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557B1 -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 Google Patents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557B1
KR101440557B1 KR1020120157147A KR20120157147A KR101440557B1 KR 101440557 B1 KR101440557 B1 KR 101440557B1 KR 1020120157147 A KR1020120157147 A KR 1020120157147A KR 20120157147 A KR20120157147 A KR 20120157147A KR 101440557 B1 KR101440557 B1 KR 10144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lange
concrete girder
upper flange
concrete
sl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314A (ko
Inventor
양준모
이필구
성택룡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55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와 대향하게 배치되는 하부플랜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 상기 상부플랜지, 상기 하부플랜지 및, 상기 웨브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긴장부재;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전단보강근;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근은,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에 높이방향으로 매립되고, 상기 헤드부의 일단과 본체부의 일부가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상부플랜지 밖의 콘크리트바닥판 타설공간으로 노출되며,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가까운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매립되고,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단면에 일렬로 형성되어 상기 웨브의 폭을 슬림화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레일부재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긴장부재는, 24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고강도 PS 강연선을 사용하여 균열제어성능을 강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긴장부재에 고강도 강연선을 도입함으로써, 하부플랜지의 단면축소 및 휨철근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SLENDER PRETENSIONED CONCRETE GIRDER}
본 발명은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단보강근으로 고강도 강연선을 배근하여 하부플랜지의 단면축소 및 헤드부를 포함하는 전단보강근을 사용하여 웨브두께를 감소시킨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거더는 상하부플랜지와 이를 연결해 주는 웨브로 구성되어 교량 등과 같은 토목 구조물의 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콘크리트 거더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웨브의 상부측 단부에 상부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측 단부에 하부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교량에 이용되는 콘크리트 거더는 상부 플랜지 위에 콘크리트 바닥판이 설치된다. 이 때, 웨브에 작용응력이 가장 작고, 바닥판과 합성되는 상부 플랜지가 중간수준이며, 하부플랜지에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한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는 인장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므로 하부플랜지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의 도입을 위해 PC 강연선을 활용하여 압축력을 가하기도 하며 이를 위한 정착구가 형성되기도 한다.
종래 PC 강연선을 활용한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는 일반적으로 주인장 보강근으로 인장강도 1860MPa의 일반 강연선을 배근하고, 전단철근으로 폐합스터럽을 수직으로 배근한다. 또한, 휨 균열 제어를 위해 하부플랜지에 추가적으로 균열제어 철근을 배근한다.
이러한 종래의 PC 강연선을 활용한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는 일반적으로 주인장 보강근으로 인장강도 1860MPa의 일반 강연선을 배근하고, 이에 따라 하부플랜지에 다량의 일반 강연선과 균열제어 철근의 배근되는바 하부플랜지 단면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요구되는 전단허용응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웨브에 폐합스터럽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폐합스터럽의 굽힘으로 인하여 웨브의 두께가 증가되어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가 경량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웨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폐합스터럽 대신에 웨브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단보강근으로 대체하여 경량화된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 긴장부재에 종래의 일반강연선다발 대신에 고강도의 강연선다발을 도입함으로써, 하부플렌지의 단면을 감소시켜 경량화된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거더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바닥판과 거더의 일체화 성능이 향상된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와 대향하게 배치되는 하부플랜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 상기 상부플랜지, 상기 하부플랜지 및, 상기 웨브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긴장부재;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전단보강근;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근은,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에 높이방향으로 매립되고, 상기 헤드부의 일단과 본체부의 일부가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상부플랜지 밖의 콘크리트바닥판 타설공간으로 노출되며,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가까운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매립되고,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단면에 일렬로 형성되어 상기 웨브의 폭을 슬림화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레일부재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긴장부재는, 24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고강도 PS 강연선을 사용하여 균열제어성능을 강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부는 가로의 폭과 세로의 폭이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 폭이 좁은 부분을 통하여 상기 레일부재에 삽입된 후, 상기 헤드부가 회전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폭이 넓은 부분이 상기 레일부재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헤드부는 상기 콘크리트바닥판의 철근 및 하부플랜지의 프레임철근에 결속부재로 결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단보강근은 봉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헤드부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요홈이 구비되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단보강근을 폐합스터럽 대신 헤드부를 포함하는 전단보강근로 대체함으로써,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여서 거더 자체를 슬림화 및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단보강근을 일렬로 구비함으로써 웨브의 폭을 슬림화하여 거더 자체를 슬림화 및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단보강근을 상부플랜지, 웨브 및 하부플랜지에 걸쳐서 매립시키고,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에 대한 정착력을 향상시켜 충분한 부착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단보강근을 폐합스터럽 대신 헤드부를 포함하는 전단보강근로 대체함으로써, 사용되는 전단보강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긴장부재에 고강도 강연선을 도입함으로써, 양단부에 설치되는 정착구의 개수를 감소시켜 긴장력 도입횟수가 감소되어, 시공이 단순해지고, 시공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긴장부재를 고강도 강연선 다발로 구성함으로써, 정착부의 개수 및 긴장력 도입횟수를 감소시켜 인력소모가 적어, 시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긴장부재에 고강도 강연선을 도입함으로써, 하부플랜지의 단면축소 및 휨철근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긴장부재에 고강도 강연선을 도입함으로써, 긴장부재수용부의 수량 및 그라우팅량을 감소시켜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높이방향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전단보강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높이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가 배치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가 배치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는 교량에서 차도 또는 인도를 구성하는 바닥판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력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따라서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는 중력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응력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내하력을 증가시키거나, 과하중이나 사용에 의해 발생된 처짐이나 균열 등에 저항할 수 있도록 긴장력을 도입한 구조물이다.
상기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는 상부플랜지(100), 웨브(300) 및 하부플랜지(200)로 구성되도록 제작되어 크게I형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은 I형 단면의 거푸집을 미리 세팅시켜 놓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 내부에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형함으로써 제작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미리 거푸집 내부에는 배력철근 등을 포함한 철근조립체가 미리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나아가,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으로서 긴장부재(400)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거푸집 내부에 미리 긴장부재(40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긴장부재(400)를 세팅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는 상부플랜지(100), 하부플랜지(200), 웨브(300), 긴장부재(400) 및 전단보강근(500)을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상부플랜지(1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부플랜지(100)는 교량 상판 등의 상부의 구조물에 접하는 부분으로,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복부와 하부플랜지(200)를 거쳐 교각 등의 하부구조물로 전달하는 부재이다.
상부플랜지(100)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콘크리트재질의 수평 부재이다. 상기 상부플랜지(100)의 단면 형상은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하다.
상부플랜지(100)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사항에 해당하므로, 추가적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부플랜지(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하부플랜지(200)는 상부플랜지(100)와 마찬가지로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콘크리트재질의 수평 부재이다. 상기 하부플랜지(200)의 단면 형상은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하다. 하부플랜지(200) 부분에는 상부구조물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인장하중이 집중되는바, 긴장부재(400) 및 휨철근(R)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하부플랜지(200)는 내부에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긴장부재(400)가 형성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휨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휨철근(R)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랜지(200)에 고강도 강연선이 사용될 경우, 하부플랜지(200)의 휨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휨철근(R)이 제외되어 하부플랜지(200)의 단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웨브(3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웨브(300)는 상부플랜지(100)와 하부플랜지(2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플랜지(100)의 하면과 하부플랜지(200)의 상면을 연결하고 전단력 또는 비틀림을 저항하는 콘크리트 재질의 수직부재이다.
상기 웨브(300)의 단면 형상은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하다. 다만,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양 끝단에서는 상기 긴장부재(400)의 장착과 고정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다른 위치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웨브(300)의 내부에는 요구되는 전단허용응력을 갖도록 전단철근으로 폐합스터럽(S)이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만, 이 경우 폐합스터럽(S)의 굽힘으로 인하여 웨브(300)의 두께가 증가되어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가 경량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 내부에 헤드부(520)가 구비된 전단보강근(500)을 일렬로 배열하여, 헤드부(520)에 의해 웨브(300)에 가해지는 전단력이나 비틀림에는 충분히 저항할 수 있으면서, 웨브(300)의 폭을 슬림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단면이 감소되고, 경량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긴장부재(400)에 대하여 살펴본다.
긴장부재(400)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내부에 구비되어,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에 긴장력을 제공하여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하부에 균열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또한, 긴장부재(400)는 다수의 강연선(소선)을 꼬아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긴장부재(400)가 반드시 강연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에 긴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라면 강봉, 강선, 강연선 등의 다양한 소재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긴장부재(400)의 외주면에는 긴장부재(400)를 보호하는 피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긴장부재(400)의 PS 강연선은 24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고강도 PS 강연선을 사용하여 균열제어성능을 강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개의 긴장부재(400)가 가지는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에 적용되는 긴장부재(400)의 수량, 정착부의 수량 및 긴장력 도입횟수를 감소시켜 시공속도를 향상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단보강근(5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전단보강근(500)은 본체부(510)와 헤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보강근(500)은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에 가해지는 전단력 또는 비틀림에 저항하는 부재이다. 전단보강근(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510)와 본체부(510)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보강근(500)의 일부가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상부플랜지(100) 밖의 콘크리트 바닥판(C)의 타설공간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부(520)의 일단과 본체부(510)의 일부가 노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과 같이, 헤드부(520)를 구비한 전단보강근(500)의 경우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높이방향 단면상에 일렬의 전단보강근(500)을 구비하여,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웨브(300)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보강근(500)은 상기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의 가까운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매립될 수 있다. 좌측의 전단보강근(500)은 좌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고, 우측의 전단보강근(500)은 우측의 단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약 45도로 경사지게 배치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웨브(300)에 가해지는 전단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시키고, 배치되는 전단보강근(500)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전단보강근(500)은 봉상의 본체부(510)와 상기 본체부(510)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52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단보강근(500)의 필요한 길이에 따라 본체부(510)를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필요한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의 정도에 따라 헤드부(520)의 크기 및 형상을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단보강근(500)은 본체부(510)에 해당하는 철근부재의 양단에 헤드부(520)를 용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봉상의 본체부(510)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5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510)는 전단보강근(500)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G)에 가해지는 전단력이나 비틀림력에 저항하는 부분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520)는 상기 전단보강근(500)의 본체부(510)의 양단에 형성되고, 헤드부(520)를 통해 콘크리트에 더 높은 정착력을 가지게 되어, 일반적인 전단철근을 사용할 경우 보다 더 큰 전단강도를 기대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헤드부(520)는 판상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원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머리의 크기 또한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 및 프레임철근(210)과의 결속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520)는 콘크리트 바닥판(C)의 철근 및 하부플랜지(200)의 프레임철근(210)에 결속부재로 결속될 수 있고, 결속부재로는 통상적으로 철근의 결속에 사용되는 결속철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속철사 등에 의해서 고정할 경우 현장에서 즉시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헤드부(520)는 콘크리트 바닥판(C)과 하부플랜지(200)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재(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바닥판(C)과 하부플랜지(200)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고, 레일부재의 선단부에는 헤드부(520)가 삽입될 정도의 넓은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헤드부(520)가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520)의 형상이 가로와 세로의 폭이 다른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는 폭이 좁은 헤드부(520)의 부분이 레일부에 삽입된 후 회전하여 폭이 넓은 부분이 레일 내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520)에는 복수의 돌기(미도시) 또는 요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520)에 형성된 돌기와 요홈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접촉표면적이 증가되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G: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100: 상부플랜지
200: 하부플랜지 210: 프레임철근
300: 웨브 400: 긴장부재
500: 전단보강근 510: 본체부
520: 헤드부 S: 폐합스터럽
R: 휨철근 C: 콘크리트 바닥판

Claims (8)

  1. 상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와 대향하게 배치되는 하부플랜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
    상기 상부플랜지, 상기 하부플랜지 및, 상기 웨브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긴장부재;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전단보강근;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보강근은,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에 높이방향으로 매립되고, 상기 헤드부의 일단과 본체부의 일부가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상부플랜지 밖의 콘크리트바닥판 타설공간으로 노출되며,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가까운 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매립되고, 상기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의 단면에 일렬로 형성되어 상기 웨브의 폭을 슬림화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레일부재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긴장부재는,
    24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고강도 PS 강연선을 사용하여 균열제어성능을 강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가로의 폭과 세로의 폭이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 폭이 좁은 부분을 통하여 상기 레일부재에 삽입된 후, 상기 헤드부가 회전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폭이 넓은 부분이 상기 레일부재의 내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콘크리트바닥판의 철근 및 하부플랜지의 프레임철근에 결속부재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보강근은 봉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헤드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요홈이 구비되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KR1020120157147A 2012-12-28 2012-12-28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KR10144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147A KR101440557B1 (ko) 2012-12-28 2012-12-28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147A KR101440557B1 (ko) 2012-12-28 2012-12-28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314A KR20140087314A (ko) 2014-07-09
KR101440557B1 true KR101440557B1 (ko) 2014-11-04

Family

ID=5173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147A KR101440557B1 (ko) 2012-12-28 2012-12-28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5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405A (ja) 1999-11-12 2001-05-22 Sumitomo Metal Ind Ltd せん断補強筋の定着構造
JP2005139650A (ja) 2003-11-05 2005-06-02 Japan Life Kk 皿形頭部を有する鉄筋を使用した剪断補強構造、補強構造、定着構造及び接合構造
KR200415328Y1 (ko) 2006-02-14 2006-05-02 송용재 에이치 형강이 삽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405A (ja) 1999-11-12 2001-05-22 Sumitomo Metal Ind Ltd せん断補強筋の定着構造
JP2005139650A (ja) 2003-11-05 2005-06-02 Japan Life Kk 皿形頭部を有する鉄筋を使用した剪断補強構造、補強構造、定着構造及び接合構造
KR200415328Y1 (ko) 2006-02-14 2006-05-02 송용재 에이치 형강이 삽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314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07856U (zh) 空心板梁桥的体外预应力加固系统
KR101286557B1 (ko) 층고절감형 강합성보 및 이를 구비한 바닥판 구조
KR101548114B1 (ko) 단면 변화구간에서 연결부의 합성효과가 증대된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KR100664698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교의 인장강도 보강장치
KR101043239B1 (ko)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KR20090115481A (ko) 아치형상의 교량용 복합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EA018421B1 (ru) Легкие несущие конструкции, армированные элементами сердечника, выполненными из сегментов, и способ бетонирования та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JP4634537B1 (ja) 橋桁の補強構造
CN105544415A (zh) 混凝土桥梁加固方法及加固结构
KR100554408B1 (ko) 교량용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Z2019435A3 (cs) Mostní konstrukce pro mosty na pozemních komunikacích
KR20170090961A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슬림 조립보
KR101854160B1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KR102059463B1 (ko) 프리텐션 콘크리트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40557B1 (ko) 슬렌더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KR101328699B1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CN107810296B (zh) 预应力混凝土梁
KR101397131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698807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psc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psc거더
KR101540729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KR101067844B1 (ko) 상부 인장력과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을 포함하는 보
KR20100114966A (ko) 강합성 교량 및 이를 가설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거더 및 그 가설 방법
KR20160078150A (ko)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85745B1 (ko)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2598284B1 (ko) 외부 프리텐션 보강용 긴장재가 매립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