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570B1 -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 Google Patents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570B1
KR101445570B1 KR1020140015086A KR20140015086A KR101445570B1 KR 101445570 B1 KR101445570 B1 KR 101445570B1 KR 1020140015086 A KR1020140015086 A KR 1020140015086A KR 20140015086 A KR20140015086 A KR 20140015086A KR 101445570 B1 KR101445570 B1 KR 10144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coupled
cabine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림
Original Assignee
(주)파워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엔텍 filed Critical (주)파워엔텍
Priority to KR102014001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 외관의 하부를 형성하며, 복수의 방진 스프링이 설치된 바텀 프레임과,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구조물의 설치면에 결합되는 앵커볼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앵커볼트 결합부재를 갖는 베이스부와, 외관의 상부를 형성하는 루프탑부와, 외관의 양측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외관의 전방 및 후방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강도 보강 수단을 갖는 한 쌍의 도어부와, 상기 베이스부, 루프탑부, 사이드 플레이트, 도어부에 결합되어 이들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바닥 쪽에 내진 및 방진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 발생 시에도 외력이나 진동이 내부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Cabinet for electric and tele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seismic and anti-vibr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진 및 방진 수단이 구비되어 상시 발생하는 기계진동과 지진 발생 시 진동 및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반(전력 회사로부터 전기를 인수받는 곳)이나 배전반(수전한 전기를 계통별 또는 용도별로 나누어 주는 곳), 분전반(부하별로 분기해 주는 곳) 등은 전력 회사가 공급하는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를 수전하여 이를 수용하는 곳에서 사용되는 전압으로 변환해 부하 설비로 배전하는 장치이다.
전술한 수전반, 배전반, 분전반(이하에서는 편의상 배전반으로 통칭하기로 함)은 칸막이 구조의 캐비닛에 수납되며, 캐비닛의 내부에는 고압 차단기, 변류기 등의 전력 기기와, 전력 계통의 보호 및 감시를 위한 계전기 등 각종 전기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배전반에는 전력 기기들을 연결하는 부스바(bus bar)와 전력 기기의 계측 및 감시를 위한 각종 배선이 구비된다.
그런데 배전반은 주로 건축물의 상층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배전반에 지진력이 매우 크게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4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은 별도의 내진이나 방진 설계가 미흡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진재해대책법에 따르면, 모든 공공건물 및 시설물에 대해 내진대책을 의무적으로 수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력, 원자력, 수처리, 항공, 철도 등의 공공성이 높은 분야에서 내진성에 대한 요구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산업용 정보처리 제어기기와 OA 기기 및 관련부대설비 등과 같이, 온라인 상에서 리얼 타임(real-time)으로 처리되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이러한 내진성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에 따라 지진 발생 시에도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배전반 캐비닛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나, 상용화되어 있는 배전반 캐비닛은 충분한 내진 및 방진 성능을 동시에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내진 성능뿐만 아니라, 기계진동 발생 시에도 진동 저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진 성능까지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458호(등록일: 2004년 12월 3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 쪽에 내진 및 방진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시 발생하는 기계 진동이나 지진 발생 시 진동이나 충격이 내부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휨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수단이 구비되어 외부 진동이나 충격 발생 시에도 내부 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은, 외관의 하부를 형성하며, 복수의 방진 스프링이 설치된 바텀 프레임과,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구조물의 설치면에 결합되는 앵커볼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앵커볼트 결합부재를 갖는 베이스부와, 외관의 상부를 형성하는 루프탑부와, 외관의 양측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외관의 전방 및 후방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강도 보강 수단을 갖는 한 쌍의 도어부와, 상기 베이스부, 루프탑부, 사이드 플레이트, 도어부에 결합되어 이들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볼트 결합부재는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판상의 앵커볼트 와셔와, 상기 앵커볼트 와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방진 고무와, 상기 앵커볼트 와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진 고무가 삽입되며 상기 앵커볼트 와셔보다 큰 두께를 갖는 고무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앵커볼트 결합부재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설치면에 결합되어 내진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결합 시 상기 방진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며, 상기 방진 스프링은 한 쌍이 상기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방진 고무와 상기 방진 스프링에 의해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분리되어 방진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며, 상향 연장된 서포팅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방진 스프링을 지지하는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향해 상향 연장된 서포팅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텀 프레임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안착부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프탑부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판상의 루프 플레이트와, 상기 루프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의 파형으로 형성된 판상의 탑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탑 데크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탑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탑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루프탑부는 상기 루프 플레이트, 탑 데크플레이트 및 탑 서브 프레임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탑 서브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송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내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의 파형으로 형성되어 단면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지진 발생 시 상기 도어부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떨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판상의 도어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힌지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타측 길이 방향, 상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림 유지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단이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 및 사이드 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서브 프레임과, 양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되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을 양분하여 상하로 각각 한 쌍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및 도어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부를 향해 가장자리가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되 절곡된 부분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팅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탑 프레임 및 탑 서브 프레임은 결합 부위가 직각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팅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되며,상기 절곡된 부분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팅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쪽에 내진 및 방진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시 발생하는 기계 진동이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 및 충격 발생 시에도 외력이나 진동이 내부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및 도어, 그리고 측면부에 휨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외부 진동이나 충격의 발생 시에도 내부 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내부를 도시한 제1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내부를 도시한 제2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상측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하측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도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도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결합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은 외관의 상부를 형성하는 루프탑부(100)와, 외관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200)와, 외관의 양측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300), 외관의 전방 및 후방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바디부(500)가 구비되어 전술한 루프탑부(100), 베이스부(200), 사이드 플레이트(300) 및 도어부(400)에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편의상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의 도어가 결합된 부분을 전면 및 후면, 사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부분을 측면으로 정의하기로 함).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든 구성품들의 결합은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볼트접합, 리벳팅(riveting), 용접접합 등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접합의 경우에는 외측에 돌출되거나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구성품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트접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트 헤드가 외측을 향하고 너트가 구성품의 내측에서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탑부(100)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루프 플레이트(110)와, 루프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탑 프레임(130)과, 탑 프레임(130)의 하부에 결합되는 탑 데크플레이트(150)와, 탑 데크플레이트(150)가 안착되는 탑 서브 프레임(170)으로 구성된다.
루프 플레이트(110)는 사각형의 판 형태로,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루프 플레이트(110)에는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이동 및 설치 시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이송링(112)이 결합된다.
이송링(112)은 루프 플레이트(110)와 탑 데크플레이트(150) 및 탑 서브 프레임(170)에 각각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과, 크레인 등의 이송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는 고리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이동 및 설치 시 이송링(112)의 고리 부분에 이송 케이블을 연결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을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링(112)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고, 이동 시 하중에 의한 루프 플레이트(110)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루프 플레이트(110), 탑 데크플레이트(150) 및 탑 서브 프레임(170)을 차례로 관통하여 탑 서브 프레임(17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 프레임(130)은 횡단면이 'ㄱ'자 형태로 절곡된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을 이루며, 루프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루프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탑 프레임(130)은 4개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될 때 볼트 헤드가 탑 프레임(130)의 외측을 향하도록 볼팅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 데크플레이트(150)는 사각형의 판을 '파형'으로 성형한 것으로,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 형태의 단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상을 갖는다.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탑 데크플레이트(150)는 루프 플레이트(110)를 향하도록 돌출된 부분과 루프 플레이트(110)와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전술한 루프 플레이트(110)를 향하는 돌출된 부분의 크기는 오목한 부분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술한 형태를 통해 면외(out-of-plane) 방향의 강성과 길이 방향의 내좌굴성(anti-buckling)을 높게 만든 판재를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라고 한다. 데크 플레이트는 큰 강성과 가벼운 무게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 시 바닥판 거푸집으로 많이 활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데크 플레이트를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루프탑부(100)에 적용시켰다. 이에 따라,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휨과 비틀림에 취약한 루프탑부(100)가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 데크플레이트(150)는 가장자리가 탑 프레임(130)에 밀착 결합된다. 탑 데크플레이트(150)가 탑 프레임(130)의 하부에 밀착되므로, 루프 플레이트(110)를 향하도록 돌출된 부분과 루프 플레이트(110)의 하면은 탑 프레임(130)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탑 서브 프레임(170)은 복수 개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서로 이격되어 탑 데크플레이트(150)의 루프 플레이트(110)를 향해 돌출된 부분의 하면에 결합된다. 또한, 탑 서브 프레임(170)의 양단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바닥을 향해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은 후술할 바디부(500)의 사이드 서브 프레임(55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탑 서브 프레임(170)과 사이드 서브 프레임(550)의 사이에는 전술한 탑 프레임(130)의 절곡된 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즉, 외측에서부터 사이드 서브 프레임(550)-탑 프레임(130)-탑 서브 프레임(170)이 차례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호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0)는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바텀 프레임(210)과, 바텀 프레임(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230) 상에는 앵커볼트 결합부재(250)가 안착된다.
바텀 프레임(210)은 4개의 직사각형의 판재를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을 절곡시켜 바닥면(214)과 서포팅 리브(212)를 형성한 후 이들의 단부를 상호 결합시켜 만들어진다. 따라서 바텀 프레임(210)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며, 'ㄷ'자 형상의 개구된 부분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상측을 향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바텀 프레임(210)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최하단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 부분은 배전반의 각종 배선들이 배출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형태를 갖는다. 바텀 프레임(210)의 폭은 베이스 프레임(230)의 안착부(234)의 폭에 대응하는 폭 또는 그보다 큰 폭을 갖는다. 바텀 프레임(210)의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의 내측 바닥에는 복수의 방진 스프링(216)이 설치된다.
방진 스프링(216)은 베이스 프레임(230)을 탄성 지지하며,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을 건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할 때 설치면으로부터 바텀 프레임(21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방진 스프링(216)은 바텀 프레임(210)의 일부 프레임 또는 전체 프레임의 바닥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30)은 사면체 형상으로, 막히거나 뚫려있는 바닥과, 바닥 부분을 구획하는 다수의 서포팅 리브(232)로 구성된다. 서포팅 리브(232)는 베이스 프레임(230)을 작은 사각형 또는 큰사각형 등으로 구획하며, 구획된 각 부분들은 서포팅 리브(232)에 의해 측면은 모두 막혀있고 상하면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즉, 베이스 프레임(230)은 상면 및 바닥면이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개구되고, 바닥에 대해 수직인 격자 형태로 상향 연장된다. 이러한 격자 형태의 서포팅 리브(232)는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휨 또는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가지며, 서포팅 리브(232)의 격자 구조 사이에 후술할 바디부(500)가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서포팅 리브(232)의 사이에 개구된 부분으로 배전반의 각종 배선들이 통과되어 바텀 프레임(21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베이스 프레임(230)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앵커 볼트(252a)를 체결하기 위한 앵커볼트 결합부재(250)가 안착되는 안착부(234)를 갖는다. 안착부(234)는 앵커볼트 결합부재(250)의 개수에 따라 2개 혹은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30)은 앵커 볼트(252a)에 의해 앵커볼트 결합부재(250)와 함께 구조물의 설치면에 결합되어 내진성능을 갖게 된다.
앵커볼트 결합부재(250)는 앵커볼트 와셔(252)와, 방진 고무(254) 및 고무 패드(256)로 구성된다. 앵커볼트 와셔(252)는 앵커 볼트(252a)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판재이다. 방진 고무(254)는 원통형의 고무로, 앵커볼트 와셔(252)의 하부에 결합되며 삽입홀에 대응하는 중공이 구비된다. 방진 고무(254)의 길이는 고무 패드(256)에 삽입되어 베이스 프레임(230)을 관통하고 바텀 프레임(210)의 바닥면(214)까지 도달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고무 패드(256)는 중앙에 방진 고무(254)가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볼트 와셔(252)의 하부에 결합된다. 고무 패드(256)는 앵커볼트 와셔(252)와 동일한 크기를 갖되 두께는 더 크게 형성된 고무 판재로, 방진 고무(254)의 형상에 대응하는 홀을 갖는다.
앵커볼트 결합부재(250)는 앵커볼트 와셔(252)의 하부 중앙에 방진 고무(254)가 결합되고, 방진 고무(254)가 고무 패드(256)에 삽입된 상태로 전술한 안착부(234)에 결합된다. 방진 고무(254)가 바텀 프레임(210)의 바닥면(214)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234)에는 방진 고무(254)의 크기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볼트 와셔(252) 및 고무 패드(256)는 볼트(252b)에 의해 안착부(234)에 결합되므로 외부에서 진동이 전해지더라도 안착부(234) 내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는다. 앵커 볼트(252a)는 앵커볼트 와셔(252)와 방진 고무(254), 고무 패드(256)를 차례로 관통하도록 앵커볼트 결합부재(250)에 삽입되며, 바텀 프레임(210)을 거쳐 구조물의 콘크리트 슬리브 등과 같은 설치면에 결합된다.
방진 고무(254) 및 고무 패드(256), 그리고 바텀 프레임(210)에 설치된 방진 스프링(216)에 의해 바텀 프레임(210)과 베이스 프레임(230)이 분리되어 방진성능을 갖는다. 또한, 방진 고무(254) 및 고무 패드(256), 방진 스프링(216)에 의해 내진 및 방진 성능이 향상되어 지진 발생 등에 의한 진동 및 상시 발생하는 기계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양측면에는 사이드 플레이트(300)가 결합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에는 한 쌍의 도어부(400)가 각각 결합된다.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측면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재로써, 가장자리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사이드 플레이트(300)의 절곡된 부분은 후술할 메인 프레임(510)에 볼팅 접합된다. 이때, 볼트 헤드가 외측을 향하고 너트가 절곡된 부분의 내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사이드 플레이트(30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팅 접합되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외부에서 볼트가 보이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부(400)는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전면 및 후면 크기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재로써,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410)와, 강성 보강용 도어 데크플레이트(430)를 갖는다. 도어부(400)는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전면 및 후면 전체를 개폐할 수도 있고,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전후면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개폐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전후면 상부에는 각각 프런트 플레이트(12)와 리어 플레이트(14)가 설치된다.
도어 플레이트(410)는 가장자리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단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도어 데크플레이트(430)의 단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를 갖는다. 이는 도어 데크플레이트(43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어 플레이트(410)와 도어 데크플레이트(4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도어 플레이트(410)의 내측에는 도어 데크플레이트(430)가 결합되어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때 도어부(400)의 고유 진동수를 낮춤으로써 도어부(400)가 크게 떨리지 않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어 데크플레이트(430)는 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의 파형인 판상으로, 단면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지진 발생 시 도어부(400)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떨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도어 데크플레이트(430)는 탑 데크플레이트(150)를 도어부(400)의 크기와 형상에 맞게 확대하여 적용한 것이다. 도어 데크플레이트(430)는 도어부(400)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도어부(400)의 외부 상측에는 투명한 윈도우(430)가 장착되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내부를 볼 수 있다. 도어부(400)의 일측에는 핸들(45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도어부(40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며, 길이 방향 일측을 따라 복수의 힌지(470)가 설치되어 도어부(40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지지한다. 도어부(400)의 상측과 하측 및 힌지(470)가 배열되지 않은 길이 방향의 타측 중 어느 한 곳에는 도어부(4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복수의 걸림부(400a)가 구비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은 내측에서 루프탑부(100)와 베이스부(200), 사이드 플레이트(300) 및 도어부(400)에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바디부(500)를 포함한다.
바디부(500)는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길이 방향의 골조를 이루는 4개의 메인 프레임(510)과, 메인 프레임(510)의 사이에 설치되며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폭 방향 골조를 이루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530)과, 사이드 플레이트(300)가 결합되는 방향에 결합되는 복수의 사이드 서브 프레임(550) 및 보강 프레임(570)으로 구성된다. 바디부(500)의 각 구성품은 상호 볼팅 접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볼트 헤드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프레임(510)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육면체 형상의 각 코너에 위치하며, 상단에는 루프탑부(100)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베이스부(200)가 결합된다.
지지 프레임(530)은 메인 프레임(510)의 사이에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510)의 외력에 대한 휨 또는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킨다. 즉, 지지 프레임(530)은 하나의 메인 프레임(510)에 일단이 결합되고 이웃한 다른 메인 프레임(510)에 타단이 결합되며,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측면을 가로지른다. 지지 프레임(530)은 필요에 따라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사면 중 어느 하나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측면의 강성 보강을 위해 지지 프레임(530)이 측면 쪽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였다. 또한, 지지 프레임(530)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배전반이 수납되는 선반(500a)이나 다른 구조물이 결합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532)은 메인 프레임(510)의 상측에 결합되되, 탑 프레임(13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보조 프레임(532) 역시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전술한 프런트 플레이트(12) 및 리어 플레이트(14)가 결합된다. 또한, 보조 프레임(532)은 지지 프레임(530)의 기능을 보조하여 외력에 의한 메인 프레임(510)의 변형에 대응한다.
사이드 서브 프레임(550)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측면쪽에 위치하며, 일단이 탑 프레임(130)에 결합되고, 타단이 베이스 프레임(230)의 서포팅 리브(232)에 결합된다. 사이드 서브 프레임(550)은 지지 프레임(530) 및 보조 프레임(532)이 메인 프레임(510)에 결합된 뒤 이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사이드 서브 프레임(550)은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510)의 휨 또는 뒤틀림에 대한 강도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측면부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 프레임(570)은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측면쪽에 위치하며, 복수개가 구비된다. 한 쌍의 보강 프레임(570)은 양단부가 각각 메인 프레임(510)에 결합되되 서로 'X'자로 교차되어 설치된다. 보강 프레임(570)은 한 쌍으로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양측면을 상하로 양분하여 두 쌍이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보강 프레임(570)이 메인 프레임(510)의 사이에 'X'자로 설치되므로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의 측면부 쪽의 강성이 향상되어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10)이 외력에 의해 뒤틀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루프탑부(100) 및 베이스부(200), 도어부(400) 및 바디부(500)에 이르기까지 내진 및 방진 수단이 구비되고 강도 보강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므로 상시 발생되는 기계 진동이나 지진 등에 의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및 내부 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및 내부 기기의 휨이나 비틀림,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100: 루프탑부
110: 루프 플레이트 130: 탑 프레임
150: 탑 데크플레이트 170: 탑 서브 프레임
200: 베이스부 210: 바텀 프레임
214: 방진 스프링 230: 베이스 프레임
250: 앵커볼트 결합부재 252: 앵커볼트 와셔
254: 방진 고무 256: 고무 패드
300: 사이드 플레이트 300: 도어부
410: 도어 플레이트 430: 도어 데크플레이트
500: 바디부 510: 메인 프레임
530: 지지 프레임 550: 사이드 서브 프레임
570: 보강 프레임

Claims (12)

  1. 외관의 하부를 형성하며, 복수의 방진 스프링이 설치된 바텀 프레임과,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구조물의 설치면에 결합되는 앵커볼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앵커볼트 결합부재를 갖는 베이스부와,
    외관의 상부를 형성하는 루프탑부와,
    외관의 양측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외관의 전방 및 후방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강도 보강 수단을 갖는 한 쌍의 도어부와,
    상기 베이스부, 루프탑부, 사이드 플레이트, 도어부에 결합되어 이들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볼트 결합부재는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판상의 앵커볼트 와셔와, 상기 앵커볼트 와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방진 고무와, 상기 앵커볼트 와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방진 고무가 삽입되며 상기 앵커볼트 와셔보다 큰 두께를 갖는 고무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앵커볼트 결합부재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설치면에 결합되어 내진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결합 시 상기 방진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며, 상기 방진 스프링은 한 쌍이 상기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방진 고무와 상기 방진 스프링에 의해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분리되어 방진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며, 상향 연장된 서포팅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은 상기 방진 스프링을 지지하는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향해 상향 연장된 서포팅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텀 프레임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안착부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탑부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판상의 루프 플레이트와, 상기 루프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의 파형으로 형성된 판상의 탑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탑 데크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탑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탑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탑부는 상기 루프 플레이트, 탑 데크플레이트 및 탑 서브 프레임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탑 서브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송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내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의 파형으로 형성되어 단면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지진 발생 시 상기 도어부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떨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판상의 도어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힌지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타측 길이 방향, 상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림 유지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단이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 및 사이드 플레이트를 길이 방향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서브 프레임과, 양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되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을 양분하여 상하로 각각 한 쌍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및 도어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부를 향해 가장자리가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되 절곡된 부분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팅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프레임 및 탑 서브 프레임은 결합 부위가 직각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팅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되며,상기 절곡된 부분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팅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KR1020140015086A 2014-02-10 2014-02-10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KR10144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86A KR101445570B1 (ko) 2014-02-10 2014-02-10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86A KR101445570B1 (ko) 2014-02-10 2014-02-10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570B1 true KR101445570B1 (ko) 2014-09-29

Family

ID=5176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086A KR101445570B1 (ko) 2014-02-10 2014-02-10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5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9366A (zh) * 2016-02-23 2016-05-11 王本 一种防震避险柜
CN108260312A (zh) * 2018-01-30 2018-07-06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抗震机柜
CN110312384A (zh) * 2019-06-10 2019-10-08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用于机柜的防震门
CN110319147A (zh) * 2019-06-10 2019-10-11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带x型抗震结构的机柜
CN110337231A (zh) * 2019-06-12 2019-10-15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用于机柜防emi门的连接器
KR102050497B1 (ko) * 2019-06-10 2019-11-29 정정섭 내진용 랙 캐비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931A (ja) * 1998-06-19 2000-01-14 Sanko Denki Kk 機器収納用筐体
KR101049407B1 (ko) * 2011-03-25 2011-07-14 (주)서전기전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20120076796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지엔티 배전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3931A (ja) * 1998-06-19 2000-01-14 Sanko Denki Kk 機器収納用筐体
KR20120076796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지엔티 배전함
KR101049407B1 (ko) * 2011-03-25 2011-07-14 (주)서전기전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9366A (zh) * 2016-02-23 2016-05-11 王本 一种防震避险柜
CN108260312A (zh) * 2018-01-30 2018-07-06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抗震机柜
CN110312384A (zh) * 2019-06-10 2019-10-08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用于机柜的防震门
CN110319147A (zh) * 2019-06-10 2019-10-11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带x型抗震结构的机柜
KR102050497B1 (ko) * 2019-06-10 2019-11-29 정정섭 내진용 랙 캐비넷
CN110337231A (zh) * 2019-06-12 2019-10-15 和信精密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用于机柜防emi门的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570B1 (ko)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
KR10168111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038672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US7874433B2 (en) Seismically sound rack system
KR101768031B1 (ko) 접시 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 유닛
KR101054686B1 (ko) 전자력 지지대와 무방향 탄성 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US8128183B2 (en) Rack system
CA2430136A1 (en) Earthquake resistant equipment rack
KR101774276B1 (ko) 판스프링과 적층식 면진판을 이용한 수배전반 외함용 면진장치
KR20090117086A (ko) 내진형 폐쇄 수배전반
KR101545422B1 (ko) 스위치 기어
KR10176524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함
KR10093957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KR101480853B1 (ko) 내진 및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027917B1 (ko) 내진 골조구조로 된 수배전반용 외함
KR101681108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20140098729A (ko) 수전반 및 배전반의 설치 구조
KR101321057B1 (ko) 제진용 유체탱크를 갖는 수배전반용 외함
JP2019017152A (ja) 変圧器設置構造
KR101541655B1 (ko) 구성기기 무게별 진동 흡수 강체 모드가 적용된 제진형 내진 수배전반
KR101551871B1 (ko) 양단 지지에 의한 내진 배전반
KR101751651B1 (ko) 이중 및 대칭구조 3축 코너편을 적용한 볼팅구조 내진 배전반
JP5268775B2 (ja) フレーム式キャビネット
KR20130054788A (ko) 골조 내 면진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용 외함
CN209420104U (zh) 一种具有抗振结构的网络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