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637B1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637B1
KR101443637B1 KR1020080046669A KR20080046669A KR101443637B1 KR 101443637 B1 KR101443637 B1 KR 101443637B1 KR 1020080046669 A KR1020080046669 A KR 1020080046669A KR 20080046669 A KR20080046669 A KR 20080046669A KR 101443637 B1 KR101443637 B1 KR 10144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image
video file
mobile terminal
pi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723A (ko
Inventor
최원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37B1/ko
Priority to US12/395,142 priority patent/US8175640B2/en
Priority to EP09160651A priority patent/EP2124438B1/en
Publication of KR2009012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재생되는 음악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악 재생 중 상기 카메라에 의해 복수 개의 영상을 하고, 상기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을 상기 영상의 촬영 시간과 일치하는 상기 음악의 특정 재생 시간에 삽입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비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GENERATING CONTENTS THEREIN}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비디오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생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 재생 중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 재생 중 카메라를 통해 복수 개의 정지 영상을 캡처(capture)하고, 캡처된 복수 개의 정지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재생되는 음악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악 재생 중 상기 카메라에 의해 복수 개의 정지 영상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된 복수 개의 정지 영상과 상기 재생되는 음악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비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 음악 재생 중 정지 영상을 복수 번 캡처하는 단계; 및 캡처된 복수 개의 정지 영상과 상기 재생되는 음악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은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 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비디오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 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real-touch)"라 함은 화면에 실제로 포인터(pointer)가 터치된 경우를 말하고, "근접 터치(proximity-touch)"라 함은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pointer)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그 일례로 스타일러스 팬, 손가락 등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는 센싱부(14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드래그(touch-drag)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드래그"라 함은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된 지점이 이동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를 말한다. 터치 드래그와 구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지점을 포인터를 통해 두드리는 행위를 "탭 터치(tap-touch)"라 부를 수 있다. 이 경우,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어, 촉각 센서)는 터치 드래그(touch-drag)의 드래그 방향, 드래그 속도, 드래그 길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 센서는 포인터의 근접 거리가 소정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이를 근접 터치로서 인식할 수 있다. 근접 거리라 함은 화면과 포인터와 떨어진 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근접 거리는 화면과 포인터와 떨어진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화면의 소정 지점이 근접 터치 된다"는 말은 상기 소정 지점과 수직으로 대응되는 공간 상의 위치에 포인터가 위치하여, 근접 터치로서 인식된다는 말을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근접 속도라 함은 포인터가 화면을 향해 근접하는 속도 또는 포인터가 화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근접 드래그(proximity-drag)의 드래그 방향, 드래그 속도, 드래그 길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드래그(proximity-drag)"라 함은 근접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근접 터치된 지점이 이동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근접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비디오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 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비디오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 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 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 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뮤직(music)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을 위해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악 파일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S10). 상기 음악 파일의 선택은 다양한 모드(mode)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파일 검색 중에 특정 음악이 선택될 수도 있고,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특정 음악이 선택될 수도 있다. "카메라 촬영 모드"라 함은 영상 촬영을 위해 프리뷰(preview)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말한다. 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preview) 상태라 함은 영상을 촬영을 위해 피사체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을 위해 하나의 음악 파일이 선 택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파일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된 음악은 재생될 수 있다(S20). 선택된 음악의 재생은 음악 파일 검색 중 수행될 수도 있고,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재생되는 음악은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선택된 음악 재생 중 카메라(121)를 통해 특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30). 상기 촬영된 영상은 정지 영상(still picture)일 수도 있고, 동영상(moving picture)일 수도 있다.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에 하나의 영상이 이용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영상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드 상태에서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을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에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음악 재생 중 영상이 촬영이 완료될 때마다 특정의 식별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영상 촬영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영상을 썸네일로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이 정지 영상일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정지 영상이 캡처(capture)된 시점과 일치하는 음악의 특정 재생 시점에 촬영된 영상을 삽입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40, S50).
한편, 제어부(180) 음악 재생 중에 캡처된 정지 영상을 삽입하여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될 수도 있고, 음악 재생 및 영상 캡처가 완료된 후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 음악과 캡처된 정지 영상을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촬영된 영상이 동영상일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이 촬영되는 구간과 일치하는 상기 음악의 특정 재생 구간에 촬영된 동영상을 삽입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40, S60).
한편, 제어부(180) 음악 재생 중에 촬영된 동영상을 삽입하여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될 수도 있고, 음악 재생 및 영상 촬영이 완료된 후,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 음악과 촬영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뮤직 비디오 생성에 정지 영상 및 동영상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뮤직 비디오를 생성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뮤직 비디오 생성을 위해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특정 음악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a는 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preview) 화면에 피사체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프리뷰 화면에는 영상 촬영을 초점을 가이드 하기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프리뷰 화면에는 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소정 영역에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601)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뷰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화면의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b는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 창(603)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팝업 창(603)은, 정지 영상 촬영 시, 선택할 수 있는 촬영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 창(603)에서 "뮤직 비디오 촬영"을 선택할 수 있다. "뮤직 비디오 촬영"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뮤직 비디오 촬영에 이용될 음악 선택을 위한 팝업 창(6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c).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팝업 창(603)에서의 특정 촬영 모드 선택은 터치 또는 근접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음악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복수 개 음악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7은 뮤직 비디오 촬영 모드에서의 프리뷰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우측 상단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의 제목 및 아티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음악의 총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는 촬영될 피사체의 초점을 가이드 하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화면의 우측에는 뮤직 비디오 촬영 중 실행할 수 있는 메뉴가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절을 할 수 있는 아이콘(701), 플래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아이콘(702),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601)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아이콘에 해당하는 메뉴가 실행된다.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아이콘 선택은 터치 또는 근접 터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601)이 선택되면, 피사체의 정지 영상이 캡처된다. 즉, 상기 아이콘(601)이 터치되거나 근접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프리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던 피사체의 정지 영상을 캡처한다. 또한, 화면의 우측에는 썸네일(thumbnail)이 디스플레될 수 있다. 정지 영상을 복수 개로 나누어서 캡처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통해 현재 캡처된 정지 영상의 개수 및 총 촬영 가능한 영상 개수를 알 수 있다. 캡처된 영상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썸네일 영역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도 8은 뮤직 비디오 촬영 모드에서 정지 영상이 캡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8a는 음악 재생 중 제1정지 영상이 캡처된 경우를 나타낸 경우를 나타내다. 캡처된 영상은 화면 좌측에 썸네일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정지 영상이 캡처되어 썸네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는, 상기 캡처된 정지 영상 삭제를 위한 아이콘(801)이 화면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정지 영상이 캡처된 상태에서도, 또 다른 정지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601)이 선택되거나 영상 촬영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2정지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도 8b는 상기 제1정지 영상 촬영 후, 소정시간이 지난 후 제2정지 영상이 캡처된 상태를 나타낸다. 캡처된 영상은 화면 좌측에 썸네일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화면에는 상기 캡처된 정지 영상 삭제를 위한 아이콘(801)이 화면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정지 영상이 캡처된 상태에서도, 또 다른 정지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통해 뮤직 비디오에 생성에 필요한 복수 개의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총 촬영 가능한 영상의 개수는 디폴트(default)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뮤직 비디오 촬영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악은 일시 정지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정지 영상 캡처를 위해 장소를 이동해야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재생 음악의 특정 재생 시점에 원하는 정지 영상을 정확히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뮤직 비디오 촬영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악 및 캡처된 정지 영상을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캡처된 정지 영상은 상기 캡처된 시점과 일치하는 상기 음악의 특정 재생 시점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는 영상의 캡처 시점 및 음악의 재생 시점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지 영상이 음악의 재생 시작과 동시에 캡처되고, 제2정지 영상이 재생 시간 15초에 캡처되고, 제3정지 영상이 재생 시간 30초에 캡처되고, 제4정지 영상이 재생 시간 2분에 캡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캡처된 시점과 일치하는 음악의 재생 시점에 캡처된 영상을 삽입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생성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게 되면, 상기 캡처 시점과 일치하는 음악의 재생 시점(재생 시작과 동시, 15초 지점, 30초 지점, 2분 지점)에 캡처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영상을 원하는 지점에 삽입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전처리 방법을 통해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도, 후처리 방법을 통해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처리 방법"이라 함은 음악 재생 중에 뮤직 비디오 파일이 생성되는 방법을 말한다. 특히, 음악 재생 중 캡처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삽입하여 뮤직 비디 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정지 영상의 캡처 시점과 제2정지 영상의 캡처 시점 사이에 특정의 영상을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정지 영상의 캡처 시점과 제2정지 영상의 캡처 시점 사이에 특정의 동영상을 삽입할 수도 있고, 특정 정지 영상(예를 들어, 제1정지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음악 재생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이 완료된다. 즉, "전처리 방법"은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을 위한 인코딩과 선택된 음악 재생을 위한 디코딩을 동시에 수행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방법"이라 함은 음악 재생이 완료된 후에 재생 음악과 캡처된 영상을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여기서 음악 재생 완료된다는 의미는 선택된 음악의 총 재생 시간이 경과하여 재생이 완료된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재생 시점에 음악 재생이 완료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음악 재생 중에 캡처된 정지 영상은 임시 저장된다. 상기 임시 저장된 정지 영상의 비디오 신호 및 재생 음악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트랜스 코딩(trans coding)을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트랜스 코딩"이라 함은 제1환경에서 적합하도록 코딩된 특정의 데이터를 제2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가공, 선별, 변환 등을 하는 기술을 말한다. 인터넷 환경은 각종 디지털 가입자 회선(xDSL), 케이블(Cable), 모바일(Mobile), 공중(公衆) 무선 랜 서비스(WLAN), 전력선 통신 등 다양한 네트워크와 고성능 개인용 컴퓨터(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휴대폰 등 사용자 단말이 혼재된 상황에다가 MPEG 1, MPEG 2, MPEG 4, H.264 등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압축 방식들이 공존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다 감안하여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엄청난 종류의 콘텐츠가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은 하나의 콘텐츠를 상이한 네트워크, 해상도, 프로세서 성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환 기능을 제공하여 "one source multi use"의 개념을 구현하는 것이 트랜스 코딩이다.
예를 들어, 임시 저장된 정지 영상이 제1 알고리즘에 의해 압축되고(예를 들어, JPEG 파일로 압축), 재생 음악 파일이 제2 알고리즘에 의해 압축된 경우(예를 들어, MP3 파일로 압축),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을 위해 상기 정지 영상의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음악 파일의 오디오 신호가 제3 알고리즘으로 압축될 수 있다(예를 들어, MPEG4의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압축됨).
도 10은 후처리 방법으로 뮤직 비디오가 생성되는 경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악 재생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80)는 뮤직 비디오 생성을 위한 팝업 창(10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0a). 상기 팝업 창(1001)에서 "예"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뮤직 비디오 파일의 생성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0b).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디폴트 설정에 의해 특정의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c는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이 완료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면의 우측에는 실행 가능한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Alb."를 선택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이 저장된 앨범을 검색하거나, "Play"를 선택하여 생성된 뮤직 비디오를 재생하거나, "New"를 선택하여 새로운 뮤직 비디오 생성을 위한 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송"을 선택하여 저장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특정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삭제"를 선택하여 생성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삭제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전처리 방법으로 뮤직 비디오가 생성되는 경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음악 재생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80)는 뮤직 비디오 파일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는 팝업 창(11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1a). 그리고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디폴트 설정에 의해 특정의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b는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이 완료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면의 우측에는 실행 가능한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Alb."를 선택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이 저장된 앨범을 검색하거나, "Play"를 선택하여 생성된 뮤직 비디오를 재생하거나, "New"를 선택하여 새로운 뮤직 비디오 생성을 위한 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송"을 선택하여 저장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특정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삭제"를 선택하여 생성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삭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처된 정지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생성된 뮤직 비디오 파일은, 재생 시, 캡처된 복수 개의 정지 영상이 슬라이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정지 영상의 캡처 시점과 상기 제2정지 영상의 캡처 시점 사이에는 상기 제1정지 영상이 소정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는 음악 재생 중 촬영된 동영상을 포함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은 뮤직 비디오 생성을 위해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특정 음악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2a는 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preview) 화면에 피사체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프리뷰 화면에는 영상 촬영을 초점을 가이드 하기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프리뷰 화면에는 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소정 영역에 동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1201)이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뷰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화면의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b는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 창(1203)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팝업 창(1203)은, 동영상 촬영 시, 선택할 수 있는 촬영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 창(1203)에서 "뮤직 비디오 촬영"을 선택할 수 있다. "뮤직 비디오 촬영"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뮤직 비디오 촬영에 이용될 음악 선택을 위한 팝업 창(120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c).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팝업 창(1203)에서의 특정 촬영 모드 선택은 터치 또는 근접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음악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복수 개 음악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13은 뮤직 비디오 촬영 모드에서의 프리뷰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우측 상단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의 제목 및 아티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음악의 총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는 촬영될 피사체의 초점을 가이드 하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화면의 우측에는 뮤직 비디오 촬영 중 실행할 수 있는 메뉴가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절을 할 수 있는 아이콘(1301), 동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1201)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아이콘에 해당하는 메뉴가 실행된다.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아이콘 선택은 터치 또는 근접 터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1201)이 선택되면, 동영상 촬영이 시작된다. 즉, 상기 아이콘(1201)이 터치되거나 근접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프리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던 피사체의 동영 촬영을 시작한다. 또한, 화면의 우측에는 썸네일(thumbnail)이 디스플레될 수 있다. 동영상을 복수 개로 나누어서 캡처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통해 현재 촬영된 동영상의 개수 및 총 촬영 가능한 영상 개수를 알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썸네일 영역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도 14는 뮤직 비디오 촬영 모드에서 동영상이 촬영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a는 음악 재생 중 제1동영상이 촬영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우측에 표시된 "Pause"가 선택되면, 제1동영상 촬영이 완료된다. 촬영이 완료된 동영상은 화면 좌측에 썸네일로 디스플레이된다(도 12b). 또한, 동영상의 촬영이 완료되어 썸네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는, 상기 촬영된 동영상 삭제를 위한 아이콘(1403)이 화면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동영상의 촬영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또 다른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을 위한 아이콘(1201)이 선택되거나 영상 촬영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2동영상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총 촬영 가능한 영상의 개수는 디폴트(default)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뮤직 비디오 촬영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악은 일시 정지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정지 영상 캡처를 위해 장소를 이동해야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재생 음악의 특정 재생 구간에 원하는 동영상을 정확히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뮤직 비디오 촬영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악 및 촬영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촬영된 정지 영상은 상기 촬영된 구간과 일치하는 상기 음악의 특정 재생 구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5는 영상의 촬영 구간 및 음악의 재생 구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영상이 음악의 재생 시작과 동시에 촬영되어 재생 시간 15초에 촬영이 완료되고, 제2동영상이 재생 시간 30초에 촬영이 시작되어 재생 시간 45초에 촬영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제3동영상이 재생 시간 1분에 촬영이 시작되어 재생 시간 2분에 촬영이 완료되고, 제4동영상이 재생 시간 2분 30초에 촬영이 시작되어 재생 시간 3분에 촬영이 완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동영상이 촬영된 구간과 일치하는 음악의 재생 구간에 촬영된 영상을 삽입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생성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게 되면, 상기 촬영 구간과 일치하는 음악의 재생 구간(재생 시작 ~ 재생 시간 15초, 재생 시간 30초 ~ 재생 시간 45초, 재생 시간 1분 ~ 재생 시간 2분, 재생 시간 2분 30초 ~ 재생 시간 3분)에 촬영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영상을 원하는 구간에 삽입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전처리 방법을 통해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도, 후처리 방법을 통해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뮤직 비디오 파일에 동영상을 삽입하는 방법이 정지 영상을 삽입하는 방법과 다른 점에 대해서만 언급하도록 하겠다.
전처리 방법을 통해 음악 재생 중 촬영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삽입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동영상의 재생 종료 시점과 제2정지 동영상의 재생 시작 시점 사이에 특정의 영상을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동영상의 재생 종료 시점과 제2동영상의 재생 시작 시점 사이에 특정의 동영상을 삽입할 수도 있고, 특정 정지 영상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삽입할 수도 있고, 제1동영상의 마지막 I-프레임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frame)이란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모여진 각 장면(scene)을 말한다. 또한, 동영상을 이루 는 프레임에는 I-프레임, P-프레임, B-프레임 등이 있을 수 있다. I-프레임(Intra-frame)이란 전후의 화면과는 관계없이 그 화면 내에서 독립적으로 부호화하여 얻어지는 화면을 말한다. 또한, P-프레임(Predictive-frame)이란 화면간의 순방향 예측 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화면을 말한다. 즉,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을 예측영상으로써, 프레임간 예측에 사용하여 부호화 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B-프레임(Bi-directional-frame)이란 과거와 미래의 양방향으로부터 예측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화면이다. 이 경우, P-프레임이나 B-프레임을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대응되는 I-프레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1동영상의 마지막 I-프레임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삽입할 수 있다.
후처리 방법을 통해 음악 재생이 완료된 후에 촬영된 동영상 및 재생 음악을 포함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 음악 재생 중에 촬영된 동영상은 임시 저장된다. 상기 임시 저장된 동영상의 비디오 신호 및 재생 음악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트랜스 코딩(trans coding)을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영상을 삽입하여 뮤직 비디오 파일은 생성할 경우에도, 도 10 내지 도 11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음으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 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도이다.

Claims (17)

  1. 사진을 캡처하는 카메라;
    재생되는 음악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상기 캡처된 사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음악을 재생 중에, 둘 이상의 사진들이 상기 음악의 특정 재생 구간 동안에 캡처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을 캡처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재생 중인 음악의 총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이 상기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악의 특정 재생 구간 및 상기 캡처된 둘 이상의 사진들을 조합한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비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재생은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재생 중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 중 어느 하나의 사진이 캡처된 경우, 상기 캡처된 사진을 나타내기 위한 식별 마크를 화면의 기 설정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마크는
    썸네일(thumbnai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파일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사이의 구간에는 특정 정지 영상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의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음악의 오디오 신호를 트랜스 코딩(transcoding)하여 상기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캡처된 둘 이상의 사진들 및 상기 음악을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 창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을 캡처하는 동안에 상기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을 재생 중에 상기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되, 상기 음악의 재생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비디오 파일의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선택된 음악 파일로부터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음악을 재생 중에, 둘 이상의 사진들을 상기 재생 중인 음악의 특정 재생 구간 동안에 캡처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을 캡처하는 동안 상기 재생 중인 음악의 총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사진들을 캡처하는 동안 상기 재생 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
    상기 음악의 특정 재생 구간 및 상기 캡처된 둘 이상의 사진들을 조합한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비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80046669A 2008-05-20 2008-05-20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KR10144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669A KR101443637B1 (ko) 2008-05-20 2008-05-20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US12/395,142 US8175640B2 (en) 2008-05-20 2009-02-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generating content therein
EP09160651A EP2124438B1 (en) 2008-05-20 2009-05-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generating content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669A KR101443637B1 (ko) 2008-05-20 2008-05-20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23A KR20090120723A (ko) 2009-11-25
KR101443637B1 true KR101443637B1 (ko) 2014-09-23

Family

ID=4071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669A KR101443637B1 (ko) 2008-05-20 2008-05-20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75640B2 (ko)
EP (1) EP2124438B1 (ko)
KR (1) KR101443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143B2 (en) 2007-10-31 2018-04-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mager module with electronic shutter
TW201005583A (en) 2008-07-01 2010-02-01 Yoostar Entertainment Group Inc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ompositing
JP5836578B2 (ja) * 2010-09-17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55848A1 (en) * 2010-12-16 2012-06-21 Motorola-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ewfinder Operation in Mobile Device
US9117483B2 (en) * 2011-06-03 2015-08-25 Michael Edward Zaletel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recording, editing and combining multiple live video clips and still photographs into a finished composition
US10332560B2 (en) 2013-05-06 2019-06-25 Noo Inc. Audio-video compositing and effects
WO2015005059A1 (ja) 2013-07-09 2015-01-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52923A (ko) * 2013-11-06 2015-05-15 네이버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772940B2 (ja) * 2013-12-20 2015-09-02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50799B2 (en) 2014-05-21 2019-04-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nhanced image capture
US9729784B2 (en) 2014-05-21 2017-08-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nhanced image capture
US9813611B2 (en) 2014-05-21 2017-11-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nhanced image capture
US9774779B2 (en) 2014-05-21 2017-09-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nhanced image capture
US9413947B2 (en) 2014-07-31 2016-08-0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apturing images of active subjects according to activity profiles
EP3396313B1 (en) * 2015-07-15 2020-10-21 Hand Held Products, Inc. Mobile dimensioning method and device with dynamic accuracy compatible with nist standard
US10854180B2 (en) 2015-09-29 2020-12-01 Amper Music,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qualities of musical energy embodied in and expressed by digital music to be automatically composed and generated by an automated music composition and generation engine
US9721551B2 (en) 2015-09-29 2017-08-01 Amper Music, Inc. Machines, systems, processes for automated music composition and generation employing linguistic and/or graphical icon based musical experience descriptions
JP7210229B2 (ja) * 2018-11-07 202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64299B1 (en) 2019-10-15 2021-03-30 Shutterstock,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igital performances of music compositions using notes selected from virtual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the music-theoretic states of the music compositions
US11037538B2 (en) 2019-10-15 2021-06-15 Shutterstock,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ed musical arrangement an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tyle transformation supported within an automated music performance system
US11024275B2 (en) 2019-10-15 2021-06-01 Shutterstock, Inc. Method of digitally performing a music composition us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s having performance logic executing within a virtual musical instrument (VMI) library management system
CN111475665B (zh) * 2020-04-17 2024-05-10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图片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10398322A1 (en) * 2020-06-17 2021-12-23 Palantir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compressing and distributing image data
JP7470726B2 (ja) 2022-03-17 2024-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516A (ko) * 2004-02-06 2005-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뮤직비디오 촬영 방법
KR20070046620A (ko) * 2005-10-31 2007-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를 제작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JP2007529951A (ja) * 2004-03-19 2007-10-25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動画シーケンス合成用ディジタルビデオ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2821B2 (ja) * 1994-03-31 2004-07-14 ヤマハ株式会社 映像合成システム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FI20031908A0 (fi) 2003-12-29 2003-12-29 Nokia Corp Menetelmä medialeikkeen koostamiseksi liikkuvassa päätelaitteessa, menetelmää hyödyntävä päätelaite ja ohjelmalliset välineet menetelmän toteuttamiseksi
US20060268121A1 (en) * 2005-02-20 2006-11-30 Nucore Technology Inc. In-camera cinema director
TWI292667B (en) * 2005-12-14 2008-01-11 Univ Nat Chiao Tung Multimedia short message template applying system and presentation system, multimedia short message template applying method and presnentation method
KR100726258B1 (ko) 2006-02-14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사진파일 및 음성파일을 이용한 영상물 제작방법
KR100834813B1 (ko) 2006-09-26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트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00110082A1 (en) * 2008-10-31 2010-05-06 John David Myrick Web-Based Real-Time Animation Visualization, Creation, And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516A (ko) * 2004-02-06 2005-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뮤직비디오 촬영 방법
JP2007529951A (ja) * 2004-03-19 2007-10-25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動画シーケンス合成用ディジタルビデオシステム
KR20070046620A (ko) * 2005-10-31 2007-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를 제작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4438B1 (en) 2012-09-19
EP2124438A1 (en) 2009-11-25
US8175640B2 (en) 2012-05-08
US20090291707A1 (en) 2009-11-26
KR20090120723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63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생성 방법
KR10153759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1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변환 방법
US8373666B2 (en)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6963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편집 방법
KR2015008278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8145B1 (ko)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09003996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09006352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2015002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87521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101752417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143047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 방법
KR101540663B1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제어 방법
KR10144363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513620B1 (ko) 이동단말기의 진동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78000B1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090052216A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설정 방법
KR1014980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북마크 처리방법
KR201000368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전달방법
KR1015219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검색방법
KR101727043B1 (ko) 이동 단말기 및 컨텐츠 편집 방법
KR10153768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제공방법
KR1016358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02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