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226B1 - 애완동물용 즉석 사료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즉석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226B1
KR101443226B1 KR1020087024019A KR20087024019A KR101443226B1 KR 101443226 B1 KR101443226 B1 KR 101443226B1 KR 1020087024019 A KR1020087024019 A KR 1020087024019A KR 20087024019 A KR20087024019 A KR 20087024019A KR 101443226 B1 KR101443226 B1 KR 10144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et food
guanidinoacetic
feed
crea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297A (ko
Inventor
토마스 가스트너
한스-페터 크림머
Original Assignee
알즈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즈켐 아게 filed Critical 알즈켐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0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2Dry f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영양 생리학적 활성 화합물로 하나 이상의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포함하는 신규한 애완동물용 완제품 사료가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8 중량%보다 높은 수분 함량을 갖는 상기 신규한 완제품 사료는 매우 경제적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에서 주성분은 위장관을 통한 통과 동안 훨씬 더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따라서 생리적 조건 하에서만 크레아틴으로 전환된다. 이 이유 때문에,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은 또한 특히 개와 고양이인 표적 그룹에 의해 높은 정도로 이용된다.
크레아틴,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사료.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즉석 사료{Ready-to-eat feed for domestic pets}
본 발명은 영양 생리학의 측면에서 활성 성분으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완제품 사료(finished feed)에 관한 것이다.
구아니디노아세트산(GAA)은 동물 및 인간에서 생성되고 크레아틴의 생합성에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내생 물질(endogenous substance)이다. 크레아틴은 식품으로부터 섭취될 수 있고 또한 체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크레아틴의 생합성은 글리신과 L-아르기닌으로부터 출발한다. 포유동물에서, 주로 신장 및 간과 췌장에서 효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에 의해 L-아르기닌의 구아니디노기가 절단되고 N-C-N기가 글리신으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L-아르기닌이 L-오르니틴으로 전환된다. 이 방법으로 형성되는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은 다음 단계에서 척추동물의 경우 간에서만 나타나는 효소 트랜스메틸라아제에 의해 크레아틴으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S-아데노실 메티오닌이 메틸기 공여체로 작용한다. 뒤이어 크레아틴은 혈액 순환을 통해 표적 기관으로 수송된다. 크레아틴은 특정한 크레아틴 수송자(creatine transporter)에 의해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로 수송된다.
여러 연구 그룹들이 이미 1950년대에(the fifties of the last century) 베타인과 조합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투여가 심장 질환의 경우 질병의 경과에 긍정 적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환자들은 전반적인 건강 상태의 유의성 있는 개선을 보고했다. 또한, 짧은 치료기간 후에 이미 신체 운동 동안 개선된 지구력(endurance) 및 증가된 근력이 확인되었다. 환자들은 또한 증가된 리비도(libido)를 보고했다. 200명의 환자에게 1년 동안 1일 30 mg GAA/kg을 투여했다.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Borsook H.; Borsook M.E.; The biochemical basis of betain-glycosamine therapy. In: Analysis of western medicine and surgery 5(10), 825, 1951).
국제특허출원 WO 91/07954 A1은 근육에서 크레아틴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한 메티오닌 또는 S-아데노실 메티오닌과 조합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용도를 개시한다. 근육에서 증가된 크레아틴 수준을 요구하는 상태가 적용 분야로 언급되었다. 스포츠 영양 분야 외에 의약적 적용도 청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크레아틴의 투여는 크레아틴 수준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주장된다. 이 주장은 현재 다수의 문헌에 의해 반증되었다(예를 들면, Persky, A. M., Brazeau, G.A.: Clinical Pharmacology of the Dietary Supplement Creatine Monohydrate. In: Pharmacol. Rev. 2001, 53, 161-176). 크레아틴과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효능의 직접적인 비교는 WO 91/07954에 개시되지 않는다.
또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은 동물 실험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며 세균 감염(스태필로콕코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성공적으로 이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Preparation for protecting mammals against infection, Stanley Drug Products Inc. USA; Neth. Appl. (1976), 7 pp. NL 7411216).
메티오닌의 과다복용(overdosing)과 관련하여, 또한 관련된 부정적 효과들이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투여에 의해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Interrelations of choline and methionine in growth and the action of betain in replacing them. McKittrick, D.S., Univ. of California, Berkeley, Archives of Biochemistry(1947), 15, 133-155).
국제특허출원 WO 2004/000297 A1은 포유동물에서 사료 또는 약제학적 목적의 혼합물을 기재한다. 이 혼합물은 L-세린을 포함하는 단백질 분획 및 추가적인 성분인 구아니디노아세트산으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혼합물은 글리신을 포함하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상기 혼합물의 가수분해 후에, L-세린과 글리신을 2.7:1보다 큰 비로 포함해야 한다. 용액, 유제, 현탁액, 겔, 바(bar), 스위트(sweet) 및 바람직하게는 분말이 생성물의 가능한 제형으로 언급된다.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가축 동물용 완제품 사료로서의 용도는 언급되지 않는다.
2.7:1보다 높은 L-세린 대 글리신의 비는 애완동물용 상용 사료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육골분(meat and bone meal)과 같은 동물로부터 유래된 원재료는 세린보다 훨씬 더 많은 글리신을 포함한다(Amino acids of meals of animal origin; de Vuyst, A. Univ. Louvain, Belgium, Agricultura(Heverlee, Belgium)(1964), 12(1), 141-151). 식물성 원재료에서, 글리신과 세린의 비는 주로 균형을 이룬다.
크레아틴은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ATP) 외에, 크레아틴이 에너지-풍부 포스포크레아틴의 형태로 근육의 중요한 에너지 저장물(energy reserve)인 세포의 에 너지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근육의 휴식 상태에서, ATP는 포스페이트기를 크레아틴으로 전달하여 포스포크레아틴을 형성할 수 있고, 포스포크레아틴은 ATP와 직접적인 평형 상태를 이룬다. 근육 활동 동안, 가능한 한 신속하게 ATP 저장분(ATP store)을 충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포스포크레아틴은 최대 근육 부하(maximum muscle load)의 최초 수초 내에 이 목적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하나의 포스페이트기가 포스포크레아틴으로부터 매우 빠른 반응으로 효소 크레아틴 키나아제에 의해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상에 전달될 수 있고, 그에 의해 ATP가 재생성된다. 이는 또한 로만(Lohmann) 반응으로 불린다.
크레아틴은 오랫동안 적합한 식품 보충제 및 동물 사료로 알려져 있었다. 체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크레아틴 저장분은 강력하고 지속적인 근육 활동 동안 빠르게 고갈된다. 크레아틴의 표적화된 투여는 신체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축적 과정 또는 불리한 분해 생성물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경쟁적 운동선수에 특히 지구력 및 수행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그 이유는 크레아틴이 과량으로 공급되는 경우, 신체로부터 크레아틴 및 크레아티닌으로 제거되기 때문이다.
또한, 크레아틴 보충은 신체 매스(body mass)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먼저 근육으로의 수분의 증가된 흡수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크레아틴은 근원섬유에서 증가된 단백질 합성 또는 감소된 단백질 분해 대사 때문에 간접적으로 근육 매스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이다(Int. J. Sports Med. 21 (2000), 139-145). 따라서, 그 결과는 증가된 지방-불포함 신체 매스(fat-free body mass)이다.
크레아틴 자체, 즉, 크레아틴 모노히드레이트 외에, 크레아틴 아스코르베이트, 크레아틴 시트레이트, 크레아틴 피루베이트 등과 같은 다수의 크레아틴 염이 또한 적합한 식품 보충제로 입증되었다. 이에 대해, 유럽 특허 EP 894 083 B1 및 독일 공개 특허출원 DE 197 07 694 A1이 대표적인 것으로 언급된다.
인간에서 입증된 긍정적 효과는 또한 동물에서 크레아틴에 의해 보여지며, 이것이 다양한 동물 사료에서 크레아틴의 용도가 이전에 충분히 기재된 이유이다. 개에 대한 연구는 이미 1923년에 Benedict 및 Osterberg에 의해 수행되었다. 수주 동안 약 40 mg/kg의 1일 투여량으로 경구로 투여된 크레아틴은 체중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양성 질소 평형(positive nitrogen balance)도 관찰되었다(The Journal of Biologial Chemistry No.1(1923). 229-252).
GB 2 300 103은 크레아틴 모노히드레이트가 사출된 페이스트에서 식육과 함께 제공되는 개 비스켓의 제형의 크레아틴의 용도를 개시한다. 동물 및 비후화된 동물(fattened animal)을 사육하기 위한 사료 첨가제, 육골분, 어류 사료 및/또는 항균 경기력 향상제(antimicrobial performance enhancer), 성장 호르몬 및 동화제(anabolics)의 대용제로서의 크레아틴 또는 크레아틴 염의 용도가 이전에 국제특허출원 WO 00/67 590 A1에 개시되었다.
크레아틴 모노히드레이트는 낮은 용해도 때문에 생체이용률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크레아틴 모노히드레이트는 다른 생리학적 활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염의 제형인 화합물과 함께 이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권고된다. 독일 공개 특허출원 DE 198 450 A1은 동물 사료로 적합한 제제에서 안정한 피루브산 염, 특히, 크레아 틴 피루베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크레아틴은 육식 및 잡식성 야생 동물의 식이 내의 천연 성분이다. 따라서, 15 내지 60 kg의 체중을 갖는 늑대는 평균적으로 단위 체중 킬로그램당 1일 100-130 g의 식육을 먹는다. 신선한 식육은 킬로그램당 3 내지 6 g(23-46 mmole)의 크레아틴을 함유한다. 따라서, 35 kg의 늑대는 10.5 내지 27 g의 크레아틴을 포함하는 약 3.5 내지 4.5 kg의 식육을 섭취한다. 대조적으로, 35 kg의 체중을 갖는 사육되는 개의 경우 약 1.25 kg의 식육이 충분하다. 신선하고 익히지 않은 형태로 섭취되면, 식육은 3.75 내지 7.5 g의 크레아틴을 포함한다(Research in Veterinary Science 62(1997), 58-62).
명백한 긍정적인 생리적 특성 외에, 그러나, 크레아틴은 또한 수용액 및 습한 제제(moist formulation)에서 특히 크레아틴이 크레아티닌으로 전환되는 고온에서 매우 불안정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업적으로 제조된 동물 사료는 가공 동안 안정하게 하기 위해 강하게 가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개 및 고양이용 건조 비스켓의 생산에서, 원재료는 사출기에서 190℃까지 가열된다. 습도, 압력 및 열은 존재하는 전분을 겔화시키고 수득되는 페이스트가 뒤이어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가공 동안의 고온 및 습한 조건 하에서의 보관, 예를 들면, 약 75-85%의 수분을 함유하는 캔 식품(canned food)의 보관은 함유된 대부분의 크레아틴이 크레아티닌으로 전환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또한 개를 위한 상업적 캔 식품 및 건조 식품에서 Harris에 의해 입증되었다. 조사된 8개의 캔 식품은 미량의 크레아틴(0.36 내지 1.93 mmole/kg)만 포함했다. 또한, 건조 사료에서, 대부분의 시료에서 킬로그 램당 0.7 mmol 크레아틴 값이 측정되었다(Research in Veterinary Science 62(1997), 58-62). 따라서, 상업적 동물 사료(사료 킬로그램당 0.36-4.25 mmol 크레아틴)로 사육되는 개와 고양이는 신선한 식육(킬로그램당 23-46 mmol 크레아틴)를 포함하는 천연 식이의 경우보다 식품을 통해 보다 적은 양의 크레아틴을 섭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와 같은 크레아틴의 불안정성은 또한 경구 섭취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1 내지 2의 위의 pH는 잔류 시간(retention time)에 따라 크레아틴의 크레아티닌으로의 상당한 분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에서, 크레아틴의 경구 투여 후에, 약 15 내지 30%만이 근육에 의해 재흡수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Greenhaff, P.L.: Factors Modifying Creatine Accumulation in Human Skeletal Muscle. In: Creatine. From Basic Sciences to Clinical Application. Medical Science Symposia Series Volume 14, 2000, 75-82).
크레아틴에 대한 종래 기술의 전술된 단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경우, 산업적 가공 공정에서 낮은 불안정성을 갖는, 완제품 사료용 화합물을 찾는 것이었다. 그들은 손상 없이 높은 가공 온도를 견뎌야할 뿐 아니라, 예를 들면, 습한 조건 하에 캔 사료로 보관되는 경우, 안정해야 한다. 또한, 크레아틴과 대조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손상 없이 위의 산성 환경에서 견뎌야 하며 신체 내로 흡수될 때까지 크레아틴으로 전환되지 않아야 한다. 사용되는 사료 첨가제는 그 자체로 생리학적으로 불리한 효과를 보이지 않아야 하고, 검출하기 용이해야 한다. 경제적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물질은 경제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제조되어 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 목적은 영양 생리학적으로, 활성 성분으로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및/또는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염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완제품 사료에 의해 달성되었다.
완제품 사료에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은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크레아틴 또는 크레아틴 모노히드레이트와 대조적으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및 그의 염은 위에서와 같은 산성 용액에서 훨씬 더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그들은 생리적 조건 하에서만 크레아틴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본 목적에 따른 요건 프로파일을 충족시킨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놀랍게도, 크레아틴과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및 그의 염은 따라서 그들이 주로 간에서 일어나는 재흡수가 이루어질 때까지 전환되지 않는다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공지된 크레아틴과 대조적으로, 사용된 대부분의 화합물은 불안정성 반응에 의해 미리 분해되어 제거되지 않고, 실제로 생리학적 응용 분야에서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및 그의 염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크레아틴에 비해 훨씬 더 낮은 투여량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은 사료의 산업적 생산 동안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조건 하에서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은 크레아틴에 비해 명백한 장점을 보인다. 또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은 크레아틴보다 더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 장점들은 따라서, 그 전체가 예측가능하지 않았다.
청구된 완제품 사료에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의 놀랍게도 유리한 특성 때문에, 투여의 특정한 제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건조 사료, 반-습윤 사료(semi-moist feed) 및 습윤 사료 형태의 변형물, 특히, 캔 사료, 펠릿, 과립, 비스켓, 크로켓, 너겟, 플레이크 및 스낵과 같은 변형물이 동일하게 고려된다.
완제품 사료는 바람직하게는 동물 및/또는 식물성 원재료에 기반한다. 또한, 완제품 사료는 바람직하게는 글리신을 포함한다. 완제품 사료는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 후, 글리신을 L-세린에 대해 1:2.7, 바람직하게는 1:1 또는 그 이상의 비로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제품 사료는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으나, 보관 시 놀라울 정도로 안정적이다. 제안된 완제품 사료는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보다 높은 수분 함량을 가져야 하며, 약 10 중량%를 초과하는 수분 함량, 특히, 20 내지 80 중량%의 수분 함량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은 본 발명에 따라 유리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즉, 실제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으로 존재하고, 또한 염 또는 부가 화합물 또는 복합 화합물의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물론, 이 화합물 종류들의 혼합된 형태도 가능하다.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피루브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옥살산, 피로글루탐산(pyroglutamic acid), 3-니코틴산, 락트산, 시크르산, 말레산, 황산, 포름산, 염산 및 인산에 의해 수득되는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염이 본 발명에 따른 완제품 사료를 위해 유용하고, 특히,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칼륨,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칼슘 또는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나트륨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물론, 하나 이상의 전술된 염들과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혼합물이 이용되거나 또는 전술된 염들로 구성된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으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및 그의 염이 비교적 광범위한 함량 범위로 완제품 사료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전체 완제품 사료를 기준으로, 완제품 사료는 0.01 내지 20 중량%, 특히, 0.1 내지 1.0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포함해야 한다.
물론,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 외에, 완제품 사료는 또한, 예를 들면, 영양 생리학의 측면에서 활성인 성분 및/또는 제제화 보조제(formulation auxiliary) 또는 충전제와 같은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제로, 콜린, 베타인 및/또는 메티오닌과 같은 메틸기 공여체를 추가적인 생리적 활성 화합물로 추가하는 것이 개별적인 특정한 응용에 따라 권고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 및 고양이와 같은 육식동물의 식이에서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및 그의 염의 새로운 용도를 발견하며, 이들은 이전에 공지된 크레아틴 화합물에 비해 상당한 놀라운 장점을 갖는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예시한다.
실시예 1:
5000 mg의 구아니디노아세트산과 5000 mg의 베타인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개를 위한 상업용 연질 사료(soft feed) 1 kg의 제조에 내포(incorporate)시켰다. 최종 제품에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양은 0.5 중량%였다.
실시예 2:
2500 mg의 구아니디노아세트산과 5000 mg의 베타인으로 구성된 제제를 개의 캔 사료(canned dog food)를 위한 통상적인 제제 1 kg의 제조에 내포시켰다. 최종 제품에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양은 0.25 중량%였다.
실시예 3:
2000 mg의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락테이트, 750 mg 카르니틴 타르트레이트, 100 mg 수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160 mg 활석 및 1090 mg의 프럭토오스로 구성된 제제를 개 비스켓용 베이스 페이스트(base paste) 1 kg의 제조에 내포시켰다. 최종 제품에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양은 0.2 중량%였다.
실시예 4:
하기의 제제를 매스터 배치(master batch)로서, 상업용 캔 고양이 사료 혼합물 1 kg에 균질하게 내포시켰다: 1000 mg 구아니디노아세트산, 400 mg 메티오닌, 2000 mg 콜린, 4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5 mg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135 mg 락토오스. 최종 제품에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양은 0.1 중량%였다.
실시예 5: 안정성
5.1
산업적으로 제조된 완제품 사료의 제조에서 일어나는 조건 하에서 크레아틴과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안정성을 비교했다. 이 목적을 위해, 160℃에서 습윤 사료 페이스트의 사출(extrusion)을 위한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구아니디노아세트산 및 크레아틴을 물(pH 7)에 용해시키고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160℃까지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뒤이어, 크레아틴과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함량을 결정했다. 크레아틴의 크레아티닌으로의 결정화 반응 및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글리코시아미딘으로의 결정화 반응의 속도는 pH와 온도에만 의존하고 농도와는 완전히 독립적이었다.
상기 실험의 결과가 도 1에 표시된다. 도 1은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이 동물 사료 제조 조건 하에서 크레아틴보다 훨씬 더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160℃에서 30분 후에 크레아틴 함량은 최초 함량의 20% 미만이나, 동일한 조건 하에서 80% 이상의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이 여전히 존재했다.
5.2
크레아틴과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안정성을 pH 5의 물에서 조사했다. 이 조건은 캔 사료(canned feed)(75-85% 수분 함량)에서의 보관과 유사했다. 결과는 도 2에 표시된다.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은 크레아틴보다 훨씬 더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0일 후에,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분해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나, 크레아틴의 87%만이 회수되었다.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영양 생리학적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canned feed)로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애완동물용 제제 내에 내포시킨 후에 산업적으로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산업적으로 가공하는 동안 121℃ 이상의 온도에서 강하게 가열되며,
    상기 산업적으로 가공된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보관 동안 안정한 것인 애완동물용 캔 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건조 사료, 반-습윤(semi-moist) 사료, 또는 습윤 사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8 중량%보다 높고, 80 중량% 이하인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은 유리 형태의 구아니디노아세트산,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염,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부가 화합물(addition compound), 및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복합 화합물(complex compoun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은 말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피루브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α-케토글루타르산, 옥살산, 피로글루탐산, 3-니코틴산, 락트산, 시트르산, 말레산, 황산, 아세트산, 포름산, 2-히드록시벤조산, L-카르니틴, 아세틸-L-카르니틴, 타우린, 베타인, 콜린, 메티오닌, 리폰산, 나트륨, 칼륨 및 칼슘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에 의한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부가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상기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용해된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메틸기 공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육식 동물을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에서 가수분해 후 글리신:L-세린의 중량비는 1:2.7보다 높은 것인 애완동물용 캔 사료.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20 내지 80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니디노아세트산의 염은 말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피루브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α-케토글루타르산, 옥살산, 피로글루탐산, 3-니코틴산, 락트산, 시트르산, 말레산, 황산, 아세트산, 포름산, 2-히드록시벤조산, L-카르니틴, 아세틸-L-카르니틴, 타우린, 베타인, 콜린, 메티오닌, 리폰산,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수득된 것인 애완동물용 캔 사료.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0.1 내지 1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캔 사료는 개 및 고양이를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캔 사료.
  17.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포함하는 사료를 산업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애완동물용 캔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아니디노아세트산 성분을 포함하는 사료는 산업적으로 가공하는 동안 121℃ 이상의 온도에서 강하게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24019A 2006-03-01 2007-03-01 애완동물용 즉석 사료 KR101443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9373.9 2006-03-01
DE102006009373A DE102006009373A1 (de) 2006-03-01 2006-03-01 Fertigfutter für Haustiere
PCT/EP2007/001783 WO2007098952A1 (de) 2006-03-01 2007-03-01 Fertigfutter für haustie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97A KR20090003297A (ko) 2009-01-09
KR101443226B1 true KR101443226B1 (ko) 2014-09-22

Family

ID=3814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019A KR101443226B1 (ko) 2006-03-01 2007-03-01 애완동물용 즉석 사료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20090098239A1 (ko)
EP (1) EP1991065B1 (ko)
JP (1) JP2009528038A (ko)
KR (1) KR101443226B1 (ko)
CN (1) CN101494994A (ko)
AU (1) AU2007220681B2 (ko)
BR (1) BRPI0708396A2 (ko)
CA (1) CA2644384C (ko)
DE (1) DE102006009373A1 (ko)
DK (1) DK1991065T3 (ko)
ES (1) ES2485622T3 (ko)
MX (1) MX2008010974A (ko)
NO (1) NO20083772L (ko)
PT (1) PT1991065E (ko)
RU (1) RU2443121C2 (ko)
WO (1) WO2007098952A1 (ko)
ZA (1) ZA200807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102A1 (de) * 2007-07-21 2009-01-22 Alzchem Trostberg Gmbh Abriebfeste und rieselfähige Glycocyamin-haltige Formling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2665704A (zh) 2009-12-29 2012-09-12 希尔氏宠物营养品公司 用于伴侣动物的包含丙酮酸盐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CN101828646B (zh) * 2010-05-25 2012-07-18 中国农业大学 一种抗热应激饲料添加剂及其应用
CN102687802A (zh) * 2012-06-15 2012-09-26 江苏绿茵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耐寒促生长猪仔饲料
KR101292518B1 (ko) 2013-01-15 2013-08-07 조규만 분쇄한 식용동물 및 어류와 그 부산물에 호박과 타우린을 함유한 애완동물용 액상사료의 제조방법
FR3006857B1 (fr) * 2013-06-14 2015-05-22 Dietaxion Procede d'elevage d'animaux, en particulier de volailles de chair, et complement alimentaire notamment pour la mise en œuvre dudit procede
CN106036197A (zh) * 2016-05-25 2016-10-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无鱼粉鲟鱼饲料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6819657A (zh) * 2017-02-27 2017-06-13 齐芳 一种提升白甲鱼免疫功能的饲料
DE102019118898A1 (de) 2019-07-12 2021-01-14 Alzchem Trostberg Gmbh Konzentrat zur Herstellung einer Tränklösung
DE102019120246A1 (de) 2019-07-26 2021-01-28 Alzchem Trostberg Gmbh Verfahren zur Fütterung von Geflügel
DE102019121526A1 (de) 2019-08-09 2021-02-11 Alzchem Trostberg Gmbh Konzentrat zur Herstellung von Tränklösungen (II)
CN111011617B (zh) * 2019-12-23 2022-12-30 江西农业大学 丙酮酸肌酸作为促热应激肉牛瘤胃发酵饲料添加剂的应用
CN112741225A (zh) * 2021-01-14 2021-05-04 官丽辉 一种牛磺酸和胍基乙酸复合的鸡饲料添加剂
DE102022114701A1 (de) 2022-06-10 2023-12-21 Addcon GmbH Vormischung und deren Verwendung zur Steigerung der Futtermittelausnutzung und Verminderung der Mortalität bei Tie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0297A1 (en) * 2002-06-19 2003-12-31 N.V. Nutricia Nutritional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creasing the creatine response of organisms
WO2005120246A1 (de) * 2004-06-09 2005-12-22 Degussa Ag Guanidinoessigsäure als futtermittelzusatz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807A (en) * 1955-05-16 1956-09-04 California Inst Res Found Glycocyamine and methylating agent in vivo creatine producing composition
CA1130632A (en) * 1979-02-23 1982-08-31 Carnation Company Expanded pet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sme
IT1237519B (it) * 1989-11-27 1993-06-08 Impiego dell'acido guanidinacetico per indurre un incremento del contenuto muscolare di creatina
US20030060503A1 (en) * 2000-01-25 2003-03-27 Juvenon, Inc. Nutritional supplements for mature pets
US20050042362A1 (en) * 2003-04-02 2005-02-24 Clark Harry M. Pet food composition and method
DE102004009962A1 (de) * 2004-03-01 2005-09-22 Degussa Ag Verwendung von Guanidin-Verbindungen als physiologisches Stärkungsmittel in Form von Nahrungsergänzungsmitteln, Futtermittelzusätzen,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und als Pflanzenstärkungsmittel
DE102005009990A1 (de) * 2005-03-04 2006-09-07 Degussa Ag Salze, Anlagerungs- und Komplexverbindungen der Guanidinoessigsäure
EP2090178A1 (en) * 2008-02-13 2009-08-19 Bühler AG Pet food produc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0297A1 (en) * 2002-06-19 2003-12-31 N.V. Nutricia Nutritional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creasing the creatine response of organisms
WO2005120246A1 (de) * 2004-06-09 2005-12-22 Degussa Ag Guanidinoessigsäure als futtermittelzusa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8952A1 (de) 2007-09-07
MX2008010974A (es) 2008-09-08
CA2644384A1 (en) 2007-09-07
RU2008138890A (ru) 2010-04-10
CA2644384C (en) 2014-11-18
NO20083772L (no) 2008-09-18
ES2485622T3 (es) 2014-08-13
AU2007220681B2 (en) 2012-06-28
DE102006009373A1 (de) 2007-09-06
US20090098239A1 (en) 2009-04-16
EP1991065A1 (de) 2008-11-19
JP2009528038A (ja) 2009-08-06
DK1991065T3 (da) 2014-10-06
EP1991065B1 (de) 2014-06-25
ZA200807179B (en) 2009-05-27
RU2443121C2 (ru) 2012-02-27
AU2007220681A1 (en) 2007-09-07
PT1991065E (pt) 2014-07-28
KR20090003297A (ko) 2009-01-09
CN101494994A (zh) 2009-07-29
BRPI0708396A2 (pt) 2011-05-31
US20120329872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226B1 (ko) 애완동물용 즉석 사료
US8501810B2 (en) Guanidino acetic acid used as an animal food additive
JP5284088B2 (ja) グアニジノ酢酸成分をベースとする液体配合物
RU2402921C2 (ru) Соли, продукты при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плексные соединения гуанидинуксусной кислоты
US8703819B2 (en) Use of guanidinoacetic acid (salts) combination with betaine and/or choline to produced an agent that is beneficial to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