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01B1 - 다수의 sim 디바이스들에서의 단일 tx/rx 합성기 쌍의 동시 사용 - Google Patents

다수의 sim 디바이스들에서의 단일 tx/rx 합성기 쌍의 동시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01B1
KR101443801B1 KR1020120106250A KR20120106250A KR101443801B1 KR 101443801 B1 KR101443801 B1 KR 101443801B1 KR 1020120106250 A KR1020120106250 A KR 1020120106250A KR 20120106250 A KR20120106250 A KR 20120106250A KR 101443801 B1 KR101443801 B1 KR 101443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network connection
receive frequency
synthesizer
trans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498A (ko
Inventor
진-셍 수
자르코 타제브
세림 타시란
라미 메히오
Original Assignee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6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수신( RX) 합성기를 송신(TX) 합성기로부터 독립적으로 동조하는 기술은 다수의 SIM들을 갖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 2 SIM과 관련된 제 2 네트워크상에서 송신하는 동안, 제 1 SIM과 관련된 제 1 네트워크의 페이징 채널을 동시에 모니터링하도록 돕는다. RX 및 TX 합성기들을 독립적으로 동조함으로써, 각각의 SIM 카드는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서비스의 방해 없이 네트워크와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2번째 세트의 TX/RX 합성기 하드웨어에 대한 필요성 없이,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들에 대한 통신 세션들을 유지하는 향상된 능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수의 SIM 디바이스들에서의 단일 TX/RX 합성기 쌍의 동시 사용{CONCURRENT USE OF SINGLE TX/RX SYNTHESIZER PAIR IN MULTIPLE SIM DEVICES}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다음의 미국 가특허 출원들에 대한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대리인 사건일람 번호 14528.00045로 2011년 12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 61/569,621호;
대리인 사건일람 번호 14528.00425로 2012년 1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 61/587,521호;
대리인 사건일람 번호 14528.00460으로 2012년 2월 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 61/595,546호.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수의 가입자 식별 모듈들(Subscriber Identify Modules, SIMs)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SIM들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제1 SIM과 관련된 통신 네트워크와 제2 SIM에 관련된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송신(TX) 및 수신(RX) 합성기들의 동시 사용에 관한 것이다.
많은 고객들의 요구에 의해 전자 및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들의 광범위한 채택으로 이어졌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사용 증가 정도는 세계 인구의 80% 정도의 무선 가입자수가 전 세계에서 연결하고 있다는 몇 가지 추정의 관점에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다른 추정은 (단지 3가지 사례로서) 미국, 이탈리아, 및 영국은 해당 국가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보다 각 나라에서 사용하는 이동 전화가 더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
비교적 최근에, 휴대전화의 제조사들은 다수의 SIM 카드들을 포함하는 폰 디자인을 도입하고 있다. 각 SIM 카드는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로의 분리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SIM들은 폰 소유자에게 예를 들어 동일한 폰 하드웨어에 의해 처리되는 2개의 상이한 전화번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수의 SIM 접근 방식은 다른 물리적 폰(physical phone)들을 휴대하는 필요성을 어느 정도 경감시키고, 또한 다수의 SIM 디바이스들이 계속적으로 개선되어, 그러한 디바이스들이 소비자에 대해 매력적인 옵션이 되도록 한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1/0217969호(2011.09.08.)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법은: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송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단계; 및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은 페이징 채널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의 동조 단계는, 페이징 인디케이터(paging indicator)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상에서 예상되는 경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독립적으로 동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독립적으로 동조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상에서 예상되고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독립적으로 동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은 액티브 트래픽 채널 네트워크 연결(active traffic channel network connectio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송신 및 수신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을 만족하기 위해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동조하는 대신,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상기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되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송신 및 수신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을 만족하기 위해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와 고정적인 관계로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동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스템은: 송신 주파수 합성기 및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포함하는 라디오 주파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라디오 주파수 통신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시스템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로직은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상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을 포함하는,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송신 주파수로 동조하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대신,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와는 다른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은 페이징 채널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 로직은,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상에서 예상되는 경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와는 다른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 로직은,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상에서 예상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와는 다른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은 액티브 트래픽 채널 네트워크 연결(active traffic channel network connectio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는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 cotrolled oscillator)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 로직은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되는 때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되지 않을 때,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라디오 주파수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 주파수 합성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 및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통신하는 합성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주파수 제어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제어 로직은: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상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을 포함하는, SIM 네트워크 연결들에 대한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을 결정하고;
제2 SIM 네트워크 연결 페이징 이벤트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상에서 스케쥴링되는 때를 결정하며;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이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 페이징 이벤트 동안 능동적으로 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이에 응답해서: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와는 다른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제어 로직은 또한 프로세서가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 중 상기 송신 주파수에서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은 페이징 채널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은 액티브 트래픽 채널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주파수 제어 로직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 페이징 이벤트가 스케쥴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 중 상기 수신 주파수로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동조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 중 상기 송신 주파수와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쌍 중 상기 수신 주파수는 고정 주파수 오프셋에 의해 분리된다.
다음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기술을 보다 더 이해할 수 있다. 도면들 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상이한 도면들에서 대응하는 부분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다수의 SIM들을 갖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다수의 SIM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시스템 로직과 통신 인터페이스의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3은 TX 주파수와 그의 대응 RX 주파수 사이에서 고정 오프셋을 이용하는 경우 TX/RX 주파수 쌍들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SIM1 및 SIM2에 대해 단일 TX/RX 합성기 쌍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장치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 모두로 구현할 수 있는 주파수 제어 로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의 설명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장치는 아주 다양한 형태들과 기능들을 갖는다. 한 예로서, 사용자 장치는 무선 전화 통화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셀룰러 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전화 통화들의 송신 및 수신 이외에도, 범용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실제로, 사용자 장치는, 부가적인 예들로서, 자동차 내의 운전자 보조 모듈(driver assistance module), 비상 트랜스폰더(transponder), 페이저(pager), 위성 텔레비전 수신기, 네트워크된 스테레오 수신기, 컴퓨터 시스템, 음악 재생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실제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다음의 설명은 다수의(예컨대, 2개의) 가입자 식별 모듈들(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서의 단일 TX/RX 합성기 쌍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가입자 식별모듈들(SIM)(이 예에서는 SIM1(102) 및 SIM2(10 4))을 갖는 사용자 장치(100)의 한 예를 도시한다. 전기적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 106)는 SIM1(102)을 사용자 장치 하드웨어의 나머지, 예컨대, 시스템 버스(110), 에 연결한다. 유사하게, 상기 전기적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108)는 SIM2를 시스템 버스(110)에 연결한다.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2), 시스템 로직(11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를 포함한다. 시스템 로직(114)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다른 로직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 로직(114)은, 예컨대, 시스템 온 칩(SoC), 주문형 반도체(ASIC), 또는 다른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 로직(114)은 사용자 장치에서의 임의의 요망되는 기능의 구현의 일부이다. 이 점에서, 시스템 로직(114)은, 예컨대,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사용자 입력들의 수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 설정, 유지, 및 셀룰러 폰 통화들의 종료, 무선 네트워크 연결들, 블루투스 연결들, 또는 다른 연결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18)상에 관련 정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touch sensitive display), 음성 또는 안면 인식 입력들, 버튼들, 스위치들, 및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1개 이상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수신기들은 변조/복조회로, 코더들/디코더들, 파형 정형기(waveform shaper)들, 증폭기들, 아날로그-디지털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 및/또는 1개 이상의 안테나들 또는 물리적인(예컨대, 선로) 매체를 통한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다른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들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례로서, 통신 인터페이스(112) 및 시스템 로직(114)은, BCM28150 HSPA+ 시스템-온-칩(Soc) 기저대역 스마트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BCM2091 EDGE/HSPA Multi-Mode, Multi-Band Cellular Transceiver 및 BCM59056 advanced power management unit(PMU)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00)를 위한 다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현 옵션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집적회로들은 캘리포니아주 어빈(Irvine California)의 브로드컴(Broadcom)사(社)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송신 및 수신된 신호들은 포맷들, 프로토콜들, 변조들, 주파수 채널들, 비트 레이트들, 및 하나 이상의 SIM들과 연관된 페이징 통지들, 패킷 스위치드 연결들(예컨대, 데이터 세션들을 위한), 및 회로 스위치드 연결들(예컨대, 음성 세션들을 위한)과 같은 통신들을 현재에 또는 미래에 지원하는 인코딩들의 다양한 어레이 중 임의의 것에 충실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유니버셜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하의 송신 및 수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음에 설명된 기술들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GSM(R) 어소시에이션, 롱텀 에벌루션 (LTE)(TM) 에포츠(LTE efforts), 또는 다른 파트너쉽들이나 표준 제정기관들(standards bodies)들로부터 발생하든 아니든, 페이징을 포함하는 다른 통신기술들에 적용 가능하다.
네트워크와의 통신 유지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SIM1 네트워크(130)로의 네트워크 연결들을 설정(establish)할 수 있다. 예컨대, SIM1 네트워크(130)는 특정 서비스 공급자를 위한 셀(cell)을 생성 및 관리할 수도 있다. SIM1(102)은 예컨대 데이터 또는 음성 연결들을 위한 네트워크(130)를 탐색(discover)하고, 네트워크(130)에 등록하며, 및 네트워크(130)에 연결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SIM2 네트워크(132)로의 네트워크 연결들을 설정할 수 있다. SIM2 네트워크(132)는 예컨대, SIM1 네트워크(130)와 동일한 또는 다른 서비스 공급자를 위한 셀을 생성 및 관리할 수도 있다. SIM1(102)와 같이, SIM2(104)은 데이터 또는 음성 연결들을 위한 SIM2 네트워크(132)를 탐색하고, SIM2 네트워크(132)에 등록하며, 및 SIM2 네트워크(132)에 연결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네트워크(130 또는 132)는 네트워크(130 또는 132)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특정 채널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예들로서, 채널들은 데이터를 네트워크 (130 또는 132)와 사용자 장치(100) 사이에서 능동적으로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들일 수도 있으며, 또는 채널들은 네트워크(130 또는 132)와의 동기화 또는 페이징 통지들의 수신을 위한 제어 채널들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130 또는 132)는 사용자 장치(100)에 할당된 트래픽 채널들을 가질 수도 있고, 그 후, 할당된 트래픽 채널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송신 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연결이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감소된 전력 "슬리프(sleep)" 모드에 있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130 또는 132)로부터 동기화(synchronization) 또는 페이징 정보를 듣기(listen)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킹 업(waking up)"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에 있는 동안, 네트워크(130 또는 132)는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할당된 채널들 상에서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송신 또는 수신한다. 몇 가지 경우들에서, 만일 사용자 장치(100)가 할당된 채널 상에서 네트워크(130 또는 132)로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송신하지 않으면, 네트워크(130 또는 132)는 사용자 장치(100)와의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할 수도 있고 채널을 다른 사용자 장치로 재할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가 신호 커버리지(coverage)가 그 통신들을 수행하는데 충분치 않은 영역들에 진입하는 경우, 네트워크(130 또는 132)는 사용자 장치(100)로의 연결을 종료하고 연결을 다른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도 있다.
아이들 모드에 있는 동안, 네트워크(130 또는 132)는, 사용자 장치(100)가 네트워크(130 또는 132)로부터 동기화 또는 페이징 정보를 주기적으로 듣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장치(100)와의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 장치(100)가 네트워크(130 또는 132)로부터 동기화 또는 페이징 정보를 듣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 업(wake up)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100)는 네트워크(130 또는 132)와의 동기화를 상실(lose)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장치(100)는 네트워크(130 또는 132)로부터 페이징 인디케이터(indicatior)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고 및 네트워크(130 또는 132)가 사용자 장치(100)에 대해 지정한 통화,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놓치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100)가 서비스를 상실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의 구성( configuring )
일단 사용자 장치(100)가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했으면, 사용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된 채널 상에서 송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구성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된 채널은 송신(TX) 주파수 및 수신(RX)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쌍(pair)일 수도 있다. 주파수 쌍은 SIM 네트워크(130 또는 132)에 의해 이용된 통신표준들에 의존할 수도 있고, 주파수 쌍은 네트워크(130 또는 132)에 의해 할당된 특정 채널과 관련될 수도 있다. 특정 주파수 쌍에 대해, TX 주파수는 RX 주파수로부터 고정된 주파수 오프셋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 예컨대, SIM1 네트워크(130)는 SIM1 네트워크(130)와의 통신을 위해 특정 채널을 사용자 장치(100)에 할당할 수도 있다. 특정 채널은 TX 주파수와 이에 대응하는 RX 주파수를 명세하는(specifying) 특정의 주파수 쌍일 수도 있다. TX 주파수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SIM1 네트워크(130)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사용자 장치(100)에 의해 사용된다. RX 주파수는 SIM1 네트워크(130)로부터 사용자 장치(100)로의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사용자 장치(100)에 의해 사용된다.
도 3은, 주파수가 x-축 상에 표시(plot)되는, 주파수 쌍들(302, 304, 306)에 대응하는 채널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SIM1(102)은 초기에 채널 1에 할당될 수도 있다. 도 3은 채널 1이 TX 주파수(302a)와 RX 주파수(302b)를 포함하는 TX/RX 주파수 쌍(302)에 대응함을 도시한다. TX 주파수(302a)는 RX 주파수(302b)로부터 고정 오프셋(310)만큼 오프셋된다. 예컨대, GSM 표준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쌍(302)은 900.0MHz의 TX 주파수(302a)와 945.0MHz의 RX 주파수(302b)를 갖는 할당된 GSM 채널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 고정된 오프셋(310)은 45MHz이다.
또한, 도 3의 채널 2에 의해 TX/RX 주파수 쌍(30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예컨대, SIM2(104)에 대한 다른 채널, 그러므로 다른 주파수 쌍에 할당될 수도 있다. TX/RX 주파수 쌍(304)은 TX 주파수(304a) 및 RX 주파수(304b)를 포함한다. TX 주파수(304a)가 TX 주파수(302a)와 다르고 RX 주파수(304b)가 RX 주파수(302b)와 다를 수도 있다 할지라도, 주파수 오프셋(310)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GSM 표준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주파수 쌍(302)은 915.0MHz의 TX 주파수(304a)와 960.0MHz의 RX 주파수(304b)를 갖는 할당된 GSM 채널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고정 오프셋(310)은 여전히 45MHz이다.
유사하게, 시간상 임의의 지점에서, SIM1(102) 또는 SIM2(104) 중 어느 하나는 네트워크의 제어(direction)하에 다른 채널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3은 TX/RX 주파수 쌍(3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가 채널 3, 그러므로 다른 주파수 쌍에 할당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TX/RX 주파수 쌍(306)은 TX 주파수(306a)와 RX 주파수(306b)를 포함한다. TX 주파수(306a)가 TX 주파수(304a)와 상이하고 RX 주파수(306b)가 RX 주파수(304b)와 상이할 수 있다 할지라도, 주파수 오프셋(310)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GSM 표준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주파수 쌍(306)은 890.0MHz의 TX 주파수(306a)와 935.0MHz의 RX 주파수(306b)를 갖는 할당된 GSM 채널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고정 오프셋(310)은 여전히 45MHz이다. 이상의 예들에서, 할당된 채널들, TX/RX 주파수 쌍들, 및 그 결과의 고정 오프셋은 이러한 몇몇의 예들과 다를 수도 있으며, 특정의 통신 네트워크(130 또는 132)에 의해 이용된 통신 표준에 의존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에서의 송수신기(들)의 구성
사용자 장치(100)가 네트워크상에서 통신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00)는 네트워크(130 또는 132)에 의해 사용자 장치(100)에 할당된 채널과 관련된 주파수 쌍을 사용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 사용자 장치(100)는 각각의 SIM 인터페이스(106)(108)에 대한 1개의 송수신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송수신기는 각각의 SIM 인터페이스(106, 108)에 할당된 채널과 연관된 주파수 쌍에 독립적으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각각의 SIM 인터페이스(106, 108)에 의해 공유되는 단일 송수신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는 SIM1 네트워크(130)와의 통신을 위한 SIM1 인터페이스(106)에 할당된 채널과 연관된 주파수 쌍과 SIM2 네트워크(132)와의 통신을 위한 SIM2 인터페이스(108)에 할당된 채널과 연관된 주파수 쌍 사이에서 스위치하도록 재프로그램(reprogram)될 수 있다.
도 2는 통신 인터페이스(11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의 예에서, 시스템 로직(114)은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제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송수신기의 일부로서, RX 합성기(144) 및 TX 합성기(145)를 이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6)는 RX 합성기 파라미터들(124) 및 TX 합성기 파라미터들(125)을 주파수 제어 로직((122)을 사용하여 연산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 컨트롤러(142)는 RX 합성기(144) 및 TX 합성기(145)를 요망되는 주파수들로 동조(tune)하기 위해 RX 합성기 파라미터들(124) 및 TX 합성기 파라미터들(125)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컨트롤러(142)는 합성기가 동조되어야 하는 특정 주파수를, 제어 비트들의 형태로, 프로세서(116)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비트들은 시그마-델타 변조기(sigma-delta modulator)의 변조 입력(modulation input) 또는 부분 입력(fractional input)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조 입력에 입력된 제공된 제어 비트들은 14 비트들일 수도 있고 부분 입력에 제공된 제어 비트들은 27 비트들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합성기들은 다른 길이를 갖는 제어 비트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합성기를 요망되는 주파수로 프로그램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각각의 합성기는,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의 일부로서 동작하는 전압 조정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와 같은, 조정 가능한 타임 베이스(tunable time base)의 임의의 유형일 수도 있다. 예컨대, TX 합성기(145)는 안테나(202)를 통해 네트워크 (130 또는 132)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혼합기(mixer)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RX 합성기(144)는, 예컨대, 안테나(202)를 통해 네트워크 (130 또는 13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혼합기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다수의 TX/RX 합성기 쌍들을 갖는 다수의 송수신기들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일 TX/RX 합성기 쌍을 갖는 단일 송수신기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SIM1 네트워크(130)로의/로부터의 송신들 및 SIM2 네트워크(132)로의/로부터의 송신들은 단일 TX/RX 합성기 쌍을 공유할 수도 있다. 공유는, 시스템 로직(114)에 의해 조정되는, 시분할 공유일 수도 있고, 그 결과 각각의 SIM은 송신 및 수신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시간들에서 라디오 주파수(RF)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다수의 SIM 들을 이용한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의 공유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로직(114)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16) 및 메모리(120)를 포함한다. 메모리(120)는 예컨대, 프로세서(116)가 실행하는 주파수 제어 로직(122)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20)는 RX 합성기 파라미터들(124) 및 TX 합성기 파라미터들(125)을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파수 제어 로직(122)은 SIM1 네트워크(130) 및 SIM2 네트워크(132)에 의한 동시 사용을 위한 단일 TX/RX 합성기 쌍의 독립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 장치(100)의 몇 가지 실시예들에서, SIM들은, 송신/수신 경로들 및 합성기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을 공유한다. 결과적으로, 둘 다의 SIM들은 동시에 수신하거나 동시에 송신할 수 없다. 대신, 사용자 장치(100)는, 예컨대 시분할 방식으로 또는 송신기를 제 1 SIM에 제공하고 수신기를 제 2 SIM에 제공함으로써, SIM들이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을 공유하도록 한다.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의 공유는 둘 모두의 SIM들에 대한 동시의 네트워크 연결들을 유지하기 위한 고유의 도전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만일 SIM1과 연관된 네트워크 연결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SIM1 네트워크(130)에 의해 할당된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TX 주파수 및 RX 주파수 쌍을 사용하기 위해, TX/RX 합성기 쌍을 포함하는,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SIM2가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만일 통신 인터페이스(112)가, SIM2 네트워크(132)에 의해 할당된 채널에 대응하는 TX 주파수 및 RX 주파수 쌍을 사용하기 위해, 라디오 주파수 자원을 구성한다면, SIM1은 더 이상 SIM1 네트워크(130)와의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상에서 정보를 송신할 수 없을 것이며, SIM1 네트워크(130)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상실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관련사항은 SIM1 가 액티브 모드에 있고 SIM2가 아이들 모드에 있는 상황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경우 SIM1은 능동적으로 송신하고 있는 반면, 아이들 모드에 있는 경우 SIM2는 페이징 채널 상에서 주기적으로 듣을(listen)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만일 SIM1 가 능동적으로 송신하지 못하면, SIM1 네트워크(130)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방해받을 수도 있다. 만일 SIM2가 페이징 채널상에서 주기적으로 듣지 못하면, SIM2는 네트워크와의 동기화를 상실할 수도 있고 페이징 지시(indication)들을 놓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장치(100)는 SIM2 네트워크(132)가 사용자 장치(100)용으로 지정한 통화,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놓칠 수도 있다. SIM1 네트워크(130)상의 방해나 SIM2 네트워크(132)상의 누락된 호출들을 방지하기 위해(또는 SIM1 및 SIM2에 대한 다른 수신/송신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00)는, 합성기들을, 한 쌍으로서가 아니라,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TX 합성기(145)가 동조되는 TX 주파수는 더 이상 RX 합성기(144)가 동조되는 RX 주파수로부터의 고정 오프셋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수의 SIM들을 갖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이러한 예인 SIM1(102) 및 SIM2 (104)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SIM1 네트워크(130) 또는 SIM2 네트워크(132) 또는 둘 모두와의 네트워크 연결들을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SIM1 네트워크(13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면서, SIM2 네트워크(132)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동시에 유지할 수도 있다. SIM1 네트워크 연결 및 SIM2 네트워크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합성기들을 독립적으로 프로그램하는 주파수 제어 로직(122)을 이용함으로써, 단일 송수신기 TX/RX 합성기 쌍을 지능적으로 공유할 수도 있다. RX 합성기(144)와 TX 합성기(145) 함께 고정 오프셋을 갖는 TX 주파수와 RX 주파수 쌍으로 프로그램하는 대신, 주파수 제어 로직(122)은 TX 합성기(145)를 TX 주파수로 프로그램하고 RX 합성기(144)를 TX/RX 주파수 쌍의 일부가 아닐 수도 있는 RX 주파수로 독립적으로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동조된 TX 주파수는 동조된 RX 주파수에 대해 고정 오프셋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TX 주파수와 RX 주파수가 독립적으로 프로그램되는 동안의 시간이, 예컨대, 페이징 채널 상에서 주기적으로 듣거나 또는 SIM2 네트워크(132)로부터 페이징 인디케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SIM2가 송수신기를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 동안의 시간 기간이 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SIM2가 송수신기를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 예컨대,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expect)되지 않는 경우 또는 SIM2 가 페이징 채널 상에서 들을(listen) 필요가 없는 경우 - SIM1 네트워크(130)에 의해 요구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TX 주파수와 RX 주파수는 고정 오프셋을 갖는 TX/RX 주파수 쌍으로서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도 4는 사용자 장치(100)에서의 TX/RX 합성기들의 독립적인 동조를 예시한다. 사용자 장치는 SIM1(102)을 사용하여 SIM1 네트워크(13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했다. SIM1 네트워크(130)는 TX 주파수(404a) 및 RX 주파수(404b)의 TX/RX 주파수 쌍을 갖는 채널을 사용자 장치(100)에 할당했다. 고정 오프셋(440)은 SIM1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frequency spacing requirements)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 장치는 SIM2(104)를 사용하여 SIM2 네트워크(132)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했다. SIM2 네트워크(132)는 TX 주파수(402a) 및 RX 주파수(402b)의 TX/RX 주파수 쌍을 갖는 채널을 사용자 장치 (100)에 할당했다. 고정 오프셋(420)은 SIM2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자 장치(100)가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을 동시에 공유할 필요가 없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각각의 SIM에 할당된 채널에 대응하는, TX/RX 주파수 쌍으로서 합성기들을 함께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만일 SIM1이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사용하고 있다면, 하드웨어 컨트롤러(142)는 고정 오프셋(440)을 갖는 TX 주파수(404a) 및 RX 주파수(404b)에 대한 TX/RX 주파수 쌍으로서 합성기들을 함께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만일 SIM2가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사용하고 있다면, 하드웨어 컨트롤러(142)는 고정 오프셋(420)을 갖는 TX 주파수(402a) 및 RX 주파수(402b)에 대한 TX/RX 주파수 쌍으로서 합성기들을 함께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00)가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을 동시에 공유하려고 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12)는 합성기들을 독립적으로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일 SIM1이 SIM1 네트워크(130)로의 송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사용하고 있다면, 하드웨어 컨트롤러(142)는 TX 합성기를 TX 주파수(404a)로 프로그램할 수 있다. 만일 SIM2가 페이징 인디케이터를 수신하도록 기대되거나 또는 만일 SIM2가 페이징 채널을 듣도록 요구되면, RX 합성기를 RX 주파수(404b)로 프로그램하는 대신, 하드웨어 컨트롤러(142)는 RX 합성기를 RX 주파수(402b)로 독립적으로 프로그램할 수 있다. TX 주파수(404a)와 RX 주파수(402b) 사이의 결과로서 구현된 오프셋(410)은 SIM1 네트워크(130)에 의해 요구될 수도 있는 고정 주파수 오프셋(440) 또는 SIM2 네트워크(132)에 의해 요구될 수도 있는 고정 주파수 오프셋(420)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사용자 장치(100)에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제어 로직 (frequency control logic, FCL)(500)의 한 예를 도시한다. 주파수 제어 로직(500)은 SIM1에 대한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502)을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은 SIM1 네트워크(130)에 의해 할당된 채널과 연관되는 TX 주파수와 RX 주파수 쌍일 수 있고, TX 주파수와 RX 주파수는 고정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에 근거하여, 주파수 제어 로직(500)은 SIM1에 대한 TX 주파수(504)와 SIM1에 대한 RX 주파수(506)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주파수 제어 로직(500)은 SIM1 및 SIM2에 대한 사용자 필요조건 라디오 주파수 자원 필요조건들을 획득할 수 있다(508). 예컨대, 주파수 제어 로직(500)은 SIM1 및 SIM2가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의 동시 사용을 필요로 함을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는 SIM1이 능동적으로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되는 반면, SIM2는 페이징 이벤트를 수신하도록 스케쥴링되기 때문이다. 만일 주파수 제어 로직(500)이, SIM1이 능동적으로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되고, 동일한 시점에 SIM2가 스케쥴링된 수신 이벤트(예컨대, 페이징 이벤트)를 가짐을, 510에서 결정하면, 주파수 제어 로직(500)은 TX 합성기를 SIM1에 대한 TX 주파수로 동조하고(512), RX 합성기를 SIM2에 대한 RX 주파수로 동조한다(514). 주파수 플롯(frequency plot)(520)은, TX 합성기가 SIM1에 대한 TX 주파수로 동조되고(522), RX 합성기가 SIM2에 대한 RX 주파수로 동조되는(524) 경우, 그 결과의 구현된 오프셋(526)을 나타낸다. 한편, 만일 주파수 제어 로직(500)이, SIM1이 능동적으로 송신하도록 스케쥴링되는 동일한 시점에 SIM2가 스케쥴링된 페이징 이벤트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510에서 결정하면, 주파수 제어 로직(500)은 TX 합성기를 SIM1에 대한 TX 주파수로 동조하고(516), RX 합성기를 SIM1의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에 대응하는 SIM1에 대한 RX 주파수로 동조한다(518). 주파수 플롯(530)은, TX 합성기가 SIM1에 대한 TX 주파수로 동조되고(532), RX 합성기가 SIM2에 대한 RX 주파수로 동조되는(534) 경우, 그 결과의 고정된 오프셋 (536)을 나타낸다.
위에 설명된 방법들, 디바이스들, 기술들, 및 로직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둘 모두의 다양한 조합 형태들의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시스템의 모든 부분들 또는 부분들은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로의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디스크리트 로직 또는 컴포넌트들, 또는 단일 집적회로에 통합되거나 다수의 집적회로들 사이에 분산된, 다른 형태들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로직의 전부 또는 일부는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의한 실행을 위한 로직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플래시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리드-온리-메모리(ROM),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PROM)과 같은 유형의 또는 비일시적인 기계-판독가능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씨디롬(CDROM), 또는 자기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다른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제품은 저장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엔드 포인트,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경우 디바이스가 이상의 임의의 설명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시스템의 프로세싱 성능은, 다수의 프로세서들 및 메모리들과 같은, 선택적으로는 다수의 분산된 처리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스템 컴포넌트들 사이에 분산될 수도 있다. 파라미터들, 데이터베이스들, 및 다른 데이터 구조들은 개별적으로 저장 및 처리될 수도 있고, 다양한 방식들로 논리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조직될 수도 있으며, 연결 리스트들, 해시 테이블(hash table)들, 또는 내장된 저장 매커니즘과 같은 데이터 구조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들은, 수개의 메모리들 및 프로세서들에 분산된, 단일 프로그램, 개별적인 프로그램들의 부분들일 수도 있고, 또는 공유 라이브러리(예컨대,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dynamic link library, DLL)와 같은, 라이브러리 내에서와 같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DLL은, 예컨대, 전술된 임의의 시스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어졌지만, 더욱 많은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을 고려함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15)

  1.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제 1 SIM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송신 주파수로 동조(tune)하는 단계; 및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제 2 SIM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동조하는 단계는, 페이징 인디케이터(paging indicator)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 상에서 예상(expect)되는 경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독립적으로 동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독립적으로 동조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 상에서 예상되고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이 액티브(active)인 경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독립적으로 동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은 액티브 트래픽 채널 네트워크 연결(active traffic channel network connec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동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송신 및 수신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spacing requirements)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동조하는 대신,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에 할당된 상기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되는 경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송신 및 수신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에 대하여 고정적인(fixed) 관계로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동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송신 주파수 합성기 및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포함하는 라디오 주파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라디오 주파수 통신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시스템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로직은:
    제 1 SIM 네트워크 연결 상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pair)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송신 주파수로 동조하며; 및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대신,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와는 다른 제 2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 로직은,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 상에서 예상되는 경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와는 다른 제 2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SIM 네트워크 연결은 페이징 채널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로직은,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상에서 예상되고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이 액티브인 경우,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와는 다른 제 2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은 액티브 트래픽 채널 네트워크 연결(active traffic channel network connec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는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로직은: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되는 경우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가 예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송신 주파수 합성기(synthersizer);
    수신 주파수 합성기;
    상기 송신 주파수 합성기 및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통신하는 합성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주파수 제어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제어 로직은:
    제 1 SIM 네트워크 연결 상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주파수 간격 필요조건들을 결정하고;
    제 2 SIM 네트워크 연결 페이징 이벤트가 제 2 SIM 네트워크 연결 상에서 스케쥴링되는 때를 결정하며;
    상기 제1 SIM 네트워크 연결이 상기 제2 SIM 네트워크 연결 페이징 이벤트 동안 액티브가 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이에 응답해서:
    상기 수신 주파수 합성기를 상기 송신 주파수 및 수신 주파수 쌍의 상기 수신 주파수와는 다른 상기 제 2 SIM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신 주파수로 동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주파수 통신 인터페이스.
KR1020120106250A 2011-12-12 2012-09-25 다수의 sim 디바이스들에서의 단일 tx/rx 합성기 쌍의 동시 사용 KR101443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69621P 2011-12-12 2011-12-12
US61/569,621 2011-12-12
US201261587521P 2012-01-17 2012-01-17
US61/587,521 2012-01-17
US201261595546P 2012-02-06 2012-02-06
US61/595,546 2012-02-06
US13/481,306 2012-05-25
US13/481,306 US20130150111A1 (en) 2011-12-12 2012-05-25 Concurrent use of single tx/rx synthesizer pair in multiple sim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498A KR20130066498A (ko) 2013-06-20
KR101443801B1 true KR101443801B1 (ko) 2014-09-23

Family

ID=4679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250A KR101443801B1 (ko) 2011-12-12 2012-09-25 다수의 sim 디바이스들에서의 단일 tx/rx 합성기 쌍의 동시 사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50111A1 (ko)
EP (1) EP2605554A1 (ko)
KR (1) KR101443801B1 (ko)
CN (1) CN103166672A (ko)
TW (1) TW2013252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353A1 (en) * 2017-04-18 2018-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lectively transferring one or more services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multi-standby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6764A1 (en) * 2012-05-24 2013-11-28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sim frequency control system
US9204353B2 (en) * 2013-03-15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only tune-away
US20150023230A1 (en) * 2013-07-19 2015-01-22 Qualcomm Incorporated Dual sim dual activ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with a single transmit chain and dual or single receive chain
US20150023258A1 (en) * 2013-07-19 2015-01-22 Qualcomm Incorporated Dual sim dual activ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with a single transmit chain and dual or single receive chain
US9774728B2 (en) 2013-09-30 2017-09-26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in a context of plural communication records
US9838536B2 (en) 2013-09-30 2017-12-05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US20150094041A1 (en) * 2013-09-30 2015-04-02 Elwha LLC, a limited liability company of the State of Delaware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conditionally provingin metadata in lieu of some user content
US9826439B2 (en) 2013-09-30 2017-11-21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operable in network equipment
US9813891B2 (en) 2013-09-30 2017-11-07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featuring a subset-specific source identification
US9740875B2 (en) 2013-09-30 2017-08-22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featuring exclusive data presentation
US9805208B2 (en) 2013-09-30 2017-10-31 Elwha Llc Mobile device sharing facilitation methods and systems with recipient-dependent inclusion of a data selection
US9198180B2 (en) * 2014-03-11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receive diversity for multi-subscriber scenario
US20160014550A1 (en) * 2014-07-09 2016-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ynamically managing ble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of
US9461684B2 (en) * 2014-07-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Fast system recovery in multi-radio-access-technology devices
US9402280B2 (en) * 2014-07-21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er only tune away in multi-SIM devices
US9538579B2 (en) 2015-04-29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pping for multi SIM multi active multi RAT scenarios using WLAN transceiver supporting partial WWAN transceiver capabilities
US10511988B2 (en) * 2016-05-12 2019-1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eiving path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receiving paths and multiple SIMs
CN108419260B (zh) * 2018-02-26 2021-08-10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sim卡连接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220020714A (ko) 2020-08-12 2022-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sim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CN113301559B (zh) * 2021-05-21 2022-08-02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终端能力上报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7969A1 (en) * 2010-03-05 2011-09-0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with multiple subscriptions that utilize a single baseband-radio frequency resource chai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696A (en) * 1993-10-29 1995-08-22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Frame structure using consecutive slot assig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JP3326133B2 (ja) * 1999-04-02 2002-09-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方法
FI20012404A (fi) * 2001-12-05 2003-06-06 Nokia Corp Puhelunohjausmenetelmä ja -järjestely
US20100323636A1 (en) * 2009-06-23 2010-12-23 Nicholas Cowley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channel tuners
KR101593591B1 (ko) * 2009-09-25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심 단말기의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2065486A (zh) * 2009-11-17 2011-05-18 美国博通公司 通信方法和系统
US20110117944A1 (en) * 2009-11-17 2011-05-19 Yaxin Cao Method and system for task-level access arbitration between virtual modems in a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DE102010025796B4 (de) * 2010-07-01 2012-07-12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Empfangen von Synchronisationssignalen eines Mobilfunknetzwerks und Sende-/Empfangseinrichtung für Mobilfunksigna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7969A1 (en) * 2010-03-05 2011-09-0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with multiple subscriptions that utilize a single baseband-radio frequency resource cha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353A1 (en) * 2017-04-18 2018-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lectively transferring one or more services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multi-standby electronic device
US10321289B1 (en) 2017-04-18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lectively transferring one or more services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multi-standby electronic device
US10708739B2 (en) 2017-04-18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lectively transferring one or more services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multi-standby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66672A (zh) 2013-06-19
US20130150111A1 (en) 2013-06-13
TW201325298A (zh) 2013-06-16
EP2605554A1 (en) 2013-06-19
KR20130066498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801B1 (ko) 다수의 sim 디바이스들에서의 단일 tx/rx 합성기 쌍의 동시 사용
CN112119649B (zh) 接收信号的方法和终端设备
KR101117712B1 (ko) 다중 수신 대기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6954446B2 (en) Multiple mode RF communication device
KR1009721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리어 통신의 관리를 위한방법 및 장치
KR101466792B1 (ko)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제어된 유휴 모드 거동
WO2016078555A1 (en) Method for handling suspension of a physical channel in a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US9750075B2 (en) Single-radio device supporting coexistence between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100009716A1 (en)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EP364851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power saving
TWI586198B (zh) 使用雙卡來同時資料通訊及語音通話監視
US20140242925A1 (en) Methods for coordinated signal reception across integrated circuit boundaries
US20190208543A1 (en) Throughput Performance for LAA and DSDS Deployments
PL191159B1 (pl) Sposób prowadzenia łączności za pomocą urządzenia telekomunikacyjnego w wielu trybach łączności i w wielu systemach telekomunikacyjnych
WO2015191313A1 (en) System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wireless circuitry and multiple base stations
KR20110090814A (ko) 다중 무선형 rf 플랫폼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03902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ireless network bridge
US20140194155A1 (en) Dynamically selecting filtering paths to avoid multi-radio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apparatus
JP4176557B2 (ja) 無線制御局、無線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22082556A1 (e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capability signaling framework
CN105430748B (zh) 操作无线通信设备和eNodeB基站的方法
JP2002158616A (ja) 偏波が変化する送信信号を生成するための無線システム、アンテナ構成、および偏波変調器
US20240178865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230059966A1 (en) Beam management method and associated communications apparatus
US20240015495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llaborative System Selection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