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652B1 -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 Google Patents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652B1
KR101442652B1 KR1020080079023A KR20080079023A KR101442652B1 KR 101442652 B1 KR101442652 B1 KR 101442652B1 KR 1020080079023 A KR1020080079023 A KR 1020080079023A KR 20080079023 A KR20080079023 A KR 20080079023A KR 101442652 B1 KR101442652 B1 KR 10144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voice message
terminal
messag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306A (ko
Inventor
안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7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6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가 개시된다.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정보를 포함하는 폰북 메모리부, 폰북에서 지정된 그룹별로 지정된 안내 음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 저장부, 부재중 통화시 발신자의 번호가 폰북에 있는지 검색하는 검색부, 검색부의 검색결과에 따라 해당 안내 음성 메시지 및 메시지 저장 할당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관리부 및 추출된 안내 음성 메시지에 따라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재중 발신자가 남긴 발신자의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서버에 접속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동 응답 기능, 폰북, 그룹, 안내 음성 메시지, 음성 메시지

Description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Recoding function providing method and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prov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확산됨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에는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자동 응답 기능 등이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중에서 자동 응답 기능은 부재중 걸려온 전화에 대해서 미리 설정해 놓은 안내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자에게 들려 줌으로써 용건을 전하거나, 발신자의 용건을 수신자 단말기에 녹음하는 서비스이다. 현재 자동 응답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수신자의 안내 음성 메시지나,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는 수신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센터의 서버에 녹음 되어 있다.
부재중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면, 수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의 번호와 전화가 걸려온 시간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발신자가 전화를 한 용건이 무엇인지는 직관적으로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신자가 전화를 한 용건을 알기 위해서는 수신자가 발신자에게 전화를 하거나 발신자가 다시 전화를 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는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겼을 경우에는 수신자가 그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서비스 센터의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재중 수신된 전화의 목적을 알 수 있는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폰북(phone book) 정보를 포함하는 폰북 메모리부, 폰북에서 지정된 그룹별로 지정된 안내 음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 저장부, 부재중 통화 시 발신자의 번호가 폰북에 있는지 검색하는 검색부, 검색부의 검색결과에 따라 해당 안내 음성 메시지 및 메시지 저장 할당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관리부 및 추출된 안내 음성 메시지에 따라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가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통화 요청 신호 수신되었을 대, 통화 연결이 되지 아니하고 지정된 임계시간이 경과되면 부재중 통화로 판단하고, 발신자 번호와 동일 번호를 단말기에 포함된 폰북에서 검색하는 단계; (b) 발신자 번호와 동일 번호가 검색 되면, 폰북에서 발신자 번호를 포함하는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그룹에 따라 지정된 안내 음성 메시지 및 메시지 저장 할당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 추출된 안내 음성 메시지를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e)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음성 메시지를 추출된 메시지 저장 할당 시간 정보에 따라 발신자 메시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단말기의 부재중 전화 목록 중에서 임의의 제1 발신자 번호 선택에 대한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b) 부재중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발신자 음성 메시지 중에서 제1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제1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검색된 제1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발신자 음성 메시지는 단말기의 폰북(phone book)에서 지정된 그룹별로 지정된 메시지 저장 할당시간 정보에 상응하여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부재중 발신자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상황에 맞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 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 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고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이동통신 단말기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단말기는 핸드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 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 1과는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될 수 있는 단말기의 일부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안내 메시지 저장부(110),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120), 검색부(130), 관리부(140), 폰북 메모리부(150) 및 음향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라면, 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통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단말기가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부와 입력에 따른 출력을 화면에 나타내는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안내 메시지 저장부(110),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120) 및 폰북 메모리부(150)를 별도로 기재하여 설명하나, 안내 메시지 저장부(110),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120) 및 폰북 메모리부(15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아니하고 해당하는 데이터 가 도1의 각 구성부에 저장되거나 또는, 단말기에 연결된 장치에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안내 메시지 저장부(110)에는 단말기(100)가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임계시간이 지난 후에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들려주는 안내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임계시간이란, 수신자의 단말기(100)에 전화가 걸려왔을 때 관리부(140)가 수신자가 부재중임을 판단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으로서, 수신자 단말기(100)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최소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시간은 30초 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가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 후 30초가 지나서도 통화 연결이 되지 않으면 관리부(140, 후술함)는 이를 안내 음성 메시지 출력 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안내 메시지 저장부(110)는 미리 설정되는 안내 메시지를 폰북의 그룹별로 저장 할 수 있다.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120)는 안내 음성 메시지를 들은 발신자가 수신자에게남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120)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자 번호와 매핑하여 저장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자 A와 발신자 B가 각각 남긴 발신자 음성 메시지가 수신자의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수신자는 발신자 A가 남긴 음성 메시지의 확인을 원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는 부재중 발신자 목록 중에서 발신자 A를 선택하여, 수신자가 부재중일 때 남긴 발신자 A의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다. 그 후 에 발신자 B가 남긴 메시지의 확인을 원한다면,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발신자 A와 발신자 B가 각각 남긴 음성 메시지가 수신자의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수신자가 발신자 A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부재중 발신자 목록 중에서 발신자 A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발신자 A를 선택하면, 발신자 A가 남긴 메시지 목록이 임의의 순서대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 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순서대로는 메시지가 저장된 최근 순서 일 수도 있고, 메시지 용량 순서 일 수 있다. 사용자는 발신자 A에 해당하는 메시지 목록 중에서 원하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확인 할 수 있다.
검색부(130)는 발신자 측으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입력 받으면 발신자 번호를 폰북 메모리부(150, 후술함)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어서 검색부(130)는 발신자 번호 검색 결과 폰북 메모리부(150)에 발신자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발신자 번호가 포함되는 폰북 그룹을 검색할 수 있다.
관리부(140)는 검색부(130)의 검색 결과 발신자 번호가 폰북 메모리부(150)에 있는 경우, 발신자 번호를 포함하는 폰북의 그룹에 해당하는 안내 음성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음성 메시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폰북 그룹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폰북의 그룹별로 메시지 저장 할당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북의 그룹이 그룹 A와 그룹 B로 설정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관리부(140)는 메시지 저장 할당 시간을 그룹 A는 1분, 그룹 B는 2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그룹 A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가 수신자의 단말기(100)에 음성 메시지를 남길 경우, 1분이라는 시간 분량내의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또한, 그룹 B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가 수신자의 단말기(100)에 음성 메시지를 남길 경우, 2분이라는 시간 분량내의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저장 할당 시간은 각 그룹별 또는 발신자별로 단말기(100)의 사용자(즉, 수신자)가 임의대로 설정 할 수 있다.
폰북 메모리부(150)는 폰북에서 소정의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저장 공간일 수 있다. 여기서 폰북이란 상대방의 이름, 전화번호, 생년 월일, 사진, 이메일 주소, 메신저 아이디, 메모, 지정된 개인벨 등의 상대방의 정보들을 저장해 놓은 소정의 저장 공간 일 수 있다. 폰북은 단말기(100)의 구성부의 일부분 이거나 단말기(100)에 연결된 장치일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음향부(160)는 안내 음성 메시지를 발신자 측으로 출력하거나 발신자의 음성 메시지를 입력 받아 수신자가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의 구성부가 안내 메시지 저장부(110),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120), 검색부(130), 관리부(140), 폰북 메모리부(150) 및 음향부(160) 등으로 명칭 하였으나, 각 구성부들은 종래 단말기 구성부 의 일부분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자동 응답 기능을 이용한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단말기(100)가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단말기(100)의 각 구성부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의 기능 수행에 따라 단말기(100)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1에서 수신자 단말기(100)가 발신자 측으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 임계시간인 30초가 경과하면(S202), 수신자 단말기(100)는 폰북에서 발신자 번호와 동일 번호가 있는지 검색(S203) 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04에서 수신자 단말기(100)가 발신자 번호와 동일 번호를 검색한 결과 검색되었다면, 단계 S205에서는 수신자 단말기(100)는 검색된 번호를 포함하는 폰북 그룹을 검색 할 수 있다.
여기서 폰북 그룹이란, 사용자가 폰북의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정보를 종류별로 또는 사용자의 임의대로 구분하여 저장해 놓은 폴더 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06에서 수신자 단말기(100)에 발신자 번호를 포함하는 폰북 그룹이 있다면 단계 S207에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검색된 폰북 그룹에 해당하는 안내 음성 메시지를 검색 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08에서 수신자 단말기(100)가 폰북 그룹에 해당하는 안내 음성 메시지를 검색한 결과 검색 되었다면 단계 S209에서는 수신자 단말기(100)는 검색된 안내 음성 메시지를 출력 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210에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안내 음성 메시지를 들은 발신자가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남기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단계 S211에서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계 S212에서는 수신된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저장 할 수 있다.
여기서, 폰북에서 발신자가 속하는 그룹별로 설정된 메시지 저장 할당 시간내에서, 수신자 단말기(100)가 음성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하였다.
만약, 수신자 단말기(100)가 단계 S202에서 발신자 측으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 하였는데 30초 이내에 통화 요청을 수락하였다면, 즉, 수신자가 전화를 받았다면 수신자가 부재중이 아니라는 판단을 하여 자동 응답 기능을 종료(S214) 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 단말기(100)가 단계 S204에서 발신자 번호 검색 결과 발신자 번호와 동일 번호가 검색되지 않았다면, 자동 응답 기능을 종료(S214)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예시된 순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폰북에 저장하지 않은 발신자 번호에 대하여 자동 응답 메시지를 설정(S213)해 놓았다면, 수신자 단말기(100)는 그에 해당하는 안내 음성 메시지를 출력(S209)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 번호와 동일 번호가 검색(S204) 되고 그 발신자 번호를 포함하는 폰북 그룹이 검색(S206) 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S208에서 검색된 폰북 그룹에 해당하는 안내 음성 메시지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수신자 단말기(100)는 자동 응답 기능을 종료(S214)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음성 메시지와 발신자 음성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 사업자의 서버가 아니라 단말기(100)의 소정의 저장 영역에 저장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재중일 경우 수신자 단말기가 발신자측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한 단말기에서 단말기(100) 수신자가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310에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부재중 전화 목록을 수신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20에서 사용자는 부재중 전화 목록 중 소정의 발신자를 선택할 수 있고, 수신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정보(예를 들어, 선택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어서, 단계 S330에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선택된 발신자가 수신자 단말 기(100)에 남긴 음성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결과 음성 메시지가 있다면, 수신자 단말기(100)는 단계 S340에서 선택한 발신자에 해당하는 음성 메시지 목록을 수신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검색 결과 음성 메시지가 없다면, 수신자 단말기(100)는 발신자 음성 메시지 확인을 종료(S390)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50에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화면에 표시된 음성 메시지 목록 중 메시지 확인 요청 입력을 받으면, 단계 S360에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확인 요청을 받은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가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이하, '출력'이라 칭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확인을 원하는 음성 메시지가 없다는 입력을 받으면 발신자 음성 메시지 확인을 종료(S390) 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70에서는 수신자 단말기(100)는 선택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 후 다른 음성 메시지 확인 여부를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 단말기(100)가 다른 음성 메시지 확인을 안한다는 입력을 받으면, 발신자 음성 메시지 확인을 종료(S390)할 수 있다.
만약, 수신자 단말기(100)가 다른 음성 메시지 확인 요청 입력을 받으면, 단계 S380에서는 확인한 메시지와 동일한 발신자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 단말기(100)가 단계 S380에서 동일한 발신자라는 입력을 받 으면, 단계 S340인 음성 메시지 목록 출력 단계부터 수행 할 수 있다.
만약, 수신자 단말기(100)가 단계 S380에서 동일하지 않은 발신자라는 입력을 받으면, 단계 S320인 발신자 선택 단계부터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3에 예시된 순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단계의 순서는 다양하게 수정, 변경되거나, 생략,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발신자가 한 개 이상의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370에서 수신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옵션, 또는 디폴트로 지정된 옵션에 의하여, 동일한 발신자가 남긴 복수개의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순차적(예를 들어, 시간순으로 또는 역순으로)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발신자가 복수개의 음성메시지를 수신자 단말기(100)에 저장한 경우, 단계 S380 및/또는 단계 S330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중 통화가 1개 있으며, 음성 메시지 1개가 수신자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서 단계 S310, S330 및 S340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단계의 경우 선택적으로 부가되어 수행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해서 부재중 발신자로부터 걸려온 전화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녹음 기능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 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자동 응답 기능을 이용한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한 단말기에서 발신자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110 : 안내 메시지 저장부
120 : 발신자 메시지 저장부
130 : 검색부
140 : 관리부
150 : 폰북 메모리부
160 : 음향부

Claims (9)

  1.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폰북(phone book) 정보를 포함하는 폰북 메모리부;
    상기 단말기에 통화 요청 신호가 수신 되었을 때, 통화 연결이 되지 아니하고 임계시간 경과 후 부재중 통화로 판단되는 경우, 발신자의 번호가 상기 폰북 정보에 포함되는지 검색되는 검색부;
    상기 발신자의 번호가 상기 폰북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발신자 번호별로 또는 상기 발신자 번호가 포함된 그룹별로 지정된 안내 음성 메시지 및 메시지 저장 할당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안내 메시지 저장부; 및
    상기 안내 음성 메시지에 따라 상기 발신자가 남긴 발신자 음성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저장 할당 시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발신자 번호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발신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발신자 음성 메시지의 확인 요청 입력을 받은 경우, 이동통신망 서버의 접속 없이 상기 발신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북은 상대방의 이름, 전화번호, 생년 월일, 사진, 이메일 주소, 메신저 아이디, 메모, 지정된 개인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단말기가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요청 신호 수신되었을 때, 통화 연결이 되지 아니하고 지정된 임계시간이 경과되면 부재중 통화로 판단되고, 발신자 번호가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폰북에 포함되는지 검색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번호가 상기 폰북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발신자 번호별로 또는 상기 발신자 번호가 포함된 그룹별로 지정된 안내 음성 메시지 및 메시지 저장 할당시간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안내 음성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단계;
    상기 안내 음성 메시지에 따라 상기 발신자가 남긴 발신자 음성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저장 할당 시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발신자 번호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발신자 음성 메시지의 확인 요청 입력을 받은 경우, 이동통신망 서버의 접속 없이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음 기능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통화 요청 신호 수신되었을 때, 통화 연결이 되지 아니하고 지정된 임계시간이 경과되면 부재중 통화로 판단되고, 발신자 번호가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폰북에 포함되는지 검색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번호가 상기 폰북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발신자 번호별로 또는 상기 발신자 번호가 포함된 그룹별로 지정된 안내 음성 메시지 및 메시지 저장 할당시간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안내 음성 메시지가 상기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단계;
    상기 안내 음성 메시지에 따라 상기 발신자가 남긴 발신자 음성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저장 할당 시간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발신자 번호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발신자 음성 메시지의 확인 요청 입력을 받은 경우, 이동통신망 서버의 접속 없이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80079023A 2008-08-12 2008-08-12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KR10144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023A KR101442652B1 (ko) 2008-08-12 2008-08-12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023A KR101442652B1 (ko) 2008-08-12 2008-08-12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306A KR20100020306A (ko) 2010-02-22
KR101442652B1 true KR101442652B1 (ko) 2014-09-23

Family

ID=4209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023A KR101442652B1 (ko) 2008-08-12 2008-08-12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415B1 (ko) * 2022-05-27 2022-10-26 조민제 상황별 전화 수신차단 시간설정 및 안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264A (ko) * 2004-03-15 2005-09-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인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264A (ko) * 2004-03-15 2005-09-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인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306A (ko) 201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01112A1 (en) Identifying caller information for output on mobile phone devices
JP4470854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8494123B2 (en) On-hold visual menu from a user&#39;s communications device
CN107360332B (zh) 通话状态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201001112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mail management
KR20150091406A (ko) 전화 호출의 음성-텍스트 전사를 위한 언어 결정 방법 및 디바이스들
US8805330B1 (en) Audio phone number capture, conversion, and use
CN101459885A (zh) 一种用户状态自动播放的方法、系统及装置
KR20040089232A (ko) 통화 중 검색전화번호 전송방법
KR100825406B1 (ko) 휴대 단말기의 음성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US8340640B2 (en) Transcrip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442652B1 (ko) 녹음 기능 제공 방법 및 자동 응답 기능 제공 단말기
JP2009171336A (ja) 携帯通信端末
US8385962B1 (en) Push-to-talk voice messages
US800550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056337B (zh) 多种音乐业务统一展现的方法及系统
US8385523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voice message retrieval
WO2012071808A1 (zh) 一种在通话过程中传送文本信息的方法及装置
CN101980551A (zh) 语音短信系统及其实现方法
US20090225962A1 (en) Interactive voicemail message selection to refuse an incoming call
WO20020584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a message to a recipient
KR101211904B1 (ko)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6093107B6 (ja) 電話装置及び電話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07755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중 감성 및 상태 전달 방법
KR20100016936A (ko) 통신 단말에서 전화번호 자동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