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905B1 -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905B1
KR101439905B1 KR1020140078720A KR20140078720A KR101439905B1 KR 101439905 B1 KR101439905 B1 KR 101439905B1 KR 1020140078720 A KR1020140078720 A KR 1020140078720A KR 20140078720 A KR20140078720 A KR 20140078720A KR 101439905 B1 KR101439905 B1 KR 10143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inlet
warhead
targe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현
백승석
안우영
Original Assignee
(주)지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지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07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탄두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두가 유입되는 입구, 탄두가 배출되는 출구, 입구에서 출구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에 대해 10 ~ 15 °의 제1각도(θ1)를 형성하여 설치된 상벽, 하벽, 제1측벽과 제2측벽을 구비하는 몸체; 입구의 변두리에 10 ~ 15°의 제2각도(θ2)로 벌어져 설치된 플랜지; 몸체의 내부공간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10 ~ 15°의 제1각도(θ1)로 배치된 가이드부재;와 출구측 제1측벽의 단부와 제2측벽 단부를 연결하고, 평면상 제2측벽 측으로 볼록한 곡면 또는 각 모서리가 133~137°의 제3각도(θ3)인 다각형 형상이며, 입구 의 폭보다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 감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입구의 크기는 입구의 크기는 지면으로부터 1,500±300mm 이내의 격발 높이에서 격발지로부터 10m 거리의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 또는, 지면으로부터 400±100mm 이내의 격발 높이에서 격발지로부터 25m 거리의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가 격발지로부터 25m거리의 입구로 유입되는 정도이고, 제1측벽의 출구측에는 입구에서 감쇠부의 내부가 직접 보이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가이드부재는 제2측벽 측면 길이의 1/2 ~ 2/3의 측면 길이를 가지고, 제1측벽과 제2측벽의 표면에 고정되거나 제1측벽과 제2측벽에 성형된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형 탄두회수장치{Composition device for collecting the head of bullet}
본 발명은 탄두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권총과 소총의 탄두에 대해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함께 수집할 수 있도록 한 복합형 탄두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 사격장에서 영점사격(50m), 기지거리 실 사격 (100m/200m/250m) 기관총 사격이 실시되며 탄두는 5.56구경의 보통탄의 경우 격발시 탄속이 대략 900~1000M/sec에 이르러 상당한 파괴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두는 표적지를 통과하면 대개 후방의 토양 내에 깊숙이 박히면서 그 원형이 변형되어 탄두의 재질(특히, 유해중금속으로서의 납(Pb)성분)에 의해 토질이나 수질의 오염(즉, 중금속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즉, 탄두는 전쟁의 목적상 납(Pb)을 이용하여 파상풍을 발생케 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재질로 사용되고, 구리(Cu)의 합금도 사용하는 이중구조로 제작된다. 따라서, 평상시 사격 후 납성분이 노출되기 쉽고, 그 상태의 탄두가 토양에 박힐 경우 납성분에 의해 토질 및 수질의 오염을 초래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20170호(발명의 명칭:탄두수거장치)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50906호(발명의 명칭:소총 탄두 회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에서는 표적지를 통과한 탄두가 탄두수거장치에 담겨진 탄두 완충제와 충돌하면서 매립되어 수집하는 구조이고, 이러한 구조는 탄두 완충제 속에서 탄두를 수거하는 추가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추가 작업을 배제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27222호(발명의 명칭:탄두회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탄두가 유입되는 유입구(10), 탄두가 내벽에 충돌하여 운동에너지를 소진할 수 있도록 점차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탄두가이드부(11), 탄두가이드부(11)의 후방에 설치되어 탄두를 회수하는 탄두회수부(12)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 탄두회수장치는 권총과 소총에서 격발되어 날아가는 탄두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사격 종류에 맞춰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거나 배제하여 높이를 조절해야만 하였다.
또한, 탄두회수부(12)의 형상이 측면상 대략 온전한 원형이기 때문에 유입구(10)로 유입되지 못한 탄두가 유입구(10)의 연장선(e1)상을 벗어나는 탄두회수부(12)의 일부위를 타격할 수 있고, 이때 탄두가 튕겨져나가는 방향을 전혀 예측할 수 없어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27222호(2009.11.1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6869호(2011.04.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0051호(2012.07.0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8322호(2012.02.1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15517호(2009.09.0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7283호(2011.11.2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7323호(2010.09.0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62298호(2013.05.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66703호(2104.02.25.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은, 탄두회수장치의 유입구의 높이를 높게 하여 소총은 물론 권총의 탄두도 함께 수집할 수 있고, 몸체의 양측벽, 상/하벽과, 몸체에 내장된 가이드부가 일정 각도를 이루어 여러 면에서 탄두가 충돌하여 운동에너지가 감쇠되도록 하며, 몸체의 일측벽이 타측벽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탄두가 감쇠부의 곡률을 이루는 부위에 직접 타격하는 현상이 배제되도록 하고, 감쇠부가 일측벽에서 타측벽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도록 하면서 몸체의 입구보다 크기가 작게 하여 입구를 벗어난 탄두가 감쇠부를 타격하는 현상이 배제되도록 한 복합형 탄두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탄두회수장치는, 탄두가 유입되는 입구, 탄두가 배출되는 출구, 입구에서 출구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에 대해 10 ~ 15 °의 제1각도(θ1)를 형성하여 설치된 상벽, 하벽, 제1측벽과 제2측벽을 구비하는 몸체; 입구의 변두리에 10 ~ 15°의 제2각도(θ2)로 벌어져 설치된 플랜지; 몸체의 내부공간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10 ~ 15°의 제1각도(θ1)로 배치된 가이드부재;와 출구측 제1측벽의 단부와 제2측벽 단부를 연결하고, 평면상 제2측벽 측으로 볼록한 곡면 또는 각 모서리가 133~137°의 제3각도(θ3)인 다각형 형상이며, 입구의 폭보다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 감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입구의 크기는 지면으로부터 1,500±300mm 이내의 격발 높이에서 격발지로부터 10m 거리의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 또는, 지면으로부터 400±100mm 이내의 격발 높이에서 격발지로부터 25m 거리의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가 격발지로부터 25m거리의 입구로 유입되는 정도이고, 제1측벽의 출구측에는 입구에서 감쇠부의 내부가 직접 보이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가이드부재는 제2측벽 측면 길이의 1/2 ~ 2/3의 측면 길이를 가지고, 제1측벽과 제2측벽의 표면에 고정되거나 제1측벽과 제2측벽에 성형된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응하여 위치된 한 쌍의 플랜지에는 다수의 표적지 설치홈이 구비되고, 표적지 설치홈들 중 상호 대응하여 위치한 표적지 설치홈에는 표적지의 테두리에 부착된 설치바의 양측부가 각각 고정되고, 격발지에서 지면으로부터 1,500±300mm 이내의 격발 높이를 갖는 권총사격에 사용되는 표적지 또는, 지면으로부터 400±100mm 이내의 격발 높이를 갖는 소총 영점사격에 사용되는 표적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입구의 높이는 2,050±500mm이고, 폭은 1,000±500mm이며, 몸체와 감쇠부를 포함한 측면 길이는 2,030±5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입구를 넓게 함으로써, 격발지에서 10m 표적지와 25m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를 함께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내부공간을 가이드부재로 높이방향에 대해 다수 분할하고, 상벽, 하벽, 제1측벽,제2측벽과 가이드부재를 제1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탄두의 운동에너지를 위,아래의 충돌뿐만 아니라 측면 충돌까지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입구에 표적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플랜지를 제2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입구를 벗어난 일부 탄두에 대해서도 플랜지와의 충돌을 통해 입구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의 측면 길이를 제2측벽의 측면 길이보다 더 짧게 하여 감쇠부로 유입되지 못한 탄두를 낙하시켜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쇠부의 폭이 입구의 폭보다 작게 하여 입구를 벗어난 탄두가 감쇠부를 타격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감쇠부가 제1측벽 연장부의 단부와 제2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제2측벽측으로 볼록한 6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가 제3각도로 이루어짐으로써, 감쇠부로 유입된 탄두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최대한 선회하면서 운동에너지를 감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탄두회수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탄두회수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탄두회수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탄두회수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플랜지(110), 가이드부재(120), 감쇠부(130)와 고정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100), 플랜지(110), 가이드부재(120)와 감쇠부(130)는 탄두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탄두의 운동에너지를 견딜 수 있는 강도의 특수 내마모성 강판과 같은 방탄강판으로 제작된다. 이 방탄강판은 일 예로 국제규격 및 군수용으로 승인된 AR 플레이트(Abrasion resistant plate, 일 예로 상표명 RAEX 500 또는 HARDOX 500을 사용)로 두께 10mm를 사용한다.
몸체(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두가 유입되어 운동에너지가 감쇠된 후 배출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탄두가 유입되는 입구(101), 탄두가 배출되는 출구(102), 상벽(103), 하벽(104),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을 포함한다. 이 몸체(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측면상 도 4에서와 같이 입구(101)가 출구(102)보다 더 높고, 평면상 도 5에서와 같이 입구(101)가 출구(102)보다 더 넓다.
또한, 입구(101)의 높이와 폭은 격발지(미도시)에서 대략 1,500±300mm의 격발 높이(일 예로 권총사격)에서 격발지로부터 10m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가 격발지로부터 25m에 위치한 입구(101)에 유입될 수 있는 정도이다. 이를 감안하여 보면, 입구(101)의 최대 높이는 2,050±500mm이며, 최대 폭은 1,000±500mm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권총사격의 경우 격발지로부터 10m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가 입구(101)에 유입되고, 소총의 영점사격의 경우 격발지로부터 25m 거리인 입구(101)의 플랜지(110)에 설치된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가 입구(101)에 유입된다. 따라서, 입구(101)의 크기는 권총사격인 경우를 염두한 크기이다.
그리고, 제1측벽(105)은 감쇠부(130)측 부위에 구비된 연장부(107)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제1측벽(105)의 측면 길이는 제2측벽(106)의 길이보다 연장부(107)만큼 더 길다. 이 연장부(107)는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의 후술된 제1각도(θ1)로 인해 입구(101)에서 보았을 때, 출구(102)가 막혀 보이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입구(101)로 유입된 탄두가 출구(102)로 직접 이동한 경우에도 탄두가 연장부(107)와 우선 접촉하기 때문에 감쇠부(130)를 직접 타격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탄두와 접촉하게 되는 연장부(107)의 내면에는 탄두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108)를 부착한다.
또한, 상벽(103), 하벽(104),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은 입구(101)로 유입된 탄두와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평과 수직에 대해 10 ~ 15°정도의 경사진 제1각도(θ1)를 갖는다. 이 제1각도(θ1)가 10°미만인 경우, 탄두와의 접촉에 의한 탄두의 운동에너지 감소가 적어 감쇠부(130)측 부위의 연장부(107)가 충격에 의한 스크래치 및 파손의 위험이 발생하고, 몸체(100)의 측면 길이가 길어져 제작비와 무게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1각도(θ1)가 15°를 초과한 경우, 탄두와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률이 급상승하고, 이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벽(103)과 하벽(104), 그리고 가이드부재(120)만 수평에 대해 제1각도(θ1)로 경사지도록 할 수도 있다.
플랜지(110)는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표적지를 설치하고, 탄두를 입구(101)로 유도하기 위한 부재로, 입구(101)의 변두리 모두 또는,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의 입구(101)측 선단부에 각각 제2각도(θ2)만큼 벌어져 장착된다. 여기서, 제2각도(θ2)는 탄두가 충돌하였을 때, 탄두를 입구로 안내하기 위해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으로부터 대략 10 ~ 15°정도이고, 제1각도(θ1)를 감안하면 평면상 수평에 대해 20 ~ 30°정도이다.
또한, 좌/우 양측 플랜지(110)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이면서 높이 방향으로 다수의 표적지 설치홈(111)이 구비되고, 이 설치홈(111)은 플랜지(110)의 상부에 1개, 하부에 3개가 성형되며, 표적지 설치홈(111)의 위치와 개수는 표적지의 크기, 종류와 설치 높이, 사격거리, 총의 종류 또는 사격 자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표적지는 입구(101)의 폭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고, 표적지가 부착된 별도의 부재들이 표적지 설치홈(111)에 끼워 고정된다. 일 예로, 표적지는 권총사격을 위한 표적지와 소총 영점사격을 위한 표적지로 대분류할 수 있고, 이들 표적지의 상,하부 테두리 중 하나 이상의 테두리에 설치바(미도시)를 부착한다. 그리고, 이 설치바가 입구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한 후 설치바의 양측부를 상호 대응하는 높이의 표적지 설치홈(11)에 각각 고정한다. 물론, 표적지와 설치바를 교체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탄두가 부딪혀 탄두의 운동에너지가 감쇠되도록 하는 부재로,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높이 방향으로 다수 분할하도록 다수 설치된다. 이 가이드부재(120)의 측면 길이는 제2측벽(106) 길이의 1/2 ~ 2/3정도이고, 이는 이동하던 탄두가 상벽(103), 하벽(104), 제1측벽(105), 제2측벽(106)과 가이드부재(120)에 단독 또는 연쇄적으로 충돌하여 운동에너지를 상당부분 상실한 경우 감쇠부(130)로 유입되지 못하더라도 몸체(100)의 바닥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부재(120)의 측면상 설치 각도는 제1각도(θ1)로 하고, 하벽(104)와 동일하게 경사지거나 상벽(103)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가이드부재(120)는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의 표면에 용접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에 슬롯(미도시)를 성형시키고, 이 슬롯에 끼워 넣어 고정할 수도 있다.
감쇠부(130)는 도 2, 도4와 도 5에서와 같이, 몸체(100)의 출구(102)를 통해 배출된 탄두가 부딪히면서 선회하여 운동에너지를 완전히 감쇠시켜 낙하시키는 부위로, 평면상 제1측벽(105)의 연장부(107) 단부와 제2측벽(106)의 출구(102)측 단부를 연결하면서 제2측벽(106)측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면서 6각 모서리를 갖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 감쇠부(130)는 출구(102)에서 유입된 탄두가 부딪혀 타부위로 안내되어 선회할 수 있도록 각 모서리가 135±2°의 제3각도(θ3)를 갖는다. 이 제3각도(θ3)는 탄두가 감쇠부(130) 내로 유입된 후 선회하면서 낙하할 수 있는 최적의 각도이고, 만약 133°미만이거나 137°를 초과한 경우 감쇠부(130)로 유입되었던 탄두가 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우려가 있거나, 2차, 3차 부딪히는 지점에서의 충격이 커 스크래치 발생 또는 파손의 위험이 있다.
또한, 감쇠부(130)는 평면상 연장부(107) 단부와 제2측벽(106)의 출구(102)측 단부를 연결하면서 제2측벽(106)측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면서 완전한 곡면이거나 7각 이상의 모서리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5각 모서리 이하의 형상인 경우, 탄두와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률이 급상승하고, 이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감쇠부(130)는 평면상 폭이 입구(101)의 폭보다 더 작고, 이러한 폭을 갖는 감쇠부(130)의 크기는 제3각도(θ3) 또는 변의 길이를 조절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3각도(θ3)는 유지된 채 변의 길이를 조절하여 구현한다. 이 감쇠부(130)의 크기는 탄두가 표적지를 벗어나 입구(101)로 유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감쇠부(130)의 외면을 타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100)와 감쇠부(130)를 포함한 측면 길이는 최대 2,035±500mm이다. 물론, 설치장소와 사격 종류에 따라 몸체(100)와 감쇠부(130)를 포함한 측면 길이, 폭과 높이는 1/2 또는 1과1/2 정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고, 이때 제1각도(θ1) 또는 제3각도(θ3)를 조정할 수도 있으며, 감쇠부(130)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몸체(100)의 하벽(104)이면서 입구(101)측에 탄두를 수집하기 위한 탄두회수통(미도시)이 설치된다. 몸체(100)의 내부공간과 감쇠부(130)에서 낙하한 탄두가 몸체(100)의 하면을 따라 입구(101)측으로 굴러오면 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탄두회수통이 설치된다.
고정수단(140)은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몸체(10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10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41)를 구비한다. 이 고정부재(141)는 1개 이상의 수평부재(142)와 수직부재(143)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직부재(143)의 상부가 몸체(100)의 일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수평부재(142)에 고정된다. 또한, 수평부재(142)는 지면(ground) 또는 후술된 베이스(144)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수단(140)은 몸체(100)의 고정을 지면에 고정된 경우보다 더 견고히 하기 위해 고정부재(141)의 수평부재(142)가 고정되는 일정 면적의 베이스(144)를 더 구비한다. 이 베이스(144)는 통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고, 지면에 매립하여 사용한다. 또한, 베이스(144)는 몸체(100)와 감쇠부(130)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며, 일 예로 측면 길이가 2,300±300mm, 두께가 200±30mm이고, 폭이 1,200±300mm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몸체 101:입구
102:출구 103:상벽
104:하벽 105:제1측벽
106:제2측벽 107:연장부
108:충격흡수부재 110:플랜지
111:표적지 설치홈 120:가이드부재
130:감쇠부 140:고정수단
141:고정부재 142:수평부재
143:수직부재 144:베이스.

Claims (3)

  1. 탄두가 유입되는 입구(101), 탄두가 배출되는 출구(102), 상기 입구(101)에서 출구(102)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에 대해 10 ~ 15 °의 제1각도(θ1)를 형성하여 설치된 상벽(103), 하벽(104),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을 구비하는 몸체(100);
    상기 입구(101)의 변두리에 10 ~ 15°의 제2각도(θ2)로 벌어져 설치된 플랜지(110);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10 ~ 15°의 제1각도(θ1)로 배치된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출구(102)측 제1측벽(105)의 단부와 제2측벽(106) 단부를 연결하고, 평면상 제2측벽(106)측으로 볼록한 곡면 또는 각 모서리가 133 ~ 137°의 제3각도(θ3)인 다각형 형상이며, 평면상 상기 입구(101)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감쇠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101)의 크기는 지면으로부터 1,500±300mm 이내의 격발 높이에서 격발지로부터 10m 거리의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 또는, 지면으로부터 400±100mm 이내의 격발 높이에서 격발지로부터 25m 거리의 표적지를 관통한 탄두가 격발지로부터 25m거리의 입구(101)로 유입되는 정도이고,
    상기 제1측벽(105)의 출구(102)측에는 상기 입구(101)에서 감쇠부(130)의 내부가 직접 보이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장부(107)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제2측벽(106) 측면 길이의 1/2 ~ 2/3의 측면 길이를 가지고,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의 표면에 고정되거나 제1측벽(105)과 제2측벽(106)에 성형된 슬롯에 끼워져 고정되어 이루어진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대응하여 위치된 한 쌍의 상기 플랜지(110)에는 다수의 표적지 설치홈(111)이 구비되고,
    상기 표적지 설치홈(111)들 중 상호 대응하여 위치한 표적지 설치홈(111)에는 표적지의 테두리에 부착된 설치바의 양측부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표적지 설치홈(111)에는 격발지에서 지면으로부터 1,500±300mm 이내의 격발 높이를 갖는 권총사격에 사용되는 표적지 또는, 지면으로부터 400±100mm 이내의 격발 높이를 갖는 소총 영점사격에 사용되는 표적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01)의 높이는 2,050±500mm이고, 폭은 1,000±500mm이며,
    상기 몸체(100)와 감쇠부(130)를 포함한 측면 길이는 2,030±500mm인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KR1020140078720A 2014-06-26 2014-06-26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KR10143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720A KR101439905B1 (ko) 2014-06-26 2014-06-26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720A KR101439905B1 (ko) 2014-06-26 2014-06-26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905B1 true KR101439905B1 (ko) 2014-09-12

Family

ID=5175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720A KR101439905B1 (ko) 2014-06-26 2014-06-26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9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94B1 (ko) 2018-04-30 2019-06-17 (주)에프티에스 탄두 회수 구조물
KR102031154B1 (ko) * 2018-07-02 2019-10-11 주식회사 지스타 탄두 회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895A (ko) * 2001-05-11 2001-08-22 남주희 표적지가 끼워지는 완구용 탄환회수상자
KR101065340B1 (ko) 2011-07-26 2011-09-16 (주)에프티에스 수직형 탄두 회수장치
KR20110009951U (ko) * 2010-04-14 2011-10-20 노희숙 탄두 회수장치
KR20130066856A (ko) * 2011-12-13 2013-06-21 중원사격장비(주) 탄두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895A (ko) * 2001-05-11 2001-08-22 남주희 표적지가 끼워지는 완구용 탄환회수상자
KR20110009951U (ko) * 2010-04-14 2011-10-20 노희숙 탄두 회수장치
KR101065340B1 (ko) 2011-07-26 2011-09-16 (주)에프티에스 수직형 탄두 회수장치
KR20130066856A (ko) * 2011-12-13 2013-06-21 중원사격장비(주) 탄두회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94B1 (ko) 2018-04-30 2019-06-17 (주)에프티에스 탄두 회수 구조물
KR102031154B1 (ko) * 2018-07-02 2019-10-11 주식회사 지스타 탄두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222B1 (ko) 탄두회수장치
CA2952033C (en) Bullet collecting box capable of stacking and installing, and bullet collecting system for preventing occurence of lead fume in indoor shooting range using the bullet collecting box
KR101439905B1 (ko) 복합형 탄두회수장치
KR102030939B1 (ko) 탄두 회수시스템
KR100975413B1 (ko)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US20110260407A1 (en) bullet trap with inclined plates
US9146083B2 (en) Projectile containment system
WO2002039048A2 (en) Reactive mine protection
US3404887A (en) Bullet trap with upwardly inclined impact plates
US5456155A (en) Bullet trap assembly
US6530572B1 (en) Bullet trap
US4957034A (en) Candy cane configuration for modular armor unit
KR100769320B1 (ko) 사격장 탄두회수장치
KR102077968B1 (ko) 사격장 피탄 방호설비
US10371490B2 (en) Lubricated projectile trap and shooting range
US6526861B1 (en) Projectile stopping device
KR101607623B1 (ko) 탄두 회수 장치
US20020121741A1 (en) Durable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osition of expended munitions fired at a target positioned close to the shooter
JP4515876B2 (ja) 弾丸捕集装置
KR101691981B1 (ko) 소총용 탄두 수거장치
KR20180111087A (ko) 탄두 회수 장치
RU25326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панели для защиты дорож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от пуль и осколков
RU175777U1 (ru) Фронтальный пулеулавливатель
RU142291U1 (ru) Пулеуловитель
KR102031154B1 (ko) 탄두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