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419B1 -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 Google Patents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419B1
KR101437419B1 KR1020140031506A KR20140031506A KR101437419B1 KR 101437419 B1 KR101437419 B1 KR 101437419B1 KR 1020140031506 A KR1020140031506 A KR 1020140031506A KR 20140031506 A KR20140031506 A KR 20140031506A KR 101437419 B1 KR101437419 B1 KR 101437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haft
support frame
main body
base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석
구태영
오미림
남재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03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01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controlling or generating intrinsic radiation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설치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부; 및 양단부가 상기 메인바디지지부와 수평지지부에 지지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내부를 관통하는 기체분자셀 유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따르면, 기상청 기후변화감시센터에 설치되며 고분해 태양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한 CO2, CH4 등 온실가스의 산출 및 위성 온실가스의 지상 검증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에 설치되어, 잡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정량화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OPTICAL INSTRUMENT STAND OF 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
본 발명은 광학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FTS)의 수감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빛의 특성을 고려한 재질과 구조로 구성 되어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전달되는 빛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 하고, 신호의 영향 요소를 줄여 잡신호로부터 독립성을 최대화 하였다. 또한 태양광 이동경로의 중심으로부터 측정 가스 셀의 위치를 정량적으로 조절 할 수 있으며, 공간적 활용으로서 한쪽 방향의 수치적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장비로부터 정확한 대기환경 정보 스펙트럼을 생산하도록 하여 높은 정보 신뢰성 확보와 자료 활용도를 증대시켰다.
일반적으로, 고분해 스펙트럼은 대기중의 기체분자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을 광학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상기 고분해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FTS)는 태양추적장치(Solar Tracker), IFS125-HR이라는 고성능 광 분석 장치, 운용프로그램(OPUS)으로 구성되어 대기 중의 기체분자가 태양 빛을 흡수하면서 나타나는 양자역학적 분자운동 정보를 흡수스펙트럼으로 측정 한다. 이때 상기 고분해 흡수스펙트럼을 통하여 얻어지는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대기 중 기체분자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변화를 파악하여, 온실기체 및 정확한 대기정보 산출로부터 위성과 비교 검증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 관측설비의 실제외형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실제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 내부의 실제 광 이동경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에 있어서 광 이동경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광이 인입되어, 광원부(Sourcr)를 거처 광선분할기를 포함하는 간섭계(Interferometer)를 거친 후, 이동식 거울의 한 종류인 스캐너(Scanner)를 거친 다음, 본 발명의 수감부(Deterctor)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분광계의 역할은 태양 빛이 복사를 통해 지구-대기에 도달하여 어떻게 지구-대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특정파장 역(band)인 근적외(near infrared) 영역의 빛을 측정하여, 대기 중의 주요 흡수체인 수증기, 이산화탄소, 아산화 질소, 메탄 등의 정보를 얻는다. 이 정보는 흡수체의 특정 파장 역(band)에서의 흡수 능력을 보여주며, 특히 태양복사에 대해서 대체로 흡수가 약하고, 지구복사에 대해서 강력한 흡수를 하는 선택적 흡수(Selective absorption) 성질을 지닌 이산화탄소와 메탄과 같은 온실효과 기체의 양자역학적 특성 정보를 주며, 이로 부터 주요 구성성분을 연구하기 위한 데이터로 제공 및 분석자료로 사용된다.
한편, 분광계용 광학계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76884호에서는 "회절판과 복수 광학계로 이루어진 분광계의 광로 상에 하나 이상 적용되어 자외선의 일부 대역과 가시광선 대역을 포함한 대역을 측정 대역으로 하는 분광계용 광학계로서, 평행 입출력에 대향하는 일면이 볼록하고, 타면이 볼록하게 구성된 제 1렌즈부; 상기 제 1렌즈부 이후에 배치되며, 상기 제 1렌즈부에 대향하는 일면이 볼록하고, 타면이 오목하도록 3매의 밀착된 렌즈로 구성되면서 상기 제 1렌즈부보다 작은 직경의 제 2렌즈부; 상기 제 2렌즈부 이후에 배치되며, 상기 제 2렌즈부에 대향하는 일면이 볼록하고, 타면이 오목하게 구성되면 서 상기 제 1렌즈부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 3렌즈부; 상기 제 3렌즈부 이후에 밀착 배치되며, 상기 제 3렌즈부에 대향하는 일면이 오목하고, 타면이 볼록하게 구성되도록 2매의 밀착된 렌즈로 구성된 제 4렌즈부; 및 상기 제 4렌즈부 이후에 이격 배치되며, 광을 집광하는 제 5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5렌즈부를 구성하는 모든 렌즈는 구면렌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광계용 광학계"가 제안되었다.
그리고, 플라즈마 측정장치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50098호에서는 "챔버내의 플라즈마광을 수렴하여 전송하는 광전송부; 상기 광전송부를 통하여 전송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광전변환계; 및 상기 광전변환계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광전송부는 상기 광전송부의 상기 챔버에 대향하는 방향은 유한초점을 갖고 다른 방향은 무한초점을 갖는 렌즈계와, 상기 렌즈계의 무한초점면에 대향하여 평행광을 추출하는 시준기와, 상기 시준기를 통과한 평행광을 상기 광전변환계로 전송하는 광섬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측정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에 설치되어, 빛의 특성을 고려한 재질과 구조로 잡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정량화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76884호(2012년 08월 20일 등록)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50098호 (2003년 06월 25일 공개)
본 발명은, 기상청 기후변화감시센터에 구축되며 고분해 태양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한 CO2, CH4 등 온실가스의 산출 및 위성 온실가스의 지상 검증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에 설치되어, 잡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정량화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의 수감부 광학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설치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부; 및 양단부가 상기 메인바디지지부와 수평지지부에 지지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내부를 관통하는 기체분자셀 유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전방샤프트, 그리고 상기 제2 전방샤프트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후방샤프트; 상기 제2 전방샤프트와 제2 후방샤프트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에 대향되게 상기 제2 전방샤프트와 제2 후방샤프트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는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전방샤프트, 그리고 상기 제1 전방샤프트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후방샤프트; 상기 제1 전방샤프트와 제1 후방샤프트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수평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 수평지지프레임에 대향되게 상기 제1 전방샤프트와 제1 후방샤프트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는 하부 수평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분자셀 유리관과 접촉되는 상기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과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의 내주면; 및 상부 수평지지프레임과 하부 수평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는 테프론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전방샤프트와 제1 후방샤프트; 및 상기 제2 전방샤프트와 제2 후방샤프트의 설정된 구간에는, 다수개가 단차를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전방샤프트와 제1 후방샤프트의 설정된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에는, 내주면에 너트돌기부가 구비되는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방샤프트와 제2 후방샤프트의 설정된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에는, 내주면에 너트돌기부가 구비되는 또 다른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는, 상기 제1 전방샤프트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일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는 원웨이클러치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웨이클러치기구는, 다수개의 일방향걸림돌기; 상기 다수개의 일방향걸림돌기가 걸리는 클러치부재; 및 상기 클러치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클러치부재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따르면,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에 설치되되, 상기 기체분자셀 유리관과 접촉되는 상기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과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의 내주면; 및 상부 수평지지프레임과 하부 수평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는 테프론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체분자셀 유리관이 지지됨으로써, 잡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따르면, 내주면에 너트돌기부가 구비되는 너트와 또 다른 너트가 다수개의 볼트나사산에 결합됨으로써, 너트의 상기 너트돌기부가 다수개의 볼트나사산 중에서 어느 볼트나사산과 걸리느냐에 따라, 결합된 너트의 위치가, "리니어한 형태"가 아닌 "단계(step)적으로" 변하게 됨으로써, 정량화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 관측설비의 실제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실제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 내부의 실제 광 이동경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있어서, 메인바디지지부 또는 수평지지부에 적용되는 볼트 및 너트의 구조와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있어서, 원웨이클러치기구가 구비된 수평지지부에 의하여, HCL 기체분자셀 유리관이 회동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원웨이클러치기구가 구비된 수평지지부의 회동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100)는, 베이스부재(B)의 상측에 성정된 거리 이격되게 나란하게 설치되는 메인바디지지부(110)와 수평지지부(120)의 내주면에 테프론필름(T)가 부착된 상태에서, 기체분자셀 유리관(13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설치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재(B); 상기 베이스부재(B)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지지부(110); 상기 베이스부재(B)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부(120); 및 양단부가 상기 메인바디지지부(110)와 수평지지부(120)에 지지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내부를 관통하는 기체분자셀 유리관(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지지부(110)는, 상기 베이스부재(B)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전방샤프트(S2a), 그리고 상기 제2 전방샤프트(S2a)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후방샤프트(S2b); 상기 제2 전방샤프트(S2a)와 제2 후방샤프트(S2b)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110a); 및 상기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110a)에 대향되게 상기 제2 전방샤프트(S2a)와 제2 후방샤프트(S2b)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는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11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20)는, 상기 베이스부재(B)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전방샤프트(S1a), 그리고 상기 제1 전방샤프트(S1a)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후방샤프트(S1b); 상기 제1 전방샤프트(S1a)와 제1 후방샤프트(S1b)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수평지지프레임(120a); 및 상기 상부 수평지지프레임(120a)에 대향되게 상기 제1 전방샤프트(S1a)와 제1 후방샤프트(S1b)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는 하부 수평지지프레임(120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체분자셀 유리관(130)와 접촉되는 상기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110a)과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110b)의 내주면; 및 상부 수평지지프레임(120a)과 하부 수평지지프레임(120b)의 내주면에는 테프론필름(T)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방샤프트(S1a)와 제1 후방샤프트(S1b); 및 상기 제2 전방샤프트(S2a)와 제2 후방샤프트(S2b)의 설정된 구간에는, 다수개가 단차를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전방샤프트(S1a)와 제1 후방샤프트(S1b)의 설정된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에는, 내주면에 너트돌기부(Pb)가 구비되는 너트(N1)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방샤프트(S2a)와 제2 후방샤프트(S2b)의 설정된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에는, 내주면에 너트돌기부(Pb)가 구비되는 또 다른 너트(N2)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 전방샤프트(S1a)가 상기 베이스부재(B)에 대하여 일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는 원웨이클러치기구(C);를 더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원웨이클러치기구(C)는, 다수개의 일방향걸림돌기(P1~P5); 상기 다수개의 일방향걸림돌기(P1~P5)가 걸리는 클러치부재(Cl); 및 상기 클러치부재(Cl)를 탄성지지하는 클러치부재복귀스프링(S);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있어서, 메인바디지지부 또는 수평지지부에 적용되는 볼트 및 너트의 구조와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100)는, 상기 제1 전방샤프트(S1a)와 제1 후방샤프트(S1b)의 설정된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에는, 내주면에 너트돌기부(Pb)가 구비되는 너트(N1)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방샤프트(S2a)와 제2 후방샤프트(S2b)의 설정된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에는, 내주면에 너트돌기부(Pb)가 구비되는 또 다른 너트(N2)가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펼친 상태에서 설정된 경사각을 이루는 나사산을 가지는 종래의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달리, 내주면에 너트돌기부(Pb)가 구비되는 너트(N1)와 또 다른 너트(N2)가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에 결합됨으로써, 너트(N1,N2)의 상기 너트돌기부(Pb)가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 중에서 어느 볼트나사산(Pa1 ~ Pa3)과 걸리느냐에 따라, 결합된 너트(N1,N2)의 위치가, "리니어한 형태"가 아닌 "단계(step)적으로" 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있어서, 원웨이클러치기구가 구비된 수평지지부에 의하여, HCL 기체분자셀 유리관이 회동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원웨이클러치기구가 구비된 수평지지부의 회동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100)는, 상기 제1 전방샤프트(S1a)가 상기 베이스부재(B)에 대하여 일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는 원웨이클러치기구(C);를 더 포함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120)에 결합되어 있는 기체분자셀 유리관(130)은, 제1 전방샤프트(S1a)를 회동의 중심으로 일방향으로만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따르면,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에 설치되되, 상기 기체분자셀 유리관(130)와 접촉되는 상기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110a)과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110b)의 내주면; 및 상부 수평지지프레임(120a)과 하부 수평지지프레임(120b)의 내주면에는 테프론필름(T)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체분자셀 유리관(130)이 지지됨으로써, 잡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에 따르면, 내주면에 너트돌기부(Pb)가 구비되는 너트(N1)와 또 다른 너트(N2)가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에 결합됨으로써, 너트(N1,N2)의 상기 너트돌기부(Pb)가 다수개의 볼트나사산(Pa) 중에서 어느 볼트나사산(Pa1 ~ Pa3)과 걸리느냐에 따라, 결합된 너트(N1,N2)의 위치가, "리니어한 형태"가 아닌 "단계(step)적으로" 변하게 됨으로써, 정량화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110 : 메인바디지지부
110a :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
110b :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
120 : 수평지지부
120a : 상부 수평지지프레임
120b : 하부 수평지지프레임
130 : 기체분자셀 유리관
B : 베이스부재
C : 원웨이클러치기구
Cl : 클러치부재
N1 : 제1 너트
N2 : 제2 너트
P : 일방향걸림돌기
P1 : 제1 일방향걸림돌기
P2 : 제2 일방향걸림돌기
P3 : 제3 일방향걸림돌기
P4 : 제4 일방향걸림돌기
P5 : 제5 일방향걸림돌기
Pa : 볼트나사산
Pa1 : 제1 볼트나사산
Pa2 : 제2 볼트나사산
Pa3 : 제3 볼트나사산
Pb : 너트돌기부
S : 클러치부재복귀스프링
S1a : 제1 전방샤프트
S1b : 제1 후방샤프트
S2a : 제2 전방샤프트
S2b : 제2 후방샤프트
T : 테프론필름

Claims (8)

  1.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설치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부; 및
    양단부가 상기 메인바디지지부와 수평지지부에 지지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내부를 관통하는 기체분자셀 유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전방샤프트, 그리고 상기 제1 전방샤프트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후방샤프트;
    상기 제1 전방샤프트와 제1 후방샤프트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수평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 수평지지프레임에 대향되게 상기 제1 전방샤프트와 제1 후방샤프트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는 하부 수평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방샤프트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일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는 원웨이클러치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전방샤프트, 그리고 상기 제2 전방샤프트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후방샤프트;
    상기 제2 전방샤프트와 제2 후방샤프트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에 대향되게 상기 제2 전방샤프트와 제2 후방샤프트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는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자셀 유리관과 접촉되는 상기 상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과 하부 메인바디지지프레임의 내주면; 및
    상부 수평지지프레임과 하부 수평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는 테프론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샤프트와 제1 후방샤프트; 및
    상기 제2 전방샤프트와 제2 후방샤프트의 설정된 구간에는 다수개가 단차를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샤프트와 제1 후방샤프트의 설정된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에는, 내주면에 너트돌기부가 구비되는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방샤프트와 제2 후방샤프트의 설정된 구간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트나사산에는, 내주면에 너트돌기부가 구비되는 또 다른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클러치기구는,
    다수개의 일방향걸림돌기;
    상기 다수개의 일방향걸림돌기가 걸리는 클러치부재; 및
    상기 클러치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클러치부재복귀스프링;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KR1020140031506A 2014-03-18 2014-03-18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KR101437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06A KR101437419B1 (ko) 2014-03-18 2014-03-18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06A KR101437419B1 (ko) 2014-03-18 2014-03-18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419B1 true KR101437419B1 (ko) 2014-09-11

Family

ID=5175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506A KR101437419B1 (ko) 2014-03-18 2014-03-18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6626A (zh) * 2017-09-29 2018-01-12 无锡创想分析仪器有限公司 一种可转动的光谱分析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873A (en) 1974-04-04 1975-07-22 Instrumentation Labor Inc Spectroscopic analysis apparatus utilizing a tubular heating element and a passive sample holder
JPS5653448A (en) * 1979-10-08 1981-05-13 Hitachi Ltd Fixing device for discharge tube
JP2007033460A (ja) 2002-03-13 2007-02-08 Rudolph Research Analytical 旋光計
JP2009281477A (ja) 2008-05-21 2009-12-03 Nichiei Intec Co Ltd 配管パイプ支持用のレベルバン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873A (en) 1974-04-04 1975-07-22 Instrumentation Labor Inc Spectroscopic analysis apparatus utilizing a tubular heating element and a passive sample holder
JPS5653448A (en) * 1979-10-08 1981-05-13 Hitachi Ltd Fixing device for discharge tube
JP2007033460A (ja) 2002-03-13 2007-02-08 Rudolph Research Analytical 旋光計
JP2009281477A (ja) 2008-05-21 2009-12-03 Nichiei Intec Co Ltd 配管パイプ支持用のレベルバン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6626A (zh) * 2017-09-29 2018-01-12 无锡创想分析仪器有限公司 一种可转动的光谱分析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9699B (zh) 大气成分垂直分布探测的多轴差分吸收光谱方法与装置
CN104215332B (zh) 一种温室气体遥感探测方法及其装置
Valyavin et al. High-resolution fiber-fed echelle spectrograph for the 6-m telescope. I. Optical scheme, arrangement, and control system
CN102636265B (zh) 一种基于便携式测量高效紫外吸收光谱的光学系统
CN105122038A (zh) 开路式气体检测器
CN104502304A (zh) 基于虚拟狭缝技术的微型固化近红外光谱仪
Nasse et al. Recent improvements of long-path DOAS measurements: impact on accuracy and stability of short-term and automated long-term observations
CN102565003A (zh) 使用针孔狭缝的被动多轴差分吸收光谱仪系统
CN102012267A (zh) 超大视场静态偏振傅立叶变换成像光谱仪
KR101437419B1 (ko)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의 수감부 광학거치대
CN102661793A (zh) 一种平像场凸面光栅分光系统
Gurlit et al. The UV-A and visible solar irradiance spectrum: inter-comparison of absolutely calibrated, spectrally medium resolution solar irradiance spectra from balloon-and satellite-borne measurements
ES2738912B2 (es) Sistema de medida en tiempo real de la atenuacion atmosferica de una radiacion electromagnetica de al menos una fuente y metodo de medida
Zhang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n observing satellite
CN202661373U (zh) 一种大气二氧化碳浓度监测装置
Spano et al. Optical design of CAOS: a high-resolution spectropolarimeter for the Catania Astrophysical Observatory 0.91-m telescope
Larar The feasibility of tropospheric and total ozone determination using a Fabry-Perot interferometer as a satellite-based nadir-viewing atmospheric sensor
CN110849829A (zh) 一种气体浓度检测的高光谱系统
Fussen et al. Retrieval of vertical profiles of atmospheric refraction angles by inversion of optical dilution measurements
CN109490238A (zh) 一种短波红外ch4遥测成像装置
Ru et al. Optical system design of solar radiation observation instrument
RU2789346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интенсивности лазерного излучения на шарообразном космическом объекте
CN218180659U (zh) 全焦面零像散成像光谱仪
CN211877753U (zh) 一种痕量气体浓度检测的光谱系统
KR101894798B1 (ko) 망원경을 이용한 유해물질 검출용 광송수신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