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121B1 - Slidable screen - Google Patents

Slidable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121B1
KR101441121B1 KR1020140057519A KR20140057519A KR101441121B1 KR 101441121 B1 KR101441121 B1 KR 101441121B1 KR 1020140057519 A KR1020140057519 A KR 1020140057519A KR 20140057519 A KR20140057519 A KR 20140057519A KR 101441121 B1 KR101441121 B1 KR 10144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vertical bar
neck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관
이정길
박선희
Original Assignee
대구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환경공단 filed Critical 대구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14005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1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Abstract

Disclosed is a variable screen. The variable screen includes: a dense area; a fixing unit which includes an enlargement area with neck intervals wider than that of the dense area; and a moving unit movably coupled to the fixing unit.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xed vertical bar. The moving unit includes a moving vertical bar. When the moving unit move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moving vertical bar and the fixed vertical bar are modified to adjust the neck intervals of the enlargement area.

Description

가변형 스크린{SLIDABLE SCREEN}Variable Screen {SLIDABLE SCREEN}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침사조 등에 사용되는 가변형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creen used in a sewage treatment tank for a sewage treatment plant.

도시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폐수, 하수 및 분뇨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 물리화학적 처리방법과 생물화학적 처리방법 두 가지 방법이 병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수처리 공정은 일반적으로 스크린→침사지(침사조)→1차 침전지→생물반응조→2차 침전지→여과지/응집침전지/기계여과(MDF)와 같은 공정으로 진행된다. 스크린은 침사조의 전방에 설치되어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In order to treat various wastewater, sewage and manure in the city, both physico - chemical treatment and biochemical treatment are used in parallel. The sewage treatment process generally proceeds to a process such as screen → gypsum (sedimentation tank) → primary sedimentation tank → bioreactor →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 filter paper / coagulating sedimentation tank / mechanical filtration (MDF). The scree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ewing bath to remov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sewage.

스크린의 일반적 설계방식은,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협잡물 종류와 크기에 따라 스크린 목 간격이 일정하게 정해지고, 스크린 통과유량과 협잡물 전체 발생량을 추정하여 스크린 설치면적과 가동시간을 산정하는 방식을 주로 취하고 있다. 그러나 동계 및 하계에 따라 강수량의 변화폭이 크며, 수량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상하수도 시설의 유입 설비로서의 스크린은, 급격히 변화되는 유량과 유입 부하에 폐색을 일으켜 유입을 방해하거나, 통과 유속의 감소 등으로 적절하게 유입 처리되어야 할 물질(예를 들면, 유기물)을 침강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이러한 고정 목 간격 스크린은 변화하는 강수량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 설치 면적을 평상시 운전 면적 대비 지나치게 크게 설계 해야 한다. The general design method of the screen is mainly based on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screen installation area and the operation time by estimating the screen flow rate and the total amount of the generated contaminants by setting the screen neck spacing to be constant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target contaminant to be removed . However, there is a large variation in precipitation depending on the winter and summer, and the screen as the inflow equipment of the waterworks and sewerage facilities directly influenced by the quantity change causes obstruction of inflow due to suddenly changing flow rate and inflowing load, (E.g., organic matter) to be properly treated. In addi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varying amount of precipitation, the screen area of the fixed neck screen should be designed to be excessively large compared to the normal driving area.

즉, 침사조에 설치되는 종래의 스크린은 목 간격이 일정하기 때문에 유입수의 성상이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평상시에는 특정한 목 간격(예를 들면, 5mm)을 갖는 스크린을 사용하더라도 문제가 없지만, 우수기 또는 유기성 협잡물이 많이 발생하는 기간에는 상기 고정 목 간격은 좁기 때문에 유기물 반입이 차단되어 인양됨에 따라서 유기성 협잡물의 발생량 증가, 인양 협잡물의 함수율을 상승 및 하수처리장 생물 반응조의 빈부하 등과 같은 문제점이 유발된다. In other words, since the conventional screen installed in the silt bath has a constant neck spacing, it can not cope with changes in properties of the inflow water. In other words, there is no problem even if a screen having a specific neck interval (for example, 5 mm) is used at normal times. However,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fixing necks is narrow during a period where a large number of excellent units or organic contaminants are generated,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organic pollutants generated, an increase in the water content of the buried soil, and an empty load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bioreactor are caused.

일본 등록특허 제4828622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8286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목 간격을 필요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스크린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screen capable of changing the neck interval as nee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은, 조밀영역과, 조밀영역에 비해 큰 목 간격을 갖는 확대영역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고정세로바를 구비하며, 이동부는 이동세로바를 구비하고,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서, 이동세로바와 고정세로바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유발됨으로써 확대영역의 목 간격이 조정된다. A variable scree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nse region, a fixed portion having an enlarged region with a larger neck spacing compared to the dense region, and a movable portion movably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The moving part has a moving vertical bar,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causes a relative positional change between the moving vertical bar and the fixed vertical bar, thereby adjusting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area.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이동부는 안내레일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The variabl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moving part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xing part has the guide rail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ving part can be guided by the guide rail.

이동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이동부는 안내레일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The moving part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ixing portion has guide rail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oving portion can be guided by the guide rails.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서 이동세로바는 고정세로바와 중첩되게 위치함으로써, 확대영역의 목 간격이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서 이동세로바는 고정세로바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확대영역의 목 간격이 축소될 수 있다. By moving the moving part, the movable vertical bar is positioned so as to overlap with the fixed vertical bar, so that the neck distance of the enlarged area can be enlarged. By moving the movable vertical bar between the fixed vertical bars by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area can be reduced.

이동부는 로프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는 캠을 이용하는 구동부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The moving part can be connected to the rope. Further, the moving part can be moved by a driving part using a cam.

본 발명은 스크린의 목 간격을 필요에 따라서 변경함으로써 우수기 또는 유기성 협잡물이 많이 발생하는 시점에도 유기성 물질의 원활한 반입을 유도하여 생물반응조의 유기성 탄소원을 확보하고, 유기성 협잡물의 발생량 증가 및 함수율 상승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By changing the neck spacing of the screen according to ne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rganic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smoothly even when a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or organic contaminants are generated, thereby securing an organic carbon source in the bioreactor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organic contaminants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소한 가변형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able-size screen having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을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에서 이동부가 상승하여 고정부 확대영역의 목 간격이 확대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을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에서 이동부가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부 확대영역의 목 간격이 확대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에 구동부가 구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variable screen illustrated i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 screen illustrated in Fig.
FIG.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portion of the variable screen illustrated i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 screen illustrated in 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part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variable screen illustrated in FIG.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iving unit is provided on a variable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은 하수처리장의 침사조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의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다. The variabl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locations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s well as in a sewage treatment plant of a sewage treatment pla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을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10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10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100)에서 이동부(130)가 상승하여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b)이 확대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100)의 측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variable screen 100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 Fig.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 130 rises in the variable screen 100 shown in FIG. 1 to enlarge the neck spacing b of the enlarged area 114, FIG. 5 is a front view A side view of the illustrated variable screen 100;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은 하수처리장의 침사지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수에 포함되어 유입된 유기물, 각종 협잡물 등을 필터링 하는 역할을 한다.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climatic zone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functions to filter organic substances, various kinds of contaminants, etc. contained in sewag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중에 위치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110)의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상대적으로 조밀한 목 간격(a)을 갖는 조밀영역(112)과, 상대적으로 큰 목 간격(b)을 갖는 확대영역(114)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동부(130)는 고정부(1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부(130)가 고정부(110)의 확대영역(114)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도 1 참조),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은 상대적으로 축소된다(목 간격 a). 그리고 이동부(130)가 상승하여 고정부(110)의 확대영역(114)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경우(도 4 참조),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은 상대적으로 확대된다(목 간격 b).1 to 5, a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110 in which a part or the whole of the variable screen 100 is placed in water, And a moving part 130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0 to adjust the neck distance of the enlarged area 114 of the fixing part 110. The fixation portion 110 is divided into a dense region 112 having a relatively dense neck spacing a and an enlarged region 114 having a relatively large neck spacing b. The moving part 130 is mov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0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ving part 130 is located in front of the enlarged area 114 of the fixing part 110 (see Fig. 1), the neck area of the enlarged area 114 is relatively reduced (neck space a). When the moving part 130 rises and is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enlarged area 114 of the fixing part 110 (see FIG. 4), the neck area of the enlarged area 114 is relatively enlarged (neck space b).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은 고정부(110)에 대해서 이동부가(13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부(110)의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을 간격 a 또는 간격 b로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vable portion 13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110 so that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region 114 of the fixed portion 110 is spaced a Or the interval b.

고정부(110)는 조밀한 목 간격 a를 갖는 조밀영역(112)과 확대된 목 간격 b(>a)를 갖는 확대영역(11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110)의 좌우 양 측면에는 안내레일(120)이 구비되어 있다. Fixing portion 110 comprises a dense region 112 with dense neck spacing a and an enlarged region 114 with enlarged neck spacing b (> a). Further, guide rails 120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portion 110.

조밀영역(112)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평으로 배치된 고정가로바(118)와, 동일한 목 간격 a를 갖는 다수 개의 고정세로바(116)로 이루어진다. 조밀영역(112)의 목 간격 a는 이동부(130)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부(130)가 수직 상승하여 조밀영역(112)의 전방에 위치하더라도, 고정부(110)의 고정세로바(116)와 이동부(130)의 이동세로바(134)는 중첩되기 때문에, 조밀영역(112)의 목 간격 a는 변화되지 않게 된다. The dense region 112 comprises a fixed horizontal bar 118 arranged horizontally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fixed vertical bars 116 having the same neck spacing a. The neck spacing a of the dense region 112 does not change in spite of the movement of the moving section 130. 4, even if the moving part 130 vertically rises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dense area 112, the fixed vertical bar 116 of the fixing part 110 and the moving vertical bar 116 of the moving part 130 move The neck interval a of the dense region 112 is not changed.

확대영역(114)은 상대적으로 확대된 간격(b)를 갖는 다수 개의 고정세로바(116)로 이루어진다.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은 이동부(13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변경된다. 즉, 확대영역(114)의 전방에 이동부(130)가 위치하는 경우(도 1 참조),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은 조밀영역(112)와 동일한 목 간격 a를 갖는다. 그리고 확대영역(114)의 전방에 이동부(130)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도 4 참조), 확대영역(114)은 확대된 목 간격 b를 갖는다. 이와 같이,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은, 이동부(130)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The enlarged area 114 consists of a plurality of fixed vertical bars 116 with a relatively enlarged spacing b.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area 114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130. That is, when the moving unit 130 is located in front of the enlarged area 114 (see FIG. 1), the necked area of the enlarged area 114 has the same neck distance a as the dense area 112. When the moving part 130 is not located in front of the enlarged area 114 (see FIG. 4), the enlarged area 114 has an enlarged neck distance b. As described above,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area 114 can be easily changed b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130.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의 고정부(110)는 세 개의 고정가로바(118)를 구비하여, 세 개의 조밀영역(112) 및 하나의 확대영역(11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은 조밀영역(112) 및 확대영역(114)의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에서 이동부(130)는 하나의 확대영역(114)을 커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확대영역(114)을 커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fixed portion 110 of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ree fixed horizontal bars 118 and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ree dense regions 112 and one enlarged region 114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abl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dense region 112 and the enlarged region 114,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unit 130 covers one enlarged area 114, but it may cover two or more enlarged areas 114 as required to be.

그리고 고정부(110) 및 이동부(130)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fixing part 110 and the moving part 130 are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shap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xing part 110 and the moving part 13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a circular shape.

고정부(110)의 좌우 양단부에는 안내레일(120)이 좌우 대칭으로 결합되어 있다. 안내레일(12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130)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삽입홈(122)이 형성된 ㄷ 형상을 갖는다. 안내레일(120)의 삽입홈(122)에는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110) 및 이동부(130)의 양 단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동부(130)는 그 단부가 삽입홈(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The guide rails 120 are coupled symmetrically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xing portion 110. The guide rail 120 guides the moving part 130 mov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has a C shape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122 is formed. Both ends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the moving portion 13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2 of the guide rail 120 as illustrated in FIG. The moving part 130 can move vertically and vertically with the end thereof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2.

이동부(13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부(110)의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을 필요에 따라서 확대 또는 축소한다. 이동부(130)는 이동가로바(132) 및 이동세로바(134)로 이루어진다. 이동가로바(132)의 좌우 폭 및 상하 간격은 고정가로바(118)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세로바(134)의 목 간격 b는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 b와 동일할 수 있다. 이동부(130)에는 로프(136)가 결합되어 있는데, 로프(136)를 이용함으로써 이동부(130)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The moving part 130 moves vertically and vertically while enlarging or reducing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area 114 of the fixing part 110 as necessary. The moving part 130 is composed of a moving transverse bar 132 and a moving transverse bar 134. The lateral width and vertical spacing of the movable transverse bar 132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xed transverse bar 118. Also, the neck spacing b of the moving vertical bar 134 may be equal to the neck spacing b of the enlarged area 114. The rope 136 is coupled to the moving part 130 so that the moving part 130 can be raised or lowered by using the rope 136.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세로바(134)가 고정세로바(116)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은 조밀영역(112)의 목 간격과 동일한 a가 되어 목 간격이 축소된다. 이와 같이, 가변형 스크린(100)의 조밀영역(112) 및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이 모두 a(예를 들면, 5mm)로 동일한 경우는 우수기가 아니거나 또는 유기성 협잡물이 많지 않은 시기에 사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1, when the movable vertical bar 134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ixed vertical bar 116,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area 114 is equal to a, which is equal to the neck spacing of the dense area 112 The neck interval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dths of the dense region 112 and the enlarged region 114 of the variable screen 100 are all the same as a (for example, 5 mm), they are used at a time when the screen is not an excellent unit or the number of organic contaminants is small Lt; / RTI >

그리고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부(130)가 상승하여 이동세로바(134)가 조밀영역(112)의 고정세로바(116)와 완전히 중첩되는 경우,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은 확대된 b를 갖는다. 이와 같이, 가변형 스크린(100)의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이 b(예를 들면, 10~15mm)를 갖는 경우는 우수기 또는 유기성 협잡물이 많은 시기에 사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4, when the moving part 130 is lifted and the movable vertical bar 134 is completely overlapped with the fixed vertical bar 116 of the dense area 112, The interval has an enlarged b.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eck size of the enlarged area 114 of the variable screen 100 is b (for example, 10 to 15 mm), it may be a form used in a period where an excellent unit or an organic contaminant is frequently us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은 확대영역(114)의 목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하수 유입 성성의 변화에 따른 협잡물을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우수기 또는 유기성 협잡물이 많은 시기에는 확대영역(114)이 상대적으로 확대된 목 간격 b를 갖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협잡물의 발생량 및 함수율을 감소시키고, 유기성 물질의 원활한 반입을 통해서 유기성 탄소원을 확보함으로써 생물반응조 빈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variab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necks of the enlarged region 114, it has an advantage of being capable of actively processing the contaminant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inflow characteristics of the wastewater. In other words, by making the enlarged region 114 to have a relatively enlarged neck space b at a time when a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or organic contaminants is pres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organic contaminants generated and the water content and to secure an organic carbon sou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ioreactor empty load phenomeno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은 구조가 단순하고 기존의 침사지 스크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In addition,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imple structure and also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tilt screen.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130)는 고정부(110)의 후방에 설치되는데, 이는 기존의 스크린 스크레퍼(screen scraper, 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이동부(130)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3 and 5, the moving part 130 is installed behind the fixing part 110 because the moving part 130 is not disturbed by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screen scraper (not shown) .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ariable screen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200)을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예시된 가변형 스크린(200)에서 이동부(23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부(210) 확대영역(214)의 목 간격이 확대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screen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movable screen 230 in the variable screen 200 illustrated in 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region 214 is enlarged.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2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고정부(210) 및 이동부(230)를 포함한다. 다만, 이동부(230)는 고정부(2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과 차이점을 갖는다. The variable scree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ixed portion 210 and the moving portion 230 which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 moving unit 230 is different from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moving unit 23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tead of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unit 210.

고정부(210)는 목 간격 a인 조밀영역(212)과 목 간격 b(>a)인 확대영역(214)을 포함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0)의 조밀영역(112) 및 확대영역(114)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조밀영역(212) 및 확대영역(214)은 다수 개의 고정세로바(216) 및 고정가로바(218)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 실시예의 고정세로바(116) 및 고정가로바(118)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xing portion 210 includes a dense region 212 having neck spacing a and an enlarged region 214 having neck spacing b (> a), which corresponds to the dense region 112 And the enlarged area 114,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dense region 212 and the enlarged region 214 are also comprised of a plurality of fixed vertical bars 216 and fixed horizontal bars 218 which correspond to the fixed vertical bars 116 and the fixed horizontal bars 118 ),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고정부(210)의 확대영역(214)의 전방에는 이동부(230)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안내레일(220)이 구비되어 있다. 안내레일(220)은 확대영역(214)의 상하 단부에 위치하는 고정가로바(218)의 전방에 각각 대칭적으로 한 쌍이 위치한다. 안내레일(22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100)의 안내레일(120)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pair of guide rails 220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enlarged area 214 of the fixing part 210 so that the moving part 230 can move horizontally. The pair of guide rails 220 are symmetrically disposed in front of the fixed horizontal bar 218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nlarged region 214, respectively. Since the guide rail 22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guide rail 120 of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동부(230)는 이동가로바(도시하지 않음) 및 이동세로바(234)를 갖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30)의 이동가로바(132) 및 이동세로바(134)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동부(230)의 좌우 양측에는 로프(236)가 결합되어 있는데, 각각의 로프(236)를 조정함으로써 이동부(23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230 has a moving transverse bar (not shown) and a moving transverse bar 234, which is the moving transverse bar 132 and the moving transverse bar 134 of the moving part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rope 236 is coupled to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oving unit 230.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oving unit 23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opes 236. [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부(230)의 이동세로바(234)는 고정부(210) 확대영역(214)의 고정세로바(216)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확대영역(214)의 목 간격은 조밀영역(212)의 목 간격과 동일한 a(예를 들면, 5mm)가 된다. 이와 같이 확대영역(214) 및 조밀영역(212)의 목 간격이 모두 a로서 축소된 경우는 우수기가 아니거나 또는 유기성 협잡물의 유입량이 적은 시기에 사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6, the movable vertical bar 234 of the moving part 2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vertical bar 216 of the enlarged area 214 of the fixing part 210. As shown in FIG. Thus,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area 214 becomes a (for example, 5 mm) equal to the neck spacing of the dense area 212. In the case where the neck interval of the enlarged region 214 and the dense region 212 are both reduced as a, it may be a form that is not an excellent period or is used at a time when an inflow amount of organic contaminants is small.

우수기 또는 유기성 협잡물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유기성 협잡물의 발생량 및 함수율을 줄이기 위해서 이동부(2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확대영역(214)이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확대된 목 간격 b를 갖도록 한다. 이때, 이동부(230)의 이동세로바(234)는 고정부(210) 확대영역(214)의 고정세로바(216)과 중첩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organic contaminants to be generated and the water content, when the inflow amount of the exudates or the organic contaminants is large, the moving part 23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side so that the enlarged area 214, And has an interval b. At this time, the movable vertical bar 234 of the moving unit 230 may be overlapped with the fixed vertical bar 216 of the enlarged area 214 of the fixing unit 210.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200)에 구동부(24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은 구동부(240)가 작동하기 이전 그리고 도 9는 구동부(240)가 작동하여 이동부(230)가 이동한 상태를 예시한다. 참고로, 도 8 및 도 9에서 화살표는 각각 구동부(240)의 제1 플레이트(244), 캠(246) 및 제2 플레이트(248)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8 and 9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240 is coupled to the variable scree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240 operates and the moving unit 230 moves. 8 and 9 are enlarged plan views of the first plate 244, the cam 246, and the second plate 248 of the driving unit 240, respectively.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200)은 구동부(240)를 구비하여 이동부(230)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240)는 캠(246)을 이용하는 것으로, 캠(246)의 회전 정도에 따라서 제1 플레이트(244) 및 제2 플레이트(248)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이동부(23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확대영역(214)의 목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variable scree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240 to move the moving unit 230 horizontally. The driving unit 240 uses the cam 246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244 and the second plate 248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cam 246 to move the moving unit 230 in the left- So that the neck spacing of the enlarged area 214 can be increased.

구동부(240)는 이동부(230)의 이동세로바(234)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42)를 구비하고, 연결부재(242)의 단부에는 제1 플레이트(24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244)와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248)는 제1 플레이트(244)와 대향되게 위치한다. 캠(246)은 제1 플레이트(244) 및 제2 플레이트(248)의 사이에 위치한다. The driving unit 240 has a connecting member 242 connected to the moving vertical bar 234 of the moving unit 230 and a first plate 244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42. The second plate 248, which is spaced from the first plate 244, is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plate 244. The cam 246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ate 244 and the second plate 248.

캠(246)이 도 8의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플레이트(244) 및 제2 플레이트(248) 사이의 간격은 p이다. 이 상태에서 캠(246)이 회전하여 도 9의 상태가 되는 경우, 제1 플레이트(244) 및 제2 플레이트(248) 사이의 간격은 q(<p)로 축소된다. 캠(246)이 도 8에서 도 9의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244) 및 제2 플레이트(248) 사이의 간격이 p-q=l이 되는데, 이로 인해 이동부(230)가 고정부(210)의 확대영역(214)에 완전히 포개지면서 목 간격이 확대된다. When the cam 246 is in the state of Fig. 8,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244 and the second plate 248 is p. 9,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244 and the second plate 248 is reduced to q (< p). 8 to 9,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244 and the second plate 248 is pq = 1, which causes the moving part 230 to move to the fixed position 210 are completely superimposed on the enlarged area 214 of the neck 210, thereby expanding the neck spacing.

이동부(230)에는, 제1 플레이트(244)에서 제2 플레이트(248)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244) 및 제2 플레이트(248)를 상호 반대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magnet)로 형성하거나 또는 이동부(230)를 일 측방향(도 8 및 도 9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로프가 연결된 핸들(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캠(246)이 회전하면, 이동부(23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이동부(23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A force can be applied to the moving part 230 from the first plate 244 toward the second plate 248. [ For example, the first plate 244 and the second plate 248 may be formed of magnets having mutually opposite polarities, or the movable portion 230 may be formed in one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in Figs. 8 and 9) A hand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rope, and the like. As a result, when the cam 246 rotates, the moving part 230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force applied to the moving part 230.

구동부(24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200)뿐만 아니라 제1 실시예에 다른 가변형 스크린(1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riving unit 240 can be applied to the variable scree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well as the variabl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200: 가변형 스크린
112, 212: 조밀영역
114, 214: 확대영역
116, 216: 고정세로바
118, 218: 고정가로바
120, 220: 안내레일
130, 230: 이동부
132: 이동가로바
134, 234: 이동세로바
136, 236: 로프
100, 200: Variable screen
112, 212: dense area
114, 214: enlarged area
116, 216: Fixed vertical bar
118, 218: Fixed horizontal bar
120, 220: guide rails
130, and 230:
132: Move Horizontal Bar
134, 234: Moving vertical bar
136, 236: rope

Claims (7)

조밀영역과, 상기 조밀영역에 비해 큰 목 간격을 갖는 확대영역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확대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세로바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이동세로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캠을 구비하고,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상기 이동세로바와 상기 확대영역의 상기 고정세로바 사이의 상대적인 수평 방향 위치 변화가 유발됨으로써 상기 확대영역의 목 간격이 조정되는 가변형 스크린.
A dense region, and an enlarged region having a larger neck spacing than the dense region;
A moving unit movably coupled to the enlarged area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fixed portion includes a fixed vertical bar, the movable portion includes a movable vertical bar,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a first plate coupl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a second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cam,
The gap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adjusted by rotation of the cam so that a relative horizontal positional change between the movable vertical bar and the fixed vertical bar of the enlarged area is caused, Adjustable adjustabl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안내레일에 의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스크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has guide rail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oving part is guided by the guide rai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7519A 2014-05-14 2014-05-14 Slidable screen KR101441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19A KR101441121B1 (en) 2014-05-14 2014-05-14 Slidabl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19A KR101441121B1 (en) 2014-05-14 2014-05-14 Slidable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121B1 true KR101441121B1 (en) 2014-09-17

Family

ID=5176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19A KR101441121B1 (en) 2014-05-14 2014-05-14 Slidable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1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5405A (en) * 2017-07-11 2017-10-24 宿州冬宇环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apermaking sewage processing grid m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832A (en) * 2001-06-04 2002-12-1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Bar screen device
JP2005299293A (en) 2004-04-15 2005-10-27 Eguchi:Kk Trash rack screen for channel
KR101126198B1 (en) 2009-06-17 2012-03-23 이현우 Screen plate for use of purifying waste water
KR101213178B1 (en) 2012-09-06 2012-12-21 조아현 Adulteration filtering screen with clearance variable ty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832A (en) * 2001-06-04 2002-12-1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Bar screen device
JP2005299293A (en) 2004-04-15 2005-10-27 Eguchi:Kk Trash rack screen for channel
KR101126198B1 (en) 2009-06-17 2012-03-23 이현우 Screen plate for use of purifying waste water
KR101213178B1 (en) 2012-09-06 2012-12-21 조아현 Adulteration filtering screen with clearance variable ty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5405A (en) * 2017-07-11 2017-10-24 宿州冬宇环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apermaking sewage processing grid maker
CN107285405B (en) * 2017-07-11 2019-10-22 绍兴市亚索新能源科技有限公司 Grid maker is used in a kind of processing of papermaking sew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8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KR20070048142A (en) Water flow disperse and control device of flotation and sedimentation and oil-water separator system for waste water treatment systems
KR101441121B1 (en) Slidable screen
CA3019310A1 (en) Method for maximizing uniform effluent flow through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N106836444A (en) A kind of drainage ditch cover plate structure of resist fluids impact
CN105756180A (en) Intercepting well with horizontal grate intercepting device
DE202013011915U1 (en)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US8522408B2 (en) Catch basin clamp system
US10926199B1 (en) Round baffle box water treatment system with at least one sidewall baffle
KR101455768B1 (en) Spiral Type Precipitation Tank for treating rain-water(STPT)
KR101446272B1 (en) Oil-water separator
JP2004027701A (en)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drainage system
CN204198484U (en) A kind of two-stage water inlet cloth weir board structure
CN204079565U (en) A kind of flocculation sediment experimental installation
KR101474372B1 (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Bridge(RTDB)
JP5937299B2 (en) Eddy current water surface controller for drainage equipment
KR102053687B1 (en) Floating decanter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N203701049U (en) Flash board component capable of adjusting liquid level
CN104245600B (en) The treatment unit of sewage disposal
CN207619049U (en) A kind of convenient parallel-moving type household water-purifying machine
EP3053884B1 (en) Treatment plant for waste water having a retaining device for carrier material floating therein
KR101338315B1 (en) screen for adjusting gap
CN203820503U (en) Small-sized oil-water treater and oil-water treatment device
KR102060459B1 (en) Floating decanter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804538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 water installed at manhole for reducing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