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666B1 -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666B1
KR101443666B1 KR1020130023129A KR20130023129A KR101443666B1 KR 101443666 B1 KR101443666 B1 KR 101443666B1 KR 1020130023129 A KR1020130023129 A KR 1020130023129A KR 20130023129 A KR20130023129 A KR 20130023129A KR 101443666 B1 KR101443666 B1 KR 10144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arning
posture
turtle neck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173A (ko
Inventor
최승문
김민재
김대진
정완균
이재봉
조은지
윤용민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6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6Evaluating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Image Analy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목 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한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거북목 경고 시스템은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기반으로 경고 등급을 결정하여 결정된 경고 등급을 제공하는 자세 판별 장치 및 제공받은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고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정보 처리 기기 사용 환경에서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에 경고 기능을 부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북목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및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자세에 대한 경각심을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거북목 증후군 및 목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WARNING FORWARD HEAD POS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보 처리에 기반한 경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 디스크의 원인이 되는 거북목을 예방하기 위한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TV와 같은 다양한 정보 처리 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됨에 따라 안구건조증, 마우스 증후군, 거북목 증후군과 같은 신종 질병을 호소하는 사용자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중에서, 거북목 증후군은, 정보 처리 기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목을 비정상적으로 앞으로 뺀 자세로 인해 목에 과도한 하중이 실리는 것으로써, 근막통증, 두통, 수면 장애, 호흡 장애뿐만 아니라 목 디스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목 디스크는 한 번 걸리면 완벽한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스트레칭 및 자세 교정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거북목 증후군 및 목 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 인체 공학적 설계를 적용한 다양한 정보 처리 기기들이 상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목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로 이동하는 모니터가 제시되었다.
상기 모니터는 설정파트, 사용자의 자세를 센싱하는 센싱파트, 모니터의 최적 위치를 계산하는 연산파트, 도출된 최적의 위치로 모니터를 이동시키는 구동파트 및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면 경고하는 경고파트로 구성되어 거북목 증후군 및 목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모니터와 같은 정보 처리 기기를 직접 동작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동성이 떨어지며 시각적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작업 시에 집중력을 떨어트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모니터가 최적의 장소로 움직이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오히려 잘못된 자세를 지속시킬 수 있고, 이것은 목이 받는 하중을 근본적으로 줄여주는 것이 아니므로 거북목 증후군 및 목 디스크를 예방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처리 기기 사용 환경에서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에 경고 기능을 부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편리하게 거북목 증후군 및 목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거북목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및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흐트러진 자세에 대한 경각심을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거북목 증후군 및 목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는 거북목 경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기반으로 경고 등급을 결정하여 결정된 경고 등급을 제공하는 자세 판별 장치 및 제공받은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고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세 판별 장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세 측정부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면적 및 사용자의 몸체 면적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세 판별 장치는, 미리 설정된 거북목 허용 범위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를 인식하고, 거북목 정도에 상응하는 경고 등급을 결정하는 자세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세 판별 장치는, 결정된 경고 등급을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자세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고 발생 장치는,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의 강도, 세기 및 경고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경고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고 발생 장치는, 진동, 음향 및 경고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 정보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 처리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거북목 경고 방법에 있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경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에 경고 기능을 부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북목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및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흐트러진 자세에 대한 경각심을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을 이용한 사용자의 자세 측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 형태의 경고 발생 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경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센서에서 획득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정보 처리 기능을 구비하여, 처리된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TV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와 상호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또는 넥밴드(Neckband), 3D 안경, 이어폰 및 헤드셋과 같은 휴대용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거북목 경고 시스템(100)은, 자세 판별 장치(110) 및 경고 발생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판별 장치(110)는,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기반으로 경고 등급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경고 등급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세 판별 장치(110)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정보 처리 기능 및 유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컴퓨터, 스마트폰 및 스마트 TV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 판별 장치(110)는 자세 측정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세 판별 장치(110)는 자세 판단부(113) 및 자세 전송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측정부(111)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자세 판별 장치(110)에 탑재되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TOF(Time of Flight)기반의 깊이 카메라, 키넥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 측정부(111)는, 획득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 면적 및 사용자의 몸체 면적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사용자의 몸체 면적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TOF기반의 깊이 카메라, 키넥트 카메라와 같은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깊이 및 사용자의 몸체 깊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얼굴 깊이와 사용자의 몸체 깊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면적 비교 또는 깊이 비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 판단부(113)는, 미리 설정된 거북목 허용 범위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를 인식하고, 거북목 정도에 상응하는 경고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자세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거북목 증후군 또는 목 디스크를 유발하지 않는 올바른 자세에서의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자세의 거북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인 자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거북목 허용 범위는, 기준자세로부터 최대 허용될 수 있는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로써, 거북목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자세가 5cm이고 거북목 허용 범위를 2cm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한 결과가 7cm보다 작으면 거북목으로 판별되지 않을 수 있다.
경고 등급은 거북목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거북목 허용 범위를 기반으로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한 결과, 거북목 정도가 0~1cm인 경우에는 Level 1의 경고 등급으로, 거북목 정도가 1~2cm인 경우에는 Level 2의 경고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Level 2는 Level 1 보다 거북목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거북목 정도가 클수록 발생되는 경고의 세기 또는 지속시간도 늘어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에 대한 경각심을 크게 줄 수 있다.
자세 전송부(115)는, 결정된 경고 등급을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자세 전송부(115)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는, 신호를 전하기 위해 케이블 대신 전파를 사용하는 통신 네트워크로써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이더넷(Ethernet)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경고 발생 장치(120)는, 자세 전송부(115)에서 제공 받은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발생 장치(120)는, 자세 판별 장치(110)에서 처리된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넥밴드(Neckband), 3D 안경, 이어폰 및 헤드셋과 같은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고 발생 장치(120)는, 경고 정보 생성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발생 장치(120)는, 경고 발생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 정보 생성부(121)는,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의 강도, 세기 및 경고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경고 발생부(122)는, 진동, 음향 및 경고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 정보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을 이용한 사용자의 자세 측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21)에 탑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2)에서 획득한 영상에서의 사용자의 얼굴과 사용자의 몸체 간의 면적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22)를 이용하여 거북목 증후군 또는 목 디스크를 유발하지 않는 올바른 자세에서의 사용자의 얼굴 면적(23) 및 사용자의 몸체 면적(24)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얼굴 면적(23)과 사용자의 몸체 면적(24) 간의 면적을 비교함으로써 거북목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자세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면적(23) 및 사용자의 몸체 면적(24)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얼굴 면적(23)과 사용자의 몸체 면적(24) 간의 면적을 비교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거북목 허용 범위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의 면적과 사용자의 자세의 면적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북목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에, 기준자세에서 획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얼굴 면적보다 사용자의 자세에서 획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얼굴 면적이 더 넓게 측정될 것이다.
즉, 센서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센서(22)에 의해 획득한 영상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의 면적 비교를 통해 거북목의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 형태의 경고 발생 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넥밴드(30)는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 송수신기 및 진동기(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과 같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센서 및 정보 처리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에서 자세를 측정하고 거북목 정도를 판별하여 넥밴드(30)로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과 넥밴드(30)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이더넷(Ethernet)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넥밴드(30)가 유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면, 자세에 대한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정보는 경고의 강도, 세기 및 경고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경고 정보에 따라 넥밴드(30)에 탑재되어 있는 진동기(31)에서 경고 정보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세가 바르지 않음을 경고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넥밴드(30)와 같은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및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직접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자세가 판별되어 넥밴드(30)에 전송하면, 넥밴드(30)는 경고를 발생시켜서 사용자에게 자세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다.
도 3에서는, 경고를 발생시키는 외부 장치로써 넥밴드(30)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3D 안경, 이어폰 및 헤드셋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에서 부가 기능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진동뿐만 아니라 음향 및 경고메시지 표시와 같은 시청각 정보를 통해서도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TV 또는 3D TV가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자세의 흐트러진 정도를 판별하여 3D 안경에 자세 정보를 전송하면, 3D 안경을 통해 자세에 따른 경고를 경고메시지 또는 경고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북목 경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거북목 경고 방법은,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단계(S100), 경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S300) 및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단계(S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에서의 사용자의 얼굴 면적 및 사용자의 몸체 면적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사용자의 몸체 면적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깊이 및 사용자의 몸체 깊이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얼굴 깊이와 사용자의 몸체 깊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면적 비교 또는 깊이 비교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사용자의 단말에 탑재되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TOF(Time of Flight)기반의 깊이 카메라, 키넥트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S300)는, 사용자의 자세가 거북목인지 판단하여(S200),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에 상응하는 경고 등급을 결정(S300)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가 거북목인지(S200)는 미리 설정된 거북목 허용 범위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자세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거북목 증후군 및 목 디스크를 유발하지 않는 올바른 자세에서의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자세의 거북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거북목 허용 범위는, 기준자세로부터 최대 허용될 수 있는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로써, 거북목을 판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자세가 5cm이고 거북목 허용 범위를 2cm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한 결과가 7cm보다 작으면 거북목으로 판별되지 않을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거북목 허용 범위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에 상응하는 경고 등급을 결정(S30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북목 정도가 0~1cm인 경우에는 Level 1의 경고 등급으로, 거북목 정도가 1~2cm인 경우에는 Level 2의 경고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등급 Level 2는 경고 등급 Level 1 보다 사용자의 거북목이 심각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S500)는,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의 강도, 세기 및 경고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하여(S400), 경고 정보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경고는 넥밴드(Neckband), 3D 안경, 이어폰 및 헤드셋과 같은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에서 진동, 음향 및 경고 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에 경고 기능을 부가 기능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북목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 및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자세에 대한 경각심을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거북목 증후군 또는 목 디스크와 같이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정보 처리 기기와 휴대 가능한 외부 장치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위험 또는 경고를 알리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 정보 처리 장치 22: 센서
23: 사용자의 얼굴 면적 24: 사용자의 몸체 면적
30: 넥밴드 31: 진동기
100: 거북목 경고 시스템 110: 자세 판별 장치
111: 자세 측정부 113: 자세 판단부
115: 자세 전송부 120: 경고 발생 장치
121: 경고 정보 생성부 122: 경고 발생부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기반으로 경고 등급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경고 등급을 제공하는 자세 판별 장치; 및
    상기 제공받은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고 발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경고 발생 장치는,
    상기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의 강도, 세기 및 경고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경고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판별 장치는,
    상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세 측정부는,
    상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 면적 및 상기 사용자의 몸체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판별 장치는,
    미리 설정된 거북목 허용 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를 인식하고, 상기 거북목 정도에 상응하는 상기 경고 등급을 결정하는 자세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세 판별 장치는,
    상기 결정된 경고 등급을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자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발생 장치는,
    진동, 음향 및 경고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 정보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시스템.
  8. 디지털 신호 처리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거북목 경고 방법에 있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경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경고 등급에 상응하는 경고의 강도, 세기 및 경고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 면적 및 상기 사용자의 몸체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몸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경고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거북목 허용 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자세와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거북목 정도에 상응하는 상기 경고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진동, 음향 및 경고메시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 정보에 상응하는 경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경고 방법.
KR1020130023129A 2013-03-05 2013-03-05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44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129A KR101443666B1 (ko) 2013-03-05 2013-03-05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129A KR101443666B1 (ko) 2013-03-05 2013-03-05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173A KR20140110173A (ko) 2014-09-17
KR101443666B1 true KR101443666B1 (ko) 2014-09-30

Family

ID=5175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129A KR101443666B1 (ko) 2013-03-05 2013-03-05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872A (ko) 2015-04-27 2016-11-07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거북목 측정 및 교정 치료기
KR20200090383A (ko) * 2019-01-21 2020-07-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형 거북목 판정 디바이스 및 단말기를 이용한 거북목 교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586A1 (ko) * 2016-11-11 2018-05-17 (주)나무 목 자세 측정 장치의 관리 방법
KR102325979B1 (ko) * 2020-01-29 2021-11-1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형 거북목 자세 교정기
KR102381542B1 (ko) 2020-11-11 2022-03-3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거북목 자세의 판별을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시스템, 상기 시스템과 연동하는 반응형 거치대 및 이들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247A (ko) * 2006-02-21 2009-03-2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왜곡 보정방법
KR20120084132A (ko) * 2011-01-19 2012-07-27 김기홍 목디스크 예방을 위한 모니터 제어 로봇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247A (ko) * 2006-02-21 2009-03-24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왜곡 보정방법
KR20120084132A (ko) * 2011-01-19 2012-07-27 김기홍 목디스크 예방을 위한 모니터 제어 로봇 및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872A (ko) 2015-04-27 2016-11-07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거북목 측정 및 교정 치료기
KR20200090383A (ko) * 2019-01-21 2020-07-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형 거북목 판정 디바이스 및 단말기를 이용한 거북목 교정 시스템
KR102232346B1 (ko) * 2019-01-21 2021-03-2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173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666B1 (ko) 거북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US11032013B2 (en) Determining proximity of transmitter antennas of portable devices to a human body for limiting transmitter output power to meet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requirements
US10359839B2 (en) Performing output control based on user behaviour
US20170372679A1 (en)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Text Size and a Method Thereof
EP3740016A1 (en) Transmiss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0677224B (zh) 一种波束状态检测方法及终端
EP4096207A1 (en) Mobile terminal, method for detecting image capturing mode, and storage medium
WO2019137426A1 (zh) 空间关系的确定方法、终端及基站
US20140354535A1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2443785B1 (ko) 감시 시스템
KR20140088004A (ko) 자동 알림 방식에 기반한 양방향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방법
CN110933307A (zh) 一种电子设备及图像处理方法
CN103892996A (zh) 导盲系统
CN110209543B (zh) 一种耳机插座的检测方法及终端
CN109257504B (zh) 一种音频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8960097B (zh) 一种获取人脸深度信息的方法及装置
CN108234745B (zh) 一种信号接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101207A1 (zh) 智能终端控制方法、智能终端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CN110806801B (zh) 一种提示方法和移动终端
WO2015158258A1 (zh) 一种用户姿态检测方法、装置及系统
CN110210197B (zh) 屏幕灵敏度调整方法及移动终端
CN109257543B (zh) 拍摄模式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580227B (zh) 一种视频编码方法、移动终端
CN113411446A (zh) 一种声道切换方法及电子设备
CN113411702B (zh) 一种声道配置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