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211B1 - Cleaning tool - Google Patents

Clean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211B1
KR101440211B1 KR1020130007116A KR20130007116A KR101440211B1 KR 101440211 B1 KR101440211 B1 KR 101440211B1 KR 1020130007116 A KR1020130007116 A KR 1020130007116A KR 20130007116 A KR20130007116 A KR 20130007116A KR 101440211 B1 KR101440211 B1 KR 10144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atching
engaging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4367A (en
Inventor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주) 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수 filed Critical (주) 우수
Priority to KR102013000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211B1/en
Publication of KR2014009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소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막대형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포 고정부를 구비하는 헤드 조립체; 및 상기 헤드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조립체는 제1, 제2 헤드부와, 상기 두 헤드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 cleaning tool equipped with a clean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d assembly including a cleaning and fixing unit; And a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assembly, wherein the head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and a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two head portions, do.

Description

청소 도구 {CLEANING TOOL}Cleaning tool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소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막대형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 cleaning tool equipped with a cleaning cloth.

최근 청소포를 장착하여 바닥 등을 밀어서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막대형 청소 도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 bar cleaning tool has been widely used, which is designed to be able to push and clean the floor by attaching a cleaning cloth.

일반적으로 청소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막대형 청소 도구는 청소포가 장착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손잡이부가 마련된 막대부를 구비한다. 청소 환경에 따라서 큰 면적의 헤드부를 갖는 청소 도구를 이용하거나 작은 면적의 헤드부를 갖는 청소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 편한데, 종래의 막대형 청소 도구는 헤드부의 면적이 하나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적합한 청소 도구를 따로 구매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어서 개선이 요구된다.Generally, a bar cleaning tool equipped with a cleaning cloth has a head portion on which a cleaning cloth is mounted, and a rod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ead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It is convenient to use a cleaning tool having a head portion having a large area according to the cleaning environment or a cleaning tool having a head portion having a small area. In the conventional bar-type cleaning tool, since the area of the head portion is fixed to on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must be done and improvement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막대형 청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포가 장착되는 헤드부의 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막대형 청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헤드부 또는 2개의 헤드부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막대형 청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 cleaning tool equipped with a cleaning cloth.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 cleaning tool which can easily adjust the area of the head portion on which the cleaning cloth is mounted.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like cleaning tool which can easily use one head or two head parts as need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포 고정부를 구비하는 헤드 조립체; 및 상기 헤드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조립체는 제1, 제2 헤드부와, 상기 두 헤드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d assembly including a cleaning pouch fixing portion; And a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assembly, wherein the head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and a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two head portions, do.

상기 막대부는 상기 두 헤드부 모두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od portion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both of the two head portions.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제1 결합 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결합 홈에 이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제2 결합 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결합홈에 이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one of the first head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has a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has a first insertion portion tha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is engaged, One of which has a second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of which has a second insertion portion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상기 제1 결합 홈과 상기 제2 결합 홈에는 각각 제1 걸림 턱과 제2 걸림 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제1 걸림 턱과 제2 걸림 턱에 각각 걸리는 제1 걸림 돌기와 제2 걸림 돌기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두 걸림 돌기는 대응하는 걸림턱에 대한 걸림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are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jaw and a second engaging jaw respectively and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jaw and a second engaging jaw A first latching protrusion and a second latching protrusion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the two latching protrusions can move between a latching position and a releas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latching jaw.

상기 청소 도구는 상기 두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위치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두 걸림 돌기를 상기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tool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urging the two latching protrusions to maintain the latching position, and a button portion for moving the two latching protrusions to the release position.

상기 연결부와 상기 막대부 중 어느 하나는 제3 결합 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3 결합 홈에 이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결합 홈에는 2개의 제3 걸림 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3 삽입부에는 상기 2개의 제3 걸림 턱에 걸리는 각각 걸리는 2개의 제3 걸림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두 제3 걸림 돌기는 대응하는 제3 걸림 턱에 대한 걸림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청소 도구는 상기 두 제3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위치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두 제3 걸림 돌기를 상기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od portion has a third engaging groove and the other has a third inserting portion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third engaging groove, And the third inser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wo third engaging protrusions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two third engaging jaws, and the two third engaging projections are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engaging jaws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third engaging jaw Wherein the cleaning tool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force to keep the two third latching protrusions in the latching position and a button unit that moves the two latching projections to the release position .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ead portion and the second head portion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상기 두 헤드부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톱니 구조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The two head portions may be engaged with and joined to each other with a sawtooth structu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제1 삽입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삽입 돌기가 수용되는 제1 수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제2 삽입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삽입 돌기가 수용되는 제2 수용 홈을 구비할 수 있다.Wherein one of the first head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has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other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is received, And a second receiving recess in which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s received.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는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head portion and the second head portion may be the same.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헤드부가 연결부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막대부가 연결부뿐만 아니라 하나의 헤드부 모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헤드부의 면적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헤드부와 연결부의 결합, 연결부와 막대부의 결합 및 헤드부와 막대부의 결합이 삽입과 같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간편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Specifically, since the two head portions are detachably coupled by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od portion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bo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all of the one head portion, the area of the head portion can be easily changed and used as needed . 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because the coupling of the head part and the coupling part,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art and the rod part, and the coupling of the head part and the rod part are performed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inse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 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소 도구를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헤드부와 연결부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연결부와 막대부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청소 도구의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tool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cut along the line A-A 'of the cleaning tool shown in Fig.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head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in FIG. 3. FIG.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rod portio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cleaning tool shown in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청소 도구(100)는 헤드 조립체(110)와, 막대부(160)를 포함한다. 이용자는 청소 도구(100)에 제1, 제2 청소포(C1, C2)를 장착한 후 막대부(160)를 잡고 바닥 등을 밀어서 청소를 하게 된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leaning tool 100 includes a head assembly 110 and a bar 160. After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cloths (C1, C2) on the cleaning tool 100, the user grasps the rod 160 and pushes the floor to clean.

헤드 조립체(110)는 제1 헤드부(120)와, 제2 헤드부(130)와, 연결부(140)를 구비한다. 두 헤드부(120)는 나란하게 배치되어서 2개의 청소포(C1, C2)를 함께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head assembly 110 includes a first head portion 120, a second head portion 130, and a connection portion 140. The two head portions 120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wo cleaning cloths C1 and C2 can be mounted together for use.

제1 헤드부(120)는 폭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서, 제1 톱니부(122)와, 제1 결합 홈(124)과, 제1 수용 홈(126)과, 제1 청소포 고정부(128)를 구비한다.
The first head portion 12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elong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has a first toothed portion 122, a first engagement groove 124, a first receiving groove 126, And has a cleaning cloth fixing portion 128.

제1 톱니부(122)는 제1 헤드부(120)의 폭방향 일단측에 형성된다. 제1 톱니부(122)는 요철이 반복 형성된 형태이다.
The first toothed portion 122 is formed at on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ead portion 120. The first toothed portion 122 is a shape in which unevenness is repeatedly form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합 홈(124)은 제1 헤드부(120)의 상면(121) 중앙부에 위치한다. 제1 결합 홈(124)의 마주보는 폭방향 두 벽면(123a, 123b)에는 각각 제1A, 제1B 오목 홀(124a, 124b)이 형성된다. 제1A 오목 홀(124a)이 제1B 오목 홀(124b)보다 제1 톱니부(122)와 가까이 위치한다. 제1A, 제1B 오목 홀(124a, 124b)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제1A, 제1B 걸림 턱(1241a, 1241b)이 각각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first engaging groove 124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first head portion 120. First A and first B recessed holes 124a and 124b are formed in two opposing widthwise wall surfaces 123a and 123b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respectively. The first A concave hole 124a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122 than the first B concave hole 124b. The first A and first B recessed holes 124a and 124b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B engagement protrusions 1241a and 1241b formed to face downward.

제1 수용 홈(126)은 제1 헤드부(120)의 상면(121)에 제1 톱니부(122)와 제1 결합 홈(124)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수용 홈(126)은 바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receiving groove 126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first head portion 120 between the first toothed portion 122 and the first engaging groove 124. The first receiving groove 126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bottom.

제1 청소포 고정부(128)는 제1 헤드부(120)의 상면(121)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위치하는 주름형 홈을 구비한다. 제1 청소포 고정부(128)는 탄성 변형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제1 청소포(C1)를 주름형 홈에 끼워서 장착하고 잡아당겨서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청소포(C1)는 제1 헤드부(120)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제1 청소포 고정부(128)에 고정된다.
The first cleaning cloth fixing unit 128 has corrugated grooves located near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first head 120. The first cleaning cloth fixing portion 128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user can insert the first cleaning cloth C1 into the corrugated groove and pull it apart. The first cleaning cloth C1 is fixed to the first cleaning cloth fixing portion 128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ead portion 120. [

제2 헤드부(130)는 폭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서, 제2 톱니부(132)와, 제2 결합 홈(134)과, 제2 수용 홈(136)과, 제2 청소포 고정부(138)를 구비한다.
The second head portion 13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elong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has a second toothed portion 132, a second engaging groove 134, a second receiving groove 136, And a cleaning cloth fixing portion 138.

제2 톱니부(132)는 제2 헤드부(130)의 폭방향 일단측에 형성된다. 제2 톱니부(132)는 요철이 반복 형성된 형태이다. 제2 톱니부(132)는 제1 헤드부(120)에 형성된 제1 톱니부(122)와 마주보며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The second toothed portion 132 is formed on on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head portion 130. The second toothed portion 132 has a shape in which irregularities are repeatedly formed. The second toothed portion 132 is engaged with and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122 formed on the first head portion 120.

제2 결합 홈(134)은 제2 헤드부(130)의 상면(131) 중앙부에 위치한다. 제2 결합 홈(134)의 구성은 제1 헤드부(120)에 마련된 제1 결합 홈(124)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2A 오목 홀(134a)에 형성된 제2A 걸림 턱(1341a)와 제2B 오목 홀(134b)에 형성된 제2B 걸림 턱(1341b)을 구비한다.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second head portion 130.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provid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20.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provid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20, And a second B latching jaw 1341b formed in the concave hole 134b.

제2 수용 홈(136)은 제2 헤드부(130)의 상면(131)에 제2 톱니부(132)와 제2 결합 홈(134)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수용 홈(136)의 구성은 제1 헤드부(120)에 형성된 제1 수용 홈(126)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36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second head portion 130 between the second toothed portion 132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134.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36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26 formed in the first head 120,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청소포 고정부(138)는 제2 헤드부(130)의 상면(131)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위치하는 주름형 홈으로서, 제1 헤드부(120)에 형성된 제1 청소포 고정부(128)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The second cleaning cloth fixing portion 138 is a corrugated groov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second head portion 130. The first cleaning cloth fixing portion 138 ).

실질적으로 제2 헤드부(130)는 제1 헤드부(120)와 동일한 것으로서, 동일한 2개의 헤드부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The second head portion 1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head portion 120, and since the same two head portions are used, the manufacture is facilitated.

연결부(140)는 대체로 막대 형상으로서, 제1, 제2 삽입부(142, 144)와, 제1, 제2 삽입 돌기(145, 146)와, 제3 결합 홈(147)을 구비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140 is substantially rod-shaped and has first and second inserting portions 142 and 144, first and second inserting protrusions 145 and 146, and a third connecting groove 147.

제1 삽입부(142)는 연결부(140)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헤드부(120)에 마련된 제1 결합 홈(124)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삽입부(142)는 제1 헤드부(120)에 마련된 제1 결합 홈(124)에 꼭 맞게 삽입된다. 제1 삽입부(142)에는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걸림 돌기(143)가 구비된다. 제1 걸림 돌기(143)는 제1 헤드부(120)의 제1 결합홈(124)에 형성된 제1B 오목 홀(124b)에 끼워져서 제1B 걸림 턱(1241b)에 걸린다. 제1 걸림 돌기(143)는 제1 삽입부(142) 내로 들어가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제1 걸림 돌기(143)는 제1 탄성부재(148)에 의해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제1 걸림 돌기(143)는 바깥측면이 아래로 갈수록 들어가도록 경사져 있어서, 제1 삽입부(142)의 제1 결합 홈(124)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연결부(140)에는 제1 걸림 돌기(143)를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누름 버튼(143a)이 구비된다.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42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groove 124 provid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20.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4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provid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20 so as to fit tightly.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42 is provided with a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is engaged with the first B engaging hole 124b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groove 124 of the first head portion 120 and caught by the first B engaging tab 1241b.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is movable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42.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is protruded outwar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48 and can be inserted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is inclined so that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goes downwar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42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is easy. The connecting portion 140 is provided with a first push button 143a for moving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to the unlocking position.

제2 삽입부(144)는 연결부(140)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헤드부(130)에 마련된 제2 결합 홈(134)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삽입부(144)는 제2 헤드부(130)에 마련된 제2 결합 홈(134)에 꼭 맞게 삽입된다. 제2 삽입부(144)에는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걸림 돌기(141)가 구비된다. 제2 걸림 돌기(141)는 제2 헤드부(130)의 제2 결합홈(134)에 형성된 제2B 오목 홀(134b)에 끼워져서 제2B 걸림 턱(1341b)에 걸린다. 제2 걸림 돌기(141)는 제2 삽입부(144) 내로 들어가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제2 걸림 돌기(141)는 제2 탄성부재(149)에 의해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제2 걸림 돌기(141)는 바깥측면이 아래로 갈수록 들어가도록 경사져 있어서, 제2 삽입부(144)의 제2 결합 홈(134)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연결부(140)에는 제2 걸림 돌기(141)를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누름 버튼(141a)이 구비된다.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44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134 provided in the second head portion 130.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4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134 provided in the second head portion 130 so as to fit tightly.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4 is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protrusion 141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141 is fitted in the second B recessed hole 134b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recess 134 of the second head portion 130 and caught by the second B latching jaw 1341b. And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141 is movable to enter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4.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141 is protruded outwar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149 and can be inserted in by an external force.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141 is inclined so that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141 becomes smaller as it goes downwar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4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is easy. The connecting portion 140 is provided with a second push button 141a for moving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41 to the unlocking position.

제1 삽입 돌기(145)와 제2 삽입 돌기(146)는 연결부(140)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삽입 돌기(145) 및 제2 삽입 돌기(145, 146)는 제1 헤드부(120)에 형성된 제1 수용 홈(126) 및 제2 헤드부(130)에 형성된 제2 수용 홈(136)에 꼭 맞게 삽입되도록 두 수용 홈(126, 136)의 형상에 대응하여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두 삽입 돌기(145, 146)가 두 수용 홈(126, 13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두 제1 삽입 돌기(145)와 제2 삽입 돌기(146)는 두 삽입부(142, 144) 사이에서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어서, 각각 제1 헤드부(120)의 제1 수용 홈(126)과 제2 헤드부(130)의 제2 수용 홈(136)에 각각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에 따라, 연결부(140)에 의한 제1 헤드부(120)와 제2 헤드부(13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진다.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45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6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40.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45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45 and 146 are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26 formed in the first head part 120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36 formed in the second head part 130. [ And is formed to be narrower toward the e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wo receiving grooves 126 and 136. [ Accordingly, the two insertion protrusions 145, 146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wo receiving grooves 126, 136. The two first insertion protrusions 145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46 ar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two inserting portions 142 and 144 so that the first receiving recesses 126 of the first head portion 120,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36 of the second head portion 13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ead part 120 and the second head part 130 by the connection part 140 becomes more rigid.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3 결합 홈(147)은 연결부(140)의 상면(141) 중앙부에 위치한다. 제3 결합 홈(146)의 구성은 제1 헤드부(120)에 마련된 제1 결합 홈(124)의 구성 및 제2 헤드부(130)에 마련된 제2 결합 홈(134)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마주보는 폭방향 두 벽면(147a, 147b)에는 각각 제3A, 제3B 오목 홀(148a, 148b)이 형성된다. 제3A, 제3B 오목 홀(148a, 148b)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제3A, 제3B 걸림 턱(1481a, 1481b)이 각각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S. 2, 3 and 5, the third engaging groove 147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41 of the connecting portion 140.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coupling groove 146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provid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2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provided in the second head portion 130 And third 3A and third B recessed holes 148a and 148b are formed in two opposite wall surfaces 147a and 147b, respectively. 3A and 3B hooking jaws 1481a and 1481b formed to face downward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third and third B-shaped concave holes 148a and 148b.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막대부(160)는 막대 몸체(161)와, 결합부(166)를 구비한다.1 to 3 and 5, the rod 160 includes a rod body 161 and a coupling portion 166.

막대 몸체(161)는 길게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서, 지지부(162)와, 손잡이부(163)을 구비한다. 지지부(162)는 결합부(166)와 유니버설 조인트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부(163)는 막대 몸체(161)의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부(162)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부(163)와 지지부(162)의 결합 방식은 길이조절을 위한 통상적은 구조를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rod body 161 has a long rod shape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162 and a handle portion 163. The support portion 16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166 in a universal joint manner. The handle portion 163 is movably engaged with the support portion 162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rod body 161 can be adjuste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rip portion 163 and the support portion 162 uses a conventional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ength,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결합부(166)는 몸체부(167)와, 제3 삽입부(168)을 구비한다.The engaging portion 166 includes a body portion 167 and a third inserting portion 168.

몸체부(167)는 막대 몸체(161)의 지지부(162) 끝단과 유니버설 조인트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body portion 167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62 of the rod body 161 in a universal joint manner.

제3 삽입부(168)는 몸체부(167)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연결부(140)에 마련된 제3 결합 홈(147)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3 삽입부(168)는 연결부(140)에 마련된 제3 결합 홈(147)에 꼭 맞게 삽입된다. 제3 삽입부(168)의 양측에는 각각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3A, 제3B 걸림 돌기(168a, 168b)가 구비된다.The third inserting portion 168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7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rd engaging groove 147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40. The third insertion portion 168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147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40 so as to fit tightly. On both sides of the third inserting portion 168, third and third B latching protrusions 168a and 168b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re provided.

제3A 걸림 돌기(168a)는 연결부(140)의 제3 결합 홈(147)에 형성된 제3A 오목 홀(148a)에 끼워져서 제3A 걸림 턱(1481a)에 걸린다. 제3A 걸림 돌기(168a)는 제3 삽입부(168) 내로 들어가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제3A 걸림 돌기(168a)는 제3A 탄성부재(169a)에 의해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제3A 걸림 돌기(168a)는 바깥측면이 아래로 갈수록 들어가도록 경사져 있어서, 제3 삽입부(168)의 제3 결합 홈(147)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결합부(166)에는 제3A 걸림 돌기(168a)를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A 누름 버튼(168b)이 구비된다.
The third hooking protrusion 168a is inserted into the third recessed hole 148a formed in the third engaging groove 147 of the connecting portion 140 and engaged with the third stopping hook 1481a. The third locking projection 168a is movable to enter the third insertion portion 168. [ The third retaining projection 168a is retained in the state of being protruded outward by the third elastic member 169a and can be inserted by an external force. The third hooking protrusion 168a is inclined so that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hird hooking protrusion 168a goes downwar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third insertion portion 168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147 is easy. The coupling portion 166 is provided with a third push button 168b for moving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168a to the unlocking position.

제3B 걸림 돌기(168b)는 연결부(140)의 제3 결합 홈(147)에 형성된 제3B 오목 홀(148b)에 끼워져서 제3B 걸림 턱(1481b)에 걸린다. 제3B 걸림 돌기(168b)는 제3 삽입부(168) 내로 들어가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제3B 걸림 돌기(168b)는 제3B 탄성부재(169b)에 의해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제3B 걸림 돌기(168b)는 바깥측면이 아래로 갈수록 들어가도록 경사져 있어서, 제3 삽입부(168)의 제3 결합 홈(147)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결합부(166)에는 제3B 걸림 돌기(168b)를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B 누름 버튼(1681b)이 구비된다.
The third B latching protrusion 168b is fitted into the third B recessed hole 148b formed in the third engagement groove 147 of the connection portion 140 and caught by the third B engagement protrusion 1481b. And the third B latching projection 168b is movable to enter the third insertion portion 168. [ The third B latching protrusion 168b is kept protruded outward by the third B elastic member 169b and can be inserted in by an external force. The third engaging protrusion 168b is inclined so that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hird engaging protrusion 168b goes downwar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third inserting portion 168 into the third engaging recess 147 is easy. The engaging portion 166 is provided with a third B push button 1681b for moving the third B locking protrusion 168b to the unlocking position.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된 상태에서 청소 도구(1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헤드부(120, 130)의 톱니부(122, 132)를 맞춰서 두 헤드부(120, 130)를 정렬시킨다. 다음, 연결부(140)의 제1 삽입부(142)를 제1 헤드부(120)의 제1 결합 홈(124)에 삽입하고, 연결부(140)의 제2 삽입부(144)를 제2 헤드부(130)의 제2 결합 홈(134)에 삽입한다. 두 삽입부(142)가 각각 두 결합 홈(124, 134)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 돌기(143)는 제1B 걸림 턱(1241b)에 걸리고, 제2 걸림 돌기(141)는 제2B 걸림 턱(1341b)에 걸려서, 연결부(140)는 두 헤드부(120, 130)와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140)의 제1 삽입 돌기(145)와 제2 삽입 돌기(146)는 각각 제1 헤드부(120)의 제1 수용 홈(126)과 제2 헤드부(130)의 제2 수용 홈(136)에 끼워지게 된다. 다음, 막대부(160)의 제3 삽입부(168)를 연결부(140)의 제3 결합 홈(147)에 삽입한다. 제3 삽입부(168)가 제3 결합 홈(147)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A 걸림 돌기(168a)는 제3A 걸림 턱(1481a)에 걸리고, 제3B 걸림 돌기(168b)는 제3B 걸림 턱(1481b)에 걸려서, 막대부(160)는 연결부(140)와 결합되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청소 도구(100)가 조립된다. 사용자는 도 1과 같이 조립된 청소 도구(100)에 제1 청소포(C1)를 제1 헤드부(120)에 고정시키고, 제2 청소포(C2)를 제2 헤드부(130)에 고정시켜서 청소 도구(100)를 사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청소 도구(10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청소포는 물티슈 또는 부직포 등일 수 있다.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leaning tool 100 in a dis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teeth portions 122 and 132 of the two head portions 120 and 13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o align the two head portions 120 and 130.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42 of the connecting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groove 124 of the first head portion 120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44 of the connecting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ead portion 120. [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of the coupling portion 130. 3,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is caught by the first B latching chin 1241b and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143b is caught by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1241b in a state where the two insertion portions 142 are inserted into the two engagement grooves 124 and 134, The protrusion 141 is caught by the second B latching jaw 1341b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40 is engaged with the two head portions 120 and 130. [ At this tim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45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6 of the connection part 140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126 of the first head part 120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6 of the second head part 130,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6. Next, the third insertion portion 168 of the rod portion 160 is inserted into the third engagement groove 147 of the connection portion 140. As shown in Fig. 5, in the state in which the third insertion portion 168 is inserted into the third engagement groove 147, the third engagement protrusion 168a is caught by the third engagement stop 1481a, The rod 168 is engaged with the third B latching jaw 1481b so that the rod 160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40 to assemble the cleaning tool 100 as shown in FIG. The user fixes the first cleaning cloth C1 to the first head 120 and fixes the second cleaning cloth C2 to the second head 130 by cleaning the cleaning tool 100 assembled as shown in FIG. The tool 100 is used. 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cloth attached to the cleaning tool 100 may be a wet tissue,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청소 도구(100)의 다른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 도구(200)는 제1 헤드부(120)에 막대부(160)를 바로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는 제1 헤드부(120)에 마련된 제1 삽입 홈(도1의 124)의 구조와 연결부(도 1의 140)에 마련된 제3 삽입 홈(147)의 구조가 동일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Fig. 5 shows another use state of the cleaning tool 10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5, the cleaning tool 200 directly connects the bar portion 160 to the first head portion 120.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4 in FIG. 1) provided in the first head part 120 and the structure of the third insertion groove 147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140 in FIG. 1) are the sam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 홈(124)과, 제1 결합 홈(124)에 대응하는 제1 삽입부(142)가 각각 제1 헤드부(120)와 연결부(1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제1 결합 홈(124)이 연결부(140)에 구비되고 제1 삽입부(142)가 제1 헤드부(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결합 홈(134)과, 제2 결합 홈(134)에 대응하는 제2 삽입부(144)가 각각 제2 헤드부(130)와 연결부(1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제2 결합 홈(134)이 연결부(140)에 구비되고 제2 삽입부(144)가 제2 헤드부(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3 결합 홈(147)과, 제3 결합 홈(147)에 대응하는 제3 삽입부(168)가 각각 연결부(140)와 막대부(16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제3 결합 홈(147)이 막대부(160)에 구비되고 제3 삽입부(168)가 연결부(1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두 삽입 돌기(145, 146)가 연결부(140)에 구비되고 두 삽입 돌기(145, 146)가 삽입되는 수용 홈(126, 136)이 각각 두 헤드부(120, 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두 삽입 돌기(145, 146)가 두 헤드부(120, 130)에 각각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두 수용 홈(126, 136)이 각각 연결부(1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nd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42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are provid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20 and the coupling portion 140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groove 124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40 and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42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20.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44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are provided in the second head portion 130 and the coupling portion 140, respectively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4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140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144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head part 12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coupling groove 147 and the third insertion portion 168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upling groove 147 ar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40 and the rod portion 160, respectively The third coupling groove 147 may be provided in the bar portion 160 and the third insertion portion 168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4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insertion protrusions 145 and 146 ar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40, and the receiving recesses 126 and 136, into which the two insertion protrusions 145 and 146 are inserted, The two insertion projections 145 and 146 are provided on the two head portions 120 and 130 and the corresponding two receiving grooves 126 and 136 are provided on the connection portion 140 .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or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청소 도구 110 : 헤드 조립체
120 : 제1 헤드부 124 : 제1 결합 홈
130 : 제2 헤드부 134 : 제2 결합 홈
140 : 연결부 142 : 제1 삽입부
144 : 제2 삽입부 147 : 제3 결합 홈
160 : 막대부 168 : 제3 삽입부
100: Cleaning tool 110: Head assembly
120: first head part 124: first coupling groove
130: second head part 134: second engaging groove
140: connection part 142: first insertion part
144: second insertion portion 147: third coupling groove
160: rod portion 168: third insertion portion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소포 고정부를 구비하는 헤드 조립체; 및
상기 헤드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조립체는 제1, 제2 헤드부와, 상기 두 헤드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제1 결합 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결합 홈에 이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제2 결합 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결합홈에 이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 홈과 상기 제2 결합 홈에는 각각 제1 걸림 턱과 제2 걸림 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제1 걸림 턱과 제2 걸림 턱에 각각 걸리는 제1 걸림 돌기와 제2 걸림 돌기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두 걸림 돌기는 대응하는 걸림턱에 대한 걸림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A head assembly having a cleaning cloth fixing part; And
And a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assembly,
Wherein the head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and a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two head portions,
Wherein one of the first head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has a first insertion portion tha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Wherein one of the second head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second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has a second insertion portion tha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Wherein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are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jaw and a second engaging jaw respectively and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jaw and a second engaging jaw A first latching protrusion and a second latching protrusion are provided, respectively,
Wherein the two latching projections are movable between a latching position and a releasing position with respect to a corresponding latching jaw.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두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위치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두 걸림 돌기를 상기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urging the two latching protrusions to maintain the latching position, and a button portion for moving the two latching protrusions to the release posi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막대부 중 어느 하나는 제3 결합 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3 결합 홈에 이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결합 홈에는 2개의 제3 걸림 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3 삽입부에는 상기 2개의 제3 걸림 턱에 걸리는 각각 걸리는 2개의 제3 걸림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두 제3 걸림 돌기는 대응하는 제3 걸림 턱에 대한 걸림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두 제3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위치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두 제3 걸림 돌기를 상기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od portion has a third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has a third insertion portion tha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groove,
Wherein the third engaging groove is provided with two third engaging protrusions and the third inser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wo third engaging protrusions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two third engaging jaws,
The two third latching protrusions are movable between a latching position and a releasing position with respect to a corresponding third latching jaw,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force so that the two third latching projections maintain the latching position and a button portion that moves the two latching projections to the unlocking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소포 고정부를 구비하는 헤드 조립체; 및
상기 헤드 조립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조립체는 제1, 제2 헤드부와, 상기 두 헤드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제1 삽입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삽입 돌기가 수용되는 제1 수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제2 삽입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삽입 돌기가 수용되는 제2 수용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A head assembly having a cleaning cloth fixing part; And
And a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assembly,
Wherein the head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and a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two head portions,
Wherein one of the first head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other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is received,
Wherein one of the second head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other has a second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s received.
삭제delete
KR1020130007116A 2013-01-22 2013-01-22 Cleaning tool KR101440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16A KR101440211B1 (en) 2013-01-22 2013-01-22 Clean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16A KR101440211B1 (en) 2013-01-22 2013-01-22 Clean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67A KR20140094367A (en) 2014-07-30
KR101440211B1 true KR101440211B1 (en) 2014-09-15

Family

ID=5174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116A KR101440211B1 (en) 2013-01-22 2013-01-22 Clean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21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918Y1 (en) * 1994-01-05 1996-02-03 최종면 Mop for indoor
KR19990017477U (en) * 1999-01-09 1999-05-25 박만학 Mop
KR20110064588A (en) * 2009-12-08 2011-06-15 김도현 A mop
JP2012075669A (en) * 2010-10-01 2012-04-19 Iris Ohyama Inc Mo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918Y1 (en) * 1994-01-05 1996-02-03 최종면 Mop for indoor
KR19990017477U (en) * 1999-01-09 1999-05-25 박만학 Mop
KR20110064588A (en) * 2009-12-08 2011-06-15 김도현 A mop
JP2012075669A (en) * 2010-10-01 2012-04-19 Iris Ohyama Inc M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67A (en)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864B1 (en) Device for holding cleaning wiper and cleaning article employing holding device
EP1974648B1 (en) Cleaning element and cleaning tool
AU2002304244A1 (en) Device for holding cleaning wiper and cleaning article employing holding device
JPH08140712A (en) Buckle
KR100540426B1 (en) Vacuum cleaner
US20070174987A1 (en) Cleaning device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KR100601384B1 (en) Cleaning too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ing portion constituting the cleaning tool
KR101440211B1 (en) Cleaning tool
US7555805B2 (en) Holding assembly for sweeping and wringing apparatus
JP2010268973A (en) Handy mop
JP2007167425A (en) Cleaning tool
US7555804B2 (en) Cleaning head for sweeping and wringing apparatus
JP5084935B2 (en) Cleaning tool
JP3817019B2 (en) Mop holder
JP3224799B2 (en) Mop handle
CN216675626U (en) Mounting structure of dust collector dust cup
JP7488701B2 (en) Handy Cleaning Tools
KR200386411Y1 (en) A mop
JP2006081691A (en) Cleaning appliance
CN217827755U (en) Sleeve type self-squeezing water foam cotton mop
JPH046689Y2 (en)
CN210520914U (en) Convenient collodion mop
JP4719820B2 (en) Cleaning tool
JP3019910U (en) Cleaning wiper
JP5625529B2 (en) Vacuum cleaner suction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