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096B1 -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096B1
KR101445096B1 KR1020140049203A KR20140049203A KR101445096B1 KR 101445096 B1 KR101445096 B1 KR 101445096B1 KR 1020140049203 A KR1020140049203 A KR 1020140049203A KR 20140049203 A KR20140049203 A KR 20140049203A KR 101445096 B1 KR101445096 B1 KR 10144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ntibacterial
antimicrobia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4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속적이면서 우수한 항균 및 방충기능을 가지며, 인체에도 무해한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충물질이 함유된 심부(12)와, 상기 심부(12)를 감싸는 외벽부(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벽부(14)에는 항균물질이 함입된 항균리포좀(16)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Double capsule with antimicrobial and repellent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at}
본 발명은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이면서 우수한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균 및 방충기능이 부여된 방향제, 세제, 섬유유연제, 도료 등의 다양한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항균 및 방충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흔히, 항균 및 방충물질을 캡슐화한 항균캡슐 및 방충캡슐을 제품에 혼합하여 제조된다.
한편, 방충물질에 의한 방충메카니즘은 방충물질의 방향성분에 의해 해충의 신경전달물질이 교란됨에 따른 것이고, 항균물질에 의한 항균메카니즘은 항균물질이 세균과 접촉함으로써 세균의 세포막이 파괴되거나 세포의 기능이 교란됨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방충기능을 발하기 위해서는 방충물질이 해충과 직접 접촉할 필요는 없으나, 항균효과를 기능을 발하기 위해서는 항균물질이 세균과 접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항균캡슐은 항균물질이 벽물질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항균물질이 세균과 원활하게 접촉되지 못한다. 또한, 항균물질이 미량씩 방출되기 때문에, 항균물질의 농도가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억제농도)에 미치지 못하여 항균효과가 미미하고, 항균효과가 속효성을 나타내지도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0587호(2005. 10. 1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속적이면서 우수한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방충물질이 함유된 심부(12)와, 상기 심부(12)를 감싸는 외벽부(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벽부(14)에는 항균물질이 함입된 항균리포좀(16)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충물질은 정향오일, 계피오일, 편백오일, 고삼추출물, 고련피추출물, 천련자추출물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항균물질은 프로폴리스, 자몽종자추출물, 테르펜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계면활성제 2~3중량부, 아라비아검 또는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3~5중량부 혼합하여 기본용액을 만들고, 상기 기본용액을 방충물질 100중량부에 대해 15~20중량부 혼합하고 유화시켜 심물질용액을 제조하는 과정;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레시틴 1~5중량부, 알코올 5~50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5~15중량부, 항균물질 25~3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2~6중량부,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0.2~0.7중량부,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0.1중량부를 유화시켜서 항균리포좀을 제조하는 과정;
멜라민 100중량부에 대해, 포름알데히드 160~165중량부, 물 10~15중량부와 상기 항균리포좀 12~15중량부를 혼합하고, 알칼리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알칼리성으로 조절하여 벽물질용액을 제조하는 과정:
상기 심물질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벽물질용액 20~25중량부, 물 20~30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산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용액의 pH를 약산성으로 조절하여 심물질용액을 벽물질용액으로 캡슐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방충물질이 함유된 심부(12)가 항균물질이 함입된 항균리포좀(16)을 함유하는 외벽부(14)로 캡슐화된 것으로서, 상기 방충물질에 의한 방충효과와 상기 항균리포좀(16)에 의한 항균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항균물질이 외벽부(14)에 함유되어 항균물질이 세균과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항균물질에 의한 항균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항균물질이 외벽부에 직접 혼합되는 것이 아니라, 항균물질이 함입된 항균리포좀(16)이 외벽부(14)에 함유되어, 항균물질이 항균리포좀(16)에서 서서히 방출되므로 항균효과가 지속성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충물질과 항균물질로 천연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세제, 섬유유연제, 방향제, 잉크, 도료 등 다양한 제품의제조에 활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지속적이면서도 우수한 항균 및 방충성이 부여된 제품에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캡슐의 단면도
도 2와 3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캡슐의 항균성을 테스트한 시험성적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물질이 함유된 심부(12)와, 심부(12)를 감싸는 외벽부(14)로 이루어진 더블캡슐(10)로서, 상기 외벽부(14)에는 항균물질이 함입된 항균리포좀(16)이 함유된다.
본 발명에 의한 더블캡슐(1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1) 더블캡슐(10)의 심부(12)를 형성할 심물질용액을 제조한다.
심물질용액에는 방충물질이 포함되는데, 방충물질로는 방충성을 가지는 천연물질이 사용된다. 사용가능한 방충물질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정향오일, 계피오일, 편백오일, 고삼추출물, 고련피추출물, 천련자추출물 등이 1종 이상으로 사용된다.
정향오일은 정향(clove)에서 추출한 오일이고, 계피오일은 계피(Cinnamon)에서 추출한 오일이며, 편백오일은 편백나무잎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이들은 모두 방충기능을 가진다.
고삼추출물, 고련피추출물, 천련자추출물은 각각 고삼, 고련피, 천련자의 유효성분을 열수추출법 또는 용매추출법 등과 같은 공지된 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이다. 고삼(苦蔘)은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방충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진다. 고련피(苦練皮)는 멀구슬나무의 수피 또는 근피로서, 살충 및 방충효과를 가진다. 천련자(川練子)는 멀구슬나무의 열매로서, 살충 및 방충효과를 가지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작용도 가진다.
심물질용액은 아라비아검,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등과 같은 고분자물질에, 정제수, 계면활성제, 방충물질을 혼합하고 유화시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계면활성제 2~3중량부, 전술한 고분자물질 3~5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본용액을 만들고, 방충물질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기본용액을 15~20중량부 혼합하여 유화시켜서 심물질용액을 제조한다.
2) 항균리포좀(16)을 제조한다.
항균리포좀(16)은 리포좀에 항균물질이 함입된 것이다. 항균물질로는 항균기능을 가지는 천연물질이 사용되는데, 사용가능한 물질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프로폴리스(Propolis),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테르펜(Terpene)이 1종 이상 사용된다. 상기 각 물질이 항균활성반응을 보이는 균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항균물질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항균물질을 레시틴에 함입시켜서 항균리포좀(16)을 제조한다. 레시틴(lecithin)은 세포막의 중요한 구성성분 중 하나인 인지질의 일종이다.
공지된 나노 캡슐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항균리포좀(16)을 제조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정제수에 레시틴, 용매, 항균물질을 혼합하고 고압유화기를 이용해 유화시킨다. 항균리포좀(16)의 직경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00㎚를 넘지 않는 크기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레시틴 1~5중량부, 알코올 5~50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lic and Capric triglyceride) 5~15중량부, 항균물질 25~3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6중량부,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DEA-Cetyl Phosphate) 0.2~0.7중량부,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2~0.1중량부로 혼합하여 항균리포좀(16)을 제조된다.
3) 더블캡슐(10)의 외벽부(14)를 형성할 벽물질용액을 제조한다.
벽물질용액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콜, 에폭시, 아크릴, 멜라민 등과 같은 합성 고분자물질 또는 젤라틴, 한천, 아라비아검, 키토산 등의 천연 고분자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계면활성제, 항균리포좀(16)을 혼합하고 유화시켜 제조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물질용액의 주성분을 이루는 고분자물질의 사슬구조에 항균리포좀(16)이 삽입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항균리포좀이 벽물질용액에서 겉돌지 않고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벽물질용액의 제조시에 벽물질용액의 주성분을 이루는 상기 고분자물질의 사슬구조를 느슨하게 하여 고분자물질의 사슬구조에 항균리포좀(16)이 삽입되도록 하고, 고분자물질의 사슬구조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고분자물질의 중합반응시에 항균리포좀(16)을 혼합함으로써 고분자물질이 중합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사슬구조에 항균리포좀(16)이 삽입되도록 하는 등 사용되는 고분자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고분자물질로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폴리우레탄수지에 에탄올과 항균리포좀(16)을 혼합하여 교반하는데, 이와 같이 하면, 폴리우레탄수지의 사슬구조가 에탄올에 의해 느슨해지고, 항균리포좀(16)은 폴리우레탄수지의 느슨해진 사슬구조에 삽입되된다. 그리고 에탄올을 제거하면 폴리우테탄수지의 사술구조가 원래상태로 복원되어 항균리포좀(16)이 폴리우레탄의 사슬구조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벽물질용액의 주성분으로 경제성 및 취급성이 우수한 멜라민을 사용하는데, 멜라민 100중량부에 대해 포름알데히드 160~165중량부, 물 10~15중량부, 항균리포좀 12~15중량부를 혼합하고, 이에 2% NaOH를 가하여 용액의 pH를 8.5로 조절하고, 80℃로 가열하여 벽물질용액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하면,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가 중합하여 멜라민수지가 생성되면서, 멜라민수지의 사슬구조에 항균리포좀이 삽입된다.
4) 벽물질용액을 이용하여 심물질용액을 캡슐화시킨다.
공지된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으로 심물질용액을 캡슐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심물질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벽물질용액 20~25중량부, 물 20~30중량부를 혼합하고 온도를 60℃로 하여 교반한 다음, 냉각시켜서 산용액을 첨가하여 교반물의 pH를 5 정도로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심물질용액이 벽물질용액에 의해 캡슐화되어 방충물질이 함유된 심부(12)가 항균리포좀(16)이 함유된 외벽부(14)로 캡슐화된 더블캡슐용액이 제조된다. 더블캡슐용액은 페이스트상태인데, 활용용도에 따라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블캡슐(10)의 외벽부(14)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우면 심부(12)에 함유된 방출물질이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외벽부(14)의 두께를 적적한 수준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심물질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벽물질용액이 20~25중량부 사용된다. 벽물질용액이 상기 수준 미만이면 더블캡슐의 항균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수준을 초과하면, 벽물질이 과도하게 두껍게 형성되어 방충물질이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방충효과가 미미해진다.
실시예
정제수 80g에 Tween 20(상표명, PEO(20)-Sorbitan Monolaurate) 2g, 아라비아검 5g, 도데실벤젠술페이트 나트륨 0.5g을 혼합하여 만든 기본용액 5g에 방충물질 32g을 혼합하여 유화기에서 유화시켜 심물질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방충물질로는 정향오일, 계피오일, 편백오일, 고삼 및 고련피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레시틴 4중량부, 알코올 10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15중량부, 항균물질 3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중량부,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0.2중량부, 디소듐 이디티에이 0.1중량부를 고압유화기에서 유화시켜서 항균리포좀을 만들었다. 항균물질로는 프로폴리스, 자몽종자 추출물, 테레펜을 1:5:4로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항균리포좀 10g을 멜라민 75g, 37% 포름알데히드 122g, 물 15g과 혼합하고, 2% NaOH용액을 가하여 pH를 8.5로 맞춘 다음, 80℃로 가열하여 벽물질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심물질용액 108g에 벽물질용액 25g, 물 27g, 환원용액으로 글루코스 3g을 혼합하여 60℃로 승온하여 교반시킨 다음, 교반용액을 냉각시키고, 10% 시트르산을 첨가하여 교반용액의 pH를 5정도로 조절하여 더블캡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의 항균리포좀에 사용된 항균물질이 심물질용액에 함유되고, 벽물질용액에 항균리포좀이 함유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항균도 테스트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캡슐을 시료로 하여 대장균주를 배양하여 paper disk법으로 항균도를 측정하였다.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시료가 강한 항균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비교예
Figure 112014084725971-pat00001

Figure 112014084725971-pat00002
그리고 도 2와 3은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캡슐을 시료로 하여 항균성을 테스트한 시험성적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은 99.9%의 우수한 항균성을 보였다.
방충성 테스트
실시예의 방충성 테스트를 위해 침입저지법(FC-TM-21)으로 진드기 기피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삭제
삭제

구 분

시험시료


대조사료

N 수

1회

2회

3회

침입개체수

14

20

23


14856

기피율(%)

99.9

99.8

99.8
<표 2> 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더블캡슐은 진드기 기피율이 99.8% 이상으로서, 우수한 방충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방충물질이 함유된 심부(12)와, 상기 심부(12)를 감싸는 외벽부(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벽부(14)에는 항균물질이 함입된 항균리포좀(16)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물질은 정향오일, 계피오일, 편백오일, 고삼추출물, 고련피추출물, 천련자추출물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항균물질은 프로폴리스, 자몽종자추출물, 테르펜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3.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계면활성제 2~3중량부, 아라비아검 또는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3~5중량부 혼합하여 기본용액을 만들고, 상기 기본용액을 방충물질 100중량부에 대해 15~20중량부 혼합하고 유화시켜 심물질용액을 제조하는 과정;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레시틴 1~5중량부, 알코올 5~50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5~15중량부, 항균물질 25~3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2~6중량부,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0.2~0.7중량부,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0.1중량부를 유화시켜서 항균리포좀을 제조하는 과정;
    멜라민 100중량부에 대해, 포름알데히드 160~165중량부, 물 10~15중량부와 상기 항균리포좀 12~15중량부를 혼합하고, 알칼리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알칼리성으로 조절하여 벽물질용액을 제조하는 과정:
    상기 심물질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벽물질용액 20~25중량부, 물 20~30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산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용액의 pH를 약산성으로 조절하여 심물질용액을 벽물질용액으로 캡슐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물질은 정향오일, 계피오일, 편백오일, 고삼추출물, 고련피추출물, 천련자추출물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항균물질은 프로폴리스, 자몽종자추출물, 테르펜 중에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의 제조방법.
KR1020140049203A 2014-04-24 2014-04-24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101445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03A KR101445096B1 (ko) 2014-04-24 2014-04-24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03A KR101445096B1 (ko) 2014-04-24 2014-04-24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096B1 true KR101445096B1 (ko) 2014-10-01

Family

ID=5199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203A KR101445096B1 (ko) 2014-04-24 2014-04-24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0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886A (ko) * 2018-09-11 2020-03-1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성 및 향지속성을 가진 향보유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제
KR20200144315A (ko) * 2019-06-18 2020-12-29 강병구 신발 탈취구
KR102428032B1 (ko) * 2021-07-27 2022-08-02 내외코리아 주식회사 바이러스 항균 분사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485B1 (ko) * 2021-09-15 2023-02-10 표정운 귀보호 마스크 끈 및 귀보호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215A (ko) * 2003-03-21 2004-10-01 한국화학연구원 광분해 활성과 항균 및 살균성이 증진된 기능성 캡슐과이의 제조방법
KR20050100587A (ko) * 2005-09-29 2005-10-19 이창석 항균기능과 방충(해충퇴치)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이용한 섬유코팅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6825B1 (ko) 2004-11-12 2006-09-20 (주)엠포엠 기능성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80062A (ko) * 2006-02-06 2007-08-09 김재용 여드름억제에 효과적인 식물추출물의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215A (ko) * 2003-03-21 2004-10-01 한국화학연구원 광분해 활성과 항균 및 살균성이 증진된 기능성 캡슐과이의 제조방법
KR100626825B1 (ko) 2004-11-12 2006-09-20 (주)엠포엠 기능성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00587A (ko) * 2005-09-29 2005-10-19 이창석 항균기능과 방충(해충퇴치)기능을 가진 마이크로캡슐을이용한 섬유코팅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80062A (ko) * 2006-02-06 2007-08-09 김재용 여드름억제에 효과적인 식물추출물의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886A (ko) * 2018-09-11 2020-03-1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성 및 향지속성을 가진 향보유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제
KR102171317B1 (ko) 2018-09-11 2020-10-28 주식회사 조이라이프 항균성 및 향지속성을 가진 향보유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제
KR20200144315A (ko) * 2019-06-18 2020-12-29 강병구 신발 탈취구
KR102246504B1 (ko) * 2019-06-18 2021-04-30 강병구 신발 탈취구
KR102428032B1 (ko) * 2021-07-27 2022-08-02 내외코리아 주식회사 바이러스 항균 분사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485B1 (ko) * 2021-09-15 2023-02-10 표정운 귀보호 마스크 끈 및 귀보호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eira et al. Recent advances in biobased and biodegradable polymer nanocomposites, nanoparticles, and natural antioxidants for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food packaging applications
Ataei et al. Essential oils-loaded electrospun biopolymers: A future perspective for active food packaging
Rajkumar et al. Development of encapsulated peppermint essential oil in chitosan nanoparticles: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efficacy against stored-grain pest control
Luiz de Oliveira et al. Recent developments and challenges for nanoscale formulation of botanical pesticides for use in sustainable agriculture
Liao et al. Nanoencapsulation of essential oils as natural food antimicrobial agents: An overview
Louni et al. Insecticidal efficacy of nanoemulsion containing Mentha longifolia essential oil against Ephestia kuehniella (Lepidoptera: Pyralidae)
KR101445096B1 (ko) 항균과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 및 그 제조방법
Lu et al. Development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bioactive films based on Oregano essential oil/mesoporous nano-silica/sodium alginate
de F. Silva et al. Active packaging material based on buriti oil–Mauritia flexuosa Lf (Arecaceae) incorporated into chitosan films
Zubair et al. Current trends in the utilization of essential oils for polysaccharide-and protein-derived food packaging materials
KR101944956B1 (ko)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복합나노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Sharma et al. Encapsulation of essential oils in nanocarriers for active food packaging
KR101490892B1 (ko) 항균 및 방충기능을 가지는 더블캡슐이 함유된 액상도료
KR101489655B1 (ko) 식품포장용 친환경 저탄소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서방성 다층방충필름
de Oliveira et al. Hydrogels containing botanical repellents encapsulated in zein nanoparticles for crop protection
Spizzirri et al. Nanotechnologies: An innovative tool to release natural extracts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CA320244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ngi
CN106543743B (zh) 一种含芳樟醇的鱼胶原水解物/壳聚糖季铵盐可食抗菌膜及其制备方法
Jacumazo et al. Development,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dium dodecyl sulfate-polysaccharides capsules containing eugenol
El-Ekiaby Basil oil nanoemulsion formulation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 and enhance disease resistance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in cultured Nile tilapia
CN104488918A (zh) 一种含茶多酚与薯蓣皂苷的植物源增效复配杀虫剂
Cardoso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alate)(PBAT) film incorporated with oregano essential oil and applied in sliced mozzarella cheese
US20050084545A1 (en) Non phytotoxic biocide composition containing tea tree oil and method of production the same
KR101698740B1 (ko) 수용성 규산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Manzoor et al. Nanosizing of Lavender, Basil, and Clove Essential Oils into Microemulsions for Enhanced Antioxidant Potential and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