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610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610B1
KR101443610B1 KR1020070067955A KR20070067955A KR101443610B1 KR 101443610 B1 KR101443610 B1 KR 101443610B1 KR 1020070067955 A KR1020070067955 A KR 1020070067955A KR 20070067955 A KR20070067955 A KR 20070067955A KR 101443610 B1 KR101443610 B1 KR 10144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ing
reheating
reheating apparatus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064A (ko
Inventor
김경환
오수영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7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10B1/ko
Priority to US12/452,493 priority patent/US8499588B2/en
Priority to EP08778560A priority patent/EP2176459B1/en
Priority to CN2008800237039A priority patent/CN101970743B/zh
Priority to PCT/KR2008/003896 priority patent/WO2009008622A2/en
Priority to ES08778560T priority patent/ES2404815T3/es
Publication of KR2009000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 또는 과열스팀(superheated steam)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의류의 구김 등을 제거하며, 나아가 의류에 남아 있을 수 있는 균 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류, 처리, 증기, 스팀, 고온, 균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pparatus for Treating Cloth}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옷감의 구김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옷감 등에 남아 있을 수 있는 균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세탁기, 건조기, 건조겸용 세탁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의류를 보관하는 경우에 의류의 상태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리프레셔(refresher)등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 등은 모두 각각의 기능에 맞는 구성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각 장치에 의해 의류를 처리하더라도 구김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다림질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세탁기의 경우에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세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를 하는 경우, 한번 발생된 구김은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또한, 세탁 및 건조 후의 의류를 보관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와 같은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다림질 과정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의류를 처리하더라도, 의류에 남아있을 수 있는 곰팡이균, 또는 양말 등에 남아있을 수 있는 무좀균 등의 균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는 상기와 같은 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대략 125℃ 이상의 고온의 환경이 필요한데,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상기와 같이 고온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에 고온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의류에 남아 있을 수 있는 균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 또는 과열스팀(superheated steam)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드럼;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재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이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중에 가열을 하여 과열스팀으로 만드는 가열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가열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스팀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히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가열장치는 온도감지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재가열장치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에서 상기 재가열장치는 스팀의 유로를 따라 상기 스팀발생기에 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결하는 유로의 중간보다 상기 수용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에 비하여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스팀의 유동에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 또는 과열스팀을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분사유닛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건조 완료된 의류에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성된 스팀을 재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의류에 분사함으로써, 일반적인 스팀의 온도에서는 죽지 않는 무좀균, 곰팡이균등의 균등을 완전하게 박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로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에 적절하게 적용이 될 수 있다. 즉, 세탁기를 비롯하여 건조기, 건조겸용 세탁기 및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300)와, 터브(3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400)을 구비한다.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외부수도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세탁기의 내부로 물 을 공급하는 급수밸브(200)가 구비된다. 급수밸브(200)를 통해 공급된 물 중에 일부는 세제박스(700)로 공급되어 세제와 함께 터브(300) 내부로 공급되며, 나머지 일부는 연수장치(900)를 통해 여과되어 스팀공급장치(600)로 공급된다.
본발명의 스팀공급장치(600)는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드럼(400) 내부로 공급하거나, 생성된 스팀을 선택적으로 재가열하여 과열스팀(superheated steam)을 드럼(400)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일단 생성된 스팀을 재가열하여 과열스팀으로 만들어 공급하는 이유는 세탁 대상물에 남아있을 수 있는 각종 균 등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스팀공급장치(60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터브(300)의 일측에는 건조히터(510)에서 가열된 공기를 터브(300) 내부로 공급하는 열풍유입구(31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터브(300)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는 열풍배출구(320)가 형성된다. 건조히터(510)에서 가열된 공기는 열풍배출구(320)와 열풍유입구(301)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건조덕트(500)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건조덕트(500)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520)에 의해 터브(300) 및 드럼(400) 내부로 공급되어 순환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스팀공급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발명의 스팀공급장치(6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610) 및 스팀발생기(610)에서 생성된 스팀을 재가열하여 과열스팀으로 만들어 터브(300) 및 드럼(400) 내부로 공급하는 재가열장치(650)를 구비한다.
먼저, 스팀발생기(610)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재가열장치(650)에 대해 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기(6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팀발생기(6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탱크(612)와, 워터탱크(612)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630)와, 스팀발생기(61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620)와, 스팀발생기(6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620)는 통상 공통전극(622), 저수위전극(624) 및 고수위전극(62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622)과 고수위전극(626)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622)과 저수위전극(624)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61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호스(225)가 연결되며, 스팀호스(225)는 후술하는 재가열장치(650)를 거쳐 그 선단에 소정형상의 스팀분사유닛(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분사유닛(250)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도 1 참조, 40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40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급수호스(220)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수위센서(620)를 통해 물이 저수위인지 고수위인지 판단하고, 고수위까지 물을 공급하게 된다. 물이 고수위까지 공급되면 히터(630)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225) 및 스팀분사유닛(250)을 통해 드럼(400)의 내부로 분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이 가열되는 경우에 온도센서(614)에 의해 스팀발생 기(6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스팀발생기(610) 내부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히터(63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스팀의 생성에 의해 워터탱크(612) 내부의 물이 줄어들게 되어 수위가 내려가게 되면, 수위센서(620)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다시 급수호스(220)를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스팀은 일반적으로 물의 끓는점 온도인 100℃에 해당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스팀을 사용하여 드럼(400) 내부에 분사하게 되면, 급수 전의 단계에서는 의류 등을 살균할 수 있으며, 급수와 함께 분사를 하게 되면, 살균과 함께 향상된 포적심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살균의 효과는 세탁 중에 분사하더라도 기대할 수 있으며, 세탁이 끝나고 나서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에서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건조 전 또는 건조 후에 미량의 스팀을 분사하게 되면 살균과 함께 세탁물에 남아있는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스팀을 분사하면 일반적인 살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100℃의 온도에서도 죽지 않는 균 등에 대해서는 완전한 살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람의 양말 등에 서식할 수 있는 무좀균, 또는 습한 환경에서 의류에 서식하게 되는 곰팡이균 등은 100℃의 온도에서는 죽지 않으며, 120℃ 이상의 온도에서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무좀균이 있는 양말, 또는 곰팡이균이 있는 의류에 일반적인 100℃의 스팀을 분사하여 세탁을 하더라도, 완전하게 살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 스팀공급장치(도 1 참조, 600)는 스팀발생기(610)에서 생성된 스팀을 재차 가열하여 과열스팀(superheated steam)으로 만드는 재가열장치(도 1 참조, 650)를 더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과열스팀이라 함은, 스팀상태에서 적어도 110℃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스팀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120℃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스팀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120℃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과열스팀을 드럼(400)의 내부로 분사하게 되므로, 드럼(400) 내의 의류 등에 남아있을 수 있는 무좀균, 또는 곰팡이균 등을 완전하게 살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재가열장치(6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발생기(6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발생기(610)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갖게 되므로, 스팀의 유동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가열장치(650)는 스팀발생기(610)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드럼(400) 사이에서 드럼(40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재가열장치(650)에서 재가열된 과열스팀이 터브(300) 및 드럼(400)으로 공급되기 위하여 스팀호스(225)를 따라 비교적 긴 거리를 유동하게 되면 과열스팀의 온도가 120℃이하도 내려가거나, 또는 응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열스팀의 냉각, 또는 응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가열장치(650)는 스팀발생기(610)에 비하여 과열스팀이 공급되는 터브(300) 및 드럼(40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610)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드럼(400)을 연결하는 유로, 즉 스팀호스(225)의 중간에서 드럼(40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재가열장치(650)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원발명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가열장치(6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재가열장치(650)는 스팀발생기(도 2 참조, 61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스팀호스(225)를 따라 배치되며, 스팀호스(225)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스팀을 재가열하는 가열부(651)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가열부(651)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를 따라 스팀이 유동하는 유동공간(652)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가열부(651)는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큰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이캐스팅(die casting) 주조법으로 가공될 수 있다.
한편, 가열부(651)의 일측에는 내부의 스팀을 재가열하는 히터(660)가 구비된다. 히터(660)가 직접 스팀을 가열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660)를 가열부(651)의 표면을 따라 매립하여 히터(660)에 의해 가열부(651)를 가열하여 가열부(651)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 내부 스팀을 가열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히터(660)는 시스히터(Sheath Heat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히터(660)는 가열부(651)의 내부에 몰딩 방식으로 매설되되, 가열부(651)의 유동공간(652) 주변에 설치되어 유동공간(652)을 유동하는 스팀을 급속 으로 가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히터(660)는 가열부(651)의 내부에 매설되어, 발열됨에 따라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가열부(651) 자체를 급속으로 가열함으로써, 가열부(651)의 유동공간(652)을 유동하는 스팀을 급속으로 재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가열부(651)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 가열하게 되면, 히터(660)를 노출시켜 가열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열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보다 뛰어난 가열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부(651)가 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가열부(651) 내부의 유동공간(652) 역시 관로로 형성된다. 가열부(651)의 양단에는 스팀이 유입되는 공급구(654) 및 재가열되어 과열스팀이 토출되는 토출구(656)가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 가열부(651)의 유동공간(652)의 단면적은 스팀호스(225)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하여, 가열부(651)의 유동공간(652)으로의 스팀의 공급 및 유동공간(652)으로부터의 과열스팀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가열부(651)에는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는 가열부(65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스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열부(651)에 이상이 발생하여 가열부(651) 내부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거나, 또는 내려가는 경우에 세탁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히터(660)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가열장치(650)는 스팀이 유동하는 중에 스팀을 재가열하여 과열스팀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은 스팀이 유동하여 운동하는 중에 가열을 하게 되므로, 가열에 의한 열전달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팀이 유동하지 않도록 저장하여 스팀을 가열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으로 스팀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스팀을 저장하여 재가열함으로써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본원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가열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원발명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가열장치(16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재가열장치(1650)는 스팀호스(225)에서 공급된 스팀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케이스(1660) 및 케이스(1660) 내부의 스팀을 재가열하여 과열스팀으로 만드는 히터(16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팀이 수용되는 케이스(1660)는 밀폐용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스팀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이 공급되는 공급구(1662) 및 과열스팀이 토출되는 토출구(1664)에는 각각 밸브 등의 개폐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케이스(1660)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호스(225) 및 공급구(1662)를 통해 케이스(1660)의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면, 공급구(1662)와 토출구(1664)의 밸브(미도시) 를 차단하여 케이스(1660) 내부를 밀폐한 다음, 히터(1670)에 의해 스팀을 재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스(1660)의 내부압력을 높여주는 콤프레셔 등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히터(1670)에 의해 케이스(1660) 내부의 스팀을 재가열하는 동시에 케이스(1660) 내부의 압력을 높여주게 되면, 케이스(1660) 내부의 스팀의 온도를 보다 용이하게 올려 과열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과정을 T-S선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물의 가열상태에 따른 T-S선도를 나타낸다.
도 7의 T-S선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발생기(도 1 참조, 610)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되면, 스팀 및 물이 함께 있어 액체와 증기가 혼재하는 포물선 내부의 '액체-스팀영역'에 해당한다. 이어서, 재가열장치(도 1 참조, 650)에 의해 스팀을 가열하게 되면, A경로를 따라 포물선 내부의 액체-스팀역역에서 '과열스팀영역'으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스팀을 가열함과 동시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B경로를 따라 '과열스팀영역'으로 진입하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과열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방식은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이 일단 케이스(166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 및 저장되어 가열되므로, 재가열에 의해 과열된 스팀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660) 내부에 과열스팀을 이송시키기 위한 팬(168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1680)은 과열스팀을 토출구(1664)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팀의 유동경로를 따라 히터(167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다. 비록 도 6에는 히터(1670)의 전방 및 후방에 팬(1680)이 모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쪽에만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재가열장치(1650)에 과열스팀을 이송시키는 팬(1680)을 구비하게 되면, 과열스팀을 보다 용이하게 드럼(도 1참조, 400)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팬(1680)에 의해 과열스팀을 공급하게 되면, 과열스팀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스팀분사유닛(도 1 참조, 250)을 통해 분사되어 드럼(400) 내부의 의류 등에 과열스팀이 충분히 접하게 되어 살균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재가열장치(16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40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드럼(400)으로 과열스팀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유닛(25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과열스팀이 스팀호스(225)를 따라 유동하는 경우에 냉각되거나, 또는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열스팀이 드럼(400)으로 분사되기 위하여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80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컨트롤패널(800)은 도 1의 세탁기의 전면 등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패널(800)은 크게 세탁기의 코스를 선택하는 주선택부(810)와, 주선택부(810)에서 선택된 코스에 따라 부가기능을 선택하는 부선택부(830)를 포함한다.
주선택부(810)는 사용자가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의 종류, 양 등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을 하게 되며, 선택된 코스에는 각각 세탁수의 양, 온도, 헹굼회수, 탈수회수 등이 디폴트(default)로 정해져서 미리 기억이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코스를 선택하면 디폴트로 정해진 데이터에 따라 세탁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코스를 선택하고, 코스에 따라 세탁수의 양, 온도, 헹굼회수, 탈수회수 등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수동선택부(82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주선택부(810)는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코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코스로는 예를 들어 아기옷코스, 통살균코스, 속옷코스 등을 들 수 있다. 즉, 아기옷 또는 속옷 등을 투입하고 아기옷코스 또는 속옷코스를 선택하게 되면,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중에 적절한 시기에 스팀이 분사된다. 또한, 통살균코스를 선택하게 되면,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드럼(400)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여 드럼(400) 내부를 살균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선택부(810)는 회전에 의해 코스를 선택하게 되며, 수동선택부(820) 및 부선택부(830)는 버튼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주선택부(810)에서 'A'로 도시된 부분이 스팀이 분사되는 코스를 도시한다.
여기서, 부선택부(830)는 주선택부(810)에 의해 선택된 코스에 따라 부가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코스를 선택하게 되면, 부선택부(830)에서는 공급되는 스팀의 시간, 스팀이 공급되는 시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팀시간선택부(832) 및 스팀시기선택부(83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부선택부(830)는 사용자가 주선택부(810)에 의해 스팀코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스팀코스에서 과열스팀을 사용할 것인지를 조절할 수 있는 과열스팀선택부(83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주선택부(810)에 의해 스팀코스(A) 중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게 되고 부선택부(830)에 의해 과열스팀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코스에 따라 디폴트로 정해진 스팀의 분사조건에 따라 과열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스팀시간선택부(832) 및 스팀시기선택부(834)에 의해 과열스팀이 분사되는 시간 및 시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세탁하고자 하는 의류 등을 세탁기의 내부에 투입하고, 코스를 선택하여 동작버튼 등을 눌려 세탁기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선택부(810)에 의해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코스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부선택부(830)에 의해 스팀의 양, 시기 등을 선택하거나, 과열스팀이 분사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주선택부(810)에 의해 스팀코스 중에 하나를 선택하고, 부선택부(830)에 의해 과열스팀을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세탁수 및 세제가 세제박스(700)에서 혼합되어 드럼(400) 내부로 유입되며, 이와 동시에 스팀공급장치(600)의 스팀발생기(610) 및 재가열장치(650, 1650)가 작동되어 터브(300)를 통해 상기 드럼(400) 내부로 과열스팀을 공급한다. 이 경우, 과열스팀은 재가열장치(1650) 내부의 팬(1680)에 의해 분사되므로, 비교적 높은 속도로 분사되어 의류 등에 골고루 접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 초기에 과열스팀을 드럼(400) 내부로 공급함에 따라 세탁물의 불림 및 오염물의 분리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적은 양의 세탁수로도 세탁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세탁이 진행되기 전에 무좀균, 곰팡이균 등의 균을 박멸할 수 있는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송풍팬(520)과 건조히터(510)를 온시켜 과열스팀과 동시에 열풍을 드럼(400) 내부로 공급함에 따라, 드럼(400)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고 세탁수를 가열하여, 세탁물의 불림 및 오염물의 분리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세탁이 끝나게 되면, 헹굼 및 탈수 과정이 진행되며, 헹굼 및 탈수 회수는 디폴트로 정해진 데이터에 따라 진행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헹굼 및 탈수 과정 중에도 과열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헹굼 및 탈수 과정 중에 과열스팀을 분사하게 되면, 세탁초기에 분사된 과열스팀과 함께 세탁물의 살균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헹굼 및 탈수과정이 끝나고, 이어서 세탁기의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건조덕 트(500)에 내장된 건조히터(510)에 전원이 인가됨과 아울러 송풍팬(520)이 구동하여 건조덕트(500) 내부에 열풍이 발생되어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스팀공급장치(600)가 작동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과열스팀을 터브(300)를 통해 드럼(400)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열풍 및 과열스팀은 드럼(400)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함과 동시에 살균을 하게 된다.
즉, 세탁물의 건조행정 시, 드럼(4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함과 더불어 과열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드럼(400) 내부는 신속하게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드럼(40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은 보다 신속하게 건조됨과 함께 과열스팀에 의하여 무좀균 및 곰팡이균 등이 완전히 살균되는 등의 세탁물의 리프레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세탁기의 세탁행정 시, 헹굼 및 탈수 행정 시, 건조행정 시, 스팀공급장치(600)가 작동할 경우에는 드럼(400)을 회전시켜, 스팀공급장치(600)에서 생성된 스팀 또는 과열스팀이 세탁물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각 단계에서는 부선택부(830)에서 과열스팀을 선택하여, 과열스팀이 분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부선택부(830)에서 과열스팀을 선택하지 않게되면, 상기 각 단계에서 과열스팀이 아니라, 일반적인 100℃의 온도를 가지는 스팀이 분사되게 된다. 즉, 스팀공급장치(600)의 재가열장치(650)의 히터(660, 1670)가 구동을 하지 않고, 스팀발생기(610)만 구동을 하여 일반적인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단지 세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를 비롯하여 스팀을 이용하는 건조기, 건조겸용 세탁기 및 리프레셔(refresher)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의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스팀 및 열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건조행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스팀은 과열스팀이 될 수 있으며, 건조행정의 전, 또는 후에 과열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기의 경우, 전술한 세탁기의 구조에서 터브 및 드럼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 이외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가 리프레셔에 해당하는 경우, 회전하는 드럼이 필요치 않으며,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으로 족하다. 리프레셔의 경우에도 스팀공급장치의 구성은 전술한 다른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장치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스팀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재가열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재가열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스팀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스팀의 T-S 선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Claims (15)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 또는 과열스팀(superheated steam)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 및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재가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발생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탱크 및 상기 워터탱크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드럼;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이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중에 가열을 하여 과열스팀으로 만드는 가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스팀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히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장치는 온도감지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재가열장치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장치는 스팀의 유로를 따라 상기 스팀발생기에 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결하는 유로의 중간보다 상기 수용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에 비하여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 또는 과열스팀을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장치는 상기 분사유닛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70067955A 2007-07-06 2007-07-06 의류처리장치 KR10144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955A KR101443610B1 (ko) 2007-07-06 2007-07-06 의류처리장치
US12/452,493 US8499588B2 (en) 2007-07-06 2008-07-02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EP08778560A EP2176459B1 (en) 2007-07-06 2008-07-02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CN2008800237039A CN101970743B (zh) 2007-07-06 2008-07-02 用于处理衣服的设备
PCT/KR2008/003896 WO2009008622A2 (en) 2007-07-06 2008-07-02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ES08778560T ES2404815T3 (es) 2007-07-06 2008-07-02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la rop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955A KR101443610B1 (ko) 2007-07-06 2007-07-0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64A KR20090004064A (ko) 2009-01-12
KR101443610B1 true KR101443610B1 (ko) 2014-09-23

Family

ID=4048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955A KR101443610B1 (ko) 2007-07-06 2007-07-0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997B2 (en) 2011-08-22 2015-10-06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including steam gen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285399B1 (ko) * 2011-08-22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
CN114427154B (zh) * 2020-10-29 2023-11-0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508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JP2007111396A (ja) * 2005-10-24 2007-05-10 Sharp Corp 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508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JP2007111396A (ja) * 2005-10-24 2007-05-10 Sharp Corp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64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20B1 (ko) 건조기
EP217645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KR101319874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US7814770B2 (en) Multi-functional laund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2623663B1 (en) Laundry machine with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KR101199360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20060061974A (ko)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US10260194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ensor
KR100732414B1 (ko) 의류의 구김제거방법
KR10144361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20057119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119120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0808868B1 (ko) 의류의 구김제거방법
KR101136861B1 (ko) 의류의 살균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49803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155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57612B1 (ko) 세탁기의 스팀세탁 방법
KR100659309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199362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101033589B1 (ko) 세탁기의 운전 방법
JP2014004055A (ja) 衣類処理装置
CN114427154B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09005246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137336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