단계(최종 패스), 전반(프리-패스), 및 프리-전반(프리-(전-패스))에서 야기된 변형을 각각 εn , εn-1, 및 εn-2로 표현한다.The mean values, expressed as ε c, the deformation of the three points the second half of the finish of each stage (each pass), considering the strength of each effect is granted on the metal, was calculated using a weighted measurement value from, where The strains caused by the final stage (final pass), the propagation (pre-pass), and the pre-propagation (pre-pass) are expressed as ε n , ε n-1 , and ε n-2 , respectively.

고온 다듬질 압연을 수행하기 위해, 압연 작업에 의해 발산되는 열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강판에 대한 온도 상승 공정을 채용하였다. 이 때문에, 각각의 후반 압연기에 대해 고-변형 압연 스케줄을 제공하고, 전반 지점의 압하율을 4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 압연기에서의 배출 두께에 차이는 있겠지만, 압하율과 관련하여 동일한 압연 사이즈를 사용하는 경우, 강의 타입에 따라 다듬질 후의 표면 온도가 80℃까지 다양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In order to carry out the hot-finish rolling, a temperature raising process for the steel sheet by employing the heat radiated by the rolling operation was adopted.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high-strain rolling schedule for each post-rolling machine and to set the rolling reduction of the front point to 40% or more. As can be seen in FIG. 5,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charge thickness in the roughing mill, but with the same rolling size in relation to the reduction rate, depending on the type of steel, the surface temperature after finishing may vary up to 80 ° C Can be confirmed.

열간 압연은 950℃ 이상의 온도에서 완료하고, 이후 그 재료를 열간-압연-후 열간 가동 냉각 없이 2~6초 동안 공랭하여, 결정 입자 내의 전위 밀도를 줄인다. 도 6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입자 크기의 변화 및 전위 밀도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여 기서 이들 데이터는 동일한 타입의 강에 대해 압연 온도를 변화시키는 경우, 다듬질 F1 압연기로부터 열간 가동 냉각 시작시까지의 기간에 걸쳐 계산하여 얻는다. 도면으로부터, 전위 밀도가 압연 온도에 의해 현저한 영향을 받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압 압연 조건 하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입자 크기가 보다 낮은 온도 조건에서 작아질 것임을 알 수 있고, 이는 가공 온도가 Ar3 변태에 요구되는 그것과 동일하거나 보다 높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러한 낮은 온도 조건하에서는 전위 밀도가 보다 높아질 것이어서, 비등방성이 더욱 증가된 재료가 제공된다. 또한, 압연 후의 열간 가동 공랭으로 인해 전위 밀도가 현저하게 줄어든 한편, 냉각 시간을 6초 이내로 채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어스펙트비를 2.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은 전위 밀도를 적어도 2.50E + 10(ρ/㎠) 이하로 조절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이는 실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모델을 서로 비교한 결과로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전위 밀도의 감소는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 크기의 증가를 야기한다.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 크기를 10㎛ 이하로 조절하면서 전위 밀도의 상기 수치를 더욱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압연 조건(압연 온도: 950℃ 이상, 냉각 시간: 2~6초)이 요구된다.Hot rolling is completed at a temperature of 950 占 폚 or higher, and then the material is air-cooled for 2 to 6 seconds without hot-rolling cooling after hot-rolling to reduce the dislocation density in the crystal grains. Figure 6 shows the changes in austenite grain size and dislocation density, where these data are calculated over the period from the finish F1 rolling mill to the start of hot working cooling, when the rolling temperature is changed for the same type of steel . It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at the dislocation density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rolling temperature. It can also be seen that under high pressure rolling conditions, the austenite grain size will be reduced at lower temperature conditions, which indicates that the processing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required for Ar3 transformation. However, under such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dislocation density will be higher, so that a material with an increased anisotropy is provided. Further, it can be seen that effective disposition can be obtained by employing the cooling time within 6 seconds while the dislocation density is remarkably reduced due to the hot air cooling after the rolling. In this simulation model, setting the aspect ratio to less than 2.0 can be interpreted as adjusting the dislocation density to at least 2.50E + 10 (p / cm2) (this is because the actual data and the simulation model are compared Confirmed). However, the reduction of the dislocation density causes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prior austenite grain. The above-mentioned rolling conditions (rolling temperature: 950 DEG C or more, cooling time: 2 to 6 seconds) are required to further reduce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value of the dislocation density while controlling the size of the austenite particles to 10 mu m or less.

상기의 시뮬레이션 모델은 Yanagimoto, Morimoto, et al., "Iron and Steel", vol. 88(2002), No. 11에 기초한 것으로, 각 수치의 계수는 본 출원에서 재검토되었다.The above simulation model is described in Yanagimoto, Morimoto, et al., "Iron and Steel ", vol. 88 (2002). 11, the coefficients of each numerical value have been reviewed in this application.

권취 온도를 550℃ 내지 650℃의 범위 이내로 설정하였는데, 550℃ 보다 낮은 온도 범위는 마텐자이트 상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어 지연 파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650℃ 보다 높은 온도 범위는 보다 많은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를 생성하여 보다 높은 강도를 얻기 어렵게 만들 것이다. 도 7에 3-타입의 고-강도 강판의 단면 상을 도시한다.The coiling temperature is set within the range of 550 to 650 DEG C, but a temperature range lower than 550 DEG C tends to increase the martensite phase,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delayed fracture. On the other hand, a temperature range higher than 650 ° C will produce more ferrite and pearlite,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higher strength. 7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3-type high-strength steel sheet.

도 7의 상은 모두 베이나이트 계로서, 도 7(a)에 해당하는 사진은 마텐자이트가 풍부한 구조를 보여주고, 도 7(b)는 마텐자이트가 적고 비교적 미세한 구조를, 도 7(c)는 페라이트-함유 구조를 보여준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구조를 보여준다.7 (a) shows a structure rich in martensite, Fig. 7 (b) shows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small martensite and a relatively fine structure, and Fig. 7 ) Shows a ferrite-containing structure. Fig. 7 (b) shows the structure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베이나이트-계 구조에서, 오스테나이트는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들 사이의 각 경계면 뿐만 아니라, 각 패킷 경계 및 각 블록 경계, 즉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 그 자체들 내부에도 잔류한다. 모상으로서 베이나이트 상을 채용하고, 변태 이전의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크기를 10㎛ 이하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모상 내에 촘촘하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1㎛ 이하의 매우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10㎛2 당 7개 이상 분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에 대하여 EBSP 법으로 얻은 각 단면 구조의 사진으로, 체심 입방 상의 베이나이트 상과 면심 입방 상의 오스테나이트 상이 색깔로 구별된다. 밝은 색으로 나타내어지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은, 1㎛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10㎛2 당 7개 이상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된 구조를 구성한다.In the bainitic-based structure, austenite remains not only at each interface between the prior austenite particles, but also within each packet boundary and each block boundary, i.e., the prior austenite particles themselves. By employing a bainite phase as the parent phase and setting the size of the prior austenite particles before transformation to 10 m or less, the retained austenite is densely and uniformly dispersed in the mother phase, and a very fine particle size The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may be dispersed in an amount of 7 or more per 10 탆 2 . Fig. 8 is a photograph of each cross-sectional structure obtained by the EBSP method for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inite phase on the body-centered cubic and the austenite phase on the face-centered cubic are distinguished by color.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represented by a bright color constitutes a structure in which 7 or more fine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 탆 or less per 10 탆 2 are uniformly dispersed.

열간 압연에 대한 상기와 같은 조절로 베이나이트 상을 얻을 수 있고, 그 안 에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는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된다.The bainite phase can be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control for the hot rolling, and the residual austenite particles are finely and uniformly dispersed therein.

고-강도 박판 재료(두께가 2mm 이하)를 고-변형 및 고-압하율 조건 하에서 압연할 경우, 판 상위에서의 절삭 실패 및/또는 압연 작업 도중 롤과 압연된 재료 사이의 슬립이 일어날 수 있다. 압연 결과로부터, 각 압연기마다 1000MPa 보다 낮은 TS 재료를 40~50%의 압하율에서 사용하는 경우, 압연 재료의 최상위에서의 바인딩 특성은 문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압연 재료의 최상위에서의 바인딩 실패는 1000MPa 보다 높은 TS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최종 압연기 및 전반 압연기의 첫 번째 내지 두 번째 압연기에서 종종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진다(발생율: 50%).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우리는 압연 마찰 계수를 높이기 위해 압연 그라인딩 다듬질 거칠기 Ra를 1㎛(보통은 0.5㎛)까지 높여, 압연 동안 0.4(보통은 0.3)의 마찰 계수(μ)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우리는 압연 재료의 최상위에서의 온도가 과도하게 감소되지 않도록 압연 냉각수의 유량을 줄였다. 그러나, 확실하게 효과적인 결과는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리는 압연기의 출구 측으로부터 5m 범위 이내의 위치에 걸쳐 압연 재료의 최상위가 얇게 되도록 하여, 판 두께가 보다 얇아지도록 시도하였다(최종적으로 기대되는 두께의 10% 까지). 이에, 기대되는 판 두께까지의 경사가 상기 판 재료에 제공되었다.When high-strength laminate materials (thickness less than 2 mm) are rolled under high-strain and high-reduction conditions, slippage between rolls and rolled material may occur during cutting failures and / . From the rolling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TS material of less than 1000 MPa was used at a rolling reduction of 40 to 50% for each mill, the binding properties at the top of the rolled material were not problematic. On the other hand, the binding failure at the top of the rolled material is believed to occur frequently (incidence: 50%) in the first to second mills of the final mill and full mill when using TS materials higher than 1000 MP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increased the rolling grinding finishing roughness Ra to 1 μm (usually 0.5 μm) to increase the rolling friction coefficient, obtain a friction coefficient (μ) of 0.4 (usually 0.3) during rolling Respectively. In addition, we have reduced the flow rate of the rolling cooling water so that the temperature at the top of the rolled material is not excessively reduced. However, no definitive and effective results were obtained. Therefore, as shown in Fig. 9, we attempted to make the top of the rolled material thinner at a position within 5 m from the exit side of the rolling mill, so that the plate thickness became thinner (10% of the finally expected thickness) Till). Thus, a slope up to the expected plate thickness was provided to the plate material.

그 결과, 바인딩 실패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발생율: 0%). 또한, 다듬질의 전반 압연기로부터 다듬질의 최종 압연기 이전에 위치한 압연기까지의 범위에서 채용한 압하량은, 그에 기대되는 설정값의 10% 이하를 추가하여 얻은 값으로 설정하 였다. 압하 시간은 압연기에서 상기 판 재료의 최상위의 절삭 부위로부터 2초 이내로 설정한다.As a result, the binding failur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cidence: 0%). Further, the reduction amount used in the range from the finish rolling mill to the rolling mill located before the final rolling mill of finishing was set to a value obtained by adding 10% or less of the set value expected to be obtained. The pressing time is set within 2 seconds from the uppermost cutting position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rolling mill.

압연 공정 동안의 압연기와 압연된 재료 사이의 슬립에 대해서는, 고온 및 고압 조건하에서 1000MPa 보다 큰 TS 재료를 2mm 미만으로 설정된 최종 판 두께를 가지도록 압연할 경우, 최종 압연기 및 최종 압연기 직전에 위치한 압연기에서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현상으로, 압연 공정 동안 금속성 소리가 발생되고, 슬립 발생시 압연기의 압연 하중이 50%까지 현저하게 줄어든다. 이어서, 롤이 공전하기 시작하여, 압연된 판이 전진할 수 없다. 이 때, 각 압연기로부터 롤을 잡아당겨 상기 롤의 압연 거칠기 Ra를 측정하면 0.1㎛ 미만으로 측정되고, 이는 압연된 재료와 롤이 서로 슬립된 상태임을 보여준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특수한 하이-그립 롤을 채용하였다. 그 결과, 슬립의 발생을 완벽하게 막을 수 있었다. 롤은 각각, 상기 롤의 전체 표면 상에 마이크로-카바이드 입자(입자 크기: 1㎛ 미만)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형성된다. 이들 카바이드 입자는 스파이크로서 사용될 수 있고, 경질 기재 재료(hard base material)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카바이드 입자들이 표면에서 마멸될 것이라 하더라도, 마이크로-옥사이드 입자들은 아래로부터 연속적으로 출현할 것이어서, 안정적인 마찰 계수를 유지하여 슬립의 발생을 막을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 공정으로 인한 마찰 계수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롤과 비교하여 보다 적합한 범위(약 0.3) 내에서 유지된다.For the slip between the rolling mill and the rolled material during the rolling process, when the TS material larger than 1000 MPa is rolled und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to have a final plate thickness set to less than 2 mm, the rolling mill located immediately before the final rolling mill and the final rolling mill Slip may occur. As a result of this situation, metallic noise is generated during the rolling process and the rolling load of the rolling mill is significantly reduced by 50% in the event of slip. Then, the roll starts to revolve, and the rolled plate can not advance. At this time, when the rolling roughness Ra of the roll is measured by pulling the roll from each rolling mill, it is measured to be less than 0.1 mu m, which shows that the rolled material and the roll are slipp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To solve this situation, we adopted a special high-grip roll.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slip was completely prevented. The rolls are each formed by uniformly dispersing micro-carbide particles (particle size: less than 1 mu 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oll. These carbide particles can be used as spikes and can be supported by a hard base material. In addition, even if the micro-carbide particles are to be worn on the surface, the micro-oxide particles will appear continuously from below, thereby maintaining a stabl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lip. As shown in Fig. 10,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due to the rolling process is maintained within a more suitable range (about 0.3) as compared with generally known rolls.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제조 공정에 의해 생산된 열간 압연 강판에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부피비(Vy)와 인장 테스트로 얻은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는 부피비 Vy과 (인강 강도×연신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1(b)는 부피비 Vy와 연신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5~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부피비의 범위에서, 부피비 Vy가 증가할 수록 인장 강도×연신율 및 연신율 단독의 데이터가 개선된다.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속 상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텐자이트가-적은 미세 베이나이트 상으로 생각할 수 있다.11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ratio (Vy) of the retained austenite in the hot-rolled steel sheet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shown in Fig. 1 and the data obtained by the tensile test. 11 (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ratio Vy and (tensile strength x elongation). 11 (b)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ratio Vy and elongation.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in the range of 5 to 20% of the retained austenite volume ratio, the data of tensile strength x elongation and elongation alone are improved as the volume ratio Vy increases. The metal phase corresponding to the above data can be considered as a martensite-like fine bainite phase as shown in Fig. 7 (b).

본 발명은 상기의 실험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 above experiment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강판은 낮은 합금 조성에서 높은 강도와 높은 연성 특성을 나타내고, 자동차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부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characteristics in a low alloy composition and is suitable for use as a component for manufacturing an automobile structur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단조 공법 또는 연속 캐스팅 공법을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각 화학 조성을 가지는 용융 강으로부터 슬라브 재료(압연 재료)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들 슬라브 재료를 다시 가열한 후 열간 압연하여, 각각의 열간 압연 강판을 얻었다. 표 2에 각 열간 압연 조건과 재료의 특성을 나타낸다.The slab material (rolled material) was produced from molten steel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shown in Table 1 by using a forging method or a continuous casting method. Subsequently, these slab materials were heated again and then hot-rolled to obtain respective hot-rolled steel sheets. Table 2 shows each hot rolling condition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Figure 112008026014904-pat00001
Figure 112008026014904-pat00001

표 1에 나타낸 강 타입에 있어서, A, B, C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강판을 나타내고, D, E, F, G, H는 비교 실시예로서 제시된다.In the steel types shown in Table 1, A, B and C represent steel sheets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 E, F, G and H are shown as comparative examples.

일 비교 실시예로서 강 타입 D는 Si를 현저히 적게 함유하고, Ni는 지나치게 풍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에서 벗어난다.As a comparative example, steel type D contains significantly less Si and Ni is too abundant and deviates from the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강 타입 E는 Si를 현저히 적게 함유하므로,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한 범위를 벗어난다.Since the steel type E contains a considerable amount of Si, it is also outside the range def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강 타입 F 및 G는 C를 적게 함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고, 강 타입 I는 과도하게 과량의 C를 함유하여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난다. 강 타입 H는 Cr이 지나치게 풍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난다.Steel types F and G contain less C and deviate from the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Steel type I contains an excessive amount of C and is also outside the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type H is excessively rich in Cr and deviates from the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08026014904-pat00002
Figure 112008026014904-pat00002

표 2에서 Nos.1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각각 만족시키는 표 1의 강 타입 A, B, C를 다양한 조건 하에서 압연한 실시예이다.Nos. 1 to 6 in Table 2 are examples in which the steel types A, B, and C of Table 1, which satisfy the preferred r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were rolled under various conditions.

No.1은 0.51%의 Si를 함유하는 강 타입 A를 사용하고, 655℃의 열간 압연 권취 온도를 채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 케이스의 경우, TS(인장 강도)×EL(연신율) 데이터는 매우 바람직하지만, 인장 강도가 778MPa로 낮아 바람직하지 않다. No. 1 was produced by using a steel type A containing 0.51% of Si and employing a hot rolling coiling temperature of 655 캜. In this case, TS (tensile strength) x EL (elongation) data is very preferable, bu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tensile strength is as low as 778 MPa.

No.2는 강 타입 A를 사용하고, 630℃의 열간 압연 권취 온도를 채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1200MPa의 인장 강도와 13%의 연신율을 나타내어,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No. 2 was produced by employing a hot rolled coiling temperature of 630 캜 using a steel type A. This example shows a tensile strength of 1200 MPa and an elongation of 13%, showing excellent properties.

No.3은 1.00%의 Si를 함유하는 강 타입 B를 사용하고, 595℃의 열간 압연 권취 온도를 채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강도 및 연신율 모두에서 우수하다. 또한, 이 실시예는 No.2 실시예에 비해 강도와 연신율 모두에서 보다 향상된 특성을 나타낸다.No. 3 was produced by using a steel type B containing 1.00% of Si and employing a hot rolling coiling temperature of 595 캜. As can be seen in Table 2, this example is excellent in both strength and elongation. In addition, this example exhibits improved properties in both strength and elongation as compared with the No. 2 embodiment.

No.4 및 No.5는 열간 압연 동안 만족스럽지 않은 압하율 조건 하에서 제조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는 강도와 연신율은 만족시키는 반면, 네거티브 지연 파괴를 나타낸다.Nos. 4 and 5 were produced under unsatisfactory rolling reduction conditions during hot rolling, and these examples show negative retardation failure while satisfying strength and elongation.

No.6은 1.44%의 Si를 함유하는 강 타입 C를 사용하고, 610℃의 열간 압연 권취 온도를 채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강도와 연신율 모두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강도와 연신율 모든 면에서 No.3 실시예에 비해 뛰어나다.No. 6 was produced by employing a hot rolled coiling temperature of 610 캜 using a steel type C containing 1.44% of Si. This example exhibits excellent properties in both strength and elongation, and is superior to the No. 3 embodiment in all aspects of strength and elongation.

Nos.7 내지 12는 각각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바람직한 범위의 조성에서 벗어난 비교 실시예의 강 타입을 사용하여, 열간 압연하여 제조한 것이다. Nos. 7 to 12 are each produced by hot rolling, using the steel type of the comparative example deviating from the preferred range of the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No.7은 Si를 적게, Ni를 많이 함유하는 강 타입 D를 사용하여, 압연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 비교 실시예는 점 용접 특성(S/W 특성)의 면 뿐만 아니라 지연 파괴 특성의 면에서도 불충분하다.No. 7 was produced by rolling using a steel type D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Si and a large amount of Ni. This comparative example is insufficient not only in terms of the spot welding characteristic (S / W characteristic) but also in the delayed fracture characteristic.

No.8은 Si를 적게 함유하는 강 타입 E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강도가 불충분하고, 강도/연성의 불균형을 나타냈다. No. 8 was produced by using a steel type E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Si, and the strength was insufficient and the strength / ductility imbalance was exhibited.

No.9 및 No.10은 둘 다 각각 C를 적게 함유하는 강 타입 F 및 G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강도가 매우 낮았고, 강도/연성의 불균형을 나타냈다.No. 9 and No. 10 were produced using steel types F and G each containing less C, respectively, and the strength was very low, indicating an unbalance in strength / ductility.

No.11 및 No.12는 둘 다 매우 과량의 C를 함유하는 강 타입 H 및 I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적절하게 높은 강도와 강도/연성의 양호한 균형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들 비교 실시예는 점 용접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연 파괴 특성의 면에서 불충분하였다.Nos. 11 and 12 were produced using steel types H and I both containing a very large amount of C and exhibited a good balance of adequately high strength and strength / ductility. However, these comparative examples were insufficient in terms of not only the spot weldability but also the delayed fracture characteristics.

페라이트 입자의 부피비는, 각 강판의 압연 방향에 따른 절단면을 마멸하고, 마멸된 표면을 나이탈(nital)로 부식시킨 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에 시판하는 이미지 분석기를 사용하였다.The volume ratio of the ferrite particles was measured by observing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abrading the cut surface along the rolling direction of each steel sheet and corroding the worn surface with nital. A commercially available image analyzer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마텐자이트의 부피비는, 각 강판의 압연 방향에 따른 절단면을 마멸하고, 마멸된 표면을 4% 피크르산-알코올 및 2% 소듐 피로포스페이트의 1:1 혼합 용액으로 에칭한 후, 판 두께 방향의 1/4 지점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동안, 이미지 분석 공정에서 흰색으로 나타나는 마텐자이트 상을 측정하여 얻었다.The volume ratio of martensite was measured by abrading the cut surface along the rolling direction of each steel sheet and etching the worn surface with a 1: 1 mixed solution of 4% picric acid-alcohol and 2% sodium pyrophosphate, / 4 spot was observed by optical microscopy, and the white martensite phase was measured in the image analysis process.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측정은, Cu의 Kα선을 사용한 X-선 회절을 채용하여 수행하였다. 부피비는, 판 두께 방향의 1/2t 지점을 전해 연마한 후, 오스테나이트 상의 (200), (220) 및 (311) 면의 적분 강도와 페라이트 상의 (200), (211) 면의 적분 강도를 각각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를 조합한 것으로부터 계산된 잔류 오스테나이트 부피비의 평균으로 결정하였다.The measurement of the retained austenite was carried out by adopting X-ray diffraction using Kα line of Cu. The volume ratio was obtained by electrolytically polishing a 1 / 2t poin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then measuring the integral intensity of the (200), (220) and (311) planes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integral intensity of the (200) And the average of the retained austenite volume ratios calcula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data obtained by each measurement.

인장 특성(인장 강도(TS) 및 연신율(EL))은 JIS No.5 시험편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 각 샘플에 대해 인장 시험하여 측정하였다.The tensile properties (tensile strength (TS) and elongation (EL)) were measured by tensile test on each sample formed in the shape according to JIS No. 5 test piece.

지연 파괴 특성은 인장 시험을 한 8% 이상의 변형이 적재된 중심 부위에 12.2%의 간극으로 ψ10mm 펀치 홀을 형성한 후, 미리 정해둔 시간 동안 1N 염산에 담가둔 각 샘플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The delayed fractur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observing each sample immersed in 1N hydrochloric aci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forming a ψ10 mm punch hole with a gap of 12.2% in a central region loaded with deformation test of 8% or more by tensile test.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은 고-강도 강판은 낮은 합금 조성에서 높은 강도와 높은 연성 특성을 나타내고, 자동차 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부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As mentioned above,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obtained in the examples exhibits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characteristics in a low alloy composition and is suitable for use as a component for manufacturing an automobile structure.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강판은, 자동차 문을 지탱하고 충돌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인장 강도, 프레스 몰딩을 위한 굽힘성, 심 가공성(deep drawability), 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취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구멍 확장 가공성, 및 재료를 다른 자동차 부품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성을 포함하는 매우 우수한 특성을 요구하는 자동차용 센터 필러와 같은 매우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sufficient tensile strength to support automobile doors and prevent deformation upon impact, bendability for press molding, deep drawability, Such as a center filler for automobiles, which requires very good properties including hole expandability to form mounting holes, and weldability to weld the material to other automotive parts.

비록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어느 정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명백하게 그 안에서 많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상술된 것 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some detail in a preferred embodiment, obviously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therei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rried out by other methods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그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제조 공정에서 열간 압연의 온도 이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temperature history of hot roll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다듬질 진입시 크롭의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사진이다.Fig. 2 is a photograph of the austenite grains of the crop at the finishing run.

도 3은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사진이다.Figure 3 is a photograph of the prior austenite particles.

도 4는 다듬질 압연 온도와 연신율의 비등방성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ish rolling temperature and anisotropy of elongation.

도 5는 압연 스케줄과 압연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ling schedule and the rolling temperature.

도 6은 전위 밀도와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자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location density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prior austenite particles.

도 7은 단면들의 전형적인 상의 사진이다.Figure 7 is a photograph of a typical top view of cross section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 및 압연 조건 하에서 제조한 강판에 대해 EBSP법으로 얻은 각 단면들의 상의 사진이며, 밝거나 옅은 색상 부위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나타낸다.Fig. 8 is a photograph of each section obtained by the EBSP method on the steel sheet produced under the composition and roll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ight or light color region shows the retained austenite.

도 9는 압연 재료 말단의 판 두께의 편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e deviation of plate thickness at the end of the rolled material.

도 10은 롤의 타입에 따른, 마찰 계수와 압하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iction coefficient and th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the type of roll.

도 11은 강도와 연성 사이의 균형, 및 연성과 잔류 오스테나이트 양의 관계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1 is a graph showing a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ductility and a relationship between ductility and retained austenite amount.

Claims (7)

C(0.13~0.21중량%), Si(0.5~2.0중량%), Mn(0.2~1.0중량%), Cr(1.0~4.0중량%), Ni(0.02~1.0중량%), Mo(0.05~0.4중량%), P(0~0.010중량%), S(0~0.003중량%), N(0.005~0.015중량%) 및 나머지 성분으로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며, (0.1 to 0.21 wt%), Si (0.5 to 2.0 wt%), Mn (0.2 to 1.0 wt%), Cr (1.0 to 4.0 wt%), Ni (0.02 to 1.0 wt% (0 to 0.03 wt.%), S (0 to 0.003 wt.%), N (0.005 to 0.015 wt.%) And the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부피비로 5% 내지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 부피비로 0% 내지 10%의 마텐자이트 상; 및 나머지 부피비의 베이나이트 상을 포함하는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으로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자 크기는 1㎛ 이하이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10㎛2 당 7개 이상의 입자 밀도로 분산된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5% to 20% residual austenite phase by volume; 0% to 10% martensitic phase in a volume ratio; And a residual volume ratio of bainite phase, wherein the residual austenite particles have a particle size of 1 탆 or less and the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are dispersed at 7 or more particle densities per 10 탆 2 High - strength hot - rolled steel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자 크기는 10㎛ 이하이며, 이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어스펙트비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The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ticle size of the old austenite particles is 10 μm or less and the average aspect ratio of the old austenite particles is 2.0 or less.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판 두께가 1.0~3.0mm이고, 인장 강도가 120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The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eel sheet has a thickness of 1.0 to 3.0 mm and a tensile strength of 1200 MPa or more. C(0.13~0.21중량%), Si(0.5~2.0중량%), Mn(0.2~1.0중량%), Cr(1.0~4.0중량%), Ni(0.02~1.0중량%), Mo(0.05~0.4중량%), P(0~0.010중량%), S(0~0.003중량%), N(0.005~0.015중량%) 및 나머지 성분으로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조성의 강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0.1 to 0.21 wt%), Si (0.5 to 2.0 wt%), Mn (0.2 to 1.0 wt%), Cr (1.0 to 4.0 wt%), Ni (0.02 to 1.0 wt% (0 to 0.010% by weight), S (0 to 0.003% by weight), N (0.005 to 0.015% by weight) and the balance of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 재가열로의 추출 온도가 1250℃ 이상, 조 압연기의 출구-측 온도가 1030℃ 이상, 및 각각의 조 압연 최종 3회 패스의 압하율이 30% 이상인 조건 하에서 상기 강 재료를 조 압연하는 단계;Rolling the steel material under a condition that an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reheating furnace is not lower than 1250 DEG C, an outlet-side temperature of the roughing mill is not lower than 1030 DEG C, and a reduction rate of each of the roughing passes in the last three passes is 30% or more; 다듬질 압연기의 출구-측 온도가 950℃ 이상, 다듬질의 전반 각 압연기의 압하율이 40% 이상, 및 다듬질의 후반 3개 압연기에 의한 압하로 인해 축적된 변형이 0.5 이상인 조건 하에서 상기 강 재료를 다듬질 압연하는 단계; 그리고Finishing the steel material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outlet-side temperature of the finishing mill is 950 DEG C or higher, the reduction ratio of the finishing mill is 40% or more, and the accumulated deformation is 0.5 or more due to the rolling by the three rolling mills of finishing Rolling; And 상기 강 재료를 2~6초 동안 공랭한 후, 수냉하는 냉각 단계와, 550~650℃의 권취 온도에서 상기 강 재료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 And cooling the steel material by air cooling for 2 to 6 seconds followed by water cooling; and winding the steel material at a coiling temperature of 550 to 650 占 폚. 제 5항에 있어서, 다듬질 압연시, 최종 단계의 압연기를 제외한 1개 이상의 압연기에서의 상기 강 재료의 최상위의 압하량을 기대되는 압하량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위의 압하량을 압연기에 기대되는 압하량의 10% 미만으로 증가된 값으로 설 정하고, 증가된 압하량으로 압연된 길이는 상기 강 재료의 최상위의 절삭 위치로부터 측정했을때 5m 이내로 하여, 그 압하량이 기대되는 압하량으로 재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The rolling mi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6, characterized in that, at the time of finishing rolling, the highest rolling reduction amount of the steel material in one or more rolling mills except for the rolling mill at the final stage is set to be larger than an expected rolling reduction amount, The length of the rolled steel sheet is set to a value that is increased to less than 10% of the amount of the rolled steel sheet, and the length rolled with the increased rolling reduction is within 5 m measured from the uppermost cutting position of the steel material. By weight of the steel sheet.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기를 포함하는 다듬질의 후반 각 압연기용 작업 롤로서, 하이-그립 롤의 표면에 마이크로-카바이드 입자가 분산된 하이-그립 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열간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Process according to claim 5 or 6, characterized in that as a finishing roll for finishing rolls comprising a final mill, a high-grip roll with micro-carbide particles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high-grip roll is used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 - strength hot - rolled steel sheet.
KR1020080033714A 2007-04-17 2008-04-11 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463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8759A JP5214905B2 (en) 2007-04-17 2007-04-17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JP-P-2007-00108759 2007-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883A KR20080093883A (en) 2008-10-22
KR101446354B1 true KR101446354B1 (en) 2014-10-01

Family

ID=3976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714A KR101446354B1 (en) 2007-04-17 2008-04-11 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223609A1 (en)
EP (1) EP1990430B1 (en)
JP (1) JP5214905B2 (en)
KR (1) KR101446354B1 (en)
CN (1) CN10131929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3370B2 (en) 2010-07-28 2016-03-0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cold-rolled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476960B (en) * 2011-03-28 2016-04-27 新日铁住金株式会社 Cold-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TWI453286B (en) * 2011-04-13 2014-09-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Hot 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X358644B (en) 2011-04-13 2018-08-3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Hot-rolled steel for gaseous nitrocarburiz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X361690B (en) 2011-05-25 2018-12-1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440672B2 (en) * 2011-09-16 2014-03-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690183B1 (en) 2012-07-27 2017-06-28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Hot-rolled steel flat product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10260124B2 (en) 2013-05-14 2019-04-1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320693B (en) * 2013-06-19 2015-11-1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Anti-zinc fracturing line steel pla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WO2016079565A1 (en) * 2014-11-18 2016-05-26 Arcelormitt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product and steel product thereby obtained
JP7217274B2 (en) * 2018-06-29 2023-02-02 東洋鋼鈑株式会社 HOT-ROLLED STEEL,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M
KR102164078B1 (en) * 2018-12-18 2020-10-13 주식회사 포스코 High 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226458B2 (en) * 2020-01-23 2023-02-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for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CN111621624B (en) * 2020-05-11 2021-10-22 北京交通大学 Process method for improving hydrogen-induced delayed fracture resistance of medium manganese ste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664A (en) * 1984-02-29 1985-09-20 Nippon Steel Corp High ductile and high tensile steel containing stable retained austenite
JPH1180890A (en) * 1997-09-04 1999-03-26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its production
JP2000054072A (en) 1998-08-03 2000-02-22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excellent in press formability
JP2000282175A (en) 1999-04-02 2000-10-10 Kawasaki Steel Corp Superhigh 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its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425A (en) 1983-08-15 1985-03-08 Nippon Kokan Kk <Nkk> Production of hot rolled composite structure steel sheet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workability
DE3851371T3 (en) * 1987-06-03 2004-04-29 Nippon Steel Corp. Hot-rolled,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JP2853762B2 (en) 1991-05-30 1999-02-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 yield ratio type hot rol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or formability and spot weldability
JP3247908B2 (en) 1992-11-05 2002-01-21 川崎製鉄株式会社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ductility and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319338B1 (en) * 1996-11-28 2001-11-20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plate having high dynamic deformation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159312A (en) * 1997-12-19 2000-12-1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Ultra-high strength triple phase steels with excellent cryogenic temperature toughness
DE19911287C1 (en) * 1999-03-13 2000-08-31 Thyssenkrupp Stahl Ag Process for producing a hot strip
AU2002344048A1 (en) * 2002-09-19 2004-04-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arts order quantity calculating device
WO2004106571A1 (en) * 2003-05-27 2004-12-09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thin steel sheet excellent in resistance to delayed fracture after forming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automobile parts requiring strength manufactured from high strength thin steel sheet
JP4102273B2 (en) * 2003-08-29 2008-06-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Manufacturing method of high-tensile steel plate with excellent workability
US7981224B2 (en) * 2003-12-18 2011-07-19 Nippon Steel Corporation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288364B2 (en) * 2004-12-21 2009-07-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Composite structure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elongation and stretch flangeability
EP1749895A1 (en) * 2005-08-04 2007-02-07 ARCELOR France Manufacture of steel sheets having high resistance and excellent ductility, products thereof
KR100811536B1 (en) 2005-10-14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Sustain Driving Circuit with Improved Efficienc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664A (en) * 1984-02-29 1985-09-20 Nippon Steel Corp High ductile and high tensile steel containing stable retained austenite
JPH1180890A (en) * 1997-09-04 1999-03-26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its production
JP2000054072A (en) 1998-08-03 2000-02-22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excellent in press formability
JP2000282175A (en) 1999-04-02 2000-10-10 Kawasaki Steel Corp Superhigh 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its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0430B1 (en) 2011-06-15
JP5214905B2 (en) 2013-06-19
EP1990430A1 (en) 2008-11-12
CN101319295B (en) 2012-05-30
KR20080093883A (en) 2008-10-22
CN101319295A (en) 2008-12-10
JP2008266695A (en) 2008-11-06
US20090223609A1 (en)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354B1 (en) 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20572B2 (en) High strength thin steel sheet with excellent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fter forming
KR101456772B1 (en)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0942087B1 (en)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bore expanding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706485B1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80131305A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05097725A (en) Steel sheet for hot press having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ance, automobile member and its production method
JP5339765B2 (en)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4686777A (en) Flat steel product with good aging resistan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6973694B1 (en) High-strength stee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635009B1 (en) 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080106A (en)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balance of extension and formability for extending flange
JP5080215B2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isotropy, elongation and stretch flangeability
JP4085809B2 (en) Hot-dip galvanized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an ultrafine grain structure and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11123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with ultrafine grain structure
KR20130054998A (en)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ine blanking properti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4867338B2 (en) Ultra-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848722B2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workability
EP4265764A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129615A (en) Steel plate,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133003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168137B1 (en) High-strength stee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848586B2 (en) Method for producing high-tensile hot-rolled steel sheet for processing having microstructure
JP2003342683A (en) High-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press formability and blanking workability and its production method
EP4265763A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