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790B1 -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790B1
KR101444790B1 KR1020130080971A KR20130080971A KR101444790B1 KR 101444790 B1 KR101444790 B1 KR 101444790B1 KR 1020130080971 A KR1020130080971 A KR 1020130080971A KR 20130080971 A KR20130080971 A KR 20130080971A KR 101444790 B1 KR101444790 B1 KR 101444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power consumption
power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수
Original Assignee
(주)아한피앤이
주식회사 서우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한피앤이, 주식회사 서우건설산업 filed Critical (주)아한피앤이
Priority to KR102013008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7/00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 B61L7/06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electrical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B61L5/18Light signals; Mechanisms associated therewith, e.g. b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9/00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 B61L9/04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7/00Features of ligh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부(Vac)와,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어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S)와, 교류전원부(Vac)에 병렬로 연결되어 신호기(10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V)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VM)와,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며, 입력단은 스위치부(S)와 연결되어, 스위치부(S)가 온되어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이 공급될때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리액터부(10)와, 일단이 리액터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기(100)에 연결되어 신호기(100)의 입력전류(A)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AM)와, 전압검출부(VM)에서 검출된 입력전압(V)과 전류검출부(AM)에 검출된 입력전류(A)를 수신하여 신호기(100)의 소비전력(PW)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20)와, 소비전력 산출부(20)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PW)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소비전력(PW)이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signal light for railway control apparatus with reactor}
본 발명은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상신호시스템을 사용하는 철도용 신호기의 점소등에 따라 신호기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신호기가 정확하게 점소등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출하여 신호기의 오동작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신호기의 점소등에 따른 지상신호의 현시신호를 차상시스템에 전달하여 지상신호의 현시신호와 차상시스템에 전달되는 신호기의 현시신호는 항상 일치하여 열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안전운행 및 기관사의 과실에 따른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지상신호방식에 의한 기관차의 자동정지장치(ATS: Auto Train Stop)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상신호방식은 지상의 신호기의 신호내용을 현시하여 안전을 확보하게 하는 것으로써, 열차가 진입하려는 곳에 철도용 신호기를 설치하고 신호기의 특정 색상의 신호등의 점소등에 따라 열차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상신호방식은 열차가 신호기의 현시내용을 무시하거나 오인하여 운행될 경우 사고로 이어지게 되므로 각종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안전확보 상태를 보완하여 왔으나, 열차의 고속화, 고밀도화에 따라 안전한계에 도달하게 되었다.
상기의 지상신호방식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차운전체계를 지상신호방식에서 차상신호방식(ATP : Automatic Train Protection)을 사용하는 차상신호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상기 차상신호시스템은 지상신호의 현시내용을 차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하거나 우천, 안개 등과 같은 기상조건하에서 기관사의 시계가 불량하더라도 신호기의 현시내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열차특성을 고려하는 안전운행간격이 확보되도록 지속적인 열차상태 감시 및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열차가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운행되거나 지시된 속도를 넘어서는 과속을 하더라도 사전에 열차운행 제어범위가 계산되어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차운행을 위한 철도 차상신호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철도 차상신호시스템은 지상시스템(1)과 차상시스템(2)으로 구성되며, 지상시스템(1)은 선로에 설치된 유로발리스(3)와, 선로변제어유니트(4)와, 신호기(5)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열차(6)의 운행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선로변제어유니트(4)를 통해 신호기(5)의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청색신호등을 소등시키는 점소등제어신호(CNT)를 신호기(5)와 유로발리스(3)로 출력한다. 또한, 반대로 열차(5)의 운행을 계속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신호기(5)의 청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적색신호등을 소등시키는 점소등제어신호(CNT)를 신호기(5)와 유로발리스(2)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철도 차상신호시스템은 선로변제어유니트(4)를 통해 출력되는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유로발리스(3)를 통해 차상시스템(2)인 열차(6)로 전달되어 지상신호의 현시내용을 차상에서 확인할 수 있어 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하거나 우천, 안개 등과 같은 기상조건하에서 기관사의 시계가 불량하더라도 신호기의 현시내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상신호시스템의 경우 신호기(5)가 오동작하는 경우 선로변제어유니트(4)에서 출력되는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사용자가 요구한 신호기(5)의 청색 또는 적색 신호등의 점소등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없어, 신호기(5)의 지상신호의 현시내용과 차상시스템(2)에 전달된 지상신호의 현시내용과 불일치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열차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상신호시스템을 사용하는 철도용 신호기의 점소등에 따라 신호기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신호기가 정확하게 점소등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출하여 신호기의 오동작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신호기가 오동작하더라도 신호기의 소비전력에 따른 신호기의 점소등에 의한 지상신호의 현시신호를 차상시스템에 전달하여 지상신호의 현시신호와 차상시스템에 전달되는 신호기의 현시신호는 항상 일치하여 열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기와 교류전원 사이에 리액터부를 구비하여, 신호기의 점소등 제어를 위해 교류전원을 사용하므로,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기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신호기의 입력전류에 발생되는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전류검출부는 신호기의 입력전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에 의해 신호기의 청색신호등 또는 적색신호등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차상시스템으로 신호기의 현시신호를 송신하는 철도 신호기의 점소등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기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부; 상기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신호기에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 상기 교류전원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기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입력단은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온되어 상기 신호기에 교류전원이 공급될때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신호기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상기 신호기의 입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리액터부; 일단이 상기 리액터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호기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기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입력전압과 상기 전류검출부에 검출된 입력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 및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상기 소비전력이 기준소비전력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기 지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에 의해 신호기의 청색신호등 또는 적색신호등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차상시스템으로 신호기의 현시신호를 송신하는 철도 신호기의 점소등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기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부; 상기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신호기에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 상기 교류전원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기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입력단은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온되어 상기 신호기에 교류전원이 공급될때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신호기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상기 신호기의 입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리액터부; 일단이 상기 리액터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호기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기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입력전압과 상기 전류검출부에 검출된 입력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기의 소비전력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 및 상기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가 온되어 상기 신호기의 초기 점등시에는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제1기준소비전력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상기 소비전력이 제1기준소비전력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계속 온되어 상기 신호기의 점등이 유지될 때에는 상기 소비전력이 제1기준전력 보다 작은값을 갖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제2기준소비전력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신호기 지상신호는 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상기 소비전력이 상기 제2기준소비전력 보다 작으면 상기 신호기 지상신호는 비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비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철도용 신호기의 점소등에 따라 신호기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신호기가 정확하게 점소등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출하여 신호기의 오동작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신호기가 오동작하더라도 신호기의 소비전력에 따른 신호기의 점소등에 의한 지상신호의 현시신호를 차상시스템에 전달하여 지상신호의 현시신호와 차상시스템에 전달되는 신호기의 현시신호는 항상 일치하도록 하여 열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신호기와 교류전원 사이에 리액터부를 구비하여, 리액터부에 의해 신호기의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기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신호기의 입력전류에 발생되는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전류검출부는 신호기의 입력전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상신호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리액터부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입력전류의 파형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리액터부를 구비한 경우 입력전류의 파형도,
도 6은 도 3의 제2비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소비전력의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부(Vac)와,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어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S)와, 교류전원부(Vac)에 병렬로 연결되어 신호기(10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V)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VM)와,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며, 입력단은 스위치부(S)와 연결되어, 스위치부(S)가 온되어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이 공급될때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리액터부(10)와, 일단이 리액터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기(100)에 연결되어 신호기(100)의 입력전류(A)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AM)와, 전압검출부(VM)에서 검출된 입력전압(V)과 전류검출부(AM)에 검출된 입력전류(A)를 수신하여 신호기(100)의 소비전력(PW)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20)와, 소비전력 산출부(20)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PW)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소비전력(PW)이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30)로 구성된다.
또한, 제1비교부(30)의 출력인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신호기의 현시신호로 판단하여 차상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리액터부(10)는 일단이 스위치부(S)에 연결된 코일(L)과, 일단이 코일(L)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전류검출부(AM)의 일단과 연결된 제1저항(R1)과, 일단이 코일(L)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저항(R1)의 타단과 연결된 제2저항(R2)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3의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부(Vac)와,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어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S)와, 교류전원부(Vac)에 병렬로 연결되어 신호기(10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V)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VM)와,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며, 입력단은 스위치부(S)와 연결되어, 스위치부(S)가 온되어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이 공급될때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리액터부(10)와, 일단이 리액터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호기(100)에 연결되어 신호기(100)의 입력전류(A)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AM)와, 전압검출부(VM)에서 검출된 입력전압(V)과 전류검출부(AM)에 검출된 입력전류(A)를 수신하여 신호기(100)의 소비전력(PW)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20)와,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가 활성화됨에 따라 스위치부(S)가 온되어 신호기(100)의 초기 점등시에는 소비전력 산출부(20)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PW)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제1기준소비전력(RPW1)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소비전력(PW)이 제1기준소비전력(RPW1)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고, 스위치부(S)가 계속 온되어 신호기(100)의 점등이 유지될 때에는 소비전력(PW)이 제1기준전력(RPW1) 보다 작은값을 갖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제2기준소비전력(RPW2)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신호기 지상신호(LC)는 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소비전력(PW)이 제2기준소비전력(RPW2) 보다 작으면 신호기 지상신호(LC)는 비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비교부(40)로 구성된다.
또한, 제2비교부(40)의 출력인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신호기의 현시신호로 판단하여 차상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신호기(100)는 청색신호등 또는 적색신호등이며, 운행중인 열차의 진행을 멈추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스위치부(S)에 활성화된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를 송신하여 스위치부(S)를 온시켜 적색신호등으로 구성된 신호기(100)에 교류전원부(Vac)의 교류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적색신호등으로 구성된 신호기를 점등시키고, 청색신호등으로 구성된 신호기는 소등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열차의 운행을 계속 진행시키거나, 멈추어 있던 열차의 운행을 개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활성화된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를 스위치부(S)에 송신하여 청색신호등으로 구성된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청색신호등으로 구성된 신호기(100)를 점등시키고, 적색신호등의 신호기는 소등시킨다.
신호기(100)의 점등을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부(S)에 활성화된 점소등제어신호(CNT)를 송신하면, 스위치부(S)는 온되어 교류전원부(Vac)에 의해 신호기(100)에는 교류전원이 공급된다.
교류전원부(Vac)에 의해 교류전원이 신호기(100)에 공급되면, 전압검출부(VM)는 신호기(100)에 입력되는 입력전압(V)을 검출하고, 전류검출부(AM)는 신호기(100)에 입력되는 입력전류(A)를 검출한다.
전압검출부(VM)는 전압검출계(Volt-Meter)이고, 전류검출부(AM)는 홀센서(Hall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리액터부(10)는 스위치부(A)와 전류검출부(AM) 사이에 구성된다. 즉, 리액터부(10)의 입력단은 스위치부(S)에 연결되고, 리액터부(10)의 출력단은 전류검출부(AM)의 일단과 연결된다.
리액터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스위치부(S)에 연결된 코일(L)과, 일단이 코일(L)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전류검출부(AM)의 일단과 연결된 제1저항(R1)과, 일단이 코일(L)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저항(R1)의 타단과 연결된 제2저항(R2)으로 구성되어, 스위치부(S)가 온되어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이 공급될때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해 준다.
도 4a는 리액터부(10)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사인파형을 갖는 교류전원과 입력전류의 파형도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터부(10)가 없는 경우 교류전원이 최대값과 최소값에서 임펄스(Impulse) 형의 피크치 전류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도 4b는 도 4a의 신호기(10)로 입력되는 입력전류의 특정 부분의 확대도의 파형도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기의 입력전류에는 교류전원에 의해 고조파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리액터부(10)를 구비한 경우 입력전류의 파형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터부(10)에 의해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는 도 4a에 비해 50 내지 60% 정도로 작아진 것을 알 수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조파 성분은 도 4b에 비해 40 내지 50% 정도로 감쇄시키게 된다.
리액터부(10)의 직렬로 연결된 코일(L)과 제1저항(R1)은 상기와 같이 입력전류의 피크치 전류값을 작게 해주고, 직렬로 연결된 코일(L)과 제1저항(R1)에 병렬로 연결된 제2저항(R2)은 코일(L)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리액터부(10)에 의해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감소시키고, 고조파 성분을 감쇄시켜 주어 전류검출부(AM)에서 검출되는 신호기(100)의 입력전류검출시 검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정확하게 전류검출부(AM)는 신호기(100)의 입력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소비전력 산출부(20)는 전압검출부(VM)에서 검출된 입력전압(V)과 전류검출부(AM)에 검출된 입력전류(A)를 수신하여 입력전압(V)과 입력전류(A)를 승산하여 신호기(100)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PW)을 산출한다.
제1비교부(30)는 소비전력 산출부(20)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PW)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된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여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소비전력(PW)이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된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여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낸다.
제1비교부(30)의 출력인 신호기 지상신호(LC)는 신호기의 현시신호로 판단하여 차상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신호기(10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기 위해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를 수신하고, 점소등제어신호(CNT)에 따라 신호기(100)가 점등 또는 소등 여부를 신호기(100)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PW)을 산출하여 소비전력(PW)의 크기에 따라 신호기(100)가 점등 또는 소등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송신한 점소등제어신호(CNT)와 신호기의 소비전력(PW)에 의한 제1비교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데로 신호기(100)가 점소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호기(100)가 오동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요청한 신호등의 점소등상태와 제1비교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기 지상신호(LC)는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신호기(1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비교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차상시스템으로 송신하므로, 신호기(100)가 오동작 할 경우에도 항상 신호기(100)의 현시신호를 차상시스템에 송신하게 되므로, 신호기(100)가 오동작하더라고 항상 차상시스템은 신호기(100)의 정확한 점소등 여부에 따라 동작하게 되므로, 열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의 동작은 도 2의 동작과 동일하다. 다만, 도 3의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는 제1비교부(30) 대신에 제2비교부(40)로 구성된다.
즉,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비교부(40)는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가 활성화되어 스위치부(S)가 온될때의 신호기(100)의 초기 점등시에는 소비전력 산출부(20)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PW)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제1기준소비전력(RPW1)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소비전력(PW)이 제1기준소비전력(RPW1)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한다.
또한, 스위치부(S)가 계속 온되어 신호기(100)의 점등이 유지될 때에는 소비전력(PW)이 제1기준전력(RPW1) 보다 작은값을 갖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제2기준소비전력(RPW2)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신호기 지상신호(LC)는 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소비전력(PW)이 제2기준소비전력(RPW2) 보다 작으면 신호기 지상신호(LC)는 비활성화되어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제2비교부(40)에 의해 신호기(100)가 필라멘트 형 또는 다수의 엘이디들로 이루어진 램프로 구성되는 경우 스위칭부(S)가 온될때의 램프의 초기 점등시의 소비전력은 램프가 초기 점등이 이루어진 후 계속해서 점등이 유지될때의 소비전력 보다 크므로, 스위치부(S)가 온될때의 초기 점등시에는 제2기준소비전력(RPW2) 보다 큰 값을 갖는 제1기준소비전력(RPW1)과 소비전력 산출부(20)에서 산출한 신호기(100)의 소비전력(PW)과 비교하여 초기 점등시에 소비전력(PW)이 초기 점등을 위해 필요한 신호기의 소비전력인 제1기준소비전력(RPW1)보다 작으면 신호기(100)는 점등되지 못하므로 제2비교부(40)의 출력인 신호기 지상신호(LC)는 비활성화되어 소등으로 판단하고, 소비전력(PW)이 초기 점등을 위해 필요한 신호기의 소비전력인 제1기준소비전력(RPW1)보다 크거나 같으면 신호기 지상신호(LC)는 활성화되어 신호기(100)는 점등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스위치부(S)가 온되어 신호기(100)가 초기 점등이 이루어진 후에 계속해서 스위치부(S)가 온되어 신호기(100)가 계속해서 점등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1기준소비전력(RPW1) 보다 낮은 값을 갖는 제2기준소비전력(RPW2)과 신호기(100)의 소비전력(PW)과 비교하여 소비전력(PW)이 제2기준소비전력(RPW2)보다 작으면 제2비교부(40)는 비활성화된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여 신호기(100)는 소등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소비전력(PW)이 제2기준소비전력(RPW2)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2비교부(40)는 활성화된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여 신호기(100)는 점등된 것으로 판단한다.

Claims (6)

  1.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신호기(100)의 청색신호등 또는 적색신호등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차상시스템으로 신호기(100)의 현시신호를 송신하는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부(Vac);
    상기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S);
    상기 교류전원부(Vac)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기(10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V)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VM);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입력단은 상기 스위치부(S)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S)가 온되어 상기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이 공급될때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상기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리액터부(10);
    일단이 상기 리액터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호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기(100)의 입력전류(A)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AM);
    상기 전압검출부(VM)에서 검출된 입력전압(V)과 상기 전류검출부(AM)에 검출된 입력전류(A)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기(100)의 소비전력(PW)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20); 및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20)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PW)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상기 소비전력(PW)이 기준소비전력(RPW)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교부(30)의 출력인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신호기의 현시신호로 판단하여 차상시스템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부(10)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부(S)에 연결된 코일(L);
    일단이 상기 코일(L)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류검출부(AM)의 일단과 연결된 제1저항(R1); 및
    일단이 상기 코일(L)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저항(R1)의 타단과 연결된 제2저항(R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4.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신호기(100)의 청색신호등 또는 적색신호등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차상시스템으로 신호기(100)의 현시신호를 송신하는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부(Vac);
    상기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S);
    상기 교류전원부(Vac)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기(100)에 인가되는 입력전압(V)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VM);
    입력단과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입력단은 상기 스위치부(S)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S)가 온되어 상기 신호기(100)에 교류전원이 공급될때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피크전류치를 작게하고, 상기 신호기(100)의 입력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리액터부(10);
    일단이 상기 리액터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호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기(100)의 입력전류(A)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AM);
    상기 전압검출부(VM)에서 검출된 입력전압(V)과 상기 전류검출부(AM)에 검출된 입력전류(A)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기(100)의 소비전력(PW)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산출부(20); 및
    상기 신호기 점소등제어신호(CNT)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S)가 온되어 상기 신호기(100)의 초기 점등시에는 상기 소비전력 산출부(20)에서 출력되는 소비전력(PW)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제1기준소비전력(RPW1)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상기 소비전력(PW)이 제1기준소비전력(RPW1) 보다 작으면 비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부(S)가 계속 온되어 상기 신호기(100)의 점등이 유지될 때에는 상기 소비전력(PW)이 제1기준전력(RPW1) 보다 작은값을 갖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준 제2기준소비전력(RPW2)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신호기 지상신호(LC)는 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100)가 점등되었음을 나타내고, 상기 소비전력(PW)이 상기 제2기준소비전력(RPW2) 보다 작으면 상기 신호기 지상신호(LC)는 비활성화되어 상기 신호기(100)가 소등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비교부(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교부(40)의 출력인 신호기 지상신호(LC)를 신호기의 현시신호로 판단하여 차상시스템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부(10)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부(S)에 연결된 코일(L);
    일단이 상기 코일(L)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류검출부(AM)의 일단과 연결된 제1저항(R1); 및
    일단이 상기 코일(L)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저항(R1)의 타단과 연결된 제2저항(R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KR1020130080971A 2013-07-10 2013-07-10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KR101444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971A KR101444790B1 (ko) 2013-07-10 2013-07-10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971A KR101444790B1 (ko) 2013-07-10 2013-07-10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790B1 true KR101444790B1 (ko) 2014-09-26

Family

ID=5176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971A KR101444790B1 (ko) 2013-07-10 2013-07-10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702B1 (ko) 2018-12-28 2019-09-30 (주)아한피앤이 철도신호의 신호검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686A (ja) 1999-01-29 2000-08-11 Sankosha:Kk Ledを発光源に用いた多灯形色灯信号機の故障検知装置
JP2008126779A (ja) 2006-11-18 2008-06-05 Kyosan Electric Mfg Co Ltd 信号灯制御装置
JP2011225162A (ja) 2010-04-22 2011-11-10 Sankosha Co Ltd 多灯型色灯信号機の半断線又は全断線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686A (ja) 1999-01-29 2000-08-11 Sankosha:Kk Ledを発光源に用いた多灯形色灯信号機の故障検知装置
JP2008126779A (ja) 2006-11-18 2008-06-05 Kyosan Electric Mfg Co Ltd 信号灯制御装置
JP2011225162A (ja) 2010-04-22 2011-11-10 Sankosha Co Ltd 多灯型色灯信号機の半断線又は全断線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702B1 (ko) 2018-12-28 2019-09-30 (주)아한피앤이 철도신호의 신호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335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WO2011030381A1 (ja) ヘッドランプ用led点灯装置及び車両用ヘッドランプ点灯システム
US20090091868A1 (en) Vehicle AC Ground Fault Detection System
CA2911118C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CN204870719U (zh) 一种挂车制动灯控制回路
US20060259202A1 (en) Signaling system
KR20180067102A (ko) 상시 전원 공급을 위한 병렬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281976B (zh) 一种计轴系统
KR101444790B1 (ko) 리액터를 구비한 철도 신호기의 제어장치
JP2016137731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上装置、および地上装置
US201501602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of an led lamp
CN101648543A (zh) 一种汽车车灯的故障监测方法及装置
US20110144933A1 (en) Vital current sensor
JP5263836B2 (ja) 踏切警報監視装置
US20130169426A1 (en) Motor vehicle with a high-voltage source
CN109828480B (zh) 一种列车进站照明系统
US201401039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ght intensity monitoring
KR101108499B1 (ko) 가로등용 누설전류 원격 검출시스템
EP2386458B1 (en) Light signaling device for railway systems or the like
JPH1169516A (ja) 力行カット方式を用いた自動列車制御装置
KR100726154B1 (ko) 철도신호기의 오작동 방지장치
CN202676902U (zh) 用于铁路电力机车高压电压互感器的在线监测装置
KR20070066167A (ko) 차량 지시등 고장 검출 장치
CN109572600A (zh) 可侦测车辆运转状态的开关装置及控制方法
KR102026702B1 (ko) 철도신호의 신호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