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633B1 - 답압피해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완충토양 - Google Patents

답압피해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완충토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633B1
KR101445633B1 KR1020140008137A KR20140008137A KR101445633B1 KR 101445633 B1 KR101445633 B1 KR 101445633B1 KR 1020140008137 A KR1020140008137 A KR 1020140008137A KR 20140008137 A KR20140008137 A KR 20140008137A KR 101445633 B1 KR101445633 B1 KR 10144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depth
chips
wood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박관수
Original Assignee
김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일 filed Critical 김동일
Priority to KR102014000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토양의 개선 및 불량토양 예방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완충토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답압에 의한 피해를 입은 견밀도 등이 불량한 토양의 복원 및 개선, 답압피해의 예방, 수목식재지의 토양 견밀도와 산도(pH) 등을 복원 및 개선하고 불량토양을 예방하여 수목의 생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완충토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불량토양을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에 우드칩, 핀칩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토양개량제와 토양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량토양 개선 또는 불량토양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답압피해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완충토양 {Methods for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bad soil, and buffer soil for them}
본 발명은 불량토양의 개선 및 불량토양 예방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완충토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답압에 의한 피해를 입은 견밀도 등이 불량한 토양의 복원 및 개선, 답압피해의 예방, 수목식재지의 토양 견밀도와 산도(pH) 등을 복원 및 개선하고 불량토양을 예방하여 수목의 생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완충토양에 관한 것이다.
조경설계기준에 의하면 '수목식재지의 토양평가등급'을 상급, 중급, 하급, 불량의 4등급으로 나눈다. 이때 기준이 되는 평가항목에는 유효수분량, 공극률, 투수성, 토양경도 등의 물리적 특성과 토양 산도(pH), 전질소량, 유기물함량 등의 화학적 특성이 포함된다. 불량 등급의 토양은 수목식재지로 사용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식재지에는 하급이상의 토양평가등급을 적용하고, 식물의 생육환경이 열악한 매립지나 인공지반 위에 조성되는 식재기반이나 답압의 피해가 우려되는 곳은 중급이상의 토양평가등급을 적용한다. 또, 고품질의 조경용 식물을 식재하는 곳이나 조경용 식물의 건전한 생육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상급의 토양평가등급을 적용하여 식재지를 조성해야 한다.
토양 견밀도(consistance)란 토양수분 상태에 대한 물리적 성질을 말하는 것으로 토층의 딱딱한 정도와 치밀도를 말한다. 토양의 견밀도는 식물의 뿌리 자람과 배수, 통기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견밀도가 일정 범위 이상 높아지면 식물이 생장하기 어려워진다. 견밀도 상승은 주로 답압 피해로 나타나며, 이밖에 다른 원인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답압(踏壓)이란 사람이 지면 또는 풀밭을 밟을 때 생기는 식물들의 손상을 말하는 것으로, 등산로나 산책로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지역에서는 답압에 의한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도시 공원 및 녹지공간과 같이 방문객들의 통행이 잦은 지역에서는 답압에 의한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도시 숲의 경관은 물론 건강함을 해치는 사례가 잦다. 답압에 의해 피해를 입으면 토양의 견밀도가 상승하여 식물의 생장이 어렵고 수목의 세근이 발달하기 어려우며, 또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종래 이러한 답압에 의한 피해를 개선하기 위해, 주로 길을 일정기간 폐쇄하여 휴식기를 갖거나, 경운작업으로 흙을 파서 섞어줌으로써 다져진 흙을 부드럽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길을 폐쇄할 경우 이용제한에 따른 불편과 불만이 초래되고 경운작업만으로는 답압 피해를 개선하기에 부족하였다.
우드칩(Wood Chip)은 건축용 목재로 사용하지 못하는 뿌리와 가지, 기타 임목 폐기물을 분리해낸 뒤 연소하기 쉬운 칩 형태로 잘게 만든 것이다. 우드칩은 종래 여러 용도 중의 하나로 토양 표면을 피복하는 멀칭(mulching)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우드칩으로 지표면을 피복하여 토양의 노출을 막으면 잡초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미관상의 효과도 있으므로, 주로 공원이나 가로수 등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 이전에 우드칩을 불량토양의 개선 및 예방에 관련하여 이용한 사례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10523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1704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087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7863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량토양의 개선 및 불량토양 예방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완충토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답압에 의한 피해를 입은 견밀도 등이 불량한 토양의 복원 및 개선, 답압피해의 예방 및 개선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완충토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불량토양"은 조경설계기준 상 '수목식재지의 토양평가등급'에 따른 불량 등급의 토양은 물론, 답압피해를 입은 토양,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토양 등급의 개선이 필요한 토양, 목적하는 수목의 식재가 어려운 토양, 식물의 건전한 생육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토양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불량토양을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에 우드칩, 핀칩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토양개량제와 토양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량토양 개선 또는 불량토양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되는 어느 하나의 층 위에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우드칩, 핀칩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서 크기 5× 5㎝ 이하, 두께 2㎝ 이하인 것과 토양이 차례로 각각 1~5개 층 적층되어 이루어진, 답압피해지의 개선 또는 답압피해의 예방을 위한 완충토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완충토양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되는 어느 하나의 층 위에 살포된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우드칩 또는 핀칩을 토양개량제로 사용하여 견밀도가 불량한 지역의 토양층 사이사이에 넣어줌으로써 토양 견밀도를 즉각적으로 개선하고, 답압피해지에서 답압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적정한 견밀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시공 시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완충효과로 등산객이나 산책객의 무릎 및 관절 등의 충격을 줄여주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식물의 근부 발달이 용이한 토심에서 층을 구성하여 층별로 우드칩 또는 핀칩을 깔아줌으로써 식물의 근부, 특히 세근의 발달이 용이하도록 토양의 견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토양개량제나 토양에 살포해 줄 경우 유용미생물에 의한 토양 내 미세공극 발달로 토양 견밀도가 더욱 개선되며, 우드칩 분해 및 아미노산 혈분액제에 의한 토양 영양조건 개선, 산성토양의 pH 개선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도 1은 기상연보에 따른 1971년부터 2000년까지의 대전광역시의 기후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토양개량제인 우드칩과 핀칩의 함수율을 조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인 우드칩과 핀칩을 토양 사이에 살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구를 배치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구를 조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인 우드칩과 핀칩 위에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살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험 대상지의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단면을 조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험 대상지의 토양의 견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토양 개량을 위한 토양개량제로 토양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유기질 재료인 우드칩(Wood Chip)이나 핀칩(Pin Chip)을 사용한다.
우드칩은 건축용 목재로 사용하지 못하는 수목의 뿌리와 가지, 기타 임목 폐기물을 분리해낸 뒤 칩 형태로 잘게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우드칩은 기존 제품을 이용하거나 나무나 폐목재 등을 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핀칩은 우드칩에 비해 크기가 작은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는 크기 5× 5㎝ 이하, 두께 2㎝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크기 4× 4㎝ 이하, 두께 1㎝ 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우드칩과 핀칩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량토양을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에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와 토양을 교대로 적층한다. 상기 불량토양은 특히 답압피해지 또는 수목식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답압피해지"는 답압에 의해 견밀도가 불량해진 토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수목식재지"는 수목을 신규로 식재할 예정지와 수목을 식재하고 있는 조성지역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토양개량제와 교대로 적층되는 토양으로는 제거된 기존토양을 통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이나 부식토 등을 배합한 혼합 토양, 인공토양 등 개량지의 목적에 부합하는 모든 토양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조경설계기준 상 '수목식재지의 토양평가등급'에 따른 불량등급 토양의 경우 식재기준에 적합한 토양을 이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땅을 파서 불량토양을 제거하는데, 등산로나 산책로의 경우 이용객에 의한 답압의 피해가 주로 지표면으로부터 0~20㎝ 깊이의 지표층에서 발생하므로, 수목의 근부 주변지역을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깊이로 땅을 파는 것이 좋다. 수목을 식재하고자 하는 경우는 수목의 근부 발달이 주로 지표면으로부터 10~30㎝에서 이루어지므로, 수목의 근부 주변지역을 좀 더 깊게 30㎝ 이상의 깊이로 땅을 파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견밀도 불량지의 땅을 판 후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와 토양을 번갈아 가며 층층이 쌓는데, 바람직하게는 토양개량제와 토양이 각각 1~5개 층으로 교대로 적층되도록 한다. 수목식재지의 경우 수목의 근부 발달을 고려할 때 더욱 바람하게는 토양개량제와 토양을 각각 3개 층 정도로 교대로 적층하면 세근발달이 용이하도록 토양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양 또는 토양개량제 위에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처리한다. 아미노산 혈분액제는 원액기준으로 1.2~120㎖/㎡로 토양에 살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 혈분액제는 100~1,000배로 희석하여 처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배로 희석하는 것이 좋다. 아미노산 혈분액제로 바람직하게는, 생혈분에서 추출한 고순도, 고농축 아미노산과 미네랄을 함유한 액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미노산 혈분액제로 농촌진흥청에 유기농업자재로 등록된 아미노산 혈분액제 "냉해박사™"((주)바이오넬)(농촌진흥청 유기농업자재 공시번호 : 공시-2-1-138)를 사용하였다.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토양개량제나 토양에 처리하여 함께 사용할 경우, 아미노산 혈분액제에 의해 활발해진 토양 내 유용미생물에 의해 토양 내 유용미생물이 토양 내 미세공극을 발달시켜 토양의 견밀도를 개선시키며, 우드칩 분해 촉진 및 아미노산 혈분액제 자체의 영양효과로 토양의 영양조건이 개선되어 식물의 생육환경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또한, 아미노산 혈분액제의 사용으로 토양개량제인 우드칩이나 핀칩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암모니아가스 등의 기타 유해물질 발생을 완화시킬 수 있고, 산성비 등으로 인하여 낮아진 토양의 산도(pH)를 교정할 수 있다. 본래 아미노산 혈분액제는 과수, 채소류, 화훼류 등의 생육 촉진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지만 20여종의 아미노산 성분이 산성토양의 산도(pH)를 교정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 실시예 ]
< 실시예 1>
1. 대상지의 선정
본 발명의 대상지는 대전광역시에서 면적이 최소 100,000㎡ 이상이고 자연 상태의 도시숲에 조성된 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결과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두루봉 공원과 성두산 공원이 선정되었다.
연구를 실시한 대전광역시의 1971∼2000년까지 30년간 평균기온은 12.3℃이며, 평균 강수량은 1,353.8㎜로 여름철에 집중된다. 대전광역시의 기후표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두루봉 공원은 1990년 7월에 준공되었고 해발고는 99.1m, 면적은 105,972.8㎡이다. 주요시설물은 노은도서관, 관리사무소, 및 기타 운동기구로 구성되어 있어 인근 주민들의 이용이 비교적 많은 곳이다. 반면, 성두산 공원은 1989년 2월에 공원으로 지정하였고 해발고는 80.0m, 면적은 190,991.5㎡이다. 주요시설물은 휴게소 3개소, 화장실 2개소, 및 기타 운동기구로 구성되어 있지만, 두루봉 공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주민들의 이용이 비교적 적은 곳이다.
본 발명의 실험 대상지로 선정된 두루봉 공원과 성두산 공원의 해발고와 GPS 좌표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연구대상지 해발고(m) GPS 좌표
두루봉 공원 99.1m
E 127° 19′ 20″
N 36° 22′ 40″
성두산 공원
80.0m
E 127° 22′ 11″
N 36° 22′ 20″
2. 재료의 기초 특성 조사
(1) 우드칩과 핀칩의 기초 특성 조사
토양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토양에 피해를 주지 않는 유기질 재료인 우드칩과 핀칩을 재료로 선정하였다. 우드칩은 건축용 목재로 사용하지 못하는 수목의 뿌리와 가지, 기타 임목 폐기물을 분리해낸 뒤 칩 형태로 잘게 만들어진 재료이며, 핀칩은 동일한 원료로 만들어지지만 우드칩에 비하여 크기가 작은 것이다.
우드칩과 핀칩의 함수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우드칩과 핀칩 각 10g에 물 20㎖를 처리하고 2시간이 경과한 후 중량을 측정하였다. 함수율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우드칩과 핀칩의 함수율을 3회 실험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우드칩과 핀칩의 함수율(%)
처리 중량(g) 함수율(%)

우드칩 + 물 20㎖

10 12.7 21.3
10 13.6 26.5
10 13.3 24.8
평균 13.2 24.2

핀칩 + 물 20㎖

10 13.0 23.1
10 13.3 24.8
10 13.1 23.7
평균 13.1 23.9
우드칩의 경우, 물을 처리하고 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중량이 평균 13.2g으로 함수율이 24.2%에 달하였고, 핀칩의 경우에도, 중량이 평균 13.1g으로 함수율이 23.9%였다. 따라서 우드칩과 핀칩이 토양 내에서 수분을 흡수한 뒤 형태를 유지하여 물리적 공극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되었다.
(2) 친환경 아미노산 혈분액제
농촌진흥청에 유기농업자재로 등록된 (주)바이오넬의 냉해박사™ 아미노산 혈분액제(LFcAA)를 사용하였다. 냉해박사™는 생혈분에서 추출한 고순도, 고농축 아미노산을 함유한 원액으로 아미노산과 미네랄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기초과학연구원 생체고분자팀에 의뢰하여 분석한 냉해박사™의 분석결과, 필수아미노산이 각각 16.39g/ℓ, 총 아미노산이 41.71g/ℓ 포함되어 있었다.
3. 실험구의 설정
본 실험구는 우드칩과 핀칩이 이용객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의 분산 및 흡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구 별로 우드칩과 핀칩의 양을 3등분하여 층위(Layer)를 구분하였다. 실험에 사용될 우드칩과 핀칩의 배합비율은 William(2008)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였다.
실험구의 토심은 박관수 등(2004)과 허운영(2011)이 보고한 토심 0∼30㎝ 깊이에서 대부분의 세근이 발달한다는 내용을 근거로 0∼10㎝, 10∼20㎝, 그리고 20∼30㎝ 깊이로 구분하였으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C), 단순 경운작업만을 실시한 경운작업구, 우드칩을 이용한 처리구 WC-1, WC-2 및 WC-3, 핀칩을 이용한 처리구 PC-1, PC-2 및 PC-3의 총 8개로 구분하여 설치하였다. 각각의 배합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구 경운작업구 WC-1 WC-2 WC-3 PC-1 PC-2 PC-3
배합량
(kg/0.2㎥)
- - 3.84 5.76 7.68 3.84 5.76 7.68
각 처리구의 규격은 1.0m× 1.0m× 0.3m로, 2곳의 대상지에 3회 반복하여 총 48개를 설치하였다. 각 실험구를 배치한 방법을 도 4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구는 처리구를 30㎝ 깊이로 파고 우드칩 또는 핀칩과 토양을 교대로 각 3회 적층하여 조성하였으며, 실험구를 조성하는 과정을 도 5에 나타내었다.
4. 친환경 아미노산 혈분액제 살포
토양의 산도 교정 등을 위하여 유기농업자재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살포하였다.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500배 희석하여 토양개량제층 위에 희석액 6ℓ/1㎡(처리구)를 고루 살포하였다. 혈분액제의 살포과정을 도 6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
1. 토양 시료채취 방법
실험 대상지 토양의 화학적 분석을 위한 토양 샘플은 2013년 8월 29일에 실험 실시 예정 장소에서 각각 0∼10㎝, 10∼20㎝, 그리고 20∼30㎝의 토양 깊이로 각 3개씩 샘플을 채취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양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2013년 10월 7일에 각각의 처리구에서 토심 10∼20㎝ 깊이에서 분석용 토양시료를 채취하였다.
두루봉 공원의 경우, 숲길 주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숲길에서 수목식재지역의 수직방향으로 10m와 20m 지점에서 0∼10㎝, 10∼20㎝ 및 20∼30㎝ 깊이에서 토양 샘플을 채취하여 숲길과의 거리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특성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과정을 도 7에 나타내었다.
분석용 토양샘플의 채취는 삽을 이용하여 토양 단면을 조사한 후, 휴대용 토양 샘플러를 활용하여 10㎝ 깊이로 샘플링을 실시하였다. 채취한 샘플은 지퍼백에 밀폐시킨 후 아이스박스로 실험실까지 운반하여 넓게 펴서 음지에서 자연건조를 시킨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2. 토양의 물리적 특성 분석
토양의 물리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삽을 이용하여 토양 단면을 조사하였다. 토양 단면에 스틸자를 활용하여 0~10㎝, 10~20㎝, 20~30㎝로 구분을 한 후 토양경도계(Pocket Penetrometer CL-700A, ELE)를 활용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심별 견밀도를 측정하였다. 토양의 경도는 토양에서 뿌리 신장이 용이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측정치이다.
3. 토양의 화학적 특성 분석
토양의 화학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채취한 샘플을 음지에서 자연 건조시킨 후 2.0mm 체로 쳐서 분석용 시료로 이용하였다.
토양의 pH 분석은 1:5법, 토양 유기물 분석은 Tyurin법, 전질소 함량 분석은 Kjeldahl법, 유요인산 분석은 Lancaster법, 치환성 양이온(K, Ca, Mg) 함량(cmol+/kg)은 ICP를 이용하였다.
< 실험예 1>
1. 두루봉 공원 숲길 주변 토양의 개량 전 물리적 특성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로 개량하기 전 두루봉 공원의 숲길과 주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인 토양 견밀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개량 전 두루봉 공원 숲길의 거리에 따른 토양 견밀도 ( kg /㎠)
거리
토심
0m 10m 20m
(kg/㎠)

토양깊이(㎝)
0~10 4.5±0.0a 0.5±0.0f 0.5±0.0f
10~20 3.4±0.4b 2.1±0.2de 1.8±0.3e
20~30 2.7±0.3c 2.5±0.0cd 2.3±0.3cd
숲길 중심부의 0∼10㎝ 깊이에서 토양 견밀도는 4.5kg/㎠로 토양의 답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숲길에서 10m와 20m가 떨어진 지점의 0~10㎝ 깊이에서는 평균 0.5kg/㎠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토양 견밀도가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조사지역의 숲길 중심부의 지표층 토양에서는 이용객에 의한 답압의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숲길에서 10m 떨어진 지점과 20m 떨어진 지점의 경우 토심이 깊어질수록 토양 견밀도의 평균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숲길 중심부의 경우 표층의 견밀도가 가장 높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토양 견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모든 조사구에서 20∼30㎝ 깊이에서는 토양 견밀도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용객에 의한 답압의 피해는 주로 0∼20㎝ 깊이의 지표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두루봉 공원 숲길 주변 토양의 개량 전 화학적 특성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로 개량하기 전 숲길 중심부와 숲길에서 수직으로 10m, 20m 간격으로 떨어진 지점의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개량 전 두루봉 공원 숲길 주변 토양의 화학적 특성
거리
(m)
토심
(㎝)
pH
(1:5, w/w)
유기물
(%)
전질소
(%)
유효인산
(mg/kg)
치환성 양이온
(cmol+/kg)

CEC
(cmol+/kg)
K Ca Mg

0
0∼10 4.62 1.0 0.03 291.3 0.13 0.25 0.03 4.9
10∼20 4.58 0.9 0.04 160.2 0.09 0.16 0.01 5.0
20∼30 4.67 0.6 0.04 35.2 0.07 0.17 0.01 5.3

10
0∼10 4.41 1.3 0.05 290.4 0.57 0.57 0.12 6.9
10∼20 4.54 1.0 0.04 314.4 0.18 0.47 0.09 5.1
20∼30 4.36 1.1 0.05 416.7 0.26 0.32 0.06 5.7

20
0∼10 4.48 1.3 0.05 338.1 0.12 0.82 0.13 7.7
10∼20 4.69 1.2 0.06 521.7 0.17 0.96 0.16 6.0
20∼30 4.63 1.1 0.06 559.2 0.10 0.66 0.06 5.2
숲길 중심부 토양의 평균 pH는 0∼10㎝ 깊이에서 4.62, 10∼20㎝ 깊이에서 4.58, 20∼30㎝ 깊이에서 4.67로 나타났으며, 토양 pH가 다소 낮은 산성화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루봉 공원이 도심지역에 위치한 지리적 영향으로 산성강우 등의 외부 교란의 영향 때문으로 생각된다. 숲길에서 10m와 20m 거리에 위치한 지점의 토양 pH는 모든 토심의 중심부에서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성강우와 유기물이 부식되며 발생하는 유기산의 영향이 더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토양 내 유기물은 전질소의 대부분을 공급한다고 알려져 있으며(Miller and Donahue, 1990),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은 대부분 낙엽·낙지·동물의 사체 등에서 공급된다. 본 조사지역의 중심부의 토심별 유기물 함량은 각각 1.0%, 0.9%, 및 0.6%로 나타났고, 전질소 함량은 0.03%, 0.04%, 및 0.04%로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경우 도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표가 노출되어 있고 낙엽·낙지 등의 유기물 공급원이 제거되어 충분한 양의 양분이 토양으로 공급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숲길에서 10m와 20m 거리에 위치한 지점의 토심별 유기물 함량과 전질소 함량은 숲길 중심부에 비하여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언급한 유기물의 공급원인 낙엽·낙지·동물의 사체 등이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토양 내 유효인산의 함량은 유기물이 50∼60%를 공급한다고 알려졌으며, 정진현 등(2002)은 토양의 pH가 낮아질 경우 인산의 난용성화로 인하여 유효인산의 함량이 낮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숲길 중심부 토양 내 유효인산의 함량은 0∼10㎝ 깊이에서 291.3mg/kg, 10∼20㎝ 깊이에서 160.2mg/kg, 20∼30㎝ 깊이에서 35.2mg/kg으로 유기물 함량에 비하여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다. 숲길에서 10m와 20m 거리에 위치한 지점의 토심별 유효인산의 함량 역시 유기물 함량에 비하여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시비 처리 등의 외부 교란 요인에 의한 변이라고 판단된다.
숲길 중심부 토양의 토심별 치환성 K는 0∼10㎝ 깊이에서 0.13cmol+/kg, 10∼20㎝ 깊이에서 0.25cmol+/kg, 20∼30㎝ 깊이에서 0.03cmol+/kg로 나타났고, 치환성 Ca는 0∼10㎝ 깊이에서 0.25cmol+/kg, 10∼20㎝ 깊이에서 0.16cmol+/kg, 20∼30㎝ 깊이에서 0.17cmol+/kg로 나타났으며, 치환성 Mg는 0∼10㎝ 깊이에서 0.03cmol+/kg, 10∼20㎝ 깊이에서 0.01cmol+/kg, 20∼30㎝ 깊이에서 0.01cmol+/kg로 나타났다. 숲길에서 10m와 20m 거리에 위치한 지점의 치환성 양이온은 숲길 중심부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심부에 비하여 유기물 함량이 다소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정진현 등(2002)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경우 A층의 평균값을 치환성 K는 0.23cmol+/kg, 치환성 Ca는 2.44cmol+/kg, 치환성 Mg는 1.01cmol+/kg이라고 보고하였다. 이에 비하여 두루봉 공원의 숲길과 주변 토양의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조사지역의 경우 토양 산성화로 인한 치환성 양이온의 용탈이 상당 부분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은 치환성 양이온 총량의 30∼70%를 공급하며, 이들의 부식과 점토가 양료의 흡착을 위한 양이온치환 입지를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Miller and Donahue, 1990). 두루봉 공원 숲길 중심부 토양의 양이온 치환용량은 0∼10㎝ 깊이에서 4.9cmol+/kg, 10∼20㎝ 깊이에서 5.0cmol+/kg, 20∼30㎝ 깊이에서 5.3cmol+/kg로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길에서 10m와 20m 거리에 위치한 지점의 양이온 치환용량은 숲길 중심부에 비하여 약 1.0∼2.0 정도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산림토양 A층의 평균값인 12.5cmol+/kg 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이 적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 두루봉 공원 숲길 토양의 개량 과정의 토양 견밀도 변화
(1) 토심 0~10 깊이의 토양 견밀도의 변화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를 설치한 후 토심 0~10㎝ 깊이의 토양 견밀도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 토심 0~10 깊이의 토양 견밀도 ( kg /㎠)
구분
기간
대조구 경운작업 WC-1 WC-2 WC-3 PC-1 PC-2 PC-3
2주 4.5↑ 3.2
±0.15a
2.7
±0.25b
2.6
±0.25b
2.7
±0.21b
2.7
±0.17b
2.6
±0.12b
2.6
±0.10b
4주 4.5↑ 3.7
±0.15a
2.7
±0.15b
2.7
±0.06b
2.6
±0.12b
2.7
±0.20b
2.6
±0.15b
2.5
±12b
6주 4.5↑ 4.0
±0.10a
3.2
±0.17b
3.2
±0.17b
3.3
±0.21b
3.3
±0.26b
3.2
±0.17b
3.3
±0.06b
실험 후 2주가 경과한 무처리구 견밀도는 평균 4.5㎏/㎠ 이상으로 토양의 답압이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순 경운작업만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평균 견밀도가 3.2㎏/㎠으로 토양 답압 개선에 있어 단순 경운 작업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우드칩과 핀칩을 혼합한 처리구에서는 평균 2.6∼2.7㎏/㎠의 범위로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 보다 약 1.0㎏/㎠ 정도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 후 4주가 경과한 무처리구의 경우 평균 견밀도가 4.5㎏/㎠으로 조사되었다. 단순 경운작업만 실시한 처리구의 평균 견밀도는 3.7㎏/㎠, 우드칩과 핀칩을 혼합한 나머지 처리구의 평균 견밀도는 2.7∼2.9㎏/㎠의 범위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 후 6주가 경과한 후에도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 토양의 평균 견밀도(4.0㎏/㎠)에 비하여 우드칩과 핀칩을 혼합한 모든 처리구 토양의 평균 견밀도(3.2∼3.3㎏/㎠)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토심 10~20 깊이의 토양 견밀도의 변화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를 설치한 후 토심 10~20㎝ 깊이의 토양 견밀도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 토심 10~20 깊이의 토양 견밀도 ( kg /㎠)
구분
기간
대조구 경운작업 WC-1 WC-2 WC-3 PC-1 PC-2 PC-3
2주 3.4
±0.4a
2.1
±0.06b
1.7
±0.36b
1.5
±0.21b
1.8
±0.32b
1.6
±0.21b
1.6
±0.10b
1.8
±0.25b
4주 3.4
±0.4a
2.5
±0.15b
1.9
±0.15c
1.7
±0.20c
1.8
±0.15c
1.8
±0.15c
1.8
±0.20c
1.9
±0.06c
6주 3.4
±0.4a
2.8
±0.15b
2.4
±0.10c
2.4
±0.12c
2.2
±0.22c
2.3
±0.15c
2.2
±0.15c
2.2
±0.15c
토심 10∼20㎝ 깊이에서 실험 후 2주가 경과한 무처리구의 견밀도는 3.4kg/㎠으로 토양의 답압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순 경운작업만 실시한 처리구의 평균 견밀도는 2.1㎏/㎠, 우드칩과 핀칩을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1.5∼1.8㎏/㎠의 범위로 모든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 후 4주와 6주가 경과한 후에는 단순 경운작업만 실시한 처리구에서 각각 2.5㎏/㎠와 2.8㎏/㎠로 우드칩과 핀칩 처리구에 비하여 다소 높은 값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단순 경운 작업 후에도 토양 답압의 개선 효과가 있지만 우드칩과 핀칩의 토양 개량제를 첨가한 것보다 그 효과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3) 토심 20~30 깊이의 토양 견밀도의 변화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를 설치한 후 토심 20~30㎝ 깊이의 토양 견밀도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 토심 20~30 깊이의 토양 견밀도 ( kg /㎠)
구분
기간
대조구 경운작업 WC-1 WC-2 WC-3 PC-1 PC-2 PC-3
2주 2.6±0.2a 1.4
±0.06b
1.0±0.06c 1.0±0.21c 1.0±0.12c 1.0±0.15c 1.0±0.20c 1.1±0.06c
4주 2.6±0.2a 1.8
±0.06b
1.0
±0.06c
1.0±0.23c 1.1±0.06c 1.1±0.12c 1.1±02.5c 1.2±0.06c
6주 2.6±0.2a 2.0
±0.06b
1.6±0.21c 1.6±0.12c 1.4±0.10c 1.3±0.15c 1.2±0.20c 1.3±0.06c
토심 20∼30㎝ 깊이에서 실험 후 2주가 경과한 무처리구의 토양 견밀도는 평균 2.6kg/㎠으로 나타났다. 단순 경운작업만 실시한 처리구의 평균 견밀도는 1.4㎏/㎠, 우드칩과 핀칩을 처리한 모든 처리구에서는 1.0∼1.1㎏/㎠의 범위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후 4주와 6주가 지난 후에도 각각의 처리구의 토양 견밀도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우드칩과 핀칩을 처리한 처리구의 견밀도가 대조구와 경운작업 처리구에 비하여 평균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토양 개량제로 혼합된 우드칩과 핀칩이 이용객 등의 답압 요인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켰다고 판단된다.
4. 두루봉 공원 숲길 토양의 개량 시험 후 화학적 특성
숲길 토양의 개량 시험 후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0∼20㎝ 깊이의 토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두루봉 공원 숲길 토양의 개량 시험 후 화학적 특성
구분 pH
(1:5, w/w)
유기물
(%)
전질소
(%)
유효인산
(mg/kg)
치환성 양이온
(cmol+/kg)

CEC
(cmol+/kg)
K Ca Mg
대조구 4.58 0.9 0.04 160.2 0.09 0.16 0.01 5.01
경운작업구 4.61 1.22 0.04 30.0 0.07 0.27 0.03 3.94
WC-1 4.72 1.05 0.04 03.1 0.10 0.20 0.03 3.08
WC-2 4.48 1.58 0.06 41.8 0.11 0.37 0.06 5.31
WC-3 4.88 0.90 0.04 64.8 0.12 0.21 0.03 3.25
PC-1 4.87 0.87 0.05 58.9 0.10 0.29 0.04 4.65
PC-2 4.94 1.11 0.08 19.6 0.13 0.37 0.05 5.25
PC-3 4.98 0.91 0.04 36.5 0.18 0.39 0.06 4.25
토양의 pH는 대조구와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에서 각각 4.58과 4.61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친환경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처리한 우드칩과 핀칩 처리구의 경우 WC-2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4.72∼4.98의 범위로 토양 pH가 상승하는 효과를 얻었다.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 CEC는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평균값을 보였다.
< 실험예 2>
1. 성두산 공원 숲길 주변 토양의 개량 전 물리적 특성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로 개량하기 전 성두산 공원의 숲길과 주변 토양의 견밀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개량 전 성두산 공원 숲길의 거리에 따른 토양 견밀도 ( kg /㎠)
거리(m)
토심(㎝)
0 10 20
(kg/㎠)
0∼10 4.5±0.0a 1.6±0.2ef 1.2±0.3f
10∼20 3.5±0.4b 2.0±0.0de 1.9±0.2de
20∼30 2.6±0.2c 2.3±0.3cd 2.1±0.2d
숲길 중심부의 0∼10㎝ 깊이에서 토양 견밀도는 4.5kg/㎠로 토양의 답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숲길에서 10m 지점과 20m 지점에서는 각각 평균 1.6kg/㎠, 1.2kg/㎠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토양 견밀도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숲길 중심부와 10m 지점과 20m 지점의 0∼10㎝ 깊이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m 지점과 20m 지점의 경우 토심이 깊어질수록 토양 견밀도의 평균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숲길 중심부에서는 표층의 견밀도가 가장 높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토양 견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모든 처리구의 20∼30㎝ 깊이의 토양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답압의 피해가 지표층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었다.
2. 성두산 공원 숲길 주변 토양의 개량 전 화학적 특성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로 개량하기 전 숲길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0∼20㎝ 깊이의 토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성두산 공원 숲길 토양의 개량 시험 전 화학적 특성
pH
(1:5,w/w)
유기물
(%)
전질소
(%)
유효인산
(mg/kg)
치환성 양이온
(cmol+/kg)
CEC
(cmol+/kg)
K Ca Mg
4.68 1.2 0.04 15 0.07 0.12 0.04 3.71
토양의 평균 pH는 4.68로 나타났다. 이는 성두산공원이 도심지역에 위치하여 산성강우 등의 외부 교란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토양 내 유기물은 전질소의 대부분을 공급한다고 알려져 있으며(Miller and Donahue, 1990), 토양 내 유기물 함량은 대부분 낙엽·낙지·동물의 사체 등에서 공급된다. 본 조사지역의 유기물 함량은 1.2%로 나타났고 전질소 함량은 0.04%로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낙엽·낙지 등의 유기물원이 제거되어 충분한 양의 양분이 토양으로 공급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토양 내 유효인산의 함량은 유기물이 50∼60%를 공급한다고 알려졌으며, 정진현 등(2002)은 토양의 pH가 낮아질 경우 인산의 난용성화에 기인하여 유효인산의 함량이 낮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본 조사지의 토양 내 유효인산의 함량은 15mg/kg으로 양분 부족이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환성 K는 0.07cmol+/kg, 치환성 Ca는 0.12cmol+/kg, 치환성 Mg는 0.04cmol+/kg로 나타났다. 정진현 등(2002)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경우 A층의 평균값을 치환성 K는 0.23cmol+/kg 치환성 Ca는 2.44cmol+/kg, 치환성 Mg는 1.01cmol+/kg이라고 보고하여, 두루봉 공원의 숲길 토양의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토양 산성화로 치환성 양이온의 용탈이 상당 부분 진행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기물은 치환성 양이온 총량의 30∼70%를 공급하며, 이들의 부식과 점토가 양료의 흡착을 위한 양이온치환 입지를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Miller and Donahue, 1990). 두루봉 공원 숲길 토양의 양이온 치환용량은 3.71cmol+/kg로 우리나라 산림토양 A층의 평균인 12.5cmol+/kg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성두산 공원 숲길 토양의 개량 시험에 따른 토양 견밀도 변화
(1) 토심 0~10 깊이의 토양 견밀도의 변화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를 설치한 후 토심 0~10㎝ 깊이의 토양 견밀도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 토심 0~10 깊이의 토양 견밀도 ( kg /㎠)
구분
기간
대조구 경운작업 WC-1 WC-2 WC-3 PC-1 PC-2 PC-3
2주 4.5↑ 3.3
±0.12a
3.2±0.06a 3.1±0.06a 3.1±0.00a 3.2±0.15a 3.1±0.12a 3.1±0.12a
4주 4.5↑ 3.6
±0.10a
2.6±0.06b 2.5±0.10b 2.4±0.10b 2.5±0.06b 2.5±0.10b 2.4±0.06b
6주 4.5↑ 3.8
±0.06
3.1±0.10b 3.3±0.06b 3.1±0.10b 3.2±0.06b 3.2±0.10b 3.1±0.06b
실험 후 2주가 경과한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의 경우 평균 견밀도가 3.2㎏/㎠로 일반 토양의 견밀도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드칩과 핀칩을 혼합한 처리구에서는 평균 3.1∼3.2㎏/㎠의 범위로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와 약 0.1㎏/㎠ 정도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앞서 언급한 숲길 토양의 견밀도 4.5㎏/㎠에 보다는 다소 낮아 토양 답압 개선에 있어 단순 경운 작업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 후 4주가 경과한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의 평균 견밀도는 3.6㎏/㎠, 우드칩과 핀칩을 혼합한 나머지 처리구의 평균 견밀도는 2.4∼2.6㎏/㎠의 범위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 후 6주가 경과한 후에도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 토양의 평균 견밀도(3.8㎏/㎠)에 비하여 우드칩과 핀칩을 혼합한 모든 처리구 토양의 평균 견밀도(3.1∼3.3㎏/㎠)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는 답압 토양 개선을 위한 우드칩과 핀칩의 처리가 완충 작용 효과를 보여 숲길 이용객의 답압에 의한 피해를 일정 부분 흡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2) 토심 10~20 깊이의 토양 견밀도의 변화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를 설치한 후 토심 0~10㎝ 깊이의 토양 견밀도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 토심 10~20 깊이의 토양 견밀도 ( kg /㎠)
구분
기간
대조구 경운작업 WC-1 WC-2 WC-3 PC-1 PC-2 PC-3
2주 3.5±0.4b 2.0±0.12a 1.7±0.10b 1.6±0.25b 1.6±0.15b 1.7±0.15b 1.5±0.15b 1.6±0.15b
4주 3.5±0.4b 2.4±0.21a 1.6±0.15b 1.5±0.21b 1.5±0.15b 1.5±0.10b 1.5±0.06b 1.4±0.06b
6주 3.5±0.4b 2.6±0.06a 2.1±0.06b 2.1±0.12b 2.0±0.06b 2.1±0.10b 2.2±0.10b 2.0±0.10b
토심 10∼20㎝ 깊이에서 실험 후 2주가 경과한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 토양의 평균 견밀도는 2.0㎏/㎠, 우드칩과 핀칩을 처리한 모든 처리구에서는 1.5∼1.7㎏/㎠의 범위로 모든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후 4주, 6주가 경과한 후에는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에서 각각 2.4㎏/㎠와 2.6㎏/㎠로 우드칩과 핀칩을 처리한 처리구에 비하여 평균값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3) 토심 20~30 깊이의 토양 견밀도의 변화
본 발명의 토양개량제를 설치한 후 토심 0~10㎝ 깊이의 토양 견밀도 변화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 토심 20~30 깊이의 토양 견밀도 ( kg /㎠)
구분
기간
대조구 경운작업 WC-1 WC-2 WC-3 PC-1 PC-2 PC-3
2주 2.6±0.2c 1.3±0.16a 1.0±0.06b 0.9±0.15b 0.9±0.12b 1.0±0.10b 0.9±0.12b 1.0±0.06b
4주 2.6±0.2c 1.6±0.17a 1.0±0.00b 0.8±0.06b 0.9±0.12b 0.9±0.10b 1.0±0.12b 0.9±0.06b
6주 2.6±0.2c 1.9±0.12a 1.5±0.15b 1.6±0.00b 1.5±0.06b 1.5±0.15b 1.5±0.10b 1.4±0.23b
토심 20∼30㎝ 깊이에서 실험 후 2주가 경과한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 토양의 평균 견밀도는 1.3㎏/㎠, 우드칩과 핀칩을 처리한 모든 처리구에서는 0.9∼1.0㎏/㎠의 범위로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후 4주와 6주가 지난 후에도 모든 처리구의 토양 견밀도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가 우드칩과 핀칩을 처리한 나머지 처리구에 비하여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4. 성두산 공원 숲길 토양의 개량 시험 후 화학적 특성
숲길 토양의 개량 시험 후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0∼20㎝ 깊이의 토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성두산 공원 숲길 토양의 개량 시험 후 화학적 특성
구분 pH
(1:5, w/w)
유기물
(%)
전질소
(%)
유효인산
(mg/kg)
치환성 양이온
(cmol+/kg)

CEC
(cmol+/kg)
K Ca Mg
대조구 4.68 1.20 0.04 15 0.07 0.12 0.04 3.71
경운작업구 4.77 0.86 0.03 18 0.09 0.25 0.05 3.95
WC-1 4.70 1.22 0.04 20 0.10 0.45 0.10 6.95
WC-2 4.98 0.86 0.04 17 0.09 0.45 0.10 4.66
WC-3 4.98 0.71 0.04 16 0.09 0.36 0.06 3.86
PC-1 4.94 1.21 0.04 11 0.08 0.35 0.05 5.22
PC-2 5.04 1.41 0.04 13 0.09 0.32 0.05 5.01
PC-3 5.06 1.43 0.04 15 0.14 0.24 0.03 4.67
토양의 pH는 대조구와 단순 경운작업 처리구에서 각각 4.68과 4.77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친환경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처리한 우드칩과 핀칩 처리구의 경우 WC-1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4.94∼5.06의 범위로 토양 pH가 상승하는 효과를 얻었다.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야이온, CEC는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평균값을 보였다.

Claims (10)

  1. 지표면으로부터 10㎝ 이상의 깊이로 토양을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에, 우드칩, 핀칩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서 크기 5× 5㎝ 이하, 두께 2㎝ 이하인 것과 토양을 교대로 각각 1~5개 층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답압피해지의 개선 또는 답압피해의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어느 하나의 층 위에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답압피해지의 개선 또는 답압피해의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칩, 핀칩 및 이들의 혼합물은 크기 4× 4㎝ 이하, 두께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압피해지의 개선 또는 답압피해의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20㎝ 이상의 깊이로 토양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압피해지의 개선 또는 답압피해의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
  5. 삭제
  6. 우드칩, 핀칩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서 크기 5× 5㎝ 이하, 두께 2㎝ 이하인 것과 토양이 차례로 각각 1~5개 층 적층되어 이루어진, 답압피해지의 개선 또는 답압피해의 예방을 위한 완충토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칩, 핀칩 및 이들의 혼합물은 크기 4× 4㎝ 이하, 두께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압피해지의 개선 또는 답압피해의 예방을 위한 완충토양.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어느 하나의 층 위에 살포된 아미노산 혈분액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압피해지의 개선 또는 답압피해의 예방을 위한 완충토양.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08137A 2014-01-23 2014-01-23 답압피해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완충토양 KR10144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137A KR101445633B1 (ko) 2014-01-23 2014-01-23 답압피해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완충토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137A KR101445633B1 (ko) 2014-01-23 2014-01-23 답압피해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완충토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633B1 true KR101445633B1 (ko) 2014-10-07

Family

ID=5199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137A KR101445633B1 (ko) 2014-01-23 2014-01-23 답압피해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완충토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509A (ko) * 2020-10-23 2022-05-03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드론을 활용한 훼손 표토 분석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740A (ja) * 2000-02-04 2001-08-07 Tokyu Constr Co Ltd 緑化基層用資材および緑化基層工法
KR100817043B1 (ko) 2007-10-12 2008-04-08 주식회사 에코탑 생태모델숲 조성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740A (ja) * 2000-02-04 2001-08-07 Tokyu Constr Co Ltd 緑化基層用資材および緑化基層工法
KR100817043B1 (ko) 2007-10-12 2008-04-08 주식회사 에코탑 생태모델숲 조성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509A (ko) * 2020-10-23 2022-05-03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드론을 활용한 훼손 표토 분석시스템
KR102438125B1 (ko) * 2020-10-23 2022-08-31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드론을 활용한 훼손 표토 분석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ssonnette et al. Phytoextraction of heavy metals by two Salicaceae clones in symbiosis wit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during the second year of a field trial
Watson et al. The management of tree root systems in urban and suburban settings: a review of soil influence on root growth.
Corti et al. Evaluation of erosion intensity and some of its consequences in vineyards from two hilly environments under a Mediterranean type of climate, Italy
Fernández-Ondoño et al. Afforestation improves soil fertility in south-eastern Spain
Yassoglou et al. The soils of Greece
Zdruli et al. Impacts of land cover change on soil quality of manmade soils cultivated with table grapes in the Apulia Region of south-eastern Italy
Frank et al. Short-term effects of liming and vitality fertilization on forest soil and nutrient leaching in a Scots pine ecosystem in Norway
Lozano-García et al. Land use change effects on soil organic carbon store. An opportunity to soils regeneration in Mediterranean areas: Implications in the 4p1000 notion
Thomas et al. Nutrient relations in healthy and damaged stands of mature oaks on clayey soils: two case studies in northwestern Germany
Jia et al. Effects of plant restoration on soil microbial biomass in an arid desert in northern China
Amponsah et al. Soil characteristics in teak plantations and natural forests in Ashanti region, Ghana
Uwingabire et al. Ped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oils developed on gneissic granites in the Congo Nile watershed divide and central plateau zones, Rwanda
Mishra et al. Soil rehabilitation through afforestation: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Prosopis juliflora, Dalbergia sissoo and Eucalyptus tereticornis plantations in a sodic environment
KR101445633B1 (ko) 답압피해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토양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완충토양
Wright et al. NITREX Project: Ecosystem response to chronic additions of nitrogen to a spruce-forested catchment at Gårdsjön, Sweden
Armolaitis et al. Renaturalization of Arenosols in the land afforested with Scots pine (Pinus sylvestris L.) and abandoned arable land.
Prameswari et al. Effects of biopore infiltration holes and cross drain on soil properties on skidding roads and natural production forest
Sierra et al. Chemical stabilization of organic carbon in agricultural soils in a semi-arid region (SE Spain)
Javidfar et al. Some ecological conditions of Amygdalus scoparia Spach in Nehbandan, eastern Iran
Blakemore et al. A study of the pattern of sulphur responses shown by dryland lucerne on some brown-grey earths
Nash A method of classifying shortleaf pine sites in Missouri
Darwish et al. An agropastoral system as a practice to enhance organic matter in Lebanese inland mountainous soils
Ubi et al. Effect of NPK fertilizer and interval management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coastal plain sands of Akpabuyo, Nigeria
Hua et al. Study on reclamation of saline-alkali land in Akto Plain Region in Xinjiang
Madolo et al. Effects of Selected Soil and Water Conservation Structures on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Lemo Woreda, Southern Ethiop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