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74B1 -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74B1
KR101443874B1 KR1020117029084A KR20117029084A KR101443874B1 KR 101443874 B1 KR101443874 B1 KR 101443874B1 KR 1020117029084 A KR1020117029084 A KR 1020117029084A KR 20117029084 A KR20117029084 A KR 20117029084A KR 101443874 B1 KR101443874 B1 KR 10144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s
carrier
downlink
power control
control comm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067A (ko
Inventor
제레나 엠. 담자노빅
주안 몬토조
나가 부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349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438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1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재된 장치 및 방법들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특허출원은 2009년 5월 4일 출원되고,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되는 발명의 명칭이 "UPLINK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OPERATION"인 가출원 제61/175,405호에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영상, 패킷 데이터, 메시징, 방송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구축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리소스들(예컨대,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 시스템들일 수 있다. 그러한 다중-접속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및 단일-캐리어 FDMA(SC-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방송파들이 존재하는 통신 시스템들에서,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들을 위한 전력 제어를 규정하는 어떠한 규칙들이 정의되어야 한다. LTE 릴리즈 8에서는 하나의 다운링크와 페어링되는 단 하나의 업링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업링크 전력 제어가 상기 하나의 업링크 캐리어 상에서의 채널들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는 반면, 그러한 솔루션은 다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을 갖는 멀티캐리어 시스템들(예컨대, LTE-Advanced)에 적용불가하다.
따라서, 멀티캐리어 시스템들에서 다수의 업링크들을 위한 업링크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수요가 당해 기술분야에 존재한다.
다음은 하나 이상의 발명의 내용들의 기본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그러한 양상의 간략화된 발명의 내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용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의 광범위한 개괄이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주요 또는 중요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서두로서 간소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장치는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또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중에서 전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중에서 전력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장치는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를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중에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중에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관련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이후에 완전히 기재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언급되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된 도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어떠한 예시적 특징들을 상세히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채택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든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양상들은 개시된 양상들을 제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도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후에 기술될 것이며, 유사한 명칭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고, 여기서: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양상들을 나타낸다;
도 2는 기지국과 액세스 단말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 양상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리소스 블록과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는 리소스 그리드 및 무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실현하는 멀티캐리어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앵커 캐리어와의 업링크/다운링크 페어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실현하는 액세스 단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실현하는 예시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액세스 단말 관점으로부터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기지국 관점으로부터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실현하는 예시 시스템의 도시이다; 그리고
도 12는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실현하는 예시 시스템의 도시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될 것이다. 이하의 기술에서, 설명 목적들을 위해, 다양한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이용되는 바로서,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컴퓨터-관련 엔티티를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처리기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처리기, 객체, 실행가능,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로서, 컴퓨팅 장치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컴퓨팅 장치 모두가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되거나 그리고/또는 둘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곳에 저장되는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은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 내의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에 따라서와 같이, 및/또는 상기 신호로써 다른 시스템들과 함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로써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이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는, 단말에 관련하여 여기에 기술된다. 또한 단말은 시스템, 장치, 가입자 유닛, 가입자 국, 이동국, 모바일, 모바일 장치,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비, 또는 사용자 장치(UE)로 호칭될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셀룰러 전화, 위성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국,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양상들에 기지국에 관련하여 여기에 기술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evolved 노드 B(eNB), 또는 어떠한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 이라기보다는 포함적 "또는"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달리 특정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다면, 절 "X는 A 또는 B를 채택한다"는 임의의 자연스러운 포함적 치환들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절 "X는 A 또는 B를 채택한다"는 다음의 예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충족된다: X는 A를 채택한다; X는 B를 채택한다; 또는 X는 A 및 B 모두를 채택한다. 추가로,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이용되는 바로서 관사들 "a" 및 "an"은 단수형으로 지향되는 것으로 문맥으로부터 명확하거나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에 기재된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된다. CDMA 시스템은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추가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망라한다. TDMA 시스템은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Evolved UTRA (E-UTRA), Ultra Mobile Broadband (UMB),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의 일부이다. 3GPP Long Term Evolution (LTE)는 다운링크 상에서 OFDMA를 그리고 업링크 상에서 SC-FDMA를 채택하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릴리즈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으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술된다. 추가로, cdma2000 및 UMB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술된다. 나아가, 그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페어링되지 않은 비면허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블루투스 및 임의의 다른 단-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종종 이용하는 피어-투-피어(예컨대, 모바일-투-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이 다수의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의 관점에서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 및 유념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식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주제 기재에 있어, 용어 "예시적"은 예, 보기,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된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반드시 다른 양상들 또는 설계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용어 예시적인의 이용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개념들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3GPP LTE E-UTRA 시스템일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기지국들(110) 및 3GPP에 의해 기술되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는 고정국일 수 있다. 각 기지국(110)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기지국의 전체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예컨대, 3 개의) 더 작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더 작은 영역은 각각의 기지국 서브시스템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기지국 및/또는 본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의 최소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GW)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들의 세트에 커플링되고 이러한 기지국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S-GW는 패킷 데이터, 보이스-오버-인터넷 프로토콜(VoIP), 비디오, 메시징 등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MME는 핸드오버에서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경로 스위칭을 담당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30)는 코어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에 커플링할 수 있으며 코어/데이터 네트워크에 커플링되는 다른 엔티티들(예컨대, 원격 서버들 및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들(120)은 네트워크를 통틀어 산재할 수 있으며, 각 액세스 단말은 정주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액세스 단말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액세스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도 1에서, 두 개의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기지국과 액세스 단말 사이의 활성 통신을 나타낸다.
도 2는 기지국(204)과 액세스 단말(208) 사이의 업링크(212) 및 다운링크(214)를 포함하는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기지국(204)과 액세스 단말(208)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10)과 액세스 단말(120)과 대응할 수 있다. 업링크(212)는 액세스 단말(208)로부터 기지국(204)으로의 송신들을 지칭한다; 그리고 다운링크(214)는 기지국(204)으로부터 액세스 단말(208)로의 송신들을 지칭한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 양상들을 나타낸다. 기지국(204)과 액세스 단말(208) 모두가, 도 3에 도시된 프로토콜 스택(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은 물리 계층(PHY)(316), 매체 접근 제어(MAC)(318), 및 상위 계층들(320)을 포함할 수 있다.
MAC 계층(318)은 데이터를 상위 계층들(320)로부터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322)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MAC 계층(318)은 논리 채널들(322)과 전송 채널들(324) 간의 매핑, 전송 채널들(324)에 대한 전송 블록들로/로부터의 논리 채널들(322)에 대한 다양한 PDU들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에러 정정, 트래픽 볼륨 측정 보고, 액세스 단말의 논리 채널들(322) 간의 우선순위 처리, 동적 스케쥴링을 통한 액세스 단말들 간의 우선순위 처리, 전송 포맷 선택, 패딩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물리 계층(316)은 다수의 물리 제어 채널들(326)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204)은 본 제어 채널들의 세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리 채널(316)은 물리 채널들(326)을 통해 데이터 전송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신호 전송들을 위한 일부 물리 채널들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 하이브리드 ARQ 지시자 채널(PHICH), 및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일 수 있다. 업링크 신호 전송들을 위한 물리 채널들 중 일부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일 수 있다.
시스템(100)은 다운링크에 대해 직교 OFDMA를 업링크에 대해 SC-FDMA를 이용할 수 있다. OFDM에 근간을 이루는 기본 아이디어는 수개의 서브캐리어들로의 가용 주파수 스펙트럼의 분할이다. 높은 스펙트럼 효율성을 얻기 위해,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응답들은 중첩되며 직교한다. 시스템(100)에서, OFDMA 다운링크 전송들 및 업링크 전송들은 10 ms의 듀레이션을 갖는 무선 프레임들로 구조화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D)(인출 및 복귀 신호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주파수-분할 다중화의 적용) 및 시 분할 다중화(TDD)(인출 및 복귀 신호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시-분할 다중화의 적용) 모두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10 ms 길이이며, 0 내지 19로 넘버링되는, 0.5 ms의 20개의 슬롯들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은 두 개의 연속적인 슬롯들로서 정의되며 여기서 서브프레임 i는 슬롯들 2i와 2i+1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은 전송 시간 간격(TTI)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FDD에 대해, 각각의 10 ms 인터벌에서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운링크 전송에 이용가능하고 10 개의 서브프레임들이 업링크 전송들에 이용가능하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분리된다. TDD에 대해,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전송에 할당된다. 서브프레임 0과 서브프레임 5는 항상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각 슬롯의 신호는, 다운링크를 위한 OFDM 심볼들이거나 업링크를 위한 SC-FDMA 심볼들일 수 있는, NSC RB개의 서브캐리어들 및 NSYMB 개의 심볼들의 리소스 그리드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기지국(110)으로부터의 다중-안테나 전송의 경우, 안테나 포트 당 정의되는 하나의 리소스 그리드가 존재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는 셀 내에서 고유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DLR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안테나 포트(p)에 대한 리소스 그리드 내의 각 엘리먼트는 리소스 엘리먼트로 호칭될 수 있으며 인덱스 쌍(k,l)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되고 여기서 k 및 l은, 각각, 주파수 및 시간 영역들에서의 인덱스들이다. 하나, 둘, 넷, 또는 더 많은 안테나 포트들이 지원될 수 있다.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의 NSYMB 개의 연속적인 심볼들 및 주파수 영역 내의 NSC RB개(예컨대, 12)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리소스 블록은 NSYMB x NSC RB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구성된다.
시스템(100)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비-실-시간(NRT) 데이터 또는 실-시간(RT) 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다. NRT 데이터의 예들은 액세스 단말에 의한 웹 브라우징 또는 액세스 단말로의 텍스트-메시징 동안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반면, RT 데이터의 예는 액세스 단말들 간의 음성 통신이다.
데이터 패킷들(NRT 및 RT 모두)은 PDSCH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액세스 단말들로 전송된다. 다양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들이 PDSCH 상에서 지원된다. 변조 방식들은 직교 위상-편이 변조(QPSK) 및 16-QAM과 64-QAM과 같은, 직교 진폭 변조(QAM)를 포함한다. 에러 정정에 이용되는, 다양한 코딩 레이트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변조 방식들 및 코딩 레이트들의 조합은 큰 수(예컨대, 30개)의 가능한 MCS들을 가져올 수 있다.
LTE 기반 시스템들(예컨대, 3GPP 릴리즈 8)에서, 업링크 전력 제어는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및 폐쇄 루프 전력 제어의 조합일 수 있다. 개방 루프 전력 제어로써, 액세스 단말은 다운링크 경로 손실을 추정하여 전력 제어를 실현한다. 폐쇄 루프를 이용하여, 기지국은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통해 업링크 송신 전력을 명백히 제어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가 없는 경우 전송 및 전력 제어 시그널링이 PUCCH 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의 존재 시 제어 시그널링은 PUSCH 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도 5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촉진하는 멀티캐리어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캐리어 시스템(500)은 기지국(502)과 액세스 단말(504) 사이에 UL C1(506), UL C2(508) 및 다운링크 캐리어들 DL C1(510), DL C2(512), DL C3(514)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502) 및 액세스 단말(504)은 도 1의 기지국(110) 및 액세스 단말(120)에 대응할 수 있다. 시스템(500)은 업링크 캐리어(506, 508)의 개수가 다운링크 캐리어들(510, 512, 514)의 개수와 같지 않다는 관점에서 비대칭적인 것으로 도시된다. 단 두 개의 업링크 캐리어들 및 세 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이 도시될지라도, 시스템(500)은 임의의 개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500)은 동일한 개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들을 갖는 대칭 시스템일 수도 있다.
시스템(500)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캐리어들 간의 캐리어 페어링(pairing)을 지원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페어링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및 하나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들 사이에서일 수 있다. 일 구성으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캐리어들의 페어링 그룹이 적어도 세개의 캐리어들을 포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가 복수의 업링크 캐리어들과 페어링되거나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캐리어들과 페어링된다.
시스템(500)은 기지국(502)과 유사한 임의의 개수의 개별 기지국들 및/또는 액세스 단말(504)과 유사한 임의의 개수의 개별 액세스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시스템(500)은 LTE-A 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그러나, 청구되는 사항은 그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
멀티캐리어 동작들을 실현하기 위해, 시스템(500)은 캐리어 별로 전력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캐리어 별 전력 제어는 간섭 관리 목적들을 위한 유연성과 더불어 개별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동작들을 가능하게 한다.
일 양상으로, 액세스 단말(504)은 PUSCH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서브프레임 i 내의, 캐리어 인덱스 k로 지시되는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해, dBm 단위의, 전송 전력 PPUSCH(i,k)는 다음의 등식(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096465073-pct00001
본 설명에 따르면, 모든 컴포넌트들은, 캐리어 인덱스 k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업링크 캐리어 별로 정의된다. 등식(1)에서, PMAX는 상위 계층들에서(예컨대, 시스템 정보 블록들(SIB)에서) 구성되는 바와 같이,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MPUSCH(i,k)는 서브프레임 i에 대해 유효한 다수의 리소스 블록들에서 표현되는 PUSCH 리소스 할당의 대역폭이다. PO _ PUSCH(j,k)는 8-비트 셀 특정적 공칭 컴포넌트 및 4-비트 액세스 단말 특정적 컴포넌트의 합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이며, j=0 및 j=1 모두에 대해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된다. α(j,k)는 전력 제어 결정에서의 경로 손실 추정들의 효과를 감안하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되는 3-비트 셀 특정적 파라미터이다. PL(k)는 액세스 단말에서 계산되는 다운링크 경로 손실 추정이다. 일례로, 상기 경로 손실 추정은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신호 전력과 상위 계층 필터링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간의 차이에 기초한다. ΔTF(i,k)는 정보의 특정한 전송 포맷 및/또는 특정한 변조 및 코딩 방식에 특정한 전력 오프셋이다. ΔTF(i,k)는
Figure 112011096465073-pct00002
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K S 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제공되는 액세스 단말에 특정한 파라미터인, deltaMCS - Enabled에 의해 주어지며, 여기서 MPR=TBS/N RE 이고, TBS는 전송 블록 크기이고 N RE 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개수이다. 파라미터 f(i,k)는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전력 제어 조정 상태(state)이고 전송 전력 제어(TPC) 커맨드로서 지칭되는 액세스 단말 정정 값인, δPUSCH에 의해 결정된다. δPUSCH는 PDCCH 또는 PDS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액세스 단말로 전송되는 TPC 정보이다.
일 양상으로, 액세스 단말(504)은 PUCCH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례에 따르면, 캐리어 인덱스 k에 의해 지시되는,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의 PUCCH를 통한 업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전력 PPUCCH(i,k)는 다음의 등식(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096465073-pct00003
본 예시에 따르면, 모든 컴포넌트들은 캐리어 인덱스 k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단위 캐리어 별로 정의된다. 각각의 PUCCH 전송 포맷(TF)에 관련한 ΔF_PUCCH(TF,k)가 RRC에 의해 제공된다. P0 _ PUCCH ,k는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5-비트 셀 특정적 파라미터와 RRC에 의해 주어지는 액세스 단말 특정적 컴포넌트의 합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이다. g(i,k)는 또한 TPC 커맨드인, δPUCCH에 의해 결정되는 인자이다. δPUCCH는 PDCCH 또는 PDS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액세스 단말로 전송되는 TPC 정보이다.
전력 제어 커맨드들(예컨대, TPC)은 기지국(502)에 의해 발생되고 시그널링될 수 있다. PUSCH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업링크 그랜트(grant)들에 포함될 수 있는 반면, PUCCH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다운링크 그랜트들에서 전달될 수 있다. 추가로, 기지국(502)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활용하는 액세스 단말들의 그룹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전달할 수 있다. DCI 포맷들 3 및 3A가, 각각, 각 캐리어에 대한 2-비트 또는 1-비트 전력 조정들과 함께 PUCCH 및 PUSCH에 이용될 수 있다. 멀티캐리어 시스템(500)에서, 멀티캐리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그랜트들은 모든 구성된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액세스 단말 TPC 커맨드들을 반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502)에 의해 임의의 다운링크 캐리어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504)은 멀티캐리어 그랜트들에 대해 하나 또는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예컨대, 앵커 캐리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기지국(502)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액세스 단말에게 가능한 그랜트들에 대해 어느 다운링크 캐리어들을 모니터링할 것인지를 통지할 수 있다.
도 6은 시스템(500)에 대한 다운링크/업링크 캐리어 페어링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L C1(506)은 DL C1(510)과 페어링될 수 있고(실선 화살표(602)로 도시됨), UL C2(508)는 DL C2(512) 및 DL C3(514)와 페어링될 수 있다(실선 화살표들(604, 406)로 도시됨). UL C1(506)은 DL C1(510)에 대한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UL C2(508)는 DL C2(512) 및 DL C3(514)에 대한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업링크 제어 정보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DL C1은 UL C1(506)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DL C2(512) 및 DL C3(514)는 UL C2(508)에 대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업링크 HARQ 피드백과 함께, 업링크 그랜트들, 다운링크 그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페어링은 기지국(502)에 의해 결정되는 바에 따라 준-정적 또는 동적일 수 있다. 준-정적 페어링을 위해, 기지국(502)은 모든 액세스 단말들(504, 120)에게 SIB에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상기 페어링을 통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은 각각의 액세스 단말(504, 120)에게 RRC 접속 셋업 메시지에서의 RRC 시그널링을 통한 전용 시그널링으로써 상기 페어링을 통지할 수 있다. 동적 페어링을 위해, 기지국(110)은 액세스 단말들(120)에게 그랜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MA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페어링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캐리어는 임의의 지정된 앵커 캐리어들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를 수 있다. 앵커 캐리어가 시스템 내에 존재한다면, 제어 정보는 대응하는 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상기 앵커 캐리어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상기 캐리어들이 상기 페어링 외부일지라도). 예를 들어, DL C1(510)이 다운링크 캐리어들(510, 512, 514)에 대한 앵커 캐리어로서 지정될 수 있고, UL C1(506)은 업링크 캐리어들(506, 508)에 대한 앵커 캐리어로서 지정될 수 있다면, UL C1(506)은 다운링크 캐리어들(510, 512, 514)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것이고 DL C1(510)은 업링크 캐리어들(506, 508)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앵커 캐리어들이 업링크 캐리어들 및 다운링커 캐리어들 각각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502)은 액세스 단말들(504, 120)에게 SIB에서 또는 RRC 시그널링과 같은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앵커 캐리어를 통지할 수 있다. 기지국(502)은 액세스 단말들(504, 120)에게 SIB들에서 업링크/다운링크 페어링 및 임의의 앵커 캐리어들을 통지한다. 상기 SIB들은 캐리어 위치들(즉, 캐리어 중심 주파수들), 캐리어 대역폭들, 캐리어 지정(업링크/다운링크), 캐리어 페어링, 및 앵커 캐리어 정보를, 어느 특정한 캐리어 및 리소스들 상에서 TPC 커맨드들을 반송하는 업링크/다운링크 그랜트들을 예상할 것인지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으로, 제어 정보 중 일부는 앵커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다른 제어 정보는 페어링된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한 플래그(flag)를 통해 업링크 TPC 커맨드가 페어링된 다운링크 캐리어 또는 지정된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 상으로 전송될 것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지국(502)은 액세스 단말(504)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 헤드룸(headroom) 리포트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전력 헤드룸 리포트는 액세스 단말(504)에 가용한 최대 전송 전력과 캐리어(또는 모든 캐리어들의 총합)에 활용될 전송 전력 간의 차이를 지시한다. 이 방식으로, 기지국(502)은 액세스 단말(504)의 전력 제한들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502)은 전력 제어 커맨드들의 생성을 촉진하고 그리고/또는 스케쥴링 결정들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502)은 액세스 단말(504)이 캐리어들을 지원할 수 없을 때 다수의 캐리어들 상에서 액세스 단말(504)이 스케쥴링되지 않아야 하는 상황들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기지국(502)은 오버로드 지시자들을 채택할 수 있다. 캐리어 별 오버로드 지시자는 캐리어들이 균일하게 로딩 및 공유되지 않는 경우들에 있어서 더 나은 제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 캐리어 구성의 경우,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 하나 또는 복수가 오버로드 지시자를 반송할 것인지 여부는 캐리어 비대칭성의 종류에 따른다. 업링크 캐리어들의 개수가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보다 크다면, 단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가 업링크/다운링크 캐리어 페어링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업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오버로드 지시자를 반송할 것이다. 반면, 업링크 캐리어들의 수가 다운링크 캐리어들의 수보다 적다면, 둘 이상의 다운링크 캐리어가 업링크/다운링크 페어링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업링크에 대한 오버로드 지시자를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오버로드 지시자들은 업링크/다운링크 캐리어 페어링을 불문하고 앵커 캐리어들 상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으로, 액세스 단말(504)은 각각의 업링크 캐리어에 대한 업링크 전송 전력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액세스 단말(504)은 다수의 캐리어들에 걸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504)은 필요한 전력이 캐리어들의 중요성에 따라 제공되도록 캐리어들을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다. 일례로, 앵커 캐리어들은 다른 캐리어들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요구되는 전력을 먼저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최고 우선순위 데이터를 반송하는 업링크 캐리어들은 다른 캐리어들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요구되는 전력을 먼저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리어 우선순위를 지시하는 우선순위 매김 목록은 기지국(502)에 의해 액세스 단말(504)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504)은 캐리어들 간에 균일하게 전력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추가로, 기지국(502) 및/또는 액세스 단말(504)은 임의의 주어진 캐리어 상에서, PUSCH 전력 요구사항들에 앞서 PUCCH 전력 요구들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정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높은 우선순위 캐리어의 PUSCH 상으로 전송된다면, 기지국(502) 및/또는 액세스 단말(504)은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캐리어들의 PUCCH 전력 요구들에 앞서 높은 우선순위 캐리어 상으로 그러한 PUSCH 전력 요구들을 수용할 것이다.
도 7은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실현하는 액세스 단말의 예시이다. 액세스 단말(700)은 도 1에 도시된 액세스 단말들(120)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70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들(미도시)로부터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에 전형적인 동작들(예컨대,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등)을 수행하고, 컨디셔닝된 신호들을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하는 수신기(70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702)는 여기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각 신호들로부터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하고 그들을 채널 추정을 위해 처리기(706)에 제공하는 복수의 복조기들(704)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기(706)는 수신기(7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 및/또는 송신기(716)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발생시키는데 전용되는 처리기, 액세스 단말(7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처리기, 및/또는 상기 수신기(7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송신기(716)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액세스 단말(7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처리기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700)은 처리기(706)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며 송신될( 데이터(예컨대, 높은 우선순위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가용 채널들에 관련된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에 관련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rate) 등에 관련된 정보, 및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채널을 통한 통신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70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8)는 채널을 추정 및/또는 활용하는데 관련되는 프로토콜 및/또는 알고리듬들(예컨대,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데이터 스토어(예컨대, 메모리(708))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써,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장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써,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DRAM(SDRAM), double data rate SDRAM(DDR SDRAM), 인핸스드 SDRAM(ESDRAM), Synchlink DRAM(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들로 이용가능하다. 당해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708)는, 제한없이, 이러한 그리고 임의의 다른 적절한 종류의 메모리를 포괄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신기(702)는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캐리어들 간에 전력을 분배함으로써 복수의 업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업링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710)에 추가로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추가로 제어기는 전력 제어 커맨드들의 획득 및 메모리(708) 내에서의 저장을 제어하고, 도 1을 참조로 논의된 바와 같이, 처리기(706)를 통한 송신기(714)와의 인터페이싱으로써 기지국과의 통신들을 감독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700)은 신호들을 변조하고, 예를 들어, 기지국, 웹/인터넷 액세스 포인트 명(APN), 및 다른 액세스 단말 등으로 송신기(714)를 통해 전송하는 변조기(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기(706)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될지라도, 제어기(710), 복조기(704), 및/또는 변조기(712)는 처리기(706) 또는 다수의 처리기들(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또한, 제어기(710)의 기능들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 스택, HTTP 스택 내에서, 운영 체제(OS) 레벨에서, 인터넷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내에,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내에서 통합될 수 있다.
도 8은 비대칭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을 제어하는 시스템(800)의 도시이다. 시스템(800)은 신호(들)를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804)로부터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806)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기(81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804)로 송신 안테나(808)를 통해 전송하는 송신기(824)를 갖는 기지국(802)(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펨토셀 등)을 포함한다. 수신기(810)는 정보를 수신 안테나들(806)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812)와 동작가능하게 관련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기지국(808)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호(예컨대, 파일럿) 강도 및/또는 간섭 강도를 추정하는데 관련되는 정보, 모바일 장치(들)(804)(또는 별도의 기지국(미도시))으로 송신되거나 모바일 장치(들)(804)(또는 별도의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될 데이터, 및/또는 여기에 제시되는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관련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816)에 커플링되는 처리기(814)에 의해 분석된다. 처리기(814)는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발생시킴으로써 복수의 업링크 캐리어들 상에서의 업링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818)에 추가로 커플링된다. 처리기(814)와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될지라도, 제어기(818), 복조기(812), 및/또는 변조기(820)는 처리기(814) 또는 다수의 처리기들(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도 9는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프로세스는 시스템(100)의 액세스 단말들(1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902)에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디코딩될 수 있으며, 본 프로세스는 블록(904)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0)는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기지국(110)으로부터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 상에서 수신하고,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블록(904)에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전력은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분배될 수 있으며, 본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따라 복수의 캐리어들 사이에서 전력을 분배 및/또는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프로세스는 시스템(100)의 기지국(1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02)에서,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이 결정될 수 있으며, 본 프로세스는 블록(1004)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액세스 단말(120)로부터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하여, 상기 헤드룸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업링크 캐리어들에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1004)에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본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상기 액세스 단말(120)의 전력 요구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업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액세스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구현하는 예시 시스템(1100)의 도해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11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세스 단말 등의 내부에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100)은, 처리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컨대,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로서 표현된다. 시스템(1100)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수단의 논리 그룹핑(1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 그룹핑(1102)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1104); 및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1106)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100)은 상기 수단(1104 내지 1106)과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1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8)에 대해 외부인 것으로 도시되는 반면, 수단(1104 내지 1106) 중 하나 이상이 메모리(1108) 내부에 존재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도 12는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구현하는 예시 시스템(1200)의 도시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12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지국 등 내부에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200)이 처리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컨대, 펌웨어)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성 블록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표현됨에 유념하여야 한다. 시스템(1200)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수단의 논리적 그룹핑(12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 그룹핑(1202)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204);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1206)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시스템(1200)은 수단(1204 내지 1206)에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2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8)에 대해 외부인 것으로 도시되는 반면, 수단(1204 내지 1206) 중 하나 이상이 메모리(1208) 내부에 존재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된 다양한 도시적인 논리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처리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그들의 조합으로써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처리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처리기는 임의의 종래의 처리기,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기계일 수 있다. 또한 처리기는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전술한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여기에 개시되는 양상들에 관련하여 기재된 방법 또는 알고리듬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에 직접적으로, 처리기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착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처리기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처리기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저장 매체는 처리기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양상들에서, 상기 처리기 및 상기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ASIC은 사용자 단말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처리기 및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의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추가로, 방법 또는 알고리듬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통합될 수 있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의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의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일 이상의 양상들에서, 기재된 함수(function)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상기 함수들은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곳으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써, 그러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매체로 명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 섬유 케이블, 꼬임 쌍,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전송된다면, 상기 동축 케이블, 광 섬유 케이블, 꼬임 쌍,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바로서,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전술사항의 조합들도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사항이 예시적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논하는 한편,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기재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기에서 이뤄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기재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이 단수로 기재 또는 청구될 수 있을지라도,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진술되지 않는 한 복수가 고려된다. 추가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Claims (77)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캐리어(carrier)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command)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업링크 그랜트(grant)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으로서 전달하는 단계; 및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모니터링(monitoring)할 다운링크 캐리어의 표시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각각의 하나는, 각각,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하나의 캐리어 상에서의 전송을 위해 발생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캐리어는 다운링크 캐리어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overload)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캐리어와 페어링(pair)되는 다운링크 캐리어 상에서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캐리어 페어링과 관계없이 다운링크 앵커(anchor) 캐리어 상에서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사이에서의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기는(prioritize)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내의 다른 캐리어들보다 높은 캐리어 우선순위를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사이에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 우선순위는 제어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액세스 단말들의 전력 제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의 분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분배 스케쥴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전력 헤드룸(headroom) 리포트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발생시킬 때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측정들 및 전송 전력의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발생시킬 때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측정들 및 전송 전력의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8.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수단; 및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모니터링할 다운링크 캐리어의 표시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각각의 하나는, 각각,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것인,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것인,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하나의 캐리어 상에서의 전송을 위해 발생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캐리어는 다운링크 캐리어인,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업링크 캐리어와 페어링되는 다운링크 캐리어 상에서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캐리어 페어링에 관계없이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 상에서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내의 다른 캐리어들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장치.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 우선순위는 제어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장치.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액세스 단말들의 전력 제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의 분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1. 제 18 항에 있어서,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분배 스케쥴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전력 헤드룸 리포트인, 장치.
  3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발생시킬 때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측정들 및 전송 전력의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발생시킬 때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의 측정들 및 전송 전력의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5.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기 위한 코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코드; 및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모니터링할 다운링크 캐리어의 표시를 전달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발생시킬 때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에 대한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의 측정들 및 전송 전력의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7. 무선 통신 장치로서,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요구되는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고;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으로서 전달하고; 그리고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모니터링할 다운링크 캐리어의 표시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8. 무선 통신 장치로서: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적어도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의 일부분으로서 전달됨 ― ;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에 대해 모니터링할 다운링크 캐리어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간에 전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하나는, 각각,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한 것인, 무선 통신 장치.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것인, 무선 통신 장치.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하나의 캐리어 상에서의 전송을 위해 발생되는, 무선 통신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캐리어는 다운링크 캐리어인, 무선 통신 장치.
  43.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상기 업링크 캐리어와 페어링되는 다운링크 캐리어 상에서 수신하고,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디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디코딩된 오버로드 지시자에 따라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4.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캐리어 페어링과 관계없이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 상에서 수신하고,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디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디코딩된 오버로드 지시자에 따라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5.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에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내의 다른 캐리어들보다 높은 캐리어 우선순위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
  48.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에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기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 우선순위는 제어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장치.
  50.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자체적으로 우선순위 매기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51.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에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기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52.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적어도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의 일부분으로서 전달됨 ― ;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에 대해 모니터링할 다운링크 캐리어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간에 전력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하나는, 각각,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5.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하나의 캐리어 상에서의 전송을 위해 발생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캐리어는 다운링크 캐리어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7. 제 52 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상기 업링크 캐리어와 페어링되는 다운링크 캐리어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오버로드 지시자에 따라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8. 제 52 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캐리어 페어링에 관계없이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오버로드 지시자에 따라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9.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에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내의 다른 캐리어들보다 높은 캐리어 우선순위를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1.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2.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3.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자체적으로 우선순위 매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4. 제 59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5.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적어도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의 일부분으로서 전달됨 ― ;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에 대해 모니터링할 다운링크 캐리어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간에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하나는, 각각,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하나에 대한 것인, 장치.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것인, 장치.
  68.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하나의 캐리어 상에서의 전송을 위해 발생되는, 장치.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캐리어는 다운링크 캐리어인, 장치.
  70. 제 65 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상기 업링크 캐리어와 페어링되는 다운링크 캐리어 상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디코딩된 오버로드 지시자에 따라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1. 제 65 항에 있어서,
    업링크 캐리어의 오버로드를 지시하는 오버로드 지시자를 캐리어 페어링에 관계없이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 상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오버로드 지시자를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디코딩된 오버로드 지시자에 따라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2.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기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3. 제 72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앵커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내의 다른 캐리어들보다 높은 캐리어 우선순위를 갖는, 장치.
  74.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장치.
  75.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각각의 하나의 채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우선순위 매기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간의 전력 분배를 자체적으로 우선순위 매기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7.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적어도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의 일부분으로서 전달됨 ― ;
    복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또는 다운링크 그랜트에 대해 모니터링할 다운링크 캐리어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 간에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117029084A 2009-05-04 2010-05-04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43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40509P 2009-05-04 2009-05-04
US61/175,405 2009-05-04
US12/772,902 US9585108B2 (en) 2009-05-04 2010-05-03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772,902 2010-05-03
PCT/US2010/033631 WO2010129616A1 (en) 2009-05-04 2010-05-04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67A KR20120011067A (ko) 2012-02-06
KR101443874B1 true KR101443874B1 (ko) 2014-09-24

Family

ID=4233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084A KR101443874B1 (ko) 2009-05-04 2010-05-04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9585108B2 (ko)
EP (1) EP2428078B1 (ko)
JP (1) JP5345731B2 (ko)
KR (1) KR101443874B1 (ko)
CN (1) CN102415169B (ko)
BR (1) BRPI1014106B1 (ko)
CA (2) CA2937205C (ko)
ES (1) ES2674280T3 (ko)
HK (1) HK1167555A1 (ko)
HU (1) HUE037156T2 (ko)
MY (1) MY159921A (ko)
RU (1) RU2509450C2 (ko)
TW (1) TWI468053B (ko)
WO (1) WO2010129616A1 (ko)
ZA (1) ZA2011083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810B1 (ko) 2008-12-03 2017-04-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캐리어 집적에 대한 업링크 파워 헤드룸 보고
US9585108B2 (en) 2009-05-0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46971A1 (ja) 2009-06-16 2010-12-23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9084206B2 (en) * 2009-06-23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69688B (zh) * 2009-07-28 2014-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处理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EP2484164B1 (en) 2009-10-01 2014-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AU2015202082B2 (en) * 2009-10-01 2017-02-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KR101716494B1 (ko) * 2009-11-14 201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011757A2 (ko) * 2010-07-21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CN103563272A (zh) * 2011-04-01 2014-02-05 英特尔公司 上行链路和下行链路比率配置的灵活调整
KR102263020B1 (ko) 2011-09-30 2021-06-0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의 다중점 송신
GB2502064B (en) * 2012-05-14 2014-04-09 Broadcom Corp Power control
US9794051B2 (en) 2012-10-08 2017-10-1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uplink and downlink power control for LTE TDD eIMTA
KR102010807B1 (ko) * 2012-12-06 2019-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US9276726B2 (en) * 2012-12-11 2016-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s/receptions of uplink acknowledgement signals in wireless networks
CN103929800B (zh) * 2013-01-11 2017-09-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pucch功率控制方法及装置
JP6244009B2 (ja) 2013-04-03 2017-12-0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累積された送信電力制御コマンドおよび対応するアップリンクサブフレームセットに基づいてアップリンク送信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236020B1 (ko) 2013-10-08 2021-04-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및 발견 신호 자원 다중화 방법 및 장치
JP6388780B2 (ja) * 2014-03-19 2018-09-1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60050667A1 (en) * 2014-08-18 2016-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on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FR3029384B1 (fr) * 2014-11-27 2018-01-26 Traxens Procede d'affiliation a une grappe de dispositifs electroniques communiquant via un reseau sans fil, dispositif electronique mettant en oeuvre ledit procede et systeme associes
US10887861B2 (en) * 2015-07-20 2021-0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harmoniz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delivery
JP2019125816A (ja) * 2016-05-12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US10849075B2 (en) 2016-09-01 2020-11-24 Cloudminds (Shenzhen) Robotics System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on of transmission power and terminal
US10530468B2 (en) * 2016-10-19 2020-01-07 Vector Launch Inc. State transfer among virtualized nodes in spaceborne or airborne systems
CN108401284A (zh) * 2017-02-06 2018-08-1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中的功率控制方法及用户设备
US10477484B2 (en) 2017-03-10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transmit power control for a plurality of uplink beam pairs
CN108632970B (zh) * 2017-03-24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终端和网络设备
WO2018171418A1 (zh) 2017-03-24 2018-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08632971A (zh) 2017-03-24 2018-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0463106A (zh) * 2017-03-31 2019-11-15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确定承载反馈信息的资源字段
CN109729577A (zh) * 2017-10-27 2019-05-0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非对称上行载波聚合的功率控制命令字指示方法及设备
PT3568924T (pt) * 2018-04-06 2021-07-21 Ericsson Telefon Ab L M Controlo de potência para comunicação de múltiplas entradas, múltiplas saídas de ligação ascendente de um único utilizador em nova rádio
US10476567B2 (en) 2018-04-06 2019-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for new radio uplink single-user multiple-input-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CN110972186B (zh) * 2018-09-28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功率余量上报方法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786A (ko) * 2003-08-19 2006-12-22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멀티캐리어 통신 장치,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 방법
KR20080014421A (ko) * 2006-08-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1989D0 (en) 1999-09-16 1999-11-1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367739A1 (de) 2002-05-29 2003-12-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endeleistungssteuerung in einem Multiträger-Funksystem
US7411930B2 (en) 2003-12-17 2008-08-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ed apportionment of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terminal
US20060203724A1 (en) 2005-03-08 2006-09-14 Donna Ghosh Multi-carrier, multi-flow, reverse link medium access control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8437792B2 (en) 2007-02-14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for LTE
JP5107337B2 (ja) 2007-02-28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及び方法
EP2198532B1 (en) 2007-09-24 2013-12-25 Nokia Corporation Tpc command signaling in dl control channel - identifying the target and limiting blind decoding
EP2198659B1 (en) 2007-10-09 2015-06-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uplink power control method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that supports both common and separate tpc commands
US8150443B2 (en) * 2007-10-31 2012-04-03 Nokia Siemens Networks Oy Overload indicator for adjusting open loop power control parameters
US20090175187A1 (en) * 2008-01-07 2009-07-09 Kristina Jersenius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 Transmission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100073976A (ko) * 2008-12-23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U2565030C2 (ru) * 2009-02-09 2015-10-10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использующего множество несущих
US8437798B2 (en) * 2009-04-27 2013-05-07 Motorola Mobility Llc Uplink scheduling support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585108B2 (en) 2009-05-0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786A (ko) * 2003-08-19 2006-12-22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멀티캐리어 통신 장치,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 방법
KR20080014421A (ko) * 2006-08-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74280T3 (es) 2018-06-28
WO2010129616A1 (en) 2010-11-11
CA2937205C (en) 2019-04-30
RU2509450C2 (ru) 2014-03-10
CA2759806C (en) 2016-10-04
CN102415169A (zh) 2012-04-11
CN102415169B (zh) 2016-04-27
US20190053168A1 (en) 2019-02-14
BRPI1014106B1 (pt) 2021-02-09
KR20120011067A (ko) 2012-02-06
TW201112821A (en) 2011-04-01
RU2011149229A (ru) 2013-06-10
TWI468053B (zh) 2015-01-01
US11259249B2 (en) 2022-02-22
CA2759806A1 (en) 2010-11-11
US10154463B2 (en) 2018-12-11
US9585108B2 (en) 2017-02-28
MY159921A (en) 2017-02-15
HK1167555A1 (zh) 2012-11-30
CA2937205A1 (en) 2010-11-11
HUE037156T2 (hu) 2018-08-28
JP5345731B2 (ja) 2013-11-20
BRPI1014106A2 (pt) 2018-03-06
EP2428078B1 (en) 2018-04-04
ZA201108355B (en) 2018-11-28
US20110111788A1 (en) 2011-05-12
US20170171826A1 (en) 2017-06-15
EP2428078A1 (en) 2012-03-14
JP2012526471A (ja)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2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12949B2 (en) Power control in new radio systems
US99364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via time-g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89049B1 (en) System and methods for fast power headroom reporting
ES2827218T3 (es) Identificación de esquemas de modulación y codificación e indicadores de calidad de canal
JP5302417B2 (ja) 伝送電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伝送電力を制御する装置
US8072918B2 (en) Network-based inter-cell power control for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JP502030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100640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multiple carrier system
WO2015184089A1 (en) Techniques for increasing load of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502041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移動局装置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