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413B1 -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 Google Patents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413B1
KR100975413B1 KR1020100004208A KR20100004208A KR100975413B1 KR 100975413 B1 KR100975413 B1 KR 100975413B1 KR 1020100004208 A KR1020100004208 A KR 1020100004208A KR 20100004208 A KR20100004208 A KR 20100004208A KR 100975413 B1 KR100975413 B1 KR 10097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plate
impact
cas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봉
윤두표
김태호
최애진
이선화
김태걸
김응근
Original Assignee
(주) 대진유압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진유압기계 filed Critical (주) 대진유압기계
Priority to KR102010000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 F41J13/02Bullet catchers combined with targ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에 관한 것으로, 둘레 및 배면이 차단되어 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탄환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철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고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며 탄환이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고무재의 타격판; 타격판을 통과한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고 탄환 및 파편의 튐을 방지하는 탄환충격완화부; 탄환충격완화부를 통과한 탄환 및 파편이 충돌되면서 그 충격을 2차로 흡수하고 충돌된 파편들이 끼이도록 하여서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파편엉킴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탄장치들을 실내에 파티션 형태로 배열하여서 사격 훈련자가 구획된 공간을 따라 민첩하게 움직이면서 배열된 피탄장치들의 타격판을 사격하여 훈련할 수 있으며, 타격판 및 탄환충격완화부를 통과한 탄환 및 파편들이 파편엉킴부의 양측공간 및 상하측공간에 끼이면서 주변으로 튀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Shooting exercise and bullet catcher for projectile removal}
본 발명은 피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위치에서 사격훈련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격된 탄환이 타겟에 맞은 후 주변으로 튀지 않고 수거되는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격훈련은 총에 의해 발사되는 총탄을 보다 정확하게 과녁에 명중시키기 위해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 타겟에 조준하여 이를 명중시키고자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훈련이다.
사격 훈력장에 설치되는 타겟은 유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야산의 경사지를 배경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사격 훈련에 사용되는 탄환은 타겟을 통과한 다음 야산의 지면에 박혀서 유실된다.
사격에 사용되는 실탄 내부에는 인체에 해롭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납이 내장되어 있어서 실탄이 유실된 상태로 방치되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그런데 현재 모든 사격장에서는 이러한 탄환을 수거할 수 있는 설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유실되는 탄환은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뿐 아니라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없게 되므로 비경제적인 측면도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격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격 훈련시 발생되는 탄환을 확실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는, 둘레 및 배면이 차단되어 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탄환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철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고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며 탄환이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고무재의 타격판; 타격판을 통과한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고 탄환 및 파편의 튐을 방지하는 탄환충격완화부; 탄환충격완화부를 통과한 탄환 및 파편이 충돌되면서 그 충격을 2차로 흡수하고 충돌된 파편들이 끼이도록 하여서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파편엉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의 다른 특징은, 탄환충격완화부는, 타격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타격판을 통과한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2차로 흡수하는 철판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판과, 충격흡수판의 전방 공간이 다수의 칸들로 구획되도록 수직판들 및 수평판들이 충격흡수판의 전방에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격자형태의 수직판들 및 수평판들이 타격판의 배면에 밀착되어서 구획된 칸들이 밀폐된 다수의 공간들을 이루도록 하는 파편비산방지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파편엉킴부는, 탄환충격완화부와 케이스의 수납공간 사이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는 제1수평판들과; 제1수평판들의 전방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1수평판들에 결합되되, 후방부들의 일부가 제1수평판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과 후방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제1수직판들과; 제1수직판들의 전방에 수직방향을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1수직판들에 결합되되, 후방부들의 일부가 제1수직판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 후방측과 후방 상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제2수평판들과; 제2수평판들의 전방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2수평판들에 결합되되, 후방부들의 일부가 제2수평판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 후방측과 후방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제2수직판들로 이루어지며; 타격판 및 탄환충격완화부를 통과한 총탄 및 파편들이 파편엉킴부에 충돌되거나 케이스에 충돌된 후 파편엉킴부의 양측공간 또는 상하측공간 사이에 끼이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케이스, 탄환충격완화부, 타격판에는, 파편엉킴부, 탄환충격완화부를 케이스에 고정시키고 타격판을 탄환충격완화부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결합부는, 양단에 제1암나사부 및 제2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일단 둘레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나사부의 일측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샤프트와, 케이스 및 고정샤프트의 제1암나사부에 체결되어서 고정샤프트의 일단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제1고정볼트와, 탄환충격완화부 및 고정샤프트의 수나사부에 체결되어서 탄환충격완화부를 고정샤프트의 단턱에 지지시키는 고정너트와, 타격판 및 고정샤프트의 제2암나사부에 체결되어서 타격판을 고정샤프트의 타단에 고정하는 제2고정볼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케이스의 배면 하부에는, 탄환의 충격시 피탄장치가 후방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백업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는, 둘레 및 배면이 차단되어 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탄환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철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고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며 탄환이 케이스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고무재의 타격판; 타격판의 내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고, 타격판을 통과한 탄환의 진행 경로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양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한쌍의 제1경사면들이 길게 형성된 제1탄환충격완화부; 제1탄환충격완화부의 내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어서 제1탄환충격완화부와 함께 격자모양을 이루고, 제1탄환충격완화부의 제1경사면에 충돌되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튕겨진 탄환의 진행 경로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상하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한쌍의 제2경사면들이 길게 형성된 제2탄환충격완화부; 일단이 케이스의 모서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타격판의 모서리부에 고정되어서 타격판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샤프트;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타격판에 지지되어서 타격판의 처짐을 방지하며, 타격판측 타단에는 총탄이 타단에 타격될 시 그 진행방향이 빗나가도록 반구형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피탄장치들을 실내에 파티션(partition) 형태로 배열하여서 사격 훈련자가 구획된 공간을 따라 민첩하게 움직이면서 배열된 피탄장치들의 타격판을 사격하여 훈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격 훈련의 흥미를 배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전처럼 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탄장치는,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수평판들 위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수직판들이 결합되어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간들이 형성되고, 제1수직판들 위에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수평판들이 결합되어서 다른 격자형 공간들이 형성되며, 제2수평판들 위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직판들이 결합되어서 또 다른 격자형 공간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여러 층의 격자형 공간들의 양측 및 상하측에는, 양측공간 및 상하측공간이 형성되어서 여러 층의 격자형 공간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탄환이 타격판에 사격되면 타격판을 뚫고 탄환충격완화부의 충격흡수판 또는 수직판, 수평판의 파편비산방지부재에 충돌되어 이들을 손상시키므로 탄환 및 파편의 추진력이 1차로 감쇄된다. 타격판 및 탄환충격완화부를 통과한 추진력이 감쇄된 탄환 및 파편들은, 파편엉킴부에 충돌되거나 케이스의 배면판에 충돌된 후 격자형 공간들 중 양측공간 또는 상하측공간에 끼이게 된다. 그러므로 타격판 및 탄환충격완화부를 통과한 탄환 및 파편들이 파편엉킴부의 양측공간 및 상하측공간에 끼이면서 주변으로 튀는 것이 방지되므로 탄환 및 파편을 확실하게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탄장치는, 발사된 총탄이 타격판을 관통하면서 그 충격이 1차로 상쇄되고, 제1탄환충격완화부의 제1경사면에 충돌되어 그 진행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바뀌면서 총탄의 충격이 2차로 상쇄되며, 제2탄환충격완화부의 제2경사면에 충돌되어 그 진행방향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바뀌면서 총탄의 충격이 3차로 상쇄된 후 케이스의 배면판에 충돌된다. 따라서 총탄이 타격판, 제1탄환충격완화부, 제2탄환충격완화부에 충돌된 후 배면판에 충돌되므로 배면판을 보호하며 배면판이 총탄에 의해 관통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발사된 총탄은 제1탄환충격완화부의 제1경사면에 충돌되거나 제2탄환충격완화부의 제2경사면에 충돌되거나 샤프트가이드의 만곡면에 충돌될 시, 탄환이 이 부품들에 정면으로 충돌되지 않고 빗맞게 되므로 총탄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파편엉킴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측면도 및 부분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피탄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측단면도, 정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파편엉킴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측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피탄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는, 케이스(10), 타격판(20), 탄환충격완화부(30), 파편엉킴부(40), 결합부(50), 백업플레이트(6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둘레 및 배면이 차단되어 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탄환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케이스(10)는, 둘레에 다수의 관통구멍(12)들이 형성된 배면판(11)과, 배면판(11) 양측의 측면판(13)들과, 배면판(11) 상하측의 상부판(14) 및 하부판(15)으로 이루어진다. 측면판(13)들, 상부판(14), 하부판(15)은 배면판(11)의 둘레에 배치된 후 용접되어서 고정되며, 이러한 케이스(10)는 총탄이 관통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10mm 두께의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타격판(20)은, 고무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격판(20)은 케이스(10)의 전방에 설치되고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며 탄환이 케이스(10)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한다.
타격판(20)의 둘레에는 관통구멍(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멍(21)들에는 후술할 제2고정볼트(58)들이 결합되어서 타격판(20)을 고정샤프트(51)의 단부에 고정시킨다.
탄환충격완화부(30)는, 타격판(20)을 통과한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감쇄시키고 탄환 및 파편의 튐을 방지한다.
이러한 탄환충격완화부(30)는, 충격흡수판(31)과 파편비산방지부재(33)로 이루어진다. 충격흡수판(31)은, 둘레에 다수의 관통구멍(32)들이 형성되어 있고, 탄환이 관통 가능한 2mm의 철판으로 이루어지며, 타격판(20)의 배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충격흡수판(31)은 타격판(20)을 통과한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2차로 흡수한다.
파편비산방지부재(33)는, 충격흡수판(31)의 전방 공간이 다수의 칸들로 구획되도록 수직판(34)들 및 수평판(35)들이 충격흡수판(31)의 전방에 격자형태로 형성되어서 구비된다. 이러한 격자형태의 수직판(34)들 및 수평판(35)들은 타격판(20)의 배면에 밀착되어서 구획된 칸들이 밀폐된 다수의 공간들을 이룬다.
파편엉킴부(40)는, 탄환충격완화부(30)를 통과한 탄환 및 파편이 충돌되면서 그 충격을 2차로 흡수하고 충돌된 파편들이 끼이도록 하여서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파편엉킴부(40)는, 제1수평판(41)들, 제1수직판(42)들, 제2수평판(43)들, 제2수직판(44)들로 이루어진다.
제1수평판(41)들은, 탄환충격완화부(30)와 케이스(10)의 수납공간 사이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된다.
제1수직판(42)들은, 제1수평판(41)들의 전방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1수평판(41)들에 결합되되, 제1수직판(42)들의 후방부 일부가 제1수평판(41)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과 후방 양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제1수평판(41)들 및 제1수직판(42)들에 의해 형성된 격자 형태의 공간들 후방 양측에는 양측공간(45)이 형성되어 있다.
제2수평판(43)들은, 제1수직판(42)들의 전방에 수직방향을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1수직판(42)들에 결합되되, 제2수평판(43)들의 후방부 일부가 제1수직판(42)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 후방측과 후방 상하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제1수직판(42)들 및 제2수평판(43)들에 의해 형성된 격자 형태의 공간들 후방 상하측에는 상하측공간(46)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수직판(44)들은, 제2수평판(43)들의 전방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2수평판(43)들에 결합되되, 제2수직판(44)들의 후방부 일부가 제2수평판(43)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 후방측과 후방 양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제2수평판(43)들 및 제2수직판(44)들에 의해 형성된 격자 형태의 공간들 후방 양측에는 양측공간(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편엉킴부(40)는, 타격판(20) 및 탄환충격완화부(30)를 통과한 총탄 및 파편들이 파편엉킴부(40)에 충돌되거나 케이스(10)의 배면판(11)에 충돌된 후 파편엉킴부(40)의 양측공간(45) 또는 상하측공간(46) 사이에 끼이도록 구비된다.
케이스(10), 탄환충격완화부(30), 타격판(20)에는, 파편엉킴부(40), 탄환충격완화부(30)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키고 타격판(20)을 탄환충격완화부(30)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부(50)가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부(50)는, 고정샤프트(51), 제1고정볼트(56), 고정너트(57), 제2고정볼트(58)로 이루어진다.
고정샤프트(51)는, 양단에 제1암나사부(52) 및 제2암나사부(5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일단 둘레에 수나사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나사부(54)의 일측 둘레에 단턱(55)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샤프트(51)의 수나사부(54)는 충격흡수판(31)의 관통구멍(32)을 관통한 후 그 단부가 타격판(20)의 배면에 밀착되며, 고정샤프트(51)의 단턱(55)에는 충격흡수판(31)의 배면이 지지된다.
제1고정볼트(56)는, 케이스(10) 및 고정샤프트(51)의 제1암나사부(52)에 체결되어서 고정샤프트(51)의 일단을 케이스(10)에 고정한다.
고정너트(57)는, 고정샤프트(51)의 수나사부(54)에 체결되어서 탄환충격완화부(30)의 충격흡수판(31)을 고정샤프트(51)의 단턱(55)에 지지시킨다.
제2고정볼트(58)는, 타격판(20)의 관통구멍(21)을 관통한 후 고정샤프트(51)의 제2암나사부(53)에 체결되어서 타격판(20)을 고정샤프트(51)의 타단에 고정한다.
백업플레이트(60)는, 케이스(10)의 배면 하부에 고정되며, 탄환의 충격시 피탄장치가 후방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백업플레이트(60)는, 바닥에 지지되는 하판(61)과, 하판(61)의 일측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판(6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배면판(11)의 둘레에 측면판(13)들, 상부판(14), 하부판(15)을 용접하여서 전방이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10)를 제조하며, 케이스(10)의 배면 하부에 백업플레이트(60)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케이스(10)가 제조되면 탄환충격완화부(30)를 제조한다. 수직판(34)과 수평판(35)을 격자형태로 끼우고 충격흡수판(31) 위에 올려 놓은 후 용접하여서 고정한다. 수직판(34)과 수평판(35)을 서로 끼우기 위해서, 이들의 일측에는 끼움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끼움홈들을 이용하여서 다수의 판들을 격자형태로 하나씩 끼울 수 있다.
탄환충격완화부(30)가 준비되면 제1수평판(41)들, 제1수직판(42)들, 제2수평판(43)들, 제2수직판(44)들을 순차적으로 끼우고 이들을 용접하여서 파편엉킴부(40)를 제조한다.
이들을 서로 끼우기 위해서는 제1수평판(41)들, 제1수직판(42)들, 제2수평판(43)들, 제2수직판(44)들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끼움홈들을 이용하여서 제1수평판(41)들에 제1수직판(42)들을 끼우고 제1수직판(42)들에 제2수평판(43)들을 끼우며, 제2수평판(43)들에 제2수직판(44)들을 끼우므로 격자형으로 구획된 공간들이 여러 층을 이루도록 제조된다.
파편엉킴부(40)가 제조되면 배면판(11)의 관통구멍(12)에 고정샤프트(51)의 단부를 밀착시키고 제1고정볼트(56)를 고정샤프트(51)의 제1암나사부(52)에 체결시키므로 케이스(10)의 배면판(11)에 고정샤프트(51)들을 고정시킨다.
고정샤프트(51)가 고정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파편엉킴부(40)를 내장시키고 파편엉킴부(40)의 전방에 탄환충격완화부(30)를 내장시킨다. 이때 고정샤프트(51)의 수나사부(54)를 충격흡수판(31)의 관통구멍(32)에 끼워서 고정샤프트(51)의 단턱(55)에 충격흡수판(31)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한다.
탄환충격완화부(30)가 케이스(10)에 내장되면 고정샤프트(51)의 수나사부(54)에 고정너트(57)를 체결시켜서 탄환충격완화부(30)를 고정샤프트(51)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스(10)에 파편엉킴부(40), 탄환충격완화부(30)가 설치되면 케이스(10)의 전방에 타격판(20)을 밀착시키고 타격판(20)의 관통구멍(21)에 제2고정볼트(58)를 관통시킨 후 고정샤프트(51)의 제2암나사부(53)에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피탄장치들을 실내에 파티션(partition) 형태로 배열하여서 사격 훈련자가 구획된 공간을 따라 민첩하게 움직이면서 배열된 피탄장치들의 타격판(20)을 사격하여 훈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격 훈련의 흥미를 배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전처럼 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탄장치의 특징은 탄환충격완화부(30) 및 파편엉킴부(40)에 있다.
탄환충격완화부(30)는, 충격흡수판(31)에 의해 타격판(20)을 통과한 탄환의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하며, 탄환 및 파편이 격자형태의 파편비산방지부재(33)에 부딪히면서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비산력이 감쇄된다.
파편엉킴부(40)는,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수평판(41)들 위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수직판(42)들이 결합되어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간들이 형성되고, 제1수직판(42)들 위에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수평판(43)들이 결합되어서 다른 격자형 공간들이 형성되며, 제2수평판(43)들 위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직판(44)들이 결합되어서 또 다른 격자형 공간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여러 층의 격자형 공간들의 양측 및 상하측에는, 양측공간(45) 및 상하측공간(46)이 형성되어서 여러 층의 격자형 공간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탄환이 타격판(20)에 사격되면 타격판(20)을 뚫고 탄환충격완화부(30)의 충격흡수판(31) 또는 수직판(34), 수평판(35)의 파편비산방지부재(33)에 충돌되어 이들을 손상시키므로 탄환 및 파편의 추진력이 1차로 감쇄된다. 타격판(20) 및 탄환충격완화부(30)를 통과한 추진력이 감쇄된 탄환 및 파편들은, 파편엉킴부(40)에 충돌되거나 케이스(10)의 배면판(11)에 충돌된 후 격자형 공간들 중 양측공간(45) 또는 상하측공간(46)에 끼이게 된다.
그러므로 타격판(20) 및 탄환충격완화부(30)를 통과한 탄환 및 파편들이 파편엉킴부(40)의 양측공간(45) 및 상하측공간(46)에 끼이면서 주변으로 튀는 것이 방지되므로 탄환 및 파편을 확실하게 수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는, 사격훈련 후 제2고정볼트(58)를 풀고 파손된 타격판(20) 및 탄환충격완화부(30)를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하며, 새로운 탄환충격완화부(30) 및 타격판(20)을 케이스(10)에 조립하여서 재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로써, 이는, 배면판(11)의 둘레에 측면판(13)들, 상부판(14), 하부판(15), 백업플레이트(60)를 용접하여서 케이스(10)를 제조하며, 케이스(10)의 내부에 용접된 파편엉킴부(40), 탄환충격완화부(30)를 내장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전방에 타격판(20)을 밀착시킨 후 그 둘레에 실리콘 등의 마감재를 도포하여서 케이스(10)에 고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피탄장치는 결합부(50) 없이 용접되거나 접착재로 고정되는점에 그 특징이 있으며,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측단면도, 정단면도로써, 이는, 케이스(70), 타격판(80), 제1탄환충격완화부(90), 제2탄환충격완화부(100), 고정샤프트(110), 샤프트가이드(12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70)는, 둘레 및 배면이 차단되어 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탄환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스(70)는, 철판으로 이루어진 배면판(71)과, 배면판(71)의 양측에 용접되는 측면판(72)들과, 배면판(71)의 상하부에 각각 용접되는 상부판(73), 하부판(74)으로 이루어진다.
타격판(80)은, 고무재로 이루어지며, 우레탄이나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타격판(80)은, 케이스(70)의 전방에 설치되고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며 탄환이 케이스(70)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한다.
제1탄환충격완화부(90)는, 타격판(80)의 후방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고, 수평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타격판(80)을 통과한 탄환의 진행 경로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전면부에 한쌍의 제1경사면(91)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탄환충격완화부(100)는, 제1탄환충격완화부(90)의 후방에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어서 제1탄환충격완화부(90)와 함께 격자모양을 이루고, 수직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제1탄환충격완화부(90)의 제1경사면(91)에 충돌되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튕겨진 탄환의 진행 경로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전면부에 한쌍의 제2경사면(101)들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샤프트(110)는, 일단이 케이스(70)의 모서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타격판(80)의 모서리부에 고정되어서 타격판(80)이 케이스(70)에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샤프트(110)의 일단에는 제1고정볼트(111)가 체결되어서 고정샤프트(110)를 케이스(70)의 배면판(71)에 고정하고, 고정샤프트(110)의 타단에는 제2고정볼트(112)가 체결되어서 고정샤프트(110)의 타단에 타격판(80)을 고정한다.
샤프트가이드(120)는, 일단이 케이스(70)에 고정되고 타단이 타격판(80)에 지지되어서 타격판(80)의 처짐을 방지하며, 타격판(80)측 타단에는 총탄이 타단에 타격될 시 그 진행방향이 빗나가도록 반구형 만곡면(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발사된 총탄이 타격판(80)을 관통하면서 그 충격이 1차로 상쇄되고, 제1탄환충격완화부(90)의 제1경사면(91)에 충돌되어 그 진행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바뀌면서 총탄의 충격이 2차로 상쇄되며, 제2탄환충격완화부(100)의 제2경사면(101)에 충돌되어 그 진행방향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바뀌면서 총탄의 충격이 3차로 상쇄된 후 케이스(70)의 배면판(71)에 충돌된다.
따라서 총탄이 타격판(80), 제1탄환충격완화부(90), 제2탄환충격완화부(100)에 충돌된 후 배면판(71)에 충돌되므로 배면판(71)을 보호하며 배면판(71)이 총탄에 의해 관통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발사된 총탄은 제1탄환충격완화부(90)의 제1경사면(91)에 충돌되거나 제2탄환충격완화부(100)의 제2경사면(101)에 충돌되거나 샤프트가이드(120)의 만곡면(121)에 충돌될 시, 탄환이 이 부품들에 정면으로 충돌되지 않고 빗맞게 되므로 총탄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10,70 : 케이스 11,71 : 배면판
12,21,32 : 관통구멍 13,72 : 측면판
14,73 : 상부판 15,74 : 하부판
20,80 : 타격판 30 : 탄환충격완화부
31 : 충격흡수판 33 : 파편비산방지부재
34 : 수직판 35 : 수평판
40 : 파편엉킴부 41 : 제1수평판
42 : 제1수직판 43 : 제2수평판
44 : 제2수직판 45 : 양측공간
46 : 상하측공간 50 : 결합부
51,110 : 고정샤프트 52 : 제1암나사부
53 : 제2암나사부 54 : 수나사부
55 : 단턱 56,111 : 제1고정볼트
57 : 고정너트 58,112 : 제2고정볼트
60 : 백업플레이트 61 : 하판
62 : 측판 90 : 제1탄환충격완화부
91 : 제1경사면 100 : 제2탄환충격완화부
101 : 제2경사면 120 : 샤프트가이드
121 : 만곡면

Claims (7)

  1. 둘레 및 배면이 차단되어 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탄환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철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0);
    케이스(10)의 전방에 설치되고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며 탄환이 케이스(10)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고무재의 타격판(20);
    타격판(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타격판(20)을 통과한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2차로 흡수하는 철판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판(31)과, 충격흡수판(31)의 전방 공간이 다수의 칸들로 구획되도록 수직판(34)들 및 수평판(35)들이 충격흡수판(31)의 전방에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격자형태의 수직판(34)들 및 수평판(35)들이 타격판(20)의 배면에 밀착되어서 구획된 칸들이 밀폐된 다수의 공간들을 이루도록 하는 파편비산방지부재(33)로 이루어져서, 타격판(20)을 통과한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고 탄환 및 파편의 튐을 방지하는 탄환충격완화부(30);
    탄환충격완화부(30)와 케이스(10)의 수납공간 사이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는 제1수평판(41)들과, 제1수평판(41)들의 전방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1수평판(41)들에 결합되되, 후방부들의 일부가 제1수평판(41)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과 후방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제1수직판(42)들과, 제1수직판(42)들의 전방에 수직방향을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1수직판(42)들에 결합되되, 후방부들의 일부가 제1수직판(42)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 후방측과 후방 상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제2수평판(43)들과, 제2수평판(43)들의 전방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고, 격자형태의 공간들이 구획되도록 제2수평판(43)들에 결합되되, 후방부들의 일부가 제2수평판(43)들의 전방부들의 일부에만 맞물림되도록 구비되어서 구획된 공간들이 전방측, 후방측과 후방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된 제2수직판(44)들로 이루어지며, 타격판(20) 및 탄환충격완화부(30)를 통과한 총탄 및 파편들이 파편엉킴부(40)에 충돌되거나 케이스(10)에 충돌된 후 양측공간(45) 또는 상하측공간(46) 사이에 끼이도록 구비되는 파편엉킴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0), 탄환충격완화부(30), 타격판(20)에는,
    파편엉킴부(40), 탄환충격완화부(30)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키고 타격판(20)을 탄환충격완화부(30)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결합부(50)는,
    양단에 제1암나사부(52) 및 제2암나사부(5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일단 둘레에 수나사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나사부(54)의 일측 둘레에 단턱(5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샤프트(51)와,
    케이스(10) 및 고정샤프트(51)의 제1암나사부(52)에 체결되어서 고정샤프트(51)의 일단을 케이스(10)에 고정하는 제1고정볼트(56)와,
    탄환충격완화부(30) 및 고정샤프트(51)의 수나사부(54)에 체결되어서 탄환충격완화부(30)를 고정샤프트(51)의 단턱(55)에 지지시키는 고정너트(57)와,
    타격판(20) 및 고정샤프트(51)의 제2암나사부(53)에 체결되어서 타격판(20)을 고정샤프트(51)의 타단에 고정하는 제2고정볼트(5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0)의 배면 하부에는,
    탄환의 충격시 피탄장치가 후방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백업플레이트(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7. 둘레 및 배면이 차단되어 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탄환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철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스(70);
    케이스(70)의 전방에 설치되고 탄환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면서 그 충격을 1차로 흡수하며 탄환이 케이스(70)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고무재의 타격판(80);
    타격판(80)의 후방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고, 수평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타격판(80)을 통과한 탄환의 진행 경로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전면부에 한쌍의 제1경사면(91)들이 형성된 제1탄환충격완화부(90);
    제1탄환충격완화부(90)의 후방에 수직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어서 제1탄환충격완화부(90)와 함께 격자모양을 이루고, 수직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제1탄환충격완화부(90)의 제1경사면(91)에 충돌되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튕겨진 탄환의 진행 경로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전면부에 한쌍의 제2경사면(101)들이 형성된 제2탄환충격완화부(100);
    일단이 케이스(70)의 모서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타격판(80)의 모서리부에 고정되어서 타격판(80)이 케이스(7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샤프트(110);
    일단이 케이스(70)에 고정되고 타단이 타격판(80)에 지지되어서 타격판(80)의 처짐을 방지하며, 타격판(80)측 타단에는 총탄이 타단에 타격될 시 그 진행방향이 빗나가도록 반구형 만곡면(121)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가이드(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KR1020100004208A 2010-01-18 2010-01-18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KR10097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208A KR100975413B1 (ko) 2010-01-18 2010-01-18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208A KR100975413B1 (ko) 2010-01-18 2010-01-18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413B1 true KR100975413B1 (ko) 2010-08-11

Family

ID=4275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208A KR100975413B1 (ko) 2010-01-18 2010-01-18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41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24B1 (ko) * 2010-09-14 2011-05-09 주식회사한라환경 조립식 방탄진지
KR101544905B1 (ko) * 2013-10-30 2015-08-17 오인규 탄두 회수 장치
KR101607624B1 (ko) * 2014-04-02 2016-04-11 오인규 탄두 회수 장치
KR101769292B1 (ko) * 2016-07-12 2017-08-18 (주)지에프테크놀로지 피탄벽을 구비한 모의 훈련 장치
KR101853190B1 (ko) 2016-07-19 2018-04-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 및 방법
KR101945848B1 (ko) * 2017-03-31 2019-02-11 오인규 탄두 회수 장치
KR102022827B1 (ko) * 2019-03-30 2019-09-18 서형석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경사형 탄두수거장치
KR102022826B1 (ko) * 2019-03-30 2019-11-04 서형석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벽부형 탄두수거장치
CN114295004A (zh) * 2021-12-30 2022-04-08 湖北长平汽车装备有限公司 模块化快速拆装防护墙
KR20230144228A (ko) 2022-04-07 2023-10-16 김경환 교체 가능한 고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피탄을 방지하는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764A (en) 1989-01-18 1991-12-10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Defense, Rafael Armament Combined reactive and passive armor
US5405673A (en) 1993-03-30 1995-04-11 Seibert; George M. Shooting range backstop
JPH10111099A (ja) 1996-10-04 1998-04-28 Nippon Mektron Ltd 標 的
JP2001215098A (ja) 2000-02-02 2001-08-10 Babcock Hitachi Kk 防弾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764A (en) 1989-01-18 1991-12-10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Defense, Rafael Armament Combined reactive and passive armor
US5405673A (en) 1993-03-30 1995-04-11 Seibert; George M. Shooting range backstop
JPH10111099A (ja) 1996-10-04 1998-04-28 Nippon Mektron Ltd 標 的
JP2001215098A (ja) 2000-02-02 2001-08-10 Babcock Hitachi Kk 防弾壁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24B1 (ko) * 2010-09-14 2011-05-09 주식회사한라환경 조립식 방탄진지
KR101544905B1 (ko) * 2013-10-30 2015-08-17 오인규 탄두 회수 장치
KR101607624B1 (ko) * 2014-04-02 2016-04-11 오인규 탄두 회수 장치
KR101769292B1 (ko) * 2016-07-12 2017-08-18 (주)지에프테크놀로지 피탄벽을 구비한 모의 훈련 장치
KR101853190B1 (ko) 2016-07-19 2018-04-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 및 방법
KR101945848B1 (ko) * 2017-03-31 2019-02-11 오인규 탄두 회수 장치
KR102022827B1 (ko) * 2019-03-30 2019-09-18 서형석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경사형 탄두수거장치
KR102022826B1 (ko) * 2019-03-30 2019-11-04 서형석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벽부형 탄두수거장치
CN114295004A (zh) * 2021-12-30 2022-04-08 湖北长平汽车装备有限公司 模块化快速拆装防护墙
KR20230144228A (ko) 2022-04-07 2023-10-16 김경환 교체 가능한 고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피탄을 방지하는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413B1 (ko) 사격훈련 및 탄환수거용 피탄장치
KR101262298B1 (ko)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KR101087283B1 (ko) 탄두 회수 장치
KR101301060B1 (ko) 고무블럭을 이용한 총알의 튕김을 방지하는 방탄용 패널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방탄장치
KR100927222B1 (ko) 탄두회수장치
US9891029B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warheads
US9097494B2 (en) Blast/impact mitigation shield
KR101979022B1 (ko) 사격장 개인 화기용 방탄 방호벽
KR101760319B1 (ko) 탄두의 자동적인 분리 회수를 가능하게 하는 실내 및 실외 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
KR100984166B1 (ko) 방탄장치
KR100769320B1 (ko) 사격장 탄두회수장치
KR102022827B1 (ko)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경사형 탄두수거장치
KR20180106483A (ko) 총탄 탄두 포집 및 회수장치
JP3007541B2 (ja) 停弾装置
KR101505983B1 (ko) 전투사격 훈련장용 탄두 회수 장치
JP4001595B2 (ja) バックストップ
KR20150065496A (ko) 탄두 회수 장치
US10473440B1 (en) System for personalized berm
KR100744537B1 (ko) 사격장용 타켓의 탄환 수거 장치
KR102022826B1 (ko)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벽부형 탄두수거장치
KR20180122100A (ko) 사격용 탄두회수장치
JPH08334297A (ja) 防弾装置と射撃訓練場
KR20170110930A (ko) 탄두 회수 장치
RU25326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панели для защиты дорож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от пуль и осколков
RU25344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ротивотанковых кумулятивных гран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