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250B1 -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250B1
KR101441250B1 KR1020130097057A KR20130097057A KR101441250B1 KR 101441250 B1 KR101441250 B1 KR 101441250B1 KR 1020130097057 A KR1020130097057 A KR 1020130097057A KR 20130097057 A KR20130097057 A KR 20130097057A KR 101441250 B1 KR101441250 B1 KR 101441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dhesive
adhesive sheet
induction hea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효
조대권
이희준
Original Assignee
선박안전기술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박안전기술공단 filed Critical 선박안전기술공단
Priority to KR102013009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30Electrical means
    • B29C65/32In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26Hot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시트를 접착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메인 롤러 및 접착 롤러를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가열하여 보다 다양한 재질을 접착할 수 있음은 물론 접착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eet adhesion by induced heating type}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시트를 접착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메인 롤러 및 접착 롤러를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가열하여 보다 다양한 재질을 접착할 수 있음은 물론 접착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이라고 하는 것은 피가열 물에 직간접적으로 접하는 코일 등에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 전류가 유도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것으로서, 자동차부품 및 기계부품, 강관이나 강선, 강판이나 강괴, 조선 및 전기부품 등 금속류를 가열하여 단조, 용해, 열처리, 열가공 등에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열수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도 가열 방식의 기술은 청정 에너지임과 동시에, 전기를 이용하여 우선 공해가 없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정밀한 온도제어와 소형화와 자동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고, 최소의 비용으로 필요한 부분을 가열/운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시트를 접착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를 이용한 전원 공급부(26)를 통해 전극(27)에 전류를 인가함에 의해 롤러(22)에 열이 발생하고 상기 열에 의해 지지판(25)상에 배치되는 다수 겹의 시트(30)를 접착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지지판(25)상에 롤러(22)가 시트(30)를 가압하여 접착하는 구성인 관계로 접착 속도가 늦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위에서 가열된 롤러(22)가 가압하는 구성인 관계로 보다 다양한 재질의 시트를 접착하기 위해서 충분한 열과 압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접착할 수 있는 재질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유도 가열 기술의 경우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특허 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제1988-030880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제1997-267391호 (특허 문헌 3)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9-0113177호 (특허 문헌 4) 한국 등록 특허 제10-0539690호 (특허 문헌 5) 한국 등록 특허 제10-1087255호 (특허 문헌 6) 한국 등록 특허 제10-1090843호 (특허 문헌 7)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0-00106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메인 롤러 및 접착 롤러를 유도 가열 방식에 의해 가열하여 보다 다양한 재질을 접착할 수 있음은 물론 접착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접착 시트(F)가 통과하는 롤러(R)와, 상기 롤러(R)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부(IH)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부착 장치(100)로서, 상기 롤러(R)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접착 시트(F1)가 통과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가열되는 메인 롤러(130)와, 상기 메인 롤러(130)의 일 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 시트(F1) 및 별도의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되며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가열되는 접착 롤러(140)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롤러(130)는 상하 방향 배치되는 한편 원통 형상을 가져 그 사이에 상기 제1접착 시트(F1)가 통과하는 메인 롤러 본체(131)와,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도 가열부(IH)가 장착되는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에 장착되는 유도 가열부(IH)는 코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가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착 롤러(140)는 상하 방향 배치되는 한편 원통 형상을 가져 그 사이에 상기 메인 롤러(130)를 통과한 제1접착 시트(F1)와, 상기 제1접착 시트(F1)의 상면 또는 저면에 배치되는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하는 접착 롤러 본체(141)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착 롤러(140) 일 측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부(IH)는 상기 접착 롤러 본체(14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내부와 연통되어 열 전달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순환 배관(134)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롤러(130)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 시트(F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6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접착 시트(F1)는 금속 재질의 시트이고, 상기 제2접착 시트(F2)는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접착 시트(F1)와 제2접착 시트(F2) 모두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열 전달 유체는 물 또는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착 롤러(140)의 접착 롤러 본체(141)는 실리콘을 재질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시트 접착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접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메인 롤러(130)와 접착 롤러(140)가 가열되되, 상기 메인 롤러(130)사이를 통해서 제1접착 시트(F1)가 인출되고, 상기 접착 롤러(140)사이에 상기 제1접착 시트(F1) 및 상기 제1접착 시트(F1) 상면 또는 저면에 배치되는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하면서 상호 접착되거나, 또는 상기 접착 롤러(140)를 통해 제2접착 시트(F2) 상호간에 접착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롤러(130)는 400도씨 내지 600도씨로 가열하고, 상기 접착 롤러(140)는 180도씨 내지 220도씨로 가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보다 다양한 재질을 접착할 수 있음은 물론 접착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순환 배관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가이드 롤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롤러의 재질을 나타내기 위한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레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순환 배관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서 가이드 롤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롤러의 재질을 나타내기 위한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레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접착 시트(F)가 통과하는 롤러(R)와, 상기 롤러(R)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부(IH)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부착 장치(100)이다.
이때, 상기 롤러(R)는 메인 롤러(130)과 접착 롤러(140)를 포함하는데, 상기 메인 롤러(13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접착 시트(F1)가 통과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상기 접착 롤러(140)는 상기 메인 롤러(130)의 일 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 시트(F1) 및 별도의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되며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가열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롤러(130)는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메인 롤러(130A)와 하부 메인 롤러(130B)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메인 롤러(130A) 및 하부 메인 롤러(130B)사이를 통해 제1접착 시트(F1)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통과된다.
이때, 상기 메인 롤러(130)는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메인 롤러(130)를 통해 나오는 제1접착 시트(F1) 역시 가열된 상태로 인출된다.
한편, 상기 접착 롤러(140) 역시 유사하게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접착 롤러(140A)와 하부 접착 롤러(140B)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접착 롤러(140A)와 하부 접착 롤러(140B)사이를 상기 제1접착 시트(F1)와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한다.
이때, 상기 제2접착 시트(F2)는 상기 제1접착 시트(F1) 상부 또는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롤러(140) 역시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가열되므로 상기 접착 롤러(140)를 통과하는 제1접착 시트(F1)와, 제2접착 시트(F2) 역시 가열된 상태에서 상호 접착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제1접착 시트(F1)를 가열하는 메인 롤러(130)와 상기 제1접착 시트(F1)와 제2접착 시트(F2)를 가열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유도 가열부(IH)를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착되는 시트가 접착 롤러(140)사이를 통과하면서 상호 접착되므로 접착 속도가 빨라 종래보다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제1접착 시트(F1)를 메인 롤러(130)에 의해 1차 가열하는 한편 접착 롤러(140)에 의해 고압으로 압착할 수 있어 종래보다 다양한 재질의 접착 시트를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도 가열부(IH)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부(CON)에 의해 전원이 인가 조절되어 발열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는 도 2에서는 각 유도 가열부(IH)마다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을 보다 명료하게 작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제어부(CON)에 상기 4개의 유도 가열부(IH) 모두 연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메인 롤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배치되는 한편 원통 형상을 가져 그 사이에 상기 제1접착 시트(F1)가 통과하는 메인 롤러 본체(131)와,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도 가열부(IH)가 장착되는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원통 형상의 메인 롤러 본체(131) 사이에 제1접착 시트(F1)가 통과되면서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부(IH)는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 일 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에 장착되는 유도 가열부(IH,110)는 코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가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도 가열부(110)는 코일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유도 가열부(110) 내부에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가 일차 가열되고 이에 의해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가 가열된다.
한편, 상기 유도 가열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가 다수 겹 감긴 형상을 가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가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110) 또는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접착 롤러(140)의 경우도 유사하게 상하 방향 배치되는 원통 형상이 접착 롤러 본체(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착 시트(F1)와, 상기 제1접착 시트(F1)의 상면 또는 저면에 배치되는 제2접착 시트(F2)가 상기 접착 롤러 본체(141)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 접착된다.
한편, 상기 접착 롤러(140) 일 측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부(IH,120)는 상기 접착 롤러 본체(14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와이어가 동일 평면상에서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도 가열부(IH,120) 역시 상기 접착 롤러(140)를 가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유도 가열부(IH,120)가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접착 롤러(140)의 경우 가열된 상태에서 제1접착 시트(F1)와 제2접착 시트(F2)를 상호 접착하는 바, 상기 접착 롤러 본체(141)가 탄성이 있어야 함은 물론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 롤러 본체(141)는 실리콘을 재질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실리콘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망상 구조의 분자로 되어 있는 실리콘 고무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고무의 분자량을 극단적으로 높인 실리콘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롤러(130)의 경우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가 먼저 가열된 후 메인 롤러 본체(131)가 가열되는 관계로 온도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내부와 연통되어 열 전달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순환 배관(134)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순환 배관(134) 내부에 열 전달 유체가 순환하면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영역에서 열을 전달받아 상대적으로 저온 영역으로 열을 전달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 배관(1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투입구와 2개의 토출구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순환 펌프에 의해 상기 순환 배관(134)을 거쳐 메인 롤러 본체(131)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전달 유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 영역에서 열을 전달받아 저온 영역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유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며 물이나 공기 등이 사용 가능하며, 헬륨(He)이나 질소(N2), 네온(Ne), 알곤(Ar), 크립톤(Kr), 제논(Xe), 라돈(Rn) 등 불활성 기체(inert gas)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 시트(F1)의 상면 및 저면 모두 제2접착 시트(F2)가 접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상부 접착 롤러(140A) 또는 하부 접착 롤러(140B) 중 어느 하나의 접착 롤러 측에 제2접착 시트(F2)를 공급하여 상기 제1접착 시트(F1)의 상부 또는 저면 일 측에만 제2접착 시트(F2)가 접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접착 시트(F1)는 공급하지 않고 제2접착 시트(F2)만 상부 접착 롤러(140A) 및 하부 접착 롤러(140B)측으로 공급하여 제2접착 시트(F2)끼리 만 접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접착 시트(F1)는 동판이나 니켈, 알루미늄, 동 니켈 도금판 등의 금속 재질의 시트이고, 상기 제2접착 시트(F2)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금속 재질의 제1접착 시트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제2접착 시트를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제1접착 시트(F1)와 제2접착 시트(F2) 모두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제2접착 시트(F2)를 상호 접착하여 파우치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같이 상기 메인 롤러(130)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 시트(F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6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접착 시트(F1)는 도면상 좌측에서 상기 메인 롤러(130) 측으로 투입되는 바 보다 안정적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제1접착 시트(F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6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메인 롤러(130A)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 롤러(160A) 또는 상기 하부 메인 롤러(130B)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 롤러(16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 시트(F1)상면 및 저면에 모두 제2접착 시트(F2)를 접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상하부 가이드 롤러(160A,160B)를 모두 설치하며, 만일 제1접착 시트(F1)의 상면에만 제2접착시트(F2)를 접착하고자 하는 경우 상부 가이드 롤러(160A)만을 이용하면 되고 반대로 제1접착 시트(F1)의 저면에만 제2접착 시트(F2)를 접착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 가이드 롤러(160B)만 이용하면 된다.
물론, 상기 상하부 가이드 롤러(160A,160B)를 모두 설치한 상태에서 일 측의 가이드 롤러에만 제2접착 시트(F2)를 공급하여 상기 제1접착 시트(F1)의 상면 또는 저면에만 제2접착 시트(F2)가 접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160)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가이드 롤러 본체(161)와 상기 가이드 롤러 본체(161) 양 측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 본체(161)를 회전시키는 회전 샤프트(16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 롤러(130) 및 접착 롤러(140)의 경우도 회전을 위한 회전 샤프트(133,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시트를 접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메인 롤러(130)와 접착 롤러(140)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메인 롤러(130)사이를 통해서 제1접착 시트(F1)가 인출되고, 상기 접착 롤러(140)사이에 상기 제1접착 시트(F1)와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되면서 상호 접착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착 시트(F2)는 상기 제1접착 시트(F1) 상면 또는 저면에 배치되거나 상면 및 저면 모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접착 시트(F1)는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접착 롤러(140)를 통해 제2접착 시트(F2)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접착 시트(F2) 상호간에 접착되어 파우치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메인 롤러(130)는 400도씨 내지 600도씨로 가열하고, 상기 접착 롤러(140)는 180도씨 내지 220도씨로 가열된 상태에서 접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접착 롤러(140)의 경우 실리콘 재질을 이용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0, 120 : 유도 가열부 130 : 메인 롤러
131 : 메인 롤러 본체 132 : 유도 가열부 장착부
134 : 순환 배관 140 : 접착 롤러
141 : 접착 롤러 본체 160 : 가이드 롤러
F1 : 제1접착 시트 F2 : 제2접착 시트

Claims (13)

  1.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접착 시트(F)가 통과하는 롤러(R)와, 상기 롤러(R)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부(IH)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부착 장치(100)로서,
    상기 롤러(R)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접착 시트(F1)가 통과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가열되는 메인 롤러(130)와,
    상기 메인 롤러(130)의 일 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 시트(F1) 및 별도의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되며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가열되는 접착 롤러(140)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 롤러(140)는 상하 방향 배치되는 한편 원통 형상을 가져 그 사이에 상기 메인 롤러(130)를 통과한 제1접착 시트(F1)와, 상기 제1접착 시트(F1)의 상면 또는 저면에 배치되는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하는 접착 롤러 본체(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롤러(130)는 상하 방향 배치되는 한편 원통 형상을 가져 그 사이에 상기 제1접착 시트(F1)가 통과하는 메인 롤러 본체(131)와,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도 가열부(IH)가 장착되는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에 장착되는 유도 가열부(IH)는 코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유도 가열부 장착부(132)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롤러(140) 일 측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부(IH)는 상기 접착 롤러 본체(14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롤러 본체(131)의 내부와 연통되어 열 전달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순환 배관(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롤러(130)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착 시트(F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 시트(F1)는 금속 재질의 시트이고, 상기 제2접착 시트(F2)는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 시트(F1)와 제2접착 시트(F2) 모두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유체는 물 또는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롤러(140)의 접착 롤러 본체(141)는 실리콘을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접착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접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도 가열부(IH)에 의해 메인 롤러(130)와 접착 롤러(140)가 가열되되,
    상기 메인 롤러(130)사이를 통해서 제1접착 시트(F1)가 인출되고, 상기 접착 롤러(140)사이에 상기 제1접착 시트(F1) 및 상기 제1접착 시트(F1) 상면 또는 저면에 배치되는 제2접착 시트(F2)가 통과하면서 상호 접착되거나 또는 상기 접착 롤러(140)를 통해 제2접착 시트(F2) 상호간에 접착되되,
    상기 메인 롤러(130)는 400도씨 내지 600도씨로 가열하고, 상기 접착 롤러(140)는 180도씨 내지 220도씨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방법.
  13. 삭제
KR1020130097057A 2013-08-16 2013-08-16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 KR101441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57A KR101441250B1 (ko) 2013-08-16 2013-08-16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57A KR101441250B1 (ko) 2013-08-16 2013-08-16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250B1 true KR101441250B1 (ko) 2014-09-17

Family

ID=5176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057A KR101441250B1 (ko) 2013-08-16 2013-08-16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2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37B1 (ko) * 1997-07-16 2002-06-26 김형진 자동차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7030337A (ja) * 2005-07-27 2007-02-08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金属箔樹脂フィルム積層板製造装置
KR100893077B1 (ko) 2007-11-05 2009-04-10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의 제조 및 그것을 위한 고정날개 부착장치 및방법
KR101087255B1 (ko) 2011-04-27 2011-11-2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 압착롤러에 의한 친환경소재 접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37B1 (ko) * 1997-07-16 2002-06-26 김형진 자동차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7030337A (ja) * 2005-07-27 2007-02-08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金属箔樹脂フィルム積層板製造装置
KR100893077B1 (ko) 2007-11-05 2009-04-10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의 제조 및 그것을 위한 고정날개 부착장치 및방법
KR101087255B1 (ko) 2011-04-27 2011-11-2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 압착롤러에 의한 친환경소재 접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465B1 (ko) 판 굽힘용 장형 유도 가열기
KR102381086B1 (ko) 냉각수 히터
EP3034978A1 (en) Plate type heat exchanger with cutted plate
CN105958158A (zh) 一种加热液冷装置
KR101441250B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시트 접착 장치 및 방법
CN205790290U (zh) 一种锂离子电池热管理系统
JP2016025354A (ja) 伝熱板
CN203027520U (zh) 环状金属件感应加热装置和杯状金属件感应加热装置
CN105813771B (zh) 旋压成型装置
CN202095122U (zh) 水冷型电磁感应加热辊
CN202135350U (zh) 一种电磁加热装置
JP2015139804A (ja) スピニング成形装置
CN217250358U (zh) 导热胶的加热装置
CN103968664A (zh) 用于太阳能电池的感应烧结炉
CN107871700A (zh) 一种加热系统
CN103648198A (zh) 一种一体化的双频率感应加热设备
KR102344469B1 (ko) 비철소재 부재의 용접방법
KR101891524B1 (ko) 기능성 필름 코팅 공정의 고안정성 연속 후처리 열풍건조장치
CN207573834U (zh) 用于微波源、微波功率源和微波电源的内外水冷却结构
WO2015000377A1 (zh) 一种电磁加热装置及电磁供热设备
CN207952281U (zh) 钣金折弯流水加工装置
CN101977454A (zh) 电磁感应转换装置
CN204145273U (zh) 一种变频器框架
CN210781425U (zh) 一种用于中频电磁感应加热的线圈加热器
CN203793116U (zh) 混合动力汽车的冷却基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