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197B1 -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197B1
KR101438197B1 KR1020120065890A KR20120065890A KR101438197B1 KR 101438197 B1 KR101438197 B1 KR 101438197B1 KR 1020120065890 A KR1020120065890 A KR 1020120065890A KR 20120065890 A KR20120065890 A KR 20120065890A KR 101438197 B1 KR101438197 B1 KR 10143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ppm
water
silver solu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573A (ko
Inventor
홍성도
홍성주
Original Assignee
홍성도
홍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도, 홍성주 filed Critical 홍성도
Priority to KR102012006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1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00Compounds of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noble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전원부, 물을 저장하고 내부에 복수개의 은판을 포함하는 본체, 본체를 덮고 전원부로부터 은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지부를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은판 중에서 마주보는 은판 각각은 극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LLOIDAL SILVER}
본 발명은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로이드 실버(Colloidal Silver)라 불리는 은용액은 순도 99.9% 이상의 은(Ag+)을 순수한 무광물 증류수 속에서 인체가 가장 흡수하기 좋은 직경 0.005∼0.015 미크론의 소립자로 전기분해하여 물에 녹인 콜로이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은용액은 쉽게 인체 속으로 침투하여 박테리아나 균류, 바이러스 등이 산소대사를 할 때 필요한 효소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촉매의 역할을 하여 빠른 시간 내에 병원체 등을 죽이게 되어 감기, 결막염, 임질, 나병, 임파선염, 류머티즘, 사마귀, 여드름 등에 이르기까지 각종 세균, 바이러스균, 곰팡이균이 원인이 되는 모든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 은용액이 식용뿐만 아니라 농산물, 축산물 등에 발생하는 세균, 질병, 바이러스, 냄새 등을 제거하는 효과와 농산물의 성장촉진에 더욱 효과가 있어서, 대량으로 은용액을 생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데 종래의 은용액 생산장치는 은용액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짧은 시간에 농도가 일정한 고농도의 은용액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전원부, 물을 저장하고 내부에 복수개의 은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은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지부를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은판 중에서 마주보는 은판 각각은 극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전원부, 물을 저장하고 내부에 복수개의 은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은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지부를 구비하는 덮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극성을 전환하는 전환스위치, PPM을 측정하는 PPM센서, 상기 PPM센서가 측정한 PPM이 기설정된 PPM이면, 상기 전원부의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방법은 입수밸브를 열고, 입수펌프를 작동시켜 물을 본체에 공급하는 단계, 은판에 전원을 인가하여 은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PPM센서로 상기 은용액이 기설정된 PPM이 측정되면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극성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짧은 시간에 정확한 고농도, 대용량의 은용액을 일정하고 안정되게 생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은판에 형성되는 산화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은판을 교체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은판의 크기, 두께, 개수, 은판 사이의 간격 등을 조절하여 원하는 은용액의 농도, 생성시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한 부호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물은 수도물, 지하수, 정제수, 증류수, 심층수 등 다양한 물이 가능하고, 물의 종류에 따라서 은용액 생성속도 등에 차이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전원부(120), 본체(100), 덮개(110)를 포함한다.
전원부(120)는 은용액 생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덮개(110)의 접지부(111, 112, 113, 114, 115, 116)와 연결되어 은판(131, 132, 133, 134, 135, 136)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은 경우, 제1접지부(111), 제3접지부(113), 제5접지부(115)를 통해서는 (+)전원을 공급하고, 제2접지부(112), 제4접지부(114), 제6접지부(116)를 통해서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그 반대로 제1접지부(111), 제3접지부(113), 제5접지부(115)를 통해서는 (-)전원을 공급하고, 제2접지부(112), 제4접지부(114), 제6접지부(116)를 통해서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20)는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시간에 은용액을 생성하기 위해서 높은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본체(100)는 입수구(101)를 통해서 입수되는 물과 물이 은용액이 되었을 때에 은용액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생성된 은용액은 출수구(10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입수구(101)는 본체(100)의 좌측하단에 구비되고, 출수구(102)는 본체(100)의 우측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복수개의 은판(131, 132, 133, 134, 135, 13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100)를 제1공간(10), 제2공간(20), 제3공간(30)으로 나누고 각 공간에 서로 마주보게 은판을 배치한 예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공간(10)에서 제1은판(131)은 제2은판(132)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2공간(20)에서 제3은판(133)은 제4은판(134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3공간(30)에서 제5은판(135)은 제6은판(136)과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보여준다.
본체(100)는 그 설계에 따라서 그 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할 수 있고, 각 공간에는 복수개의 은판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마주보는 은판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상이하다.
이는 은용액을 생산하는 시간과 은용액의 양, 은용액의 농도 등에 따라서 본체(100) 내부의 각 공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고,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은판의 크기, 두께 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110)는 본체(100)를 덮는 부분이다. 덮개(110)는 상부에 복수개의 접지부(111, 112, 113, 114, 115, 116)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접지부(111) 내지 제6접지부(6) 등 6개의 접지부가 배치된다. 접지부는 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받아 본체(100) 내부의 은판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배수밸브(141, 142), PPM센서(150), 입수밸브(171), 입수펌프(181), 출수밸브(172), 출수펌프(182)를 더 포함한다.
배수밸브(141, 142)는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 또는 은용액을 배출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PPM센서(150)는 PPM(Parts Per Million, 이하 ‘PPM’라 한다.)을 측정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3공간(30)에 위치하는데, 설계에 따라서 제1공간(10) 또는 제2공간(20)에 설치 가능하고, 제1공간(10), 제2공간(20), 제3공간(30) 모두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PPM센서(150)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농도의 은용액이 생성되면, 생성된 은용액을 출수구(10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입수밸브(171)는 본체(100)의 입수구(101)와 연결되어 물이 본체(100)로 입수되는 것을 조절하는 부분으로, 설계에 따라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능하다.
입수펌프(181)는 입수밸브(171) 외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물을 입수구(101)를 통해 본체(100)로 잘 들어갈 수 있도록 해준다.
출수밸브(172)는 본체(100)의 출수구(102) 외부에 구비되어, 본체(100)에서 생성된 은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조절하는 부분으로, 설계에 따라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능하다.
출수펌프(182)는 출수밸브(172) 외부에 구비되어, 본체(100)에서 생성된 은용액을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덮개(110)와 본체(100) 사이에 누수방지용 실리콘(161, 16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수방지용 실리콘(161, 162)은 덮개(110)에 구비되거나.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외부에서 들어온 물이 은용액으로 변하면서 흘러가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제1실시예의 은용액 생성장치에 더해서 제어부(200), 전환스위치(21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200)를 PPM센서(150)가 측정한 PPM이 기설정된 PPM이면, 전원부(12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PPM센서(150)가 측정한 PPM이 기설정된 PPM이 ‘10’인 경우 전원부(12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기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00)는 PPM센서(150)가 측정한 PPM이 ‘10’이 되면 전원부(12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어 은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전환스위치(210)는 전원부(120)의 극성을 전환하는 부분이다. 이때, 전환스위치(210)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에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원부(120)의 극성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가 1시간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전환스위치(210)는 1시간 간격으로 전원부(120)의 극성을 전환하여 은판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환스위치(210)를 통해서 전원의 극성을 전환함으로써, 은판에 형성되는 산화물질을 최소화하고, 은판의 교체주기도 길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제2실시예의 은용액 생성장치에 더해서 입수펌프(181)와 자동입수밸브(271) 사이에 히터부(240), 입수필터(221)와 유량계(230)를 더 포함하고, 자동출수밸브(272)와 출수펌프(182) 사이에 출수필터(22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2실시예의 은용액 생성장치와 달리 입수밸브(171)와 출수밸브(172)를 자동입수밸브(271), 자동출수밸브(272)로 하고, 제어부(300)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히터부(240)는 들어오는 물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한다. 즉, 입수펌프(181)로 통해 들어오는 물은 여러 종류가 가능한데, 들어오는 물의 종류에 따라서 물의 온도가 다르므로, 물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하여 최적의 온도에서 원하는 은용액을 짧은 시간 내에 얻을 수 있다.
입수필터(221)는 입수되는 물을 일차적으로 필터링해서 이물질이 적은 물이 본체(100)에 공급되도록 하는데, 물의 종류에 따라서 입수필터(221)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유량계(230)는 입수되는 물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출수필터(222)는 본체(100)에서 생성되어 출수되는 은용액을 필터링해서 은용액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PPM센서(150)가 측정한 PPM이 기설정된 PPM이면, 전원부(120)의 전원 차단하고, 자동출수밸브(272)를 열고, 출수펌프(182)를 작동시켜 생성된 은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후, 본체(100)의 은용액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면, 제어부(300)는 자동입수밸브(271)를 열고, 입수펌프(181)를 작동시켜 외부의 물이 본체(100)로 들어가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은용액 생성장치는 입수펌프와 입수필터 사이에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체에 레벨센서를 구비하여 본체에 들어온 물이 일정량이 되면 더 이상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제어부(300)가 레벨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용액 생성방법은 제어부(300)가 자동입수밸브(271)를 열고, 입수펌프(181)를 작동시켜 물을 본체(100)에 공급한다(S410).
제어부(300)는 전원부(120)가 은판에 전원을 인가하고, 본체(100) 내부에서 은용액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S420).
PPM센서(150)에서 은용액이 기설정된 PPM으로 PPM이 측정되면, 제어부(300)는 전원부(120)의 전원을 차단한다(S430).
제어부(300)는 자동출수밸브(272)를 열고, 출수펌프(182)를 작동시켜 생성된 은용액을 외부로 배출한다(S440). 여기서, 전환스위치(21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원의 극성을 전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짧은 시간에 정확한 고농도, 대용량의 은용액을 일정하고 안정되게 생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제1공간
20: 제2공간
30: 제3공간
100: 본체
101: 입수구
102: 출수구
110: 덮개
111, 112, 113, 114, 115, 115: 접지부
120: 전원부
131, 132, 133, 134, 135, 136: 은판
141: 142: 배수밸브
150: PPM센서
161, 162: 누수방지용 실리콘
171: 입수밸브
172: 출수밸브
181: 입수펌프
182: 출수펌프
200, 300: 제어부
210: 전환스위치
221: 입수필터
222: 출수필터
230: 유량계
240: 히터부
271: 자동입수밸브
272: 자동출수밸브

Claims (10)

  1. 전원부,
    물을 저장하고 내부에 복수개의 은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은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지부를 구비하는 덮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극성을 전환하며 타이머를 포함하는 전환스위치,
    PPM을 측정하는 PPM센서,
    출수펌프,
    출수자동밸브,
    상기 PPM센서가 측정한 PPM이 기설정된 PPM이면, 상기 전원부의 전원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기 타이머에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원부의 극성을 전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PPM센서가 측정한 PPM이 기설정된 PPM이면, 상기 출수자동밸브를 열고, 상기 출수펌프를 작동시켜 생성된 은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은판 중에서 마주보는 은판 각각은 극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용액 생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물이 입수되는 입수구와 생성된 은용액을 출수하는 출수구를 포함하는 은용액 생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물 또는 은용액을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은용액 생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은용액 생성장치는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는 입수밸브와 상기 출수구와 연결되는 출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은용액 생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은용액 생성장치는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사이에 누수방지용 실리콘을 더 포함하는 은용액 생성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65890A 2012-06-20 2012-06-20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10143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890A KR101438197B1 (ko) 2012-06-20 2012-06-20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890A KR101438197B1 (ko) 2012-06-20 2012-06-20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573A KR20130142573A (ko) 2013-12-30
KR101438197B1 true KR101438197B1 (ko) 2014-09-05

Family

ID=4998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890A KR101438197B1 (ko) 2012-06-20 2012-06-20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1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54Y1 (ko) * 2003-01-20 2003-04-21 함태흥 은물 제조 장치
KR20030034578A (ko) * 2001-10-26 2003-05-09 실버레이 주식회사 은용액 제조장치
KR20090103426A (ko) * 2008-03-28 2009-10-01 최문식 자동 금-은나노 이온수 제조장치
KR20100034344A (ko) * 2008-09-23 2010-04-01 조은기 은 이온 살균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578A (ko) * 2001-10-26 2003-05-09 실버레이 주식회사 은용액 제조장치
KR200311254Y1 (ko) * 2003-01-20 2003-04-21 함태흥 은물 제조 장치
KR20090103426A (ko) * 2008-03-28 2009-10-01 최문식 자동 금-은나노 이온수 제조장치
KR20100034344A (ko) * 2008-09-23 2010-04-01 조은기 은 이온 살균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573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9098A (zh) 滤水壶
US20070241037A1 (en) Water purifier
KR20090102359A (ko) 공기 살균 정화기
KR101438197B1 (ko) 은용액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100827384B1 (ko) 전해 살균장치
TWI792299B (zh) 可選擇性地調整氣體流向的氫氣產生器
CN108285232A (zh) 一种具有杀菌过滤功能的安保过滤器
KR20090096268A (ko) 전해조를 구비한 정수기
CN203021398U (zh) 仿生态净水器
JP6223112B2 (ja) 空気清浄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7014888A (ja) 消毒装置
CN212833250U (zh) 新型农村饮用水净化装置
CN207108558U (zh) 一种净水器用新型uv杀菌装置
CN210373851U (zh) 一种空气杀菌净化器
KR20100129990A (ko) 식물재배 가능한 정수기
KR20120012710A (ko)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KR100705298B1 (ko) 은용액 제조기능을 갖는 필터장치
KR20170001110U (ko) 알칼리수와 정수가 분리 출수되는 이온수기
KR101883215B1 (ko)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의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가습기
CN205442909U (zh) 一种节水式家用净水机
JP3037029U (ja) 逆浸透膜を用いた浄水器
CN215138023U (zh) 一种有效去除病毒残留的空气过滤装置
WO2019127435A1 (zh) 一种过滤装置
CN116103664A (zh) 具有自我消毒功能的氢气产生器
KR101454613B1 (ko) 살균 및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