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622B1 -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 Google Patents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622B1
KR101442622B1 KR1020130057402A KR20130057402A KR101442622B1 KR 101442622 B1 KR101442622 B1 KR 101442622B1 KR 1020130057402 A KR1020130057402 A KR 1020130057402A KR 20130057402 A KR20130057402 A KR 20130057402A KR 101442622 B1 KR101442622 B1 KR 101442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flexible display
sp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재헌
Original Assignee
오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헌 filed Critical 오재헌
Priority to KR102013005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6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afely store the folded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ttach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able housing is folded with the housing.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a shielding unit; a display device;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접철되는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소자가 하우징과 함께 접철될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소자의 접철된 일부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safely accommodating a folded portion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전자기기로서,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and use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etc.,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bar type, a flip type, and a folder type according to the external appearance .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 수화부가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 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The bar type terminal has a form in which a data input / output unit and a transmitter / receiver unit are mounted on one main body housing. Since a keypad serving as a data input unit is always exposed, there is a fear that a malfunction may occur. There is a limit.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The flip-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a flip, and a hinge module that connects the main body and the flip.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ata input / output unit and a transmitter / receiver unit. The flip covers the keypad as the data input unit to prevent malfunction However, the flip-type terminal also has a limitation in downsizing due to the problem of sec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동하여 개폐되는 형태로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통화대기 모드에서는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The folder type terminal comprises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module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so that the folder is rotated and opened. In the call standby mode in which the fold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malfunction of the keypad is preven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folder is unfolded to secure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unit and the receiver unit,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디자인이 다양화되면서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나의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가 등장하게 되었다.Meanwhile, as the design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diversified,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two housings and one housing being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on another housing has appeared.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초기에는 음성통화나 단문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게임, 대용량 파일 전송, 인터넷 접속 등 서비스 콘텐츠가 점차 증가하고, 동영상 파일 재생 등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들을 통해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은 음악 파일 재생, 방송 시청, 동영상 파일 재생 등이 있다.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se portable terminals is initially limited to voice call or short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contents such as game, large file transfer, and internet access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video file playback are being strengthened. Multimedia functions implemented through portable terminals include music file playback, broadcast viewing, and moving picture file playback.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형화될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휴대성을 고려할 때,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형화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As the multimedia service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s strengthene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larger display device. However, considering the portability, there is a limitation in enlarg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한편으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상용화가 가능해지면서, 폴더형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동일한 크기의 단말기에도 더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보 할 수 있게 되었다.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접철 가능한 두 개의 하우징에 걸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폴더형 단말기의 하우징들이 접철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각지게 접혀질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손상될 위험성이 있어 실제 제품에 적용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since a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commercialized, a larger-sized display device can be secured in a terminal of the same size when applied to a folder-type terminal. That is, one display element can be installed over two foldable housings. However,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s are folded in a folded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housings of the folding type terminals are folded, there is a risk that the flexible display device may be damage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devices are not applicable to actual produc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구비된 한 쌍의 하우징을 접철할 경우 각각의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과 함께 접철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소자를 안전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공간부를 형성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safely accommoda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folded together with a housing in a housing when a pair of housings equipped wit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re folded.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in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is formed.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구비된 한 쌍의 하우징이 접철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수용되는 공간부를 차폐하고, 한 쌍의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공간부에 수용되는 차폐부가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When a pair of housings provided with a flexible display device are folded, a spac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ccommodated is shielded, and when a pair of housings is unfolded, Equipment.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구비된 하우징이 펼쳐질 경우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located above a space when a housing hav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unfol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테이퍼부 및 상기 제 1 테이퍼부의 하단과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과 및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 및 상기 제 2 테이퍼부의 하단과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제 2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과 및 양단 일측이 각각 상기 제 1 연장부의 내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회동되어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부 및 제 2 공간부를 차폐하는 차폐부; 및 일면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호 접철되는 경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부가 상기 제 1 공간부와 상기 제 2 공간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irst body part, a first taper part formed down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and a second taper part extending from a lower end and both ends of the first taper part,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a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second tapered portion formed from a lower end and both ends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hav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A shielding part for shielding the first space part and the second space part when the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rotated and folded;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rein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fold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pac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또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홈과,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 내저면에 수용되는 수용위치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호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부 및 상기 제 2 공간부를 차폐시키는 차폐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차폐판 및 상기 차폐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폐판이 상기 제 1 공간부 및 제 2 공간부를 차폐하는 위치에서 상기 차폐판의 가이드돌기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차폐판의 차폐위치를 유지시키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ielding portion may include a guide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a plate-shaped member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a shielding position for shielding the first space part and the second space part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folded to each other, A guide projec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and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and a guide pl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the shield plate shielding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nd a latching jaw which is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hielding pl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maintain the shielding position of the shielding plate.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부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 2 공간부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nfolded, a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ing one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located above the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unfolde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located above the second space portion.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1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 결합홈과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지지판과 상기 제 1 지지판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돌기와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1 테이퍼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 1 지지판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 결합홈과 상기 제 2 공간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와 상기 제 2 지지판과 제 2 테이퍼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 2 지지판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first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 first suppor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and projecting porti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late and the first taper portion, and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nfolded, Wherein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spac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at least one second suppor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pporting plate and the second tapered portion and adapted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ing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nfolded .

또한, 상기 제 1 지지수단은 상기 차폐판의 일측 중 상기 제 1 연장부의 내저면에 수용된 상기 차폐판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공간부의 상방으로 수직 절곡형성되는 제 1 지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지지수단은 상기 차폐판의 일측 중 상기 제 2 연장부의 내저면에 수용된 상기 차폐판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공간부의 상방으로 수직 절곡형성되는 제 2 지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upport means includes a first support wall formed at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and vertically bent upward from the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receiv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includes a second support wall formed at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and vertically bent upward from the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receiv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extended portion.

또한, 상기 제 1 지지수단은 상기 제 1 테이퍼부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과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지지바와 상기 제 1 관통홀에 내설되고, 상기 제 1 지지바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제 2 지지수단은 상기 제 2 테이퍼부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과 일단이 상기 제 2 지지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지지바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내설되고, 상기 제 2 지지바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first supporting means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a first through hol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movably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first elastic member inserted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apply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bar in an outward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supporting means includes at least one A second support bar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is insert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in an out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제 1 테이퍼부 및 상기 제 2 테이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first taper portion and the second taper portion are round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접철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y forming a space for safely hous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n the housing.

또한, 하우징이 접철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수용된 공간부를 차폐하고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공간부에 수용되는 차폐부를 통해 공간부에 수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ousing is folde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outside by shielding the space wher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housed, and the shield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space when the housing is opened.

또한, 하우징이 펼쳐질 경우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게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정적으로 터치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housing is unfolded, a structure for stably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can be stably provid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tably tou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 1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제 1 지지판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 1 지지판이 슬라이드 되어 지지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ld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ld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positioned above a first space por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liding and supporting a first support plate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anded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1)는 제 1 하우징(10), 제 2 하우징(20), 차폐부(3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 제 1 지지부(50) 및 제 2 지지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4, an electronic device 1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10, a second housing 20, a shield 30,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40, a first support portion 50,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60.

제 1 하우징(10)은 직사각형의 제 1 몸체부(11)와 제 1 몸체부(1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테이퍼부(12)와 제 1 테이퍼부(12)의 하단과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제 1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1 연장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housing 10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1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first tapered portion 12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12,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13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 portions and to form a first space portion 14 on the inner side.

제 2 하우징(20)은 제 1 하우징(10)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직사각형의 제 2 몸체부(21)와 제 2 몸체부(2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22)와 제 2 테이퍼부(22)의 하단과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제 2 공간부(24)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2 연장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housing 20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housing 10 and has a rectangular second body portion 21 and a second tapered portion 22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23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and both ends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and forming a second space portion 24 on the inner side.

위와 같이 형성된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은 제 1 연장부(13)와 제 2 연장부(23)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 1 몸체부(11)의 상면에 후술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소자의 일측이 설치되고, 제 2 몸체부(21)의 상면에 후술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소자의 타측이 설치된다.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such that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face each other an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 And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 [

여기서,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공간부(14)와 제 2 공간부(24)는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 중 어느 하나가 회동되어 상호 접철될 경우,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과 함께 접철되어 원형으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formed inside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lded togeth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bent in a circular shape is accommodated.

또한, 제 1 테이퍼부(12) 및 제 2 테이퍼부(22)의 하단으로부터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까지의 거리는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ances from the lower ends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12 and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to the tip ends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are set to be equal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20.

위와 같이 형성하는 이유는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의 제 1 연장부(13)와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차폐부(30)의 차폐판(32)의 면적과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상호 접철되는 경우, 상기 차폐판(32)이 차폐하는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의 제 1 연장부(13)와 제 2 연장부(23)의 저면의 선단 간에 형성되는 차폐면적과 일치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first extension part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3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lded together with the area of the shielding plate 32 of the shielding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ielding plate 32, Is equal to the shielding area formed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extension 10 and the second extension 20 of the shielding second extension 20 and the second extension 20, respectively.

그리고, 제 1 테이퍼부(12) 및 제 2 테이퍼부(22)는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수용되어 원형으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일부가 제 1 테이퍼부(12) 및 제 2 테이퍼부(22)의 경사면을 따라 보다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도 있다.The first tapered portion 12 and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so that a part of the circularly-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and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and may be rounded.

차폐부(30)는 양단 일측이 각각 상기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회동되어 상호 접철될 경우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의 제 1 연장부(13)와 제 2 연장부(23)의 저면의 선단을 차폐함으로써,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를 외부와 차폐하여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수용되어 원형으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One end of the shield 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respectively and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rotated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lded to each other, the ends of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shielded, 2 space part 24 to shield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 parts 14 and 24 and is bent in a circular shape.

이러한 차폐부(30)는 가이드홈(31), 차폐판(32), 가이드돌기(33) 및 걸림턱(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hield 30 includes a guide groove 31, a shield plate 32, a guide protrusion 33, and a locking protrusion 34.

가이드홈(31)은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각각의 대향하는 내측면 하부에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한 쌍씩 설치된다.A pair of guide grooves 31 ar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respecti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차폐판(32)은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서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설치된다.The shielding plate 32 is a plate-like member having the same area a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Lt; / RTI >

가이드돌기(33)는 차폐판(32)의 양측단부 일측으로부터 한 쌍식 돌출형성되고, 가이드홈(31)에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 중 어느 하나가 회동되어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상호 접철될 경우 가이드홈(31)을 따라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으로 이동하여 차폐판(32)을 이동시켜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protrusions 33 protrude from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shield plate 32 and are coupled to the guide grooves 31 to connect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t the same time, when either the first housing 10 or the second housing 20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lded to each other, the first extension 10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to move the shielding plate 32 to shield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걸림턱(34)은 각각의 가이드홈(31)의 일측 중 차폐판(32)이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를 차폐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폐판(32)의 양측단부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33)를 지지함으로써, 차폐판(32)의 차폐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stopping jaw 34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hielding plate 32 on one side of each of the guide grooves 31 shields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And supports the guide protrusions 33 protruding from both end portions thereof, thereby maintaining the shielding position of the shielding plate 3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는 일측이 제 1 하우징(10)의 제 1 몸체부(11) 상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제 2 하우징(20)의 제 2 몸체부(21)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 및 출력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상호 접철되는 경우,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일부는 각지게 접철되지 않고 원형으로 휘어져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수용된다.One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21 of the second housing 20,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lded to each other, the first space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lded to each other,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locat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is curved in a circular shape without being folded.

제 1 지지부(50)는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지는 경우, 제 1 공간부(14)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 1 결합홈(51), 제 1 지지판(52), 제 1 결합돌기(53) 및 제 1 지지수단(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support part 50 supports one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positioned above the first space part 14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1 coupling groove 51, a first supporting plate 52, a first engaging projection 53, and a first supporting means 54. As shown in Fig.

제 1 결합홈(51)은 제 1 연장부(13)의 내측면 중 제 1 테이퍼부(12)의 상단과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 1 지지판(52)에 형성된 제 1 결합돌기(5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A pair of first engagement grooves 5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 so as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12, And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53 formed on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53 is rotatably engaged.

제 1 지지판(52)은 제 1 공간부(14)의 상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서, 후술하는 제 1 결합돌기(53)를 통해 제 1 공간부(14)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질 경우 제 1 지지판(52)의 상면이 제 1 공간부(14)의 상부에 위치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터치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support plate 52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the same area as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14 through a first engagement projection 53,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52 is closely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4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is stably support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tably perform the touch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제 1 결합돌기(53)는 제 1 지지판(52)의 양단부 일측으로 부터 돌출형성되고, 제 1 결합홈(51)에 결합되어 제 1 지지판(52)을 제 1 결합홈(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53 protrudes from one side of one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52 and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recess 51 to rotate the first supporting plate 52 in the first engaging recess 51 .

제 1 지지수단(5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폐판(32)의 일측 중 제 1 연장부(13)의 내저면에 설치되는 차폐판(32)의 일측에서 제 1 공간부(14)의 상방으로 수직 절곡형성되는 제 1 지지벽(54a)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support means 54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32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of the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support wall 54a vertically bent upward.

이러한 제 1 지지벽(54a)은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지는 경우, 차폐판(32)이 제 1 하우징(10)의 제 1 연장부(13)의 내저면에 수용됨과 동시에 제 1 지지판(52)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지지판(52)의 하부에 수직하게 세워짐으로써 제 1 지지판(5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the first supporting wall 54a is positioned such that the shielding plate 32 is position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of the first housing 10 And moves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to vertically support the first support plate 52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plate 52.

제 2 지지부(60)는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지는 경우, 제 2 공간부(24)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 1 지지부(50)와 동일하게 제 2 결합홈(61), 제 2 지지판(62), 제 2 결합돌기(63) 및 제 2 지지수단(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supports one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positioned above the second space portion 24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the second engagement protrusions 63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64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of the first embodiment.

제 2 결합홈(61)은 제 2 연장부(23)의 내측면 중 제 2 테이퍼부(22)의 상단과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 2 지지판(62)에 형성된 제 2 결합돌기(6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The pair of second coupling grooves 61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so as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63 formed on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63 is rotatably engaged.

제 2 지지판(62)은 제 2 공간부(24)의 상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서, 후술하는 제 2 결합돌기(63)를 통해 제 2 공간부(24)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질 경우 제 2 지지판(62)의 상면이 제 2 공간부(24)의 상부에 위치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에 밀착 지지되어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터치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the same area as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second space portion 24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24 through a second coupling projection 63 described later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supported by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24, So that the touch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can be stably performed.

제 2 결합돌기(63)는 제 2 지지판(62)의 양단부 일측으로 부터 돌출형성되고, 제 2 결합홈(61)에 결합되어 제 2 지지판(62)을 제 2 결합홈(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63 protrude from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ing plate 62 and ar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s 61 so that the second supporting plate 62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61 .

제 2 지지수단(6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폐판(32)의 일측 중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설치되는 차폐판(32)의 일측에서 제 2 공간부(24)의 상방으로 수직 절곡형성되는 제 2 지지벽(64a)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upport means 64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32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of the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3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ond support wall 64a vertically bent upward.

이러한 제 2 지지벽(64a)은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지는 경우, 차폐판(32)이 제 2 하우징(20)의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수용됨과 동시에 제 2 지지판(62)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지지판(62)의 하부에 수직하게 세워짐으로써 제 2 지지판(6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support wall 64a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of the second housing 20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deployed, And moves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2 to vertically support the second support plate 62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plate 6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1)의 접철과정을 설명하면,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회동되어 접철되는 과정에서 차폐판(32)은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에 형성된 가이드홈(31)을 따라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33)에 의해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5 and 6, the folding process of the electronic device 1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rotated and folded The shielding plate 32 extends along the guide grooves 31 formed in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are moved by the guide projections 33 that move to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respectively.

그리고,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은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수용되어 원형으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에 의해 제 1 지지벽(54a) 및 제 2 지지벽(64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supporting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62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wall 62 by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which is received in the first space 14 and the second space 24 and is bent in a circular shape. 54a and the second support wall 64a.

다음으로,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완전하게 상호 접철되는 경우, 차폐판(32)은 가이드돌기(33)가 가이드홈(31)을 따라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턱(34)에 걸립결합됨으로 인해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에서 가이드돌기(33)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턱(34)에 의해 차폐위치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completely folded together, the shielding plate 32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33 extends along the guide groove 31 to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guide protrusion 33 at the shielding position for shielding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by being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34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So that the shielding position is maintained by the engaging jaws 34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 때, 제 1 지지벽(54a) 및 제 2 지지벽(64a)은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밀착되고,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은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수용되어 원형으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에 의해 제 1 지지벽(54a) 및 제 2 지지벽(64a)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가 안정되게 수납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wall 54a and the second support wall 64a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and the first support plate 52a and the second support wall 64a The support plate 62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wall 54a and the second support wall 64a by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4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and is bent in a circular shap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can be stably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4 and 24.

반대로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지는 경우, 먼저 사용자가 차폐판(32)의 외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이드돌기(33)를 걸림턱(34)에서 해제시킨 후,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을 회동시키면 차폐판(3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3)가 대응되는 각각의 가이드홈(31)을 따라 제 1 연장부(12)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폐판(32)의 양단이 각각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차폐판(32)의 저면이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밀착되어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수용되는 수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the user first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 plate 32 inward to release the guide protrusion 33 from the engaging jaw 34,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rotated, the guide projections 33 formed on the shielding plate 32 are guided along the corresponding guide grooves 31, Both ends of the shielding plate 32 are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ends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as the shielding plate 32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23, The bottom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and is positioned at the receiving posi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is receiv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

이 때, 차폐판(32)에 형성된 제 1 지지벽(54a) 및 제 2 지지벽(64a)은 제 1 지지판(52)과 제 2 지지판(62)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수직하게 세워짐으로써,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의 저면을 지지하여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의 상면을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에 밀착 지지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wall 54a and the second support wall 64a formed on the shielding plate 32 move along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14 and the second space 24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to support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And is firm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located above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상기에서 기술한 차폐판의 슬라이딩 이동구조는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할 뿐 여타 다양한 슬라이딩 이동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liding movement structure of the shield plate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various sliding movement structures can be adop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제 1 지지수단(54) 및 제 2 지지수단(64)의 구성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7 and 8,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upporting means 54 and the second supporting means 64 ,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지지수단(54)은 제 1 관통홀(54b), 제 1 지지바(54c) 및 제 1 탄성부재(54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support means 54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54b, a first support bar 54c and a first elastic member 54d.

제 1 관통홀(54b)은 제 1 테이퍼부(12)의 일측에 한 쌍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pair of first through holes 54b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12, and are curv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제 1 지지바(54c)는 제 1 관통홀(54b)과 대응되는 제 1 지지판(52)의 일측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각각의 제 1 관통홀(54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 1 관통홀(54b)과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support bar 54c has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54b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each first through hole 54b And is curved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hrough hole 54b.

제 1 탄성부재(54d)는 각각의 제 1 관통홀(54b)에 설치되어 각각의 제 1 지지바(54c)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함으로써,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질 경우, 제 1 지지판(52)의 상면을 제 1 공간부(14)의 상면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에 밀착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elastic member 54d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through holes 54b and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support bars 54c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54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14 when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unfolded.

제 2 지지수단(64)은 제 1 지지수단(54)과 마찬가지로 제 2 관통홀(64b), 제 2 지지바(64c) 및 제 2 탄성부재(64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support means 64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64b, a second support bar 64c and a second elastic member 64d like the first support means 54.

제 2 관통홀(64b)은 제 2 테이퍼부(22)의 일측에 한 쌍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pair of second through holes 64b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and curved downward toward the inner side.

제 2 지지바(64c)는 제 2 관통홀(64b)과 대응되는 제 2 지지판(62)의 일측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각각의 제 2 관통홀(64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제 2 관통홀(64b)과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upport bar 64c has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64b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each second through hole 64b And has a downwardly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hole 64b.

제 2 탄성부재(64d)는 각각의 제 2 관통홀(64b)에 설치되어 각각의 제 2 지지바(64c)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함으로써,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질 경우, 제 2 지지판(62)의 상면을 제 2 공간부(24)의 상면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에 밀착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64d is installed in each of the second through holes 64b and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 bars 64c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64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pace portion 24 when the second support plate 20 is unfolded.

여기서, 제 1 탄성부재(54d) 및 제 2 탄성부재(64d)는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질 경우 제 1 지지바(54c) 및 제 2 지지바(64c)의 타단에 복원력을 인가하여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의 상면이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에 밀착지지되어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를 안정적으로 터치할 수 있을 정도의 복원력을 가지고,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접철되는 경우,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에 의해 제 1 테이퍼부(12) 및 제 2 테이퍼부(22) 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가 안정되게 수용될 수 있는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lastic member 54d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64d are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ing bar 54c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64c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located above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by apply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ther end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lded together with a restoring force enough for the user to stably tou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2 supporting plate 6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12 and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by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40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40 can be stably received. It is preferable to use an elastic member having a restoring force to such an extent that the first space 14 and the second space 24 can be formed. It is.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 Sectional view.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철과정을 설명하면,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회동되어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접철되는 과정에서 차폐판(32)은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에 형성된 가이드홈(31)을 따라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33)에 의해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9 and 10, a folding process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rotated, and the first housing 10 The shielding plate 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long the guide groove 31 formed in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second housing 20 and the second housing 20, And the guide protrusion 33 which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

그리고,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은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수용되어 원형으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에 의해 제 1 테이퍼부(12) 및 제 2 테이퍼부(23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support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4 and 24 and are bent in a circular shape by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12 and the second tapered portion 23a.

다음으로,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완전하게 상호 접철되는 경우, 차폐판(32)은 가이드돌기(33)가 가이드홈(31)을 따라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턱(34)에 걸림결함됨으로 인해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를 차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가이드돌기(33)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턱(34)에 의해 차폐위치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completely folded together, the shielding plate 32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33 extends along the guide groove 31 to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and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o shield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due to the engagement failure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34, So that the shielding position is maintained by the latching jaw 34 to which the latching member 33 is engaged.

이 때,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위치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소자는 원형으로 휘어지면서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을 제 1 테이퍼부(12) 및 제 2 테이퍼부(22)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을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밀착시키고,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안정되게 수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52 and 62 are bent in a circular shape while the first and second tapered portions 12 and 24 are position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The first supporting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6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by pressing the first supporting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62 toward the second tapered portion 22, (14) and the second space (24).

반대로,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지는 경우, 먼저 사용자가 차폐판(32)의 외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이드돌기(33)을 걸림턱(34)에서 해제시킨 후,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면 차폐판(3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3)가 대응되는 각각의 가이드홈(31)을 따라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폐판(32)의 양단이 각각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선단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차폐판(32)의 저면이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밀착됨으로 인해 차폐판(32)은 제 1 연장부(13) 및 제 2 연장부(23)의 내저면에 수용되는 수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the user first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 plate 32 inward to release the guide protrusion 33 from the engaging jaw 34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rotated, the guide protrusions 33 formed on the shielding plate 32 are guided along the corresponding guide grooves 31, The both ends of the shielding plate 32 are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ends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as the shielding plate 32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23,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 And is located at the receiving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그리고,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에 수용되어 원형으로 휘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일부가 펼쳐지면서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에 인가되는 가압력이 해제됨으로 인해 제 1 탄성부재(54d) 및 제 2 탄성부재(64d)가 제 1 지지바(54c) 및 제 2 지지바(64c)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함으로써, 제 1 지지판(52) 및 제 2 지지판(62)의 상면을 제 1 공간부(14) 및 제 2 공간부(24)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에 밀착 지지시키게 된다.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14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4 and curved in a circular shape is unfolded and is appli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The first elastic member 54d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64d apply restoring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54c and the second support bar 64c in the outward direction by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are close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located above the first space 14 and the second space 24.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 1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지지하는 제 1 지지판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 1 지지판이 슬라이드 되어 지지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positioned above a first space por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liding a first support plate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1)는 제 1 지지판(52)의 양측단에 하방으로 수직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이 형성되고, 측벽의 후단은 제 1 테이퍼부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 1 하우징(10)의 제 1 몸체부(11) 상면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11 and 12, in the electronic device 1 using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ide walls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downward are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The rear end of the side wall is inclined at the same inclination as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and is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 of the first housing 10.

위와 같은 제 1 지지판(52)은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상호 접철되는 경우,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부(11)의 상면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 간에 위치되어 있다가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이 펼쳐지는 경우 제 1 테이퍼부(12) 방향으로 전진하여 후단이 제 1 테이퍼부(12)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제 1 지지판(52)의 상면이 제 1 몸체부(11)의 상면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제 1 공간부(14)의 상면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12 (a),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folded to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late 52 and the first support plate 52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 Wh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20 are unfolded, they are advanc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aper portion 12 and the rear end is moved to the first taper portion 12,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52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52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part 14, 40).

상기에서는 제 1 하우징의 제 1 공간부(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판(52)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제 2 하우징(20)의 제 2 공간부(24)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판(62)의 구조도 제 1 지지판(52)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hough on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4 of the first housing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2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4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24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upport plate 52. Therefore, .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1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10 : 제 1 하우징 11 : 제 1 몸체부
12 : 제 1 테이퍼부 13 : 제 1 연장부
14 : 제 1 공간부 20 : 제 2 하우징
21 : 제 2 몸체부 22 : 제 2 테이퍼부
23 : 제 2 연장부 24 : 제 2 공간부
30 : 차폐부 31 : 가이드홈
32 : 차폐판 33 : 가이드돌기
34 : 걸림턱 40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
50 : 제 1 지지부 51 : 제 1 결합홈
52 : 제 1 지지판 53 : 제 1 결합돌기
54 : 제 1 지지수단 54a : 제 1 지지벽
54b : 제 1 관통홀 54c : 제 1 지지바
54d : 제 1 탄성부재 60 : 제 2 지지부
61 : 제 2 결합홈 62 : 제 2 지지판
63 : 제 2 결합돌기 64 : 제 2 지지수단
64a : 제 2 지지벽 64b : 제 2 관통홀
64c : 제 2 지지바 64d : 제 2 탄성부재
1: Electronic device using flexible display
10: first housing 11: first body part
12: first tapered portion 13: first extension portion
14: first space part 20: second housing
21: second body part 22: second taper part
23: second extension part 24: second space part
30: shielding portion 31: guide groove
32: shield plate 33: guide protrusion
34: latching jaw 40: flexible display element
50: first supporting portion 51: first coupling groove
52: first support plate 53: first engagement projection
54: first supporting means 54a: first supporting wall
54b: first through hole 54c: first support bar
54d: first elastic member 60: second support portion
61: second engaging groove 62: second supporting plate
63: second engaging projection 64: second supporting means
64a: second support wall 64b: second through hole
64c: second support bar 64d: second elastic member

Claims (7)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테이퍼부 및 상기 제 1 테이퍼부의 하단과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 및 상기 제 2 테이퍼부의 하단과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제 2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과;
양단 일측이 각각 상기 제 1 연장부의 내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회동되어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부 및 제 2 공간부를 차폐하는 차폐부; 및
일면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호 접철되는 경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부가 상기 제 1 공간부와 상기 제 2 공간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A first taper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a first extended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a lower end a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to form a first space portion inwardly A first housing for housing the first housing;
A second body portion, a second taper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second extended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a lower end and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to form a second space portion inwardly A second housing for hous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such that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rotated and folded, A shield for shielding the part; And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rein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housed in the first space part and the second space part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folded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홈과;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 내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 내저면에 수용되는 수용위치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호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부 및 상기 제 2 공간부를 차폐시키는 차폐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차폐판;
상기 차폐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폐판이 상기 제 1 공간부 및 제 2 공간부를 차폐하는 차폐위치에서 상기 차폐판의 가이드돌기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차폐판의 차폐위치를 유지시키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ield
A guide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respectively;
A receiving position which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is receiv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 shielding plate that moves between shielding positions for shielding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when the second housings are folded together;
A guide projec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and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And
And a hooking jaw provided at one side of each of the guide grooves and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hield plate at a shielding position where the shield plate shields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es a flexible displa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부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 2 공간부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located above the first space portion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nfolde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located above the second space portion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nfold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1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 결합홈;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지지판;
상기 제 1 지지판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돌기;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1 테이퍼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 1 지지판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 결합홈;
상기 제 2 공간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지지판;
상기 제 2 지지판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돌기;
상기 제 2 지지판과 제 2 테이퍼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 2 지지판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upport portion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 first support plat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 first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at least one first suppor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late and the first tapered portion so as to closely support the first supporting plate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nfolded Lt; / RTI &
The second support portion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 second support plate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at least one second suppor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pporting plate and the second tapered portion and adapted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ing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exible display element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unfolded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flexible displa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수단은
상기 차폐판의 일측 중 상기 제 1 연장부의 내저면에 수용된 상기 차폐판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공간부의 상방으로 수직 절곡형성되는 제 1 지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지지수단은
상기 차폐판의 일측 중 상기 제 2 연장부의 내저면에 수용된 상기 차폐판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공간부의 상방으로 수직 절곡형성되는 제 2 지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upport means
And a first support wall formed at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and vertically bent upward from the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receiv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The second support means
And a second support wall vertically bent upward from the one side of the shield plate receiv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shield plate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pace.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수단은
상기 제 1 테이퍼부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지지바; 및
상기 제 1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지지바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수단은
상기 제 2 테이퍼부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
일단이 상기 제 2 지지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지지바; 및
상기 제 2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지지바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upport means
At least one first through-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A first support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movably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nd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at the first through hole and apply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in an outward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means
At least one second through-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A second support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mov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pply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ar in the outwar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퍼부 및 제 2 테이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aper portion and the second taper portion are rounded.
KR1020130057402A 2013-05-21 2013-05-21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KR101442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402A KR101442622B1 (en) 2013-05-21 2013-05-21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402A KR101442622B1 (en) 2013-05-21 2013-05-21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622B1 true KR101442622B1 (en) 2014-09-22

Family

ID=5176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402A KR101442622B1 (en) 2013-05-21 2013-05-21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622B1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299A (en) * 2015-06-08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CN106255935A (en) * 2015-04-09 2016-12-21 三星电子株式会社 Foldable equipment
KR20170077096A (en) * 2015-04-09 2017-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US10310551B2 (en) 2015-04-09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365691B2 (en)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10502073A (en) * 2015-04-09 2019-11-26 三星电子株式会社 Foldable equipment
WO2020046025A3 (en) * 2018-08-29 2020-04-23 (주)오라컴디스플레이 Infolding-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on
WO2020138988A1 (en) * 2018-12-27 2020-07-02 (주)오라컴디스플레이 In-folding-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thereon
KR20200080745A (en)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led display device
WO2020226335A1 (en) * 2019-05-04 2020-11-12 (주)에이유플렉스 Infolding type hinge unit with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thereon
US10883534B2 (en) 2015-04-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12447107A (en) * 2019-07-15 2021-03-05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Fold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596210A (en) * 2021-08-30 2021-11-02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Foldable display screen and foldable electronic equipment
CN113778252A (en) * 2020-06-10 2021-1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False touch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flexible display scree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1268565B2 (en) 2015-04-09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1616866B2 (en) 2018-08-29 2023-03-28 Auflex Co., Ltd. Infolding-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936A (en)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e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936A (en)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element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5691B2 (en)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06255935A (en) * 2015-04-09 2016-12-21 三星电子株式会社 Foldable equipment
KR20170077096A (en) * 2015-04-09 2017-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KR101971232B1 (en) * 2015-04-09 2019-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KR20190042530A (en) * 2015-04-09 2019-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US10310551B2 (en) 2015-04-09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883534B2 (en) 2015-04-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06255935B (en) * 2015-04-09 2019-09-24 三星电子株式会社 Foldable equipment
CN110502073A (en) * 2015-04-09 2019-11-26 三星电子株式会社 Foldable equipment
CN110502073B (en) * 2015-04-09 2023-09-29 三星电子株式会社 Folding device
US11624400B2 (en) 2015-04-09 202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1268565B2 (en) 2015-04-09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2239278B1 (en) * 2015-04-09 2021-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KR102163739B1 (en) * 2015-06-08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KR20160144299A (en) * 2015-06-08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device
US11616866B2 (en) 2018-08-29 2023-03-28 Auflex Co., Ltd. Infolding-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on
WO2020046025A3 (en) * 2018-08-29 2020-04-23 (주)오라컴디스플레이 Infolding-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installed thereon
KR20200080745A (en)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led display device
WO2020138988A1 (en) * 2018-12-27 2020-07-02 (주)오라컴디스플레이 In-folding-type hinge structur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thereon
KR102623906B1 (en) * 2018-12-27 2024-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led display device
WO2020226335A1 (en) * 2019-05-04 2020-11-12 (주)에이유플렉스 Infolding type hinge unit with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thereon
CN112447107A (en) * 2019-07-15 2021-03-05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Fold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778252A (en) * 2020-06-10 2021-1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False touch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flexible display scree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3778252B (en) * 2020-06-10 2024-04-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Anti-false touch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flexible display scree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3596210A (en) * 2021-08-30 2021-11-02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Foldable display screen and foldable electronic equipment
CN113596210B (en) * 2021-08-30 2024-02-20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Foldable display screen and foldable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622B1 (en) Electr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y Module
JP4269185B2 (en) Cradl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568154B2 (en) Structure for electronically connecting between two devices
KR101927201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JP2005135417A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and sliding mechanism for use in the same
JP2009033750A (en)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US20070293286A1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CN100508705C (en) Slid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and cover device of external card mounted on it
US10215206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CN106068485B (en) Sep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046867B1 (en)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KR10064045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937710B2 (en) Card mounting device
JP2014107714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575746B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JP4210288B2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100049035A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
JP4761344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2008052612A (en) Portable apparatus
KR100724863B1 (en) Battery pack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10799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779289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2032855B1 (en) camera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ull-screen smartphone
KR101102164B1 (en) Dual hinge socket
KR100648649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