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145B1 -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145B1
KR101440145B1 KR1020130051428A KR20130051428A KR101440145B1 KR 101440145 B1 KR101440145 B1 KR 101440145B1 KR 1020130051428 A KR1020130051428 A KR 1020130051428A KR 20130051428 A KR20130051428 A KR 20130051428A KR 101440145 B1 KR101440145 B1 KR 10144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ight source
source
r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윤기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145B1/ko
Priority to US14/098,778 priority patent/US2014033367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소들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하여 배치된 후조명 선광원,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조명 선광원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확산판 및,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후조명 선광원에,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들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이격하여 배치된 3D용 선광원들 사이에 2D용 선광원이 배치된다.

Description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WHICH SWITCHES 2D MODE AND 3D MODE}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선광원 세트를 구비한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2D 모드로의 전환을 위하여 고정 확산판을 선광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적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전기 장치 없이 3D 모드와 2D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시차 분리 수단을 기존의 2차원 영상표시장치 앞에 배치한다. 따라서,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기 다른 시차의 영상을 전달함으로써, 3차원 입체영상을 제공하여 관찰자에게 실제적으로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한 시차 분리 수단으로는 시차장벽(Parallax Barrier Plate)과 렌티큘러 렌즈 시트(Lenticular Lens Sheet)가 있다. 이와 더불어 광투과형 디스플레이 후면에 후조명 선광원을 적용하여 무안경 입체 표시를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한 선광원을 적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예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후조명 선광원을 이용하는 2 시역의 3차원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영상표시장 치는 일반적인 2차원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이격하여 배치된 선광원(line source) 배열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화소는 좌안 이미지 화소와 우안 이미지 화소로 구성된다. 후조명 선광원 배열은 선광원이 배치된 지역과 배치되지 않은 지역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선광원의 폭은 Wt이고, 인접 선광원간의 피치는 Ls이다.
그런데, 관찰자가 감상하는 영상이 항상 3차원 영상은 아니기 때문에, 3D 모드와 2D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가 요망되어 왔다. 이러한 3D 모드와 2D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차장벽을 이용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액정 시차장벽 방법에 의해, 그리고 렌티큐라 렌즈를 이용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액정 렌티큐라 렌즈 방법에 의해 3D 모드와 2D모드를 전자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후조명 선광원을 이용하는 3차원 영상표시장치에서는 2D 모드를 위한 별도의 전용 후조명 광원을 구비하거나,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선광원 사이에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을 적용하여 전자적으로 3D와 2D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3D 모드와 2D 모드의 전환 방법은 투과 효율, 확산판 상태 균일도 및 효율, 그리고 전자적 확산판 위치에서의 선광원 광분포의 불균일 등으로 인하여, 2D 모드에서의 평면 영상 화질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조명 선광원을 적용한 무안경 방식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2D 표시 모드에서 후조명 광분포의 균일도를 보장하면서 3D 표시 모드와 2D 표시 모드 사이를 효과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들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하여 배치된 후조명 선광원,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조명 선광원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확산판 및,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후조명 선광원에,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들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이격하여 배치된 3D용 선광원들 사이에 2D용 선광원이 배치된다.
이때, 2개 이상의 3D용 선광원 세트에서, 각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들은 다른 세트를 이루는 대응하는 3D용 선광원들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3D 모드로서 구동할 경우 3D용 선광원에만 전압을 인가하고, 2D 모드로서 구동할 경우 3D용 선광원과 2D용 선광원 모두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FLCD(Ferro 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DMD(Digital Micro-mirror Display), 및 GLV(Grating Light Valve)를 포함하는 수광형 광변조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3D용 선광원 및/또는 2D용 선광원은 점광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후조명 선광원에 2D용 선광원을 추가할 때 두 종류의 선광원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조명 선광원 사이에 고정 확산판을 추가함으로써, 별도의 전자적 2D/3D 전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2D용 선광원의 추가 작동 여부 만으로도 3D 모드와 2D 모드를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전환을 달성할 수 있으며, 2D 표시 모드에서 후조명 광분포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후조명 선광원을 이용하는 2 시역의 3차원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후조명 선광원에 PDLC의 전자적 스위치 방법을 이용하여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2D 모드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3D 모드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후조명 선광원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6a~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도 6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후조명 선광원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8은 후조명 선광원에서 3D용 선광원만 구동된 경우에 고정 확산판에서 보여지는 유효 선광원의 배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a~9c는 후조명 선광원에 배치되는 3D용 선광원과 2D용 추가 선광원의 다양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2D 모드에서의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고, 도 4는 3D 모드에서의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조명 선광원 사이에 고정 확산판이 배치된다. 아울러, 후조명 선광원에서 3D 구현을 위한 선광원 사이의 빈 공간에 추가로 2D 구현을 위한 선광원을 배치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가 2D 모드에서는 추가된 선광원을 3D 선광원과 동시에 구동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는 추가 2D용 선광원을 오프시키고 3D 선광원만 구동시킨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FLCD(Ferro 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DMD(Digital Micro-mirror Display), 및 GLV(Grating Light Valve) 등과 같이 수광형 광변조 방식의 디스플레이(non-emissive display)를 적용할 수 있다.
고정 확산판(Light Diffusion Plate)은 빛을 화면 전체로 확산시켜 주는 것으로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면을 따라 확산시켜 화면 전체적으로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보이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 확산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조명 선광원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도 3의 2D 모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3D용 선광원과 2D용 추가 선광원 사이의 간격에 따라 각 선광원으로부터 출발한 빛이 고정 확산판에서 서로 근접하거나, 이웃하거나, 좁은 이격을 갖도록 결정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조명 선광원 사이의 고정 확산판은 각 선광원의 확산 각도와 선광원 간의 간격을 고려하여 2D 모드에서도 균일한 광분포를 구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후조명 선광원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3D 모드로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3D용 선광원에만 전압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V1만 구동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2D 모드로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3D용 선광원과 2D용 선광원 모두에 전압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V1과 V2가 함께 구동된다. 이러한 후조명 선광원에 인가되는 V1과 V2의 작동 스위치 여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3D 영상정보와 2D 영상정보를 적절히 배치함에 따라, 3D 모드와 2D 모드를 전환하며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서 3D용 선광원에 V1을 인가하여 도 4에 보여지는 3D용 선광원만 구동된 경우를 보면, 3D용 선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은 d2 거리에 배치된 고정 확산판에서 각 선광원의 선폭(WLS) 보다 증가된 선폭을 갖게 된다.
그런데, 3D용 선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고정 확산판에서의 선폭을 유효 선폭(Effective WLS)이라 할 때, 고정확산판 상에서의 유효 선폭을 갖는 선광원으로부터 d1 거리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설계한 시점영상을 제공하면, 관찰자 위치에서 3차원 영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4시점 설계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d1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져 있는 고정 확산판 상에, 유효 선폭을 갖는 선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통하여, 설계된 관찰자 위치(L)에서 설계된 시점간격(E)만큼 떨어져 4개의 시역이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3D용 선광원과 함께 도 5의 제어부를 통하여 전압 V2를 2D용 추가 선광원에 전압을 인가하면, 3D용 선광원에서 나온 빛과 인접한 2D용 추가 선광원에서 나온 빛이 근접한 적절한 거리(d2)에 배치된 고정 확산판 상에서 서로 확산되어 고정 확산판 후에 균일한 면광원과 동일한 효과를 준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에 2차원 영상을 공급하게 되면, 간단하게 기존과 동일한 해상도의 2차원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된 방법을 통하여, 2D 모드에서는 균일한 후조명을 얻을 수 있으며, 3D 모드에서는 고정 확산판의 위치 설정에 의한 초기 3D용 선광원 대비 선광원의 폭 증가 이외에는 고유의 3D 표시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a~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과 도 4에서는 1개의 3D용 선광원 세트 만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6a~6c의 예에서와 같이 관찰자 위치 연동하여 3차원 시역형성 위치 변경을 위한 2개의 3D용 선광원 세트 또는 그 이상의 3D용 선광원 세트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2개 이상의 3D용 선광원 세트는 본 발명에는 기술하지 않았지만, 3D용 선광원의 구동방식에 따라 시간분할 방식의 3차원 시역형성에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a~6c의 예에서와 같이 2개의 3D용 선광원을 배치하는 경우, 3D용 선광원들 사이의 빈 공간에 추가로 2D용 선광원을 배치하는 것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1개의 3D용 선광원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조명 선광원의 사이에 고정 확산판을 배치하며, 선광원 사이의 간격을 가깝게 하는 등의 적용 방식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의 후조명 선광원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이하, 도 6a~6c 및 도 7을 참조하여 2D/3D 전환과 2개의 3D용 선광원을 구동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D 모드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도 7의 V1, V2 및 V3에 전압을 모두 인가한다. 이렇게 2D용 선광원과 2개의 3D용 선광원 세트를 모두 구동하게 되면, 도 6a와 같이 후조명 선광원 전면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된 고정 확산판을 통하여 균일한 면광원이 방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된 화소들에서 공급되는 2차원 영상을 관찰자가 볼 수 있게 된다.
만약 3D 모드로 구동하게 되면, 도 7의 V3를 구동하지 않아 2D용 선광원이 작동되지 않게 하고, V1과 V2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2개의 3D용 선광원 세트 중 하나의 선광원 세트만 작동되게 한다. 실시예로서 도 6b는 제1 3D용 선광원 세트만 구동될 경우에 고정 확산판 상에 형성된 유효 선광원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유효 선광원이 형성된 고정 확산판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시점영상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b는 4시점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배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6c는 제2 3D용 선광원 세트만 구동될 경우에 고정 확산판 상에 형성된 유효 선광원을 보여주고 있다. 도 6b에서와 같이 제1 3D용 선광원 세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확산판상 제1 유효 선광원과, 도 6c에서와 같이 제2 3D용 선광원 세트에 의해 형성된 고정 확산판상 제2 유효 선광원의 위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2개의 선광원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선광원 세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시점영상이 배치된 화소들에 의하여 관찰자 위치에서의 형성되는 시역의 위치를 수평이동 할 수가 있다. 즉,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관찰자 위치추적 시스템에 의해 관찰자의 위치를 피드백 받아서, 관찰자 위치에서 크로스토크가 최소화 된 3차원 영상을 관찰자가 이동중에도 볼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3D용 선광원 세트 중에서 하나의 3D용 선광원 세트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3D용 선광원들은 여러 개의 선광원들이 모여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데, 각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들은 다른 세트를 이루는 대응하는 3D용 선광원들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즉, 첫번째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 두번째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 세번째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 …, n번째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이 연이어 배치되고, 다음으로 2D용 선광원이 배치되며, 다시 첫번째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조명 선광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광학판에 배치된 다수의 점광원을 열에 따라 동시에 구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3D용 후조명 선광원이 일반적인 선광원이 아닌 다른 임의의 형태이거나 점광원으로 이루어진 경우, 추가적인 2D용 광원도 그 임의의 형태이거나 또는 점광원을 제외한 면적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4, 도 6b 또는 도 6c와 같이 후조명 선광원에서 3D용 선광원만 구동된 경우에 고정 확산판에서 보여지는 유효 선광원의 배치를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는 고정 확산판 상에 형성된 수직 선광원을 보여주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의 3차원 시점영상의 배치에 따라 수직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진 선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용 선광원 형성을 위한 유효 선광원을 형성하거나 2차원 영상용 균일한 면광원을 형성하기 위한, 후조명 선광원에 배치되는 3D용 선광원과 2D용 추가 선광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a는 일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3D용 선광원 세트가 있고, 그 사이에 2차원 영상을 구현할 때 추가로 구동되는 2D용 추가 선광원 세트가 구비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도 9b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3D용 선광원 효과를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광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2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열된 3D용 점광원 세트 사이에 2D용 추가 선광원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 c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3D용 점광원과 2D용 추가 점광원들을 각각 구동하여, 3차원 영상을 구동하기 위해 고정 확산판상에 선광원 세트 또는 균일한 면광원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도 9b와 도 9c는 원형태의 점광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이외에도 고정 확산판 상에서 선광원과 면광원을 형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점광원들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들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하여 배치된 후조명 선광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조명 선광원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확산판 및;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조명 선광원에,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들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이격하여 배치된 3D용 선광원들 사이에 2D용 선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3D 모드로서 구동할 경우 3D용 선광원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작동시키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상기 고정 확산판상에 유효 선광원이 배치되어, 관찰자 위치에서 설계된 시점간격만큼 떨어져 시역이 형성되고,
    2D 모드로서 구동할 경우 3D용 선광원과 2D용 선광원 모두에 전압을 인가하여 작동시키며, 이때 상기 고정 확산판상에 균일한 분포의 광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3D용 선광원 세트에서, 각 세트를 이루는 3D용 선광원들은 다른 세트를 이루는 대응하는 3D용 선광원들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FLCD(Ferro 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DMD(Digital Micro-mirror Display), 및 GLV(Grating Light Valve)를 포함하는 수광형 광변조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용 선광원 또는 2D용 선광원은 점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용 선광원 및 2D용 선광원은 점광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삭제
KR1020130051428A 2013-05-07 2013-05-07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144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428A KR101440145B1 (ko) 2013-05-07 2013-05-07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
US14/098,778 US20140333678A1 (en) 2013-05-07 2013-12-06 Display apparatus for switching 2d mode and 3d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428A KR101440145B1 (ko) 2013-05-07 2013-05-07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145B1 true KR101440145B1 (ko) 2014-09-11

Family

ID=5176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428A KR101440145B1 (ko) 2013-05-07 2013-05-07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33678A1 (ko)
KR (1) KR101440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9597B (zh) * 2016-05-20 2021-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及其制作方法、显示基板、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415A (ko) * 2003-12-05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과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디스플레이
KR20100021094A (ko) * 2008-08-14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휘도보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77B1 (ko) * 2008-10-17 2013-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1731118B1 (ko) * 2010-11-11 2017-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글로벌디밍 제어방법
KR101987383B1 (ko) * 2011-11-11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4원색 표시장치 및 그의 픽셀데이터 랜더링 방법
KR101306245B1 (ko) * 2012-01-17 2013-09-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간 분할 방식의 무안경식 3차원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415A (ko) * 2003-12-05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과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디스플레이
KR20100021094A (ko) * 2008-08-14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휘도보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3678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8096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2D/3D switcha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scanning backlight and a plurality of light guide plates
US8274556B2 (en) Backlight unit and 2D/3D switchable image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backlight unit
US70848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senta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US7903183B2 (en) Display including backlight operable in 2D and 3D modes
TW201218179A (en) Multi-view display device
US20130335538A1 (en) Multiple viewpoint image display device
US10616564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2261218B1 (ko) 스트라이프 백라이트와 두 렌티큘러 렌즈 배열들을 갖는 무안경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13959A (ko) 무 안경식 3d 또는 2d/3d 전환 가능한 화소 배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224038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RU27469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 управлением направлением выхода, задняя подсветка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направления света
JP2007163709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EP1705927B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using time-sequential method
EP322502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15648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60067546A (ko) 지향성 백라이트 유닛
US9411093B2 (en) Display apparatus
US10247950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20160291339A1 (en) Backlight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3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40145B1 (ko) 2d 모드와 3d 모드를 전환하는 영상표시장치
EP3375186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WO2016015414A1 (zh) 背光模组、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EP12731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senta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Eichenlaub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high brightness and power efficiency
KR101607901B1 (ko) 2d 모드와 3d 모드 전환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