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263B1 -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263B1
KR101444263B1 KR1020120139416A KR20120139416A KR101444263B1 KR 101444263 B1 KR101444263 B1 KR 101444263B1 KR 1020120139416 A KR1020120139416 A KR 1020120139416A KR 20120139416 A KR20120139416 A KR 20120139416A KR 101444263 B1 KR101444263 B1 KR 10144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layer
color
photodiod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407A (ko
Inventor
원준호
이원호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실리콘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실리콘화일 filed Critical (주)실리콘화일
Priority to KR102012013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263B1/ko
Priority to CN201380063333.2A priority patent/CN104871527B/zh
Priority to PCT/KR2013/010396 priority patent/WO2014088238A1/ko
Priority to US14/649,710 priority patent/US9484377B2/en
Publication of KR2014007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Pixel iso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1Colour fil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6Interconnec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01L27/14645Colour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01L27/14649Infrared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5Process for coatings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9MOS based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including elements passing infrared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5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four or mor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2803Investigating the spectrum using photoelectric array detector
    • G01J2003/2806Array and filter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01J2005/202Arrays
    • G01J2005/204Arrays prepared by semiconductor processing, e.g. VL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OS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 G, B 픽셀 외에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이미지센서에서 R, G, B 픽셀의 칼라필터와 적외선 픽셀의 필터가 서로 다른 단차를 갖도록 한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CMOS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CMOS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픽셀에 따른 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가 서로 다른 수직 단차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칼라필터 및 적외선필터 형성 시 재료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고 필터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하여 크로스토크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CMOS image sensor having an infra-red pixel enhanced spectral characterist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CMOS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 G, B 픽셀 외에 IR 픽셀을 구비하는 이미지센서에서 적외선 영역에 대해 가시광 영역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R, G, B 픽셀의 칼라필터와 IR 픽셀의 IR필터가 서로 다른 단차를 갖도록 한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센서는 광학 영상(optical imag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반도체장치로서,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는 개개의 MOS(Metal-Oxide-Silicon) 캐패시터가 서로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으면서 전하 캐리어가 캐패시터에 저장되고 이송되는 소자이며, CMOS 이미지센서는 제어회로(control circuit) 및 신호처리회로(signal processing circuit)를 주변회로로 사용하는 CMOS 기술을 이용하여 화소(pixel)수 만큼 MOS 트랜지스터를 만들고 이것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출력을 검출하는 스위칭 방식을 채용하는 소자이다.
이러한 이미지센서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받아 광전하를 생성 및 축적하는 광감지부 상부에 칼라 필터가 배열되어 있으며, 칼라필터어레이(Color Filter Array; CFA)는 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의 3가지 칼라로 이루어지거나,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및 시안(Cyan)의 3가지 칼라로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색을 표현하기 위해 CMOS 이미지센서는 R(Red:적),G(Green:녹),G(Green:녹) 및 B(Blue:청) 픽셀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미지센서는 인간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 영역의 빛에 대해서도 반응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가시광 영역의 빛은 차단하고 적외선 영역의 빛만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적외선 픽셀이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적외선 픽셀이 포함된 CMOS 이미지센서의 광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픽셀에 대한 마이크로렌즈 및 필터층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적외선 픽셀이 포함된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적외선 픽셀이 포함된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는 반도체 기판(110)위에 광감지층(120), 금속배선층(130), 절연층(140), 컬러필터층(150), 투명평탄화층(160) 및 마이크로렌즈층(1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적외선 픽셀이 포함된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및 적외선(IR)의 4개의 픽셀로 구성되며 각각의 픽셀에 대응되는 칼라필터 및 IR 필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수직단차 선상에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칼라필터(color filter)의 특성은 도 4와 같이 필터의 적층 두께에 따라 크로스토크 특성 또는 순도 특성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필터의 적층 두께가 증가하게 되면, 컷오프(cut off)해야 하는 파장 대역에서의 크로스토크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및 적외선(IR) 픽셀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서 각 픽셀은 도 3에서와 같은 분광 특성을 보이게 된다. 이때 IR 픽셀에서 가시광 파장 대역, 특히 400nm 내지 650nm 대역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크로스토크로 발생하여 적외선(IR) 픽셀에서의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이하 'DOF'라 한다.)기능을 열화시키는 요인이 되며, 이때 R, G, B 픽셀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원하지 않는 파장 대역에서의 크로스토크 특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칼라필터의 필터링 특성을 개선시켜야 하지만, 칼라필터 물질 고유의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한 임의적으로 필터링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수직 단차 선상에서 칼라 필터를 형성하는 경우 재료의 점도와 같은 특성에 따라 두께 조절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해당 픽셀에서 다른 칼라의 크로스토크에 의한 순도 저하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과제는, 각각의 픽셀에 따른 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가 서로 다른 수직 단차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 형성 시 재료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고 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하여 크로스토크 특성을 개선시킨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며, 제1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1포토다이오드, 제1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2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2포토다이오드, 제2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3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적외선 영역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4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감지층; 상기 광감지층의 상부에 형성된 배선층; 상기 배선층의 상부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1투명평탄화층;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 제2포토다이오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제4포토다이오드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층; 상기 칼라필터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2투명평탄화층; 및 상기 제2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필터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마이크로렌즈, 제2마이크로렌즈, 제3마이크로렌즈 및 제4마이크로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층;을 구비하되,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에 각각 대응되는 영역의 제1투명평탄화층이 서로 단차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가 서로 두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제1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1포토다이오드, 제1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2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2포토다이오드, 제2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3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적외선 영역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4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감지층을 형성하는 광감지층 형성단계; 상기 광감지층의 상부에 금속 배선층을 형성하는 금속 배선층 형성단계; 상기 금속 배선층의 상부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절연층 형성단계;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제1투명평탄화층을 형성하는 제1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1투명평탄화층 제거단계;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 제2포토다이오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제4포토다이오드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층을 형성하는 칼라필터층 형성단계; 상기 칼라필터층의 상부에 제2투명평탄화층을 형성하는 제2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제2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마이크로렌즈, 제2마이크로렌즈, 제3마이크로렌즈 및 제4마이크로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층을 형성하는 마이크로렌즈층 형성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 제거단계는,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가 형성되는 영역의 상기 절연층 및 제1투명평탄화층의 제거 깊이를 각각 달리하여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픽셀에 따른 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가 서로 다른 수직 단차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 형성 시 재료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고 각 필터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하여 크로스토크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적외선 픽셀이 포함된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적외선 픽셀이 포함된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적외선 픽셀이 포함된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에서 각 픽셀의 분광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적외선 픽셀이 포함된 종래의 CMOS 이미지센서에서 적외선 필터의 적층 두께에 따른 분광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500)는 반도체 기판(510), 광감지층(520), 금속배선층(530), 절연층(540), 컬러필터층(550), 투명평탄화층(560) 및 마이크로렌즈층(5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광감지층(520)은 반도체 기판(510) 상에 형성되며, 제1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1포토다이오드(PD_1), 제1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2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2포토다이오드(PD_2) 제2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3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3포토다이오드(PD_3) 및 적외선 영역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4포토다이오드(PD_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칼라, 제2칼라 및 제3칼라는 각각 블루(B) 칼라, 그린(G) 칼라 및 레드(R) 칼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색인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및 옐로우(Yellow)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배선층(530)은 광감지층(5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전기적 연결을 위한 메탈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층(540)은 금속배선층(53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층(550)은 상기 절연층(54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PD_1), 제2포토다이오드(PD_2), 제3포토다이오드(PD_3) 및 제4포토다이오드(PD_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칼라필터(CF_1), 제2칼라필터(CF_2), 제3칼라필터(CF_3) 및 적외선 필터(IR_F)를 포함한다.
투명평탄화층(560)은 상기 컬러필터층(55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렌즈층(570)은 상기 투명평탄화층(56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칼라필터(CF_1), 제2칼라필터(CF_2), 제3칼라필터(CF_3) 및 적외선 필터(IR_F)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마이크로렌즈(ML_1), 제2마이크로렌즈(ML_2), 제3마이크로렌즈(ML_3) 및 제4마이크로렌즈(ML_4)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600)는 반도체 기판(610), 광감지층(620), 금속배선층(630), 절연층(640), 제1투명평탄화층(650), 컬러필터층(660), 제2투명평탄화층(670) 및 마이크로렌즈층(68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절연층(640)의 상부에 제1투명평탄화층(6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된 CMOS 이미지센서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는 칼라필터층에서 각 칼라에 따른 픽셀의 칼라필터층의 두께를 달리하고 있다.
즉, 제1칼라인 블루칼라를 수광하는 제1포토다이오드(PD1)에 대응되는 상기 제1칼라필터(CF_1)의 두께와, 제2칼라인 그린칼라 및 제3칼라인 레드칼라를 수광하는 제2포토다이오드(PD2) 및 제3포토다이오드(PD3)에 대응되는 상기 제2칼라필터(CF_2) 및 제3칼라필터(CF_3)의 두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제4포토다이오드(PD4)에 대응되는 상기 적외선 필터(IR_F)의 두께와 서로 다르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적외선 필터(IR_F)의 두께가 제1칼라필터(CF_1), 제2칼라필터(CF_2) 및 제3칼라필터(CF_3)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1칼라필터(CF_1), 제2칼라필터(CF_2) 및 제3칼라필터(CF_3)는 두께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반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필터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은 광감지층 형성단계(S100), 금속배선층 형성단계(S200), 절연층 형성단계(S300), 식각단계(S400), 칼라필터층 형성단계(S500), 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S600) 및 마이크로렌즈층 형성단계(S700)를 구비한다.
상기 광감지층 형성단계(S100)에서는 반도체 기판에, 제1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1포토다이오드, 제1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2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2포토다이오드, 제2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3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적외선을 수광하기 위한 제4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감지층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 배선층 형성단계(S200)에서는 상기 광감지층의 상부에 금속 배선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층 형성단계(S300)에서는 금속 배선층의 상부에 절연층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식각단계(S400)에서는 칼라필터를 형성하기 이전에 칼라필터의 필터링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각각의 영역에 대해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건식 식각 또는 습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식각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단위화소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의 절연층을 식각하여 단차를 줌으로써 이후 칼라필터 형성단계에서 적외선 필터의 두께를 다른 칼라필터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칼라필터층 형성단계(S500)에서는 일부가 식각된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제1포토다이오드, 제2포토다이오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제4포토다이오드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층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S600)에서는 상기 칼라필터층의 상부에 투명평탄화층을 형성한다.
상기 마이크로렌즈층 형성단계(S700)에서는 상기 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필터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마이크로렌즈, 제2마이크로렌즈, 제3마이크로렌즈 및 제4마이크로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층을 형성한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CMOS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은 광감지층 형성단계(S100), 금속 배선층 형성단계(S200), 절연층 형성단계(S300), 제1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S400), 제1투명평탄화층 제거단계(S500), 칼라필터층 형성단계(S600), 제2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S700) 및 마이크로렌즈층 형성단계(S800)를 구비한다.
상기 광감지층 형성단계(S100) 내지 절연층 형성단계(S300), 칼라필터층 형성단계(S600) 내지 마이크로렌즈층 형성단계(S800)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S400)에서는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제1투명평탄화층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 제거단계(S500)에서는 칼라필터를 형성하기 이전에 칼라필터의 필터링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각각의 영역에 대해 상기 1투명평탄화층의 일부를 제거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단위화소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의 제1투명평탄화층을 제거하여 단차를 줌으로써 이후 칼라필터 형성단계에서 적외선 필터의 두께를 다른 칼라필터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단위화소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의 제1투명평탄화층의 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층의 일부까지 식각하여 단차를 줌으로써 이후 칼라필터 형성단계에서 적외선 필터의 두께를 다른 칼라필터의 두께보다 더욱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단위화소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의 1투명평탄화층을 제거하여 단차를 주고, 이후의 칼라필터 형성단계에서 적외선 필터의 두께를 다른 칼라필터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며, 제2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에서 적외선 필터를 제외한 다른 칼라필터 영역의 상부에 제2투명평탄화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외선 필터의 두께를 다른 칼라필터의 두께보다 더욱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며, 제1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1포토다이오드, 제1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2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2포토다이오드, 제2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3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적외선 영역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4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감지층;
    상기 광감지층의 상부에 형성된 배선층;
    상기 배선층의 상부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1투명평탄화층;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 제2포토다이오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제4포토다이오드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층;
    상기 칼라필터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2투명평탄화층; 및
    상기 제2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필터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마이크로렌즈, 제2마이크로렌즈, 제3마이크로렌즈 및 제4마이크로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층;을 구비하되,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에 각각 대응되는 영역의 제1투명평탄화층이 서로 단차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가 서로 두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CMOS 이미지 센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의 두께는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및 제3칼라필터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CMOS 이미지 센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라, 제2칼라 및 제3칼라는
    각각 블루칼라, 그린칼라 및 레드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CMOS 이미지 센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라, 제2칼라 및 제3칼라는
    각각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및 옐로우(Yello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CMOS 이미지 센서.
  10. 삭제
  11. 반도체 기판에, 제1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1포토다이오드, 제1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2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2포토다이오드, 제2칼라 보다 긴 파장의 제3칼라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적외선 영역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4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감지층을 형성하는 광감지층 형성단계;
    상기 광감지층의 상부에 금속 배선층을 형성하는 금속 배선층 형성단계;
    상기 금속 배선층의 상부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절연층 형성단계;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제1투명평탄화층을 형성하는 제1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1투명평탄화층 제거단계;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 제2포토다이오드, 제3포토다이오드 및 제4포토다이오드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칼라필터층을 형성하는 칼라필터층 형성단계;
    상기 칼라필터층의 상부에 제2투명평탄화층을 형성하는 제2투명평탄화층 형성단계;
    상기 제2투명평탄화층의 상부에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마이크로렌즈, 제2마이크로렌즈, 제3마이크로렌즈 및 제4마이크로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층을 형성하는 마이크로렌즈층 형성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 제거단계는,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가 형성되는 영역의 상기 절연층 및 제1투명평탄화층의 제거 깊이를 각각 달리하여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 및 적외선 필터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평탄화층 제거단계는,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제3칼라필터가 형성되는 영역의 제1투명평탄화층보다 상기 적외선 필터가 형성되는 영역의 제1투명평탄화층의 제거 깊이를 깊게 하여 각각의 제1투명평탄화층에 대해 단차를 달리 형성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필터의 두께가 상기 제1칼라필터, 제2칼라필터 및 제3칼라필터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하는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7. 삭제
KR1020120139416A 2012-12-04 2012-12-04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4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16A KR101444263B1 (ko) 2012-12-04 2012-12-04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201380063333.2A CN104871527B (zh) 2012-12-04 2013-11-15 包括具有提高的光谱特性的红外像素的cmos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PCT/KR2013/010396 WO2014088238A1 (ko) 2012-12-04 2013-11-15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4/649,710 US9484377B2 (en) 2012-12-04 2013-11-15 CMOS image sensor including infrared pixels having improved spectr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16A KR101444263B1 (ko) 2012-12-04 2012-12-04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407A KR20140072407A (ko) 2014-06-13
KR101444263B1 true KR101444263B1 (ko) 2014-09-30

Family

ID=508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416A KR101444263B1 (ko) 2012-12-04 2012-12-04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4377B2 (ko)
KR (1) KR101444263B1 (ko)
CN (1) CN104871527B (ko)
WO (1) WO2014088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3343B2 (en) * 2013-11-29 2017-01-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chanisms for forming image sensor device
US20170237911A1 (en) * 2014-11-06 2017-08-17 Siliconfile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having improved spectral characteristics
TW201628179A (zh) * 2015-01-21 2016-08-01 Jsr 股份有限公司 固體攝像裝置及紅外線吸收性組成物
TWI675907B (zh) 2015-01-21 2019-11-01 日商Jsr股份有限公司 固體攝像裝置
US9608027B2 (en) * 2015-02-17 2017-03-28 Omnivision Technologies, Inc. Stacked embedded SPAD image sensor for attached 3D information
US9696470B2 (en) * 2015-03-04 2017-07-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nsing images and light sources via visible light filters
KR102394977B1 (ko) * 2015-04-15 2022-05-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센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10515991B2 (en) * 2015-04-17 2019-12-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609239B2 (en) * 2015-08-20 2017-03-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nfrared image sensor
CN106878690A (zh) * 2015-12-14 2017-06-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图像传感器的成像方法、成像装置和电子设备
CN106024817B (zh) * 2016-05-24 2019-05-07 苏州智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图像传感器及其制作方法
KR102294845B1 (ko) 2016-08-02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필터, 광학 디바이스, 및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WO2018026156A1 (ko) * 2016-08-02 2018-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필터, 광학 디바이스, 및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WO2018043926A1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광학디바이스
KR102255789B1 (ko) 2016-08-30 202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광학디바이스
US10714530B2 (en) 2016-09-10 2020-07-14 Himax Technologies Limited Image sensor
US10760953B2 (en) * 2016-12-08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having beam splitter
KR102604687B1 (ko) 2017-02-01 202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10154207B2 (en) * 2017-02-07 2018-12-11 Sensors Unlimited, Inc. Event-triggered imaging pixels
US10211242B2 (en) 2017-02-28 2019-02-19 Himax Technologies Limited Image sensor
US10600833B2 (en) 2017-03-01 2020-03-24 Himax Technologies Limited Image sensor
KR102357513B1 (ko) 2017-03-21 2022-02-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TWI622166B (zh) * 2017-03-22 2018-04-21 奇景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感測器
TWI612344B (zh) * 2017-03-22 2018-01-21 奇景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感測器
CN108666329A (zh) * 2017-04-01 2018-10-16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感测器
KR20190018319A (ko) 2017-08-14 2019-02-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점층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126695B1 (ko) * 2020-01-20 2020-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점층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CN111584673A (zh) * 2020-05-22 2020-08-25 成都天马微电子有限公司 传感器、传感器的制造方法及电子设备
US11961854B2 (en) * 2020-12-29 2024-04-16 Sywe Neng Lee Semiconductor device
CN113747025A (zh) * 2021-09-14 2021-1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感光芯片、摄像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0701A (ja) * 2005-01-28 2006-08-10 Sanyo Electric Co Ltd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1477B1 (ko) * 2006-12-27 2008-04-1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6519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11077410A (ja) * 2009-09-30 2011-04-14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0604A (zh) * 2005-02-17 2008-05-14 蒙哥耐特 通过计算机网络传输协议传送文档的数字化表示的方法和系统
US8274715B2 (en) * 2005-07-28 2012-09-25 Omnivision Technologies, Inc. Processing color and panchromatic pixels
KR100738257B1 (ko) * 2006-01-03 2007-07-12 (주)실리콘화일 컬러필터가 형성된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0701A (ja) * 2005-01-28 2006-08-10 Sanyo Electric Co Ltd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1477B1 (ko) * 2006-12-27 2008-04-1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6519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11077410A (ja) * 2009-09-30 2011-04-14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71527A (zh) 2015-08-26
US9484377B2 (en) 2016-11-01
US20150311239A1 (en) 2015-10-29
KR20140072407A (ko) 2014-06-13
CN104871527B (zh) 2018-03-20
WO2014088238A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263B1 (ko) 분광특성이 강화된 적외선 픽셀을 구비한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658930B1 (ko) 칼라별 초점 거리 조절이 가능한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994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2964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59658A1 (en)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504681B2 (en)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WO2012004934A1 (ja) 固体撮像装置
JP2007181209A (ja) 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75898A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54044A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649313B1 (ko) 이미지 센서
KR20060010899A (ko) 칼라필터를 제거한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91549A1 (en) Formation of embedded micro-lens
KR100723457B1 (ko) 반도체 소자
KR20140029933A (ko) 렌즈리스 이미지 센서
KR102097440B1 (ko) 렌즈형 컬러필터를 구비한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5260067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KR20010061078A (ko) 정확한 컬러이미지 구현을 위한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KR20180106638A (ko) 이미지 센서
KR20070023418A (ko) 집광 효율을 증가시킨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3748A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11243785A (ja) 固体撮像素子
KR101302105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20220328553A1 (en) Image sensor
KR20060062461A (ko) 적외선 필터가 내장된 이미지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