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466B1 -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466B1
KR101437466B1 KR1020130092629A KR20130092629A KR101437466B1 KR 101437466 B1 KR101437466 B1 KR 101437466B1 KR 1020130092629 A KR1020130092629 A KR 1020130092629A KR 20130092629 A KR20130092629 A KR 20130092629A KR 101437466 B1 KR101437466 B1 KR 10143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laundry
elastic member
hook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우혁
Original Assignee
방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우혁 filed Critical 방우혁
Priority to KR102013009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4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4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es: a base unit; a plurality of wing units of which one e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and the other end is combined with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a supporting unit provided on the base unit; and one or more elastic members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unit and the other end is combined with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Description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press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이 수면위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press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that prevents laundry from rising on a water surface.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부피가 큰 빨래(예를 들어 점퍼, 이불 등)를 할 경우, 세탁기를 이용하는데 이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세탁기로 부피가 큰 세탁물을 세척할 때, 세탁물의 부력으로 인해 세탁물이 수면 위로 올라오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물이 세탁기 내부의 물 속에 잘 잠기지 않게 된다. 이때, 세탁물에 세제가 그대로 묻어있을 수 있어 세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세탁물의 세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세탁물의 헹굼 횟수를 늘려야 한다. 이로 인해 세탁기 사용을 위한 물의 양이 일반 세탁물에 사용되는 물의 양보다 많이 늘어나게 되어 물의 낭비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when a bulky laundry (for example, a jumper, a quilt or the like) is used at home,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at the time of using the washing machine. That is, when washing laundry having a bulky volume with the washing machine, the laundry floats up on the water due to the buoyancy of the laundry. As a result, the laundry is not immersed in the water inside the washing machine.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tergent may be buried in the laundry, so that the laundry may not be properly washed. In addition, since the laundry is not properly washed,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the laundry must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amount of water for use of the washing machine is increased more than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general laundry, which is a waste of water.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6-0041483호(1996.12.1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6-0041483 (December 19, 1996)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피가 큰 세탁물을 세탁시, 세탁물이 수면 위로 떠올라 세탁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용 누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laundry from being smoothly floated over the surface of laundry when washing laundry having a large volu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는, 베이스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세탁기의 내부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탁기의 내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undry press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base; A plurality of wing port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t one side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at the other side; A support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at least one elastic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상기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는, 상기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1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세탁기 내의 세탁물 투입부 하단에 후크 결합된다.The laundry press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further includes a first hook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ng portion, and the first hook is hooked to a lower end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in the washing machine.

상기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세탁기 내의 세탁물 투입부 상단에 후크 결합된다.The laundry press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further includes a second hook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hook is hooked to the upper end of the laundry input portion in the washing machine.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면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 개의 원형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원형 고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Th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ircular rings having a larg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creases, and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ircular rings.

상기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접혀진다.
The laundry press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further includes a hinge par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hinged to the wing part, and the wing part is folded about the base part through the hinge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를 통해, 세탁물이 세탁물의 부력으로 인해 수면위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가 세탁기의 세탁 통에 고정되어 세탁물을 누름으로써, 세탁물이 세탁기 내부의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고 수면 안으로 잠길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 후, 세탁물에 세제가 남아있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세탁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 부피가 큰 세탁물을 헹구기 위한 헹굼 횟수와 물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laundry from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due to the buoyancy of the laundry through the laundry press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The laundry pressing device for the washing machine is fixed to the washing tub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laundry is pressed so that the laundry can be locked into the water surface without flooding over the water surface insid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ly, the problem of remaining detergent in laundry after washing is solved, and washing can be performed wel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and the amount of water for rinsing a bulky laundry in the related art. This makes it possible to save the water used for wash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가 세탁기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undry press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shing machine. FIG.
2 is a view showing a laundry press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laundry press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가 세탁기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undry press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shing machine.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세탁기(10) 내부의 세탁 통(20)에는 세탁물 투입부(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세탁물 투입부(30)는 세탁 통(2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는 세탁기(10) 내부의 세탁 통(20)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generally, a laundry loading unit 30 is formed in a washing tub 20 inside a washing machine. Here, the laundry loading portion 30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aundry tub 20. At this time,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can be installed in the washing tub 20 inside the washing machine 10.

예를 들어,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의 날개부(104) 끝단이 세탁물 투입부(30)의 하부에 걸릴 수 있도록 장착되어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피가 큰 세탁물(예를 들어 이불, 점퍼 등)을 세탁할 때,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는 세탁물이 수면위로 떠오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의 탄성 부재(108) 끝단은 후크(112)가 형성되어 세탁물 투입부(3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가 세탁 통(20)에 견고히 고정 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08) 끝단의 후크(112)가 세탁물 투입부(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세탁물 투입부(30)의 하부에는 날개부(104)가 장착됨으로써,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를 세탁 통(20)에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108)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므로, 세탁 통(20)의 폭에 관계없이 세탁 통(20)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는 세탁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세탁기(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따로 보관할 수도 있다. 이하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For example, the end of the wing portion 104 of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can be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30 to fix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In this case, when the bulky laundry (for example, futon, jumper, etc.) is washed,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washing machine can prevent the laundry from flooding over the water surface.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108 of the laundry pressing apparatus 100 for a washing machine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aundry loading unit 30 with a hook 112 formed thereon. Accordingly,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can be firmly fixed to the washing tub 20. That is, the hook 112 at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108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30 and the wing portion 104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30, 100 can be fixed to the washing tub 20 in a double manner. Since the elastic member 108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capable of being stretched and shrunk, the elastic member 108 can be mounted inside the washing tub 20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washing tub 20. In addition, since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can be separated from the washing machine 10, it can be used in various washing machines 10 and can be stored separately when not in use. Hereinafter,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laundry press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는 베이스부(102), 날개부(104), 지지부(106) 및 탄성 부재(108)을 포함할 수 있다.2, a laundry pressing apparatus 100 for a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base unit 102, a wing unit 104, a support unit 106, and an elastic member 108.

베이스부(102)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2)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가 세탁기(10)에 장착될 때, 세탁 통(20)의 수면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가 세탁 통(20)내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세탁물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102)에는 두 개 이상의 날개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02)에는 각각의 날개부(104)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베이스부(102)에 형성된 날개부(104)는 힌지부(미도시)를 통해 베이스부(102)를 중심으로 윗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02)의 상부에는 지지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날개부(104)와 지지부(106)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base portion 102 may be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s a center portion of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base portion 102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tub 20 when the washing tub 100 is installed in the washing machine 10. Accordingly,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can be balanced within the washing tub 20, thereby preventing the laundry from ris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t least two wing portions 104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102. A hinge portion (not shown) hinged to each wing portion 104 may be formed on the base portion 102, respectively. Thus, the wing portion 104 formed on the base portion 102 can move upward or downward about the base portion 102 through a hinge portion (not shown). A support portion 106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2. Hereinafter, the wing portion 104 and the support portion 10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날개부(104)는 베이스부(102)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04)는 베이스부(10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04)의 일측은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가 세탁 통(10)에 장착될 때, 세탁 통(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의 후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세탁 통(10)의 세탁물 투입부(30) 하단에 날개부(104)의 일측과 연결되는 후크(110)가 걸릴 수 있도록 후크(110)는 갈고리가 베이스부(102)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04)의 일측에 형성되는 후크(110)는 세탁물 투입부(30)의 하단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104)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부(미도시)와 힌지 결합하여 베이스부(102)를 중심으로 베이스부(102)의 윗방향 또는 아래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날개부(104)를 베이스부(102)의 윗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접어서 부피를 줄이고, 이를 적절한 곳에 보관할 수 있다.The wing portion 104 may be formed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2. At least two wing portions 104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2. A hook-shaped hook 1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g portion 104 so as to be fixed to the washing tub 10 when the laundry pressing device 100 for a washing machine is mounted on the washing tub 10. That is, the hook 110 is hook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102 so that the hook 11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ng part 104 can be hooked to the lower end of the laundry loading part 30 of the washing tub 10 Direction. The hook 110 formed at one side of the wing portion 104 can be hooked to the lower end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30. [ The wing portion 104 may be hinged to the hinge portion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and folded upward or downward of the base portion 102 about the base portion 102. Therefore, when the laundry pressing apparatus 100 for a washing machine is not used, the blade unit 104 can be folded upward or downward of the base unit 102 to reduce its volume and store it in an appropriate place.

지지부(106)는 베이스부(10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6)는 베이스부(102)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 개의 원형 고리(114)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지지부(106)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원형 고리(1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106)의 원형 고리(114)에는 탄성을 갖는 한 개 이상의 탄성 부재(108)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108)은 여러 개의 원형 고리(11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원형 고리(11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08)가 중심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원형 고리(114)에 연결 될수록 탄성 부재(108)와 세탁 통(20) 사이의 길이는 점점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지지부(106)는 한 개 이상의 원형 고리(114)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탄성 부재(108)가 연결되도록 하여 탄성 부재(108)의 탄성력과 함께 탄성 부재(10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06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2. The support portion 106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ircular rings 114 having a larg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2 increas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portion 106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may include one circular ring 114. One or more elastic members 108 having elasticity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lar ring 114 of the support portion 106, respectively. Here, the elastic member 108 may be connected to one circular ring 114 among the plurality of circular rings 114. That is, as the elastic member 108 is connected to the circular ring 114 located at the center outward from the center, the length between the elastic member 108 and the washing tub 20 gradually decreases. In this way, the supporting portion 106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108 together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8 by connecting the elastic member 108 to one of the one or more circular rings 114.

탄성 부재(108)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06)에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08)의 일측에는 갈고리 형태의 후크(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108)의 타측은 지지부(106)와 연결될 수 있다. 먼저, 탄성 부재(108) 일측의 후크(112)는 세탁 통(20) 세탁물 투입부(30)의 상단에 후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후크(112)는 날개부(104)의 후크(110)와 반대로, 후크(112)의 갈고리가 베이스부(120)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112)의 갈고리가 세탁 통(20)의 세탁물 투입부(30) 상부의 외면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108)의 타측은 지지부(106)의 한 개 이상의 원형 고리(114)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108)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06)의 원형 고리(114)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탄성 부재(108)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08)는 지지부(106)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고리(1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탄성 부재(108)의 탄성력과 함께 탄성 부재(10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탁 통(20)의 크기에 관계없이 세탁 통(20)의 세탁물 투입부(30) 상단에 연결되어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를 세탁 통(2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08 is made of elastic material capable of stretching and shrinking, and one or more elastic members 108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106. A hook-shaped hook 1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108.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108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06. First, the hook 112 on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108 can be hook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30 of the washing tub 20. At this time, the hook 11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ok of the hook 112 is dir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20, as opposed to the hook 110 of the wing portion 104. Therefore, the hooks of the hooks 112 can be hoo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30 of the washing tub 20.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108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one or more circular rings 114 of the support portion 106, respectively. The elastic member 108 is connected to the circular ring 114 of the support portion 106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108 can be adjusted. That is, the elastic member 108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at least one circular ring 114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106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elastic member 108, together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8, The length can be adjusted. Therefor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ashing tub 20, the washing tub 20 for the washing machine can be fixed to the washing tub 20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30 of the washing tub 20.

이처럼, 한 개 이상의 후크(112)가 세탁 통(2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고, 후크(112)와 연결된 각각의 탄성 부재(108)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106)의 중심에 연결되어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100)가 세탁기(1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부(106)의 하면에는 베이스부(102)가 형성되고, 베이스부(102)의 외주면에는 한 개 이상의 날개부(104)가 형성되어 세탁 통(20)의 세탁물 투입부(30) 하단에 날개부(104)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부피가 큰 세탁물(예를 들어, 이불, 점퍼 등)을 세척할 때, 세탁물이 세탁물의 부력으로 인해 수면위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탁물이 세탁기(10) 내부의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고 수면 안으로 잠길 수 있게 됨으로 인해 세탁 후, 세탁물에 세제가 남아있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세탁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 부피가 큰 세탁물을 헹구기 위한 헹굼 횟수와 물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Each of the elastic members 108 connected to the hooks 112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106 by an elastic force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shing tub 20, So that the laundry pressing apparatus 100 can be fixed in the washing machine 10. [ A base portion 10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6 and at least one wing portion 10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2 so that the laundry So that the wing portion 104 can be caught. Therefore, when cleaning a bulky laundry (e.g., a futon, a jumper, etc.), the laundry can be prevented from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due to the buoyancy of the laundry. The laundry can be pushed into the water surface without flooding 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washing machine 10,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remaining detergent in the laundry after washing, and washing can be performed wel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and the amount of water for rinsing a bulky laundry in the related art. This makes it possible to save the water used for washing.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 : 세탁기
20 : 세탁 통
30 : 세탁물 투입부
100 :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
102 : 베이스부
104 : 날개부
106 : 지지부
108 : 탄성 부재
110, 112 : 후크
114 : 원형 고리
10: Washing machine
20: Washtub
30: laundry loading unit
100: Laundry pusher for washing machine
102: Base portion
104: wing portion
106: Support
108: elastic member
110, 112: hook
114: Circular ring

Claims (5)

베이스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세탁기의 내부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탁기의 내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
A base portion;
A plurality of wing portion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t one side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at the other side;
A support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And at least one elastic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는,
상기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1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세탁기 내의 세탁물 투입부 하단에 후크 결합되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undry pusher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es:
And a first hook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hook is hooked to the lower end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in the wash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세탁기 내의 세탁물 투입부 상단에 후크 결합되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undry pusher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es:
And a second hook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hook is hooked to the upper end of the laundry loading portion in the wash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면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 개의 원형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원형 고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ircular rings whose diameters become larg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ncreases,
Wherein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ircular r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는, 세탁기용 세탁물 누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undry pusher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es:
And a hinge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hinged to the wing portion,
Wherein the wing portion is folded about the base portion through the hinge portion.
KR1020130092629A 2013-08-05 2013-08-05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1014374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29A KR101437466B1 (en) 2013-08-05 2013-08-05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29A KR101437466B1 (en) 2013-08-05 2013-08-05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466B1 true KR101437466B1 (en) 2014-09-11

Family

ID=5175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29A KR101437466B1 (en) 2013-08-05 2013-08-05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46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016B1 (en) 2015-03-30 2016-10-10 김흥종 pushing device of wash
KR200487959Y1 (en) * 2018-07-26 2018-11-27 정효종 Large laundry flood preven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457U (en) * 1994-04-30 1995-11-20 Laundry presser of washing machine
KR950030456U (en) * 1994-04-30 1995-11-20 대우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s anti-mist structure
JPH09779A (en) * 1995-06-16 1997-01-07 Sharp Corp Pressing cover for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KR200142459Y1 (en) 1996-05-20 1999-06-01 윤종용 Tub division unit of a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457U (en) * 1994-04-30 1995-11-20 Laundry presser of washing machine
KR950030456U (en) * 1994-04-30 1995-11-20 대우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s anti-mist structure
JPH09779A (en) * 1995-06-16 1997-01-07 Sharp Corp Pressing cover for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KR200142459Y1 (en) 1996-05-20 1999-06-01 윤종용 Tub division unit of a wash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016B1 (en) 2015-03-30 2016-10-10 김흥종 pushing device of wash
KR200487959Y1 (en) * 2018-07-26 2018-11-27 정효종 Large laundry flood preven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7791A (en) Laundry machine
KR101437466B1 (en) Floating laundry prevent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CN203498684U (en) Garment steamer
AR054908A1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WITH TOROIDAL AND TOROIDAL WASHING WASH MOVEMENT
US1342807A (en) Tub
CN104746296A (en) Apparatus For Reduction Vibration In Washing Machine
KR20080032362A (en) Pedestal for a washing machine
KR101547727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laundry of drum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llecting laundry
ITMI20050447A1 (en) DEVICE FOR CONNECTING THE ARM TO SUPPORT THE WASHING MACHINE BASKET AND SIMILAR
WO2011150483A3 (en) Agitator provided with floating element with blades applied to washing machines
CN203866590U (en) Manual washed-clothes dewatering machine
KR200317793Y1 (en) Combine structure of the washing supporter for washing machine
KR200477001Y1 (en) Laundry basket
CN107675414B (en) Washing cabinet
JP2001212400A (en) Partitioning member for washing machine
US20150368851A1 (en) Laundry drying device
US3280983A (en) Clothes retain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US1003988A (en) Clothes-washing machine.
CN204385489U (en) For padding in the packaging of washing machine
KR101183152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rest water draning hose in a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0303760Y1 (en) Draw shape textile fabrics washin water
KR20130017213A (en) Washing machine for preventing laundry overflow
KR20160066684A (en) Removing laundry washer easy Bin
AU2011100204A4 (en) Container for use with a clothesline having a support post
JP2005137892A (en) Goods-placing type clothes-drying apparatus and hook for clothes dr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