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504B1 - 슬링벨트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슬링벨트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504B1
KR101438504B1 KR1020130094209A KR20130094209A KR101438504B1 KR 101438504 B1 KR101438504 B1 KR 101438504B1 KR 1020130094209 A KR1020130094209 A KR 1020130094209A KR 20130094209 A KR20130094209 A KR 20130094209A KR 101438504 B1 KR101438504 B1 KR 10143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ling
protruding rod
pedestal
h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주)승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진기계 filed Critical (주)승진기계
Priority to KR102013009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06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for one specific hand apparatus, e.g. an electric dr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2Sling or load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가 길고 무거운 슬링벨트를 용이하게 보관하고, 슬링벨트가 필요할 때에는 필요한 슬링벨트만을 신속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슬링벨트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고,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중앙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벨트 걸이대로 구성되되, 받침대와 지주는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어 지주가 받침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로 실현 가능하면, 다양한 길이의 슬링벨트가 각각의 벨트 걸이대에 보관되므로 인해 서로 섞이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링벨트 보관장치{STORAGE DEVICE FOR SLINGBEL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각종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등의 업무에 사용되는 줄인 슬링벨트를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길고 무거운 슬링벨트를 용이하게 보관하고, 슬링벨트가 필요할 때에는 필요한 슬링벨트만을 신속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슬링벨트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링벨트는 산업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종의 견인줄과 같은 것으로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때 주로 사용되고, 기타의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특히, 대형 금속물체를 많이 다루는 철강공장 등에서는 다양한 종류와 치수의 슬링벨트를 구비한 뒤 용도에 맞게 사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견인할 대상물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수 개 이상의 슬링벨트를 구비시켜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슬링벨트는 지지대와 가로봉으로 형성된 행거와 같은 형상의 보관장치에 걸어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하나의 보관장치에는 십여 개 이상의 슬링벨트가 보관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슬링벨트를 보관장치에 걸어 놓은 상태로 보관하고, 필요한 것은 선택적으로 보관장치에서 분리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행거 형상의 보관장치에 불규칙하게 걸려져 쌓여있는 슬링벨트 중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것은 슬링벨트 더미를 뒤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불어, 하나의 보관장치에 많은 슬링벨트가 걸려진 경우, 작업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한 개의 슬링벨트를 잡아당긴 것인데도 주변의 다른 슬링벨트도 함께 딸려오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슬링벨트의 구조적인 특징 때문으로, 슬링벨트들은 서로 면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되지 못하고 함께 잡아 당겨져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처럼, 슬링벨트는 산업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건이지만, 보관과 관리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슬링벨트를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사용 시 필요한 것만 보관장치에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슬링벨트를 사용하면서 종래에 겪었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길이의 슬링벨트를 서로 섞이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필요한 슬링벨트를 보관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보관중인 슬링벨트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슬링벨트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슬링벨트 보관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중앙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벨트 걸이대로 구성되되, 받침대와 지주는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어 지주가 받침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벨트 걸이대는 지주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1단 내지 3단으로 분리되게 설치되고, 각 단의 벨트 걸이대는 지주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각 단의 벨트 걸이대는 지주와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어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벨트 걸이대는 지주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봉과 돌출봉의 외주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걸이관으로 구성되고, 걸이관과 돌출봉은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고, 걸이관은 베어링에 의해 돌출봉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슬링벨트 보관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돌출봉과 걸이관 사이에는 돌출봉을 중심으로 걸이관이 회전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돌출봉의 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걸이관의 단부 내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스토퍼는 돌출봉의 수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와, 걸이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체결면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의 슬링벨트가 각각의 벨트 걸이대에 보관되므로 인해 서로 섞이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트 걸이대가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편, 벨트 걸이대 자체로 회전되어, 필요한 슬링벨트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링벨트가 직접 걸리는 벨트 걸이대가 회전되는 것을 허용 및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슬링벨트를 보관할 때 슬링벨트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링벨트 보관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링벨트 보관장치의 지주와 벨트 걸이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슬링벨트 보관장치의 요부를 상세히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링벨트 보관장치의 스토퍼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링벨트 보관장치(10: 이하, 보관장치라 함)는 받침대(100), 지주(200) 및 벨트 걸이대(300)로 구성된다.
먼저, 받침대(100)는 지면의 사방으로 펼쳐진 것으로서, 중량물인 슬링벨트(1)의 무게를 지탱하여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받침대(100)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200)는 지면과 수직이 되게 받침대(100)의 중앙에 설치된다. 이때, 지주(200)는 받침대(100)와 견고하게 결합되게 형성될 수도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100)의 중앙에는 베어링(110)이 구비되고, 받침대(100) 중앙의 베어링(110)에 지주(200)가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벨트 걸이대(300)는 지주(20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주(200)가 받침대(100)의 상부에서 회전되게 형성된 것은 지주(200)의 상부 사방에 걸려 있는 슬링벨트(1)를 용이하게 찾기 위해 지주(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벨트 걸이대(300)는 지주(200)의 측면에 형성되되, 1단 내지 3단 정도가 서로 분리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단의 벨트 걸이대(300)는 지주(200)와 베어링(210)에 의해 결합되어 지주(20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벨트 걸이대(300)를 1단 내지 3단으로 분리되게 형성시키고 각 단의 벨트 걸이대(300)가 지주(200)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 것은, 충분한 수의 슬링벨트(1)를 최소한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도, 걸려있는 슬링벨트(1)들은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각 단의 벨트 걸이대(300)에 슬링벨트(1)를 걸어 보관하는 한편, 사용하고자 하는 슬링벨트(1)를 찾을 때에는 벨트 걸이대(300)의 각 단을 좌우로 돌리면서 필요한 것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벨트 걸이대(300)는 지주(20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봉(310)과 돌출봉(310)의 외주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걸이관(320)으로 구성될 수 있고, 걸이관(320)과 돌출봉(310)은 돌출봉(3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베어링(330)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걸이관(320)은 베어링(330)에 의해 돌출봉(31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벨트 걸이대(300)를 돌출봉(310)과 걸이관(320)으로 형성시키고 걸이관(320)이 회전되도록 한 것은, 무거운 슬링벨트(1)를 용이하게 걸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무거운 슬링벨트(1)를 벨트 걸이대(300)에 올려놓는 경우 걸이관(320)이 회전되어 슬링벨트(1)의 일측 단부만을 걸쳐 놓은 뒤, 걸쳐진 부분을 잡아당기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걸이관(320)의 상부로 슬링벨트(1)가 올려지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슬링벨트(1)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슬링벨트(1)의 일부만을 잡고 잡아당기면, 돌출봉(310)을 중심으로 걸이관(320)이 회전되어 슬링벨트(1)가 큰 저항 없이 걸이관(320)과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돌출봉(310)과 걸이관(320)이 분리되고 걸이관(320)이 돌출봉(310)으로부터 회전되게 형성되면, 경우에 따라 걸이관(320)이 의도치 않게 회전되어 벨트 걸이대(300)에 보관되어 있던 슬링벨트(1)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돌출봉(310)과 걸이관(320) 사이에는 스토퍼(340)가 형성될 수 있고, 스토퍼(340)는 돌출봉(310)을 중심으로 걸이관(320)이 회전되거나 정지되게 조작하여 의도치 않게 걸이관(3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슬링벨트(1)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스토퍼(340)는 돌출봉(310)에 결합되어 걸이관(320)과 밀착되므로 인해, 걸이관(320)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게 하여 걸이관(3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돌출봉(310)의 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311)가 형성되고 걸이관(320)의 단부 내주면에는 경사면(321)이 형성된다.
또한, 스토퍼(340)는 돌출봉(310)의 수나사(311)에 결합되는 암나사(343)가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341)와, 걸이관(320)의 경사면(321)과 대응되는 체결면(347)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구(345)로 형성된다.
즉, 스토퍼(340)는 체결구(341)를 돌출봉(310)의 단부에 체결시키고 계속 회전시키면, 돌출봉(310)의 수나사(311)와 체결구(341)의 암나사(343)가 결합되면서 스토퍼(340)는 점차 돌출봉(310) 측으로 이동된다. 스토퍼(340)가 이동되면 고정구(345)의 체결면(347)과 걸이관(320)의 경사면(321)은 점점 밀착되고, 체결면(347)과 경사면(321)은 밀착되어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340)를 돌출봉(310)에 어느 정도 체결시키는가에 따라 걸이관(320)의 회전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작업자는 스토퍼(340)의 조작으로 걸이관(320)이 회전되게 할 수되 있고, 반대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작업자는 슬링벨트(1)를 벨트 걸이대(300)에 걸어 놓은 경우에는 스토퍼(340)를 조작하여 걸이관(32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슬링벨트(1)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시 슬링벨트(1)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340)를 조작하여 걸이관(3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슬링벨트(1)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한다.
1: 슬링벨트 10: 슬링벨트 보관장치
100: 받침대 110: 베어링
200: 지주 210: 베어링
300: 벨트 걸이대 310: 돌출봉
311: 수나사 320: 걸이관
32: 경사면 330: 베어링
340: 스토퍼 341: 체결구
343: 암나사 345: 고정구
347: 체결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산업현장에서 견인줄로 사용되는 슬링벨트를 보관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중앙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벨트 걸이대이며, 받침대(100)와 지주(200)는 베어링(110)에 의해 결합되어 지주(200)가 받침대(100)를 기준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되,
    벨트 걸이대(300)는 지주(20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봉(310)과 돌출봉(310)의 외주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걸이관(320)으로 구성되고,
    걸이관(320)과 돌출봉(310)은 베어링(330)에 의해 결합되고, 걸이관(320)은 베어링(330)에 의해 돌출봉(31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슬링벨트 보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돌출봉(310)과 걸이관(320) 사이에는 돌출봉(310)을 중심으로 걸이관(320)이 회전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는 스토퍼(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돌출봉(310)의 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311)가 형성되고, 걸이관(320)의 단부 내주면에는 경사면(321)이 형성되며,
    스토퍼(340)는 돌출봉(310)의 수나사(311)에 결합되는 암나사(343)가 중앙에 형성된 체결구(341)와, 걸이관(320)의 경사면(321)과 대응되는 체결면(347)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구(34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벨트 보관장치.
KR1020130094209A 2013-08-08 2013-08-08 슬링벨트 보관장치 KR10143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09A KR101438504B1 (ko) 2013-08-08 2013-08-08 슬링벨트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09A KR101438504B1 (ko) 2013-08-08 2013-08-08 슬링벨트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504B1 true KR101438504B1 (ko) 2014-09-12

Family

ID=5175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209A KR101438504B1 (ko) 2013-08-08 2013-08-08 슬링벨트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050B1 (ko) 2017-05-11 2018-02-06 창 남궁 회전테이블을 구비한 적층 조립식 공구 정리대
KR101829662B1 (ko) * 2017-03-17 2018-02-14 에스폼 주식회사 펜던트 타입 노 내 시스템비계의 분할식 로프 연결장치 및 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3582U (ko) * 1980-05-26 1981-12-22
JP2872194B2 (ja) * 1997-04-21 1999-03-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固定軸取付け型制動装置
KR200192355Y1 (ko) * 2000-03-23 2000-08-16 배종수 회전식 상품 진열대
KR200397769Y1 (ko) 2005-07-01 2005-10-07 김종연 작업용 다단 회전식 부품 적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3582U (ko) * 1980-05-26 1981-12-22
JP2872194B2 (ja) * 1997-04-21 1999-03-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固定軸取付け型制動装置
KR200192355Y1 (ko) * 2000-03-23 2000-08-16 배종수 회전식 상품 진열대
KR200397769Y1 (ko) 2005-07-01 2005-10-07 김종연 작업용 다단 회전식 부품 적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62B1 (ko) * 2017-03-17 2018-02-14 에스폼 주식회사 펜던트 타입 노 내 시스템비계의 분할식 로프 연결장치 및 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826050B1 (ko) 2017-05-11 2018-02-06 창 남궁 회전테이블을 구비한 적층 조립식 공구 정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9840A (en) Clothes hanger bridle for a garment trolley bar
KR101438504B1 (ko) 슬링벨트 보관장치
US9199830B2 (en) Hoi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797584B2 (en) Decorative lighting displaying system
WO2016197261A1 (zh) 双边钩的结构
KR20170029934A (ko) 파일 인양기구
US20140008361A1 (en) Collapsible hopper with cable engagement
US3578205A (en) Corner suspendable pail and hanger
US8613416B2 (en) Ceiling mountable hanging apparatus
US2962253A (en) Apparatus for storing clothing and other articles
JPH11278786A (ja) 吊り具
CN214398407U (zh) 一种货物运输用支撑装置
US2917193A (en) Utility hand truck
CN214789429U (zh) 一种地下管路铺设用管件支撑结构
US9302690B1 (en) Hand cart supplemental shelf device
KR101959163B1 (ko) 농기구 정리 걸이대
US20110247948A1 (en) Hanging, telescoping garment organizer
CN204134067U (zh) 下降器
CN219823363U (zh) 一种基于bim的装配式施工设备
CN212605255U (zh) 一种冷库用推车
JPS6019098Y2 (ja) 管類運搬具
EP3269658A8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goods
KR20140042234A (ko) 씨-후크 장치
CN205253956U (zh) 铝型材自动转运平台
US20170202352A1 (en) Storag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