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800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7800B1 KR101437800B1 KR1020137006947A KR20137006947A KR101437800B1 KR 101437800 B1 KR101437800 B1 KR 101437800B1 KR 1020137006947 A KR1020137006947 A KR 1020137006947A KR 20137006947 A KR20137006947 A KR 20137006947A KR 101437800 B1 KR101437800 B1 KR 1014378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elevator car
- hoistway
- elevator
- suspension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 및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기계대가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빔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빔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기계대 또는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부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작용하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장력은 제1 및 제2 사이드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In the elevator apparatus, a machine table for supporting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balance-weight-side rop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are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r as viewed from directly above and fixed to the top of the machine table or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nd the top of the car guide rail.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car-side rope holding members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Description
본 발명은 균형추가 엘리베이터칸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트랙션(traction)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계실 없는 타입에 유효한 하중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ion type elevator arrangement disposed behind the balance further elevator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ad supporting structure effective for a machine room free type.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2 : 1 로핑 방식의 트랙션 엘리베이터로서, 균형추가 엘리베이터칸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권상기가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제1 승강로 측벽에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제1 승강로 측벽에 대향하는 제2 승강로 측벽에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를 바로 위로부터 보아, 균형추가 제2 승강로 측벽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고, 균형추가 배치된 승강로 모서리부의 상부에 권상기가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A traction elevator of a 2: 1 roping system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which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lance-added elevator car, and in which the hoisting machine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is provided with a first elevator car guide rail And a second elevator car guide rail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hoistway opposite to the side wall of the first hoistway. Further, the hoistway is arranged close to the side wall of the second additional hoistway as viewed from directly above the hoistway, and a hoisting machine is disposed obliquely above the corner portion of the hoistway in which the balance is further arranged.
권상기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기계대(機械臺)상에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과,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제1 균형추 가이드레일은 승강로의 폭방향의 중간부에서 승강로 후벽(後壁)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은 제2 승강로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The hoisting machine is installed on a machine table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machine bed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balance weight guide rails and the second car guide rails. The first balance weight guide rail is provided on the rear wall of the hoistway in the middl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guide rail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hoistway.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는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 메인로프의 제1 단부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고정된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로프의 제2 단부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고정된 균형추 측 로프고정빔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은 제1 승강로 측벽의 근방에서 건물에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 측 로프고정빔은 제1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The elevator car and balance weight are suspended by the main rope. The first end of the main rope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side fixed rop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second end of the main rope is connected to the counterbalance side rope fixed beam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beam is fixed to the building in the vicinity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hoistway. The balance beam side rope fixing beam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balance weight guide rail.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는 승강로를 바로 위로부터 보아, 메인로프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가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s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s are arranged such that the main ropes obliquely traverse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as viewed from directly above the hoistway. At the top of the balance we have a balance spindle sheave.
메인로프는 제1 단부로부터 차례로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권상기의 쉬브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겨져, 제2 단부에 이른다. 즉,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으로부터 대략 바로 아래로 연장한 메인로프는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향(轉向)되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에서 대략 바로 위로 전향된다.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로부터 대략 바로 위로 연장한 메인로프는 권상기의 쉬브에서 대략 바로 아래로 전향되고,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서 다시 대략 바로 위로 전향되며, 균형추 측 로프고정빔에 이른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From the first end, the main rope is wound on the first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the second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the sheave of the traction sheave and the balance weight suspending sheave to reach the second end. That is, the main rope extending substantially directly downward from the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beam is horizontally inverted at the first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obliquely crosses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It is turned up almost immediately from the suspending sheaves. The main rope extending almost directly up from the second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is turned almost directly below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and turned back just above it again in the balancing suspension hinge sheave until reaching the counterbalance side rope fixing beam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승강로 내의 꼭대기부에 소형의 권상기가 설치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경우, 권상기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과 균형추와의 경계선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최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슈로부터 가이드레일으로의 작용하중을 작게 억제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의 대형화를 피하기 위해서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를 횡단하는 메인로프가 엘리베이터칸의 무게중심을 통과할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provided with a small hoisting machine at the top of the hoist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hoisting machine is installed near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car and the counterbalance so as to be placed on the top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do. In addition, in order to keep the ride comfort of the elevator well and also to reduce the load acting on the guide rail from the car guide shoe to a small size to avoid enlargement of the car guide rails, The rope need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r.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균형추가 승강로의 편측에 가깝게 되고, 그 균형추의 위쪽에 권상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메인로프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도록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메인로프의 제1 단부와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의 부분은 승강장에 가능한 한 가까이 배치되어 있고,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로부터 크게 이격(離隔)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described above, the balance elevator is located close to one side of the balancing additional hoistway, a hoisting machine is provided above the balance hoist, and the main rope slides 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There is a can suspending spade. As a result, a portion between the first end of the main rope and the first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is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anding,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largely separated from the first car garage guide rail have.
이와 같이, 메인로프의 제1 단부는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을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장착하는 것은 설계상 어려워,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은 건물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을 건물에 고정하는 것은 건축 측으로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고, 또, 엘리베이터를 건물에 설치하기 위한 설계의 수고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first end of the main rope is spaced from the first car guide rail,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mounting of the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beam on the first car guide rail, As shown in FIG. However, fixing the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beam to the building increases the cost burden on the architectural sid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labor of design for installing the elevator on the building increases.
또한, 균형추가 승강로의 편측에 가깝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 모서리부에 건물의 기둥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돌출치수만큼 승강로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승강로를 크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재량이 적은 엘리베이터밖에 설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balancing additional hoistway is close to one side of the balancing additional hoistway, when the column of the building is project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hoistwa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hoistway by the protruding dimens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istway can not be enl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an elevator having a small amount of load can be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를 건물에 장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장치를 건물에 설치하기 위한 설계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으며, 또, 승강로 모서리부에 건물의 기둥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승강로를 크게 할 필요가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labor of designing for installing an elevator device on a building without mounting the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member on a building,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apparatus which does not require a large hoistway even when a column of a building is protruded.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과,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엘리베이터칸의 후방에 배치되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승강로 내의 균형추의 양측에 설치되고,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한 구동쉬브를 가지며,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구동쉬브에 감겨지고,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1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2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균형추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1 현가수단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2 현가수단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 및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제2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의 좌우 측면의 전단부(前端部) 근방으로부터 배면 중앙부에 엘리베이터칸을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있고, 권상기 및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기계대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서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으며,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빔이 배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사이드빔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기계대 또는 균형추 가이드레일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작용하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장력이 제1 및 제2 사이드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car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 hoistway, a pair of car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an elevator car in a hoistway for guiding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A pair of balance weight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lance weight in the hoistway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alance weight and a pair of balance weight guide rail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having a driving sheav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which are wound on a driving sheave and suspend the elevator car and balance weight, a first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and in which the first suspension means is wound, A second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provided with a second suspension means, A first suspension means suspended spindle on which a first suspension means and a second suspension means are wound, a first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to which a first end of the first suspension means is connected, A second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member to which a first end portion of the second suspension means is connected and a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to which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are connected And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are arranged such that the elevator car is obliquely traversed from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elevator car to the rear center portion as viewed from directly above and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side rope fixing member The supporting machine unit is fix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are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de-bum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as viewed from directly above, and fixed to the machine table or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nd the elevator car guide rails.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cab- The tension of the two suspension means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작용하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장력을 제1 및 제2 사이드빔으로 나누어 부담하고, 또, 제1 및 제2 사이드빔을 기계대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를 건물에 장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장치를 건물에 설치하기 위한 설계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균형추를 승강로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 모서리부에 건물의 기둥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승강로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car-side rope fixing members is di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The side beams are fixed to the machine table and the elevator car guide rai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of designing the elevator apparatus to be installed on the building without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members on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balance weight can be dispos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even when the pillars of the building protrude from the corner portion of the hoistway,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hoistw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4;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3)과,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은 승강로(1)의 깊이방향(도 2의 상하방향)의 중간부 근처에서 제1 승강로 측벽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3)은 승강로(1)의 깊이방향에 대하여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과 동일한 위치에서 제2 승강로 측벽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3)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In the drawing, first and second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은 승강로(1) 내의 후벽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은 승강로(1)의 깊이방향의 동일한 위치에서 승강로 후벽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The balance
엘리베이터칸(6)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3)을 따라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7)는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을 따라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칸(6)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칸(6)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칸(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는 승강로(1)를 바로 위로부터 보아 폭방향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승강로(1)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의 폭방향의 중심선과 겹쳐져 있다.The elevator car (6) ascends and descends in the hoistway (1) along the car guide rails (2, 3). The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의 상단부에는 기계대(8)가 고정되어 있다. 기계대(8)는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에서 승강로 후벽의 근처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기계대(8)는 제1 균형추 가이드레일(4)에 고정된 제1 지지부재(9)와,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5)에 고정된 제2 지지부재(10)와, 제1 및 제2 지지부재(9, 10)상에 고정된 제1 및 제2 기계대 빔(11, 12)을 가지고 있다.The machine table 8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지지부재(9, 10)는 승강로(1)의 깊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 빔(11, 12)은 승강로(1)의 폭방향(도 3의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The
기계대 빔(11, 12)상에는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는 권상기(13)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3)의 대부분은 균형추(7)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13)는 권상기 본체와 구동쉬브(트랙션 쉬브)(14)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는 구동쉬브(14)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쉬브(14)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또한, 권상기(13)로서는 축방향 치수가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박형(薄型) 권상기가 사용되고 있다.On the
또한, 권상기(13)는 권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13)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권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Further, the
또한, 승강로(1)를 바로 위로부터 보아, 구동쉬브(14)의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일단부는 엘리베이터칸(6)과 균형추(7)와의 경계선 부근에 위치하고, 또한,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의 연장선상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권상기(13)의 중심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균형추(7)의 폭방향의 중심선의 연장선보다도 제1 균형추 가이드레일(4)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권상기(13)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영역 외에 배치되어 있다.One en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의 제1 승강로 측벽의 근처에는 제1 사이드빔(15)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사이드빔(15)의 중간부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서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1 사이드빔(15)의 후단부(승강장의 반대 측 단부)는 기계대(8)의 제1 승강로 측벽 측의 단부상에 고정되어 있다.The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의 제2 승강로 측벽의 근처에는 제2 사이드빔(16)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사이드빔(16)의 중간부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서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3)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2 사이드빔(16)의 후단부는 기계대(8)의 제2 승강로 측벽 측의 단부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A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은 상하방향의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은 엘리베이터칸(6)의 전후방향(승강로(1)의 깊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8) 및 사이드빔(15, 16)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사이드빔(15, 16)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15 and 16 face each other at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15 and 16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 6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machine table 8 and the side beams 15 and 16 are disposed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제1 사이드빔(15)의 전단부(前端部)(승강장 측 단부)에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제1 엘리베이터칸 힛치(hitch))(17)가 고정되어 있다. 제2 사이드빔(16)의 전단부에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제2 엘리베이터칸 힛치)(18)가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First elevator car hitch) 17 is fixed to the front end portion (end side end portion) of the
기계대(8)에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균형추 힛치)(19)가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는 균형추(7)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균형추(7)의 폭방향의 중심선보다도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5)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On the machine table 8, a balance weight side rope fixing member (balance weight hitch) 19 is fixed. The balance-weight-side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20, 21)(도 1, 2에서는 생략)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제1 현가수단(20)은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도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의 개수 및 구성은 제1 현가수단(20)의 개수 및 구성과 동일하다.The
제1 및 제2 현가수단(20, 21)의 중간부는 구동쉬브(14)에 감겨져 있다. 제1 현가수단(20)의 제1 단부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현가수단(20)의 제2 단부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의 제1 단부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8)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의 제2 단부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20, 21 is wound on the
엘리베이터칸(6)의 하부에는 제1 현가수단(20)이 감겨진 복수(여기에서는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와, 제2 현가수단(21)이 감겨진 복수(여기에서는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수평이다.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수평이다.A plurality of first elevator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제1 현가수단(20)이 엘리베이터칸(6)의 제1 측면(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에 대향하는 측면)의 전단부 근처(엘리베이터칸(6)의 전면(前面) 측의 한쪽의 모서리부 근처)로부터 배면 중앙부에 엘리베이터칸(6)을 비스듬하게 횡단하도록,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elevator car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제2 현가수단(21)이 엘리베이터칸(6)의 제2 측면(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3)에 대향하는 측면)의 전단부 근처(엘리베이터칸(6)의 전면 측의 다른 쪽의 모서리부 근처)로부터 배면 중앙부에 엘리베이터칸(6)을 비스듬하게 횡단하도록,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elevator car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는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와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와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elevator car
균형추(7)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20, 21)이 감겨진 복수(여기에서는 한 쌍)의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는 균형추(7)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균형추(7)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수평이다. 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의 회전축은 균형추(7)의 폭방향에 직각인 방향(도 3의 상하방향)으로 평행하다.The rotational axes of the balance
제1 현가수단(20)은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로부터 바로 아래로 연장하고,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에서 수평하게 전향(轉向)되며, 엘리베이터칸(6)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3)에서 상향(上向)으로 전향되며, 구동쉬브(14)에서 하향(下向)으로 전향되고,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에서 수평하게 전향되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7)에서 상향으로 전향되고,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The first suspension means 20 extends directly below the first elevator car side
제2 현가수단(21)은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8)로부터 바로 아래로 연장하고,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에서 수평하게 전향되며, 엘리베이터칸(6)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5)에서 상향으로 전향되며, 구동쉬브(14)에서 하향으로 전향되고,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에서 수평하게 전향되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7)에서 상향으로 전향되고,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The second suspension means 21 extend directly down from the second elevator car side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는 2 : 1 로핑방식으로 매달려 있으며, 구동쉬브(14)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된다.Thus, the
사이드빔(15, 16)의 전단부 사이에는 이음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이음부재(28)는 수평부(28a)와, 수평부(28a)의 양단에 마련되고, 하단부가 사이드빔(15, 16)의 전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다리부(28b)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28a)는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으로 평행하며 또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28b)는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평부(28a)는 다리부(28b)의 상단부의 승강장 측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A
이음부재(2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승강로(1)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승강장 측의 승강로벽과 승강장 도어장치(29)와의 사이의 틈새와, 승강장 도어장치(29)와, 승강장 도어장치(29)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의 사이의 틈새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로 이루어지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부(28a)는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장치(29)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음부재(2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는 사이드빔(15, 16)의 이음부재(28)와의 접속부 근처에 장착되어 있다.The
여기서, 도 2의 이점쇄선(二点鎖線)은 균형추(7)가 승강로(1)의 저부의 완충기(도시생략)에 충돌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6)이 최상층을 지나쳐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도달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엘리베이터칸(6)상의 기기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이고, 엘리베이터칸(6)이 이점쇄선의 위치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는 승강로(1)의 천장에 충돌하지 않는 만큼의 작은 틈새를 천장과의 사이에 남긴 높이까지 도달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이음부재(2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 충돌하지 않는다.Here, the two-dot chain line in Fig. 2 indicates that whe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에 작용하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20, 21)의 장력을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에 나누어 부담시키고, 또,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을 기계대(8)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3)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를 건물에 장착하지 않아, 설치설계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20 and 21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car-side
또, 사이드빔(15, 16)은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에 작용하는 현가수단(20, 21)의 장력에 의한 굽힘에 견디도록 하는 단면으로 하고 있지만, 도 3에서,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상의 현가수단(20, 21)의 하중 중심은 사이드빔(15, 16)의 단면상에는 없다. 또, 사이드빔(15, 16)은 생산성을 고려하면 형강(形鋼)이나 강판(鋼板)을 굽혀 형성된 빔으로 이루어지지만,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상의 하중의 중심과 사이드빔(15, 16)의 비틀림의 중심을 완전하게 일치시키는 것은 실장(實裝)상의 제약때문에 어렵다.The side beams 15 and 16 are sections that endure bending due to tension of the suspension means 20 and 21 acting on the elevator car side
따라서, 이음부재(28)를 가지지 않는 구성인 경우, 사이드빔(15, 16)은 비틀림에 의한 과대한 전단응력에 대응하기 위해, 단면이 매우 크게 되어, 실장이 어려워지지고, 비용도 증가한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이음부재(28)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빔(15, 16)에 작용하는 비틀림 토크가 상쇄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빔(15, 16)의 단면형상은 굽힘에 견디는 만큼의 크기로 충분하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실장의 제약도 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having no
또, 설치공사시, 부품을 승강로(1)의 천장 직전까지 올려 고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용의 툴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 직전의 위치에 설치하고 있는 부품은 없고, 거의 모든 부품이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장치(29)의 장착높이와 동일한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가장 높은 장착위치에 장착되는 부품은 이음부재(28)이지만, 이음부재(28)는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장치(29)의 바로 위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mount and fix parts up to the ceiling of the
또한, 균형추(7)가 승강로(1)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피트의 모서리부에 건물의 기둥의 기초가 돌출하고 있는 경우에도, 승강로를 확대할 필요가 없다.Further, since the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 6에서, 실시형태 1과 다른 것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이음부재(28)가 엘리베이터칸(6)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과, 엘리베이터칸(6)이 이점쇄선의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6)의 천장과 충돌하지 않는 만큼의 틈새를 갖게 한 위치에 수평부(28a)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4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n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4.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to 6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nnecting
실시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의 폭방향 양측에 다리부(28b)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개(全開)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 패널이 다리부(28b)에 간섭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폭치수가 제약을 받는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2에서는, 이음부재(28)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를 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폭치수가 제약을 받지 않으며, 큰 치수의 엘리베이터칸 도어도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실시형태 3.Embodiment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엘리베이터칸(6)을 무게중심에서 매달 수 있도록,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 25)의 장착각도가 변경되어 있다.Next,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엘리베이터칸(6)의 전단부의 좌우의 모서리부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통 모양의 한 쌍의 덕트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덕트부재(31)는 엘리베이터칸(6)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공간에는 현가수단(20, 21)이 통과되어 있다.At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4)는, 엘리베이터칸(6)의 전단부의 모서리부의 바로 아래, 즉 덕트부재(3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는, 엘리베이터칸(6)의 전단부의 모서리부의 바로 위, 즉 덕트부재(31)의 바로 위에서 수평부(28a)에 장착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이음부재(28)는 덕트부재(31)의 바로 위를 지나도록 사이드빔(15, 16)에 장착되어 있다. 수평부(28a)는 엘리베이터칸(6)이 이점쇄선의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6)(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를 포함)과 충돌하지 않는 만큼의 틈새를 갖게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보다 무게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칸(6)을 매달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6)의 승강 중의 승차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또,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가 수평부(28a)의 양단부 근방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부재(28)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작게 되어, 수평부(28a)의 단면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수평부(28a)를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의 위쪽의 공간에 배치하면서도, 수평부(28a)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하고, 승강로(1)의 높이 치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elevator car side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4에서는, 덕트부재(31)를 이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 승강장 도어장치(29)와의 사이의 틈새에 현가수단(20, 21)이 통과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3과 동일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0, and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The suspension means 20 and 21 pass through a clearance between the elevator
또한, 실시형태 1 ~ 4에서는 2개의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를 나타냈지만,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는 1개라도 된다.Further,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two balance
또, 실시형태 1 ~ 4에서는 사이드빔(15, 16)을 기계대(8)에 고정했지만, 예를 들어 사이드빔(15, 16)의 균형추(7) 측의 단부를 균형추(7) 측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하고, 이들 단부를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에 고정해도 된다.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side beams 15 and 16 are fixed to the machine table 8. For example, the ends of the side beams 15 and 16 on the
Claims (6)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후방(後方)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균형추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한 구동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상기 구동쉬브에 감겨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균형추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현가수단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현가수단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 및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제2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좌우의 측면의 전단부 근방으로부터 배면 중앙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권상기 및 상기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기계대(機械臺)가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서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빔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계대 또는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장력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car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hoistway,
A pair of elevator car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in the hoistway for guiding elevation of the elevator car,
A balance weight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elevator car,
A pair of balance weight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lance weight in the hoistway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alance weight,
A hoisting machin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having a driving sheave,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wound on the driving sheave and hanging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A first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 and in which the first suspension means is wound,
A second elevator car suspending sheav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and in which the second suspending means is wound,
A balance weight suspending sheave provided on the balance weight and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are wound,
A first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memb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to which a first end of the first suspension means is connected,
A second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memb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to which a first end of the second suspension means is connected,
And a counterweight side rope fixing member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to which a second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is connect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comprise an elevator device which obliquely traverses the elevator car from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ar to the rear center,
A machine table for supporting the hoist and the balance-weight-side rop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are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r as viewed from directly above and fixed to the machine table or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nd the car guide rail,
Wherein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car-side rope fixing members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상기 기계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의 승강장 측단부 사이에는 이음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부재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의 승강장 측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다리부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chine tabl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are disposed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elevator car when viewed from directly above,
A joint member is fixed between the lift sid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Wherein the joint member has a horizontal portion and a pair of leg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fixed to the platform sid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의 상기 이음부재와의 접속부 근방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members are mounted in the vicinity of the joi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beams with the joint members.
상기 수평부는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장치보다도 위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음부재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승강로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승강장 측의 승강로벽과 상기 승강장 도어장치와의 사이의 틈새와, 상기 승강장 도어장치와, 상기 승강장 도어장치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와의 사이의 틈새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로 이루어지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above the landing door device of the uppermost layer,
Wherein the joint member includes a gap between a lift rail wall on the side of the landing side and the landing door device and a gap between the landing door device and the landing door device and the elevator car door device And the elevator car door device is disposed in a region including the elevator car door device.
상기 수평부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도달할 수 있는 최상의 위치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rizontal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car compartment from the top, and is disposed above the best position that the car can reach.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평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전단부(前端部)의 좌우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간 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와 승강장 도어장치와의 사이의 틈새에 통과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 car side rope fixing member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wit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ar in between, Howev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ans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ar compartment so as to pass through the car compartment vertically through the car compartment or between the elevator car door device and the landing door device And is passed through a g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0/064060 WO2012023204A1 (en) | 2010-08-20 | 2010-08-20 | Elevato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4374A KR20130054374A (en) | 2013-05-24 |
KR101437800B1 true KR101437800B1 (en) | 2014-09-03 |
Family
ID=4560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6947A KR101437800B1 (en) | 2010-08-20 | 2010-08-20 | Elevator devic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607283B1 (en) |
JP (1) | JP5570602B2 (en) |
KR (1) | KR101437800B1 (en) |
CN (1) | CN103068712B (en) |
WO (1) | WO201202320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1789A1 (en) * | 2015-11-12 | 2017-05-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2489A (en) * | 2000-11-29 | 2002-06-05 | 니시무로 타이죠 | Elevator |
KR20040083056A (en) * | 2002-09-11 | 2004-09-30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controller |
JP2008531433A (en) * | 2005-02-25 | 2008-08-14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Elevator car with underslang roping arrangement forming angl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WO2004000711A1 (en) | 2002-06-21 | 2005-10-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equipment |
US7156209B2 (en) * | 2004-05-28 | 2007-01-02 | Inventio Ag | Elevator roping arrangement |
WO2007069311A1 (en) * | 2005-12-14 | 2007-06-21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device |
JP2007284977A (en) * | 2006-04-14 | 2007-11-01 |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 Vehicle parking device and elevator |
WO2007138706A1 (en) * | 2006-06-01 | 2007-12-0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device |
ES2294943B1 (en) * | 2006-09-25 | 2009-02-16 | Orona S. Coop | LIFTING EQUIPMENT WITHOUT MACHINE ROOM. |
-
2010
- 2010-08-20 CN CN201080068648.2A patent/CN103068712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8-20 KR KR1020137006947A patent/KR10143780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08-20 JP JP2012529466A patent/JP5570602B2/en active Active
- 2010-08-20 EP EP10856161.4A patent/EP2607283B1/en active Active
- 2010-08-20 WO PCT/JP2010/064060 patent/WO201202320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2489A (en) * | 2000-11-29 | 2002-06-05 | 니시무로 타이죠 | Elevator |
KR20040083056A (en) * | 2002-09-11 | 2004-09-30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controller |
JP2008531433A (en) * | 2005-02-25 | 2008-08-14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Elevator car with underslang roping arrangement forming ang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07283A4 (en) | 2017-11-15 |
CN103068712A (en) | 2013-04-24 |
EP2607283A1 (en) | 2013-06-26 |
JPWO2012023204A1 (en) | 2013-10-28 |
CN103068712B (en) | 2015-07-08 |
EP2607283B1 (en) | 2018-10-17 |
KR20130054374A (en) | 2013-05-24 |
JP5570602B2 (en) | 2014-08-13 |
WO2012023204A1 (en) | 2012-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260305B (en) |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 |
JP5827182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1636194B1 (en) | Elevator and method for modifying elevator | |
EP2646356B1 (en) | Elevator | |
WO2015025396A1 (en) | Elevator device | |
JP2010184791A (en) | Elevator | |
JP4774429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1690856B1 (en) | Elevator device | |
JP6477255B2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 |
JP6738964B2 (en) | Elevator | |
JP2010208822A (en) | Elevator car | |
JP4376585B2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device | |
KR101437800B1 (en) | Elevator device | |
JP4091326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9541181A (en) | Elevator installation with reduced hoistway dimensions | |
WO2016002042A1 (en) | Machine room-less elevator | |
JP6336225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5930842B2 (en) |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jig | |
JPWO2005077806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16008131A (en) | Elevator and remodeling method of existing elevator | |
JP4545451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4397896B2 (en) | Elevator equipment | |
EP1500620A1 (en) | Elevator | |
JP2008168986A (en) | Elevator device | |
JP4498759B2 (en) | Elevator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