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943B1 -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 Google Patents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943B1
KR101436943B1 KR1020130071780A KR20130071780A KR101436943B1 KR 101436943 B1 KR101436943 B1 KR 101436943B1 KR 1020130071780 A KR1020130071780 A KR 1020130071780A KR 20130071780 A KR20130071780 A KR 20130071780A KR 101436943 B1 KR101436943 B1 KR 101436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z
name
card
imag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호
Original Assignee
신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호 filed Critical 신정호
Priority to KR102013007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는,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으로 형성되는 제 1 명칭부와, 하나의 발명원리를 연상시키기 위한 이미지로 형성되는 제 1 연상 이미지부와, 하나의 발명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이 포함되는 연상 질문부가 배치되는 전면부 및 하나의 발명원리를 활용하기 위한 상세 활용 방법이 포함되는 활용 방법부가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IDEA CARD FOR LEARNING TRIZ}
본 발명은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에 대응하는 명칭과, 이미지, 트리즈 발명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연상 질문부 및 트리즈 발명원리를 활용하기 위한 상세 활용방법 등이 한 장의 카드에 배치되어 트리즈 발명원리의 학습 및 활용을 돕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에 관한 것이다.
트리즈(TRIZ, Teoriya Resheniya Izobretatelskih Zadach)는 러시아의 겐리히 알츠슐러(Genrich Altshuller)가 수많은 특허 분석을 통해 모든 발명에는 어떤 공통의 법칙과 패턴이 있음을 파악하여 정립한 이론이다. 트리즈는 40가지 발명원리, 76가지 표준해결책 및 문제해결 프로세스인 '아리즈(ARIZ)'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리즈는 사용자가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얻는데 관건이 되는 모순을 찾아내어 그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해결안을 얻기 위하여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또한, 트리즈는 사용자가 기존의 틀을 벗어나 활용자의 자유로운 사고 능력, 치밀한 문제분석을 통한 정확한 목표 및 다양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창조경제 시대를 맞아 트리즈에 대한 기업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미 BMW, 혼다, 필립스, 인텔, P&G 및 휴렛패커드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물론 삼성 및 LG 등과 같은 여러 국내기업들은 트리즈를 경영혁신과 산업패러다임을 바꾸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트리즈에서 가장 많이 알려지고 보편화된 40가지 발명원리는 사용의 편리함 때문에 트리즈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나 트리즈를 전혀 모르는 사람도 활용할 수 있는 만능 도구이다. 하지만, 트리즈 40가지 발명원리를 익히기 위한 교재나 강의 등은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일반 사람들이 트리즈 발명원리를 익히고 활용하기에 다소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리즈 40가지 발명원리를 용이하게 학습 및 활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는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으로 형성되는 제 1 명칭부와,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연상시키기 위한 이미지로 형성되는 제 1 연상 이미지부와,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이 포함되는 연상 질문부가 배치되는 전면부, 및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활용하기 위한 상세 활용 방법이 포함되는 활용 방법부가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명칭부는,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국문으로 표기된 제 1 국문명칭과,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된 제 1 영문명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 상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에 맵핑된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에 인식되는 이미지 마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에 할당된 고유의 번호로 형성되는 제 1 번호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부에 상기 제 1 번호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번호부의 하부에 상기 제 1 명칭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명칭부의 하부에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 하부에 상기 연상 질문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제 1 번호부와 동일한 번호로 형성되는 2 번호부와,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와 동일한 형상의 이미지로 형성되는 제 2 연상 이미지부와, 상기 제 1 명칭부와 동일한 명칭으로 형성되는 제 2 명칭부와,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가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례가 포함되는 적용 사례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드는, 연령 계층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적용 사례부에 포함되는 사례는 상기 연령 계층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령계층은 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및 성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는, 기술분야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적용 사례부에 포함되는 사례는 상기 기술분야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분야는 기계분야, 전기전자분야 및 화학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상 이미지부는,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명칭부는, 상기 하나의 발명 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국문으로 표기된 제 2 국문명칭과, 상기 하나의 발명 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된 제 2 영문명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에 상기 제 2 번호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번호부의 하단에 상기 제 2 연상 이미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상 이미지부의 하단에 상기 제 2 명칭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명칭부 하단에 상기 활용 방법부가 배치되고, 상기 활용 방법부 하단에 상기 적용 사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QR 코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QR코드에는 소정의 URL로 연결되기 위한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상기 QR코드에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에 의하면, 카드 양면에 트리즈 40가지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부, 연상 이미지부, 연상 질문부 및 활용 방법부 등을 배치함으로써 트리즈 발명원리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트리즈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전면부의 제 1 예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후면부의 제 1 예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전면부의 제 2 예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후면부의 제 2 예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 전면부(110)의 제 1 예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 후면부(120)의 제 1 예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점선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의 구성을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된 것으로 실제 카드(100)에는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는 트리즈 발명원리 별로 한 장씩 제작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우선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분할’에 대한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를 포함하는 양면 카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의 전면부(110)는 제 1 번호부(111), 제 1 명칭부(112), 제 1 연상 이미지부(113) 및 연상 질문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번호부(111)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할당된 고유의 번호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분할’에 ‘01’이 고유의 번호로 할당되면, 제 1 번호부(111)는 ‘분할’에 할당된 고유번호인 ‘01’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번호부(111)를 통해 할당된 고유의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에 대한 카드를 구별할 수 있다.
제 1 명칭부(112)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으로 형성된다. 제 1 명칭부(112)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국문으로 표기된 제 1 국문명칭(112a)과,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된 제 1 영문명칭(112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명칭부(112)는 제 1 국문명칭(112a)이 ‘분할’로 표기되고, 제 1 영문명칭(112b)이 제 1 국문명칭(112a)과 동일한 뜻을 가진‘Segmentation’으로 표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국문명칭(112a)과 제 1 영문명칭(112b)은 국문과 영문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언어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를 연상시키기 위한 이미지로 형성된다. 상기 이미지는 대응되는 발명원리를 연상시키는 간단한 형상의 이미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분할’의 경우, 학습자가 트리즈 발명원리 중 ‘분할’이라는 원리를 직감할 수 있도록 사각형이 4등분된 이미지가 할당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에 의해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가 시각화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연상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상 이미지부(113)를 통해 트리즈의 발명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는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을 위한 이미지 마커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는 이미지 마커에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의 소정의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는 이미지 마커로 형성됨으로써 이미지에 맵핑된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에 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기기가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를 인식하면, 스마트 기기는 제 1 연상 이미지부에 매핑된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가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113)에 매핑된 정보를 통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분할’에 해당한다는 것을 인식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는 트리즈 발명 원리 중 ‘분할’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청각적 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를 활용하여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를 학습하면서 필요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학습방법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연상 질문부(114)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상 질문부(114)는 해당 발명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들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분할’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으로 ‘무엇을 분할해 보시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이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상 질문부(114)를 통해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트리즈 기법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는 후면부(120)에 제 2 번호부(121), 제 2 연상 이미지부(122), 제 2 명칭부(123), 활용 방법부(124), 적용 사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번호부(121)는 제 1 번호부(111)와 동일한 번호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번호부(111)가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분할’에 할당되는 고유의 번호 ‘01’로 형성되면, 제 2 번호부(121)는 제 1 번호부(111)와 동일하게 ‘01’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번호부(111)를 통해 할당된 고유의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제 2 연상 이미지부(122)는 제 1 연상 이미지부(113)와 동일한 형상의 이미지로 형성되며, 제 1 연상 이미지부(11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상 이미지부(113)가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분할’이 연상되는 사각형이 4등분 된 이미지로 형성되면, 제 2 연상 이미지부(122) 또한 ‘분할’을 연상시키는 상기 이미지와 동일한 형상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명칭부(123)는 제 2 국문명칭(123a) 및 제 2 영문명칭(12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국문명칭(123a)은 제 1 국문명칭(112a)과 동일한 명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영문명칭(123b)은 제 1 영문명칭(112b)과 동일한 명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활용 방법부(124)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를 활용하기 위한 상세 활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분할’을 활용하기 위한 상세 활용 방법은 ‘독립적인 하위 시스템으로 나눈다.’, ‘조립과 분해가 쉽게 만든다.’, ‘분할의 정도를 높인다.’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활용 방법부(124)를 통해 발명원리를 활용하는 방법을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다.
적용 사례부(125)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가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분할’이 적용되는 사례로서 ‘짬짜면, 자동차 범퍼, 조각피자, 조립식 가구, 커터 칼날, 회전초밥 접시, 블라인드, 다이어리 속지, 커피믹스, 모듈형 깔판’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가 실제 적용된 사례들이 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이해하고, 유사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는 기술분야에 따라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기술 분야는 기계분야, 전기전자분야 및 화학분야 중 적어도 하나의 분야가 포함될 수 있다. 적용 사례부(125)는 상기 기술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른 적용 사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른 적용 사례가 포함된 적용 사례부(125)가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에 배치됨으로써, 트리즈 기술분야 별로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를 특화시켜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는 연령 계층에 따라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연령 계층은 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및 성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적용 사례부(125)는 상기 연령 계층에 따라 서로 다른 적용 사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령 계층에 따라 서로 다른 적용 사례가 포함된 적용 사례부(125)가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에 배치됨으로써, 연령 계층 별로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를 특화시켜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번호부, 제 1 명칭부, 제 1 연상 이미지부, 연상 질문부, 제 2 번호부, 제 2 연상 이미지부, 제 2 명칭부, 활용 방법부, 적용 사례부의 배치 위치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도면에서 표시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 전면부(110)의 제 1 예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 후면부(120)의 제 1 예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점선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의 구성을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된 것으로 실제 카드(100)에는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는 트리즈 발명원리 별로 한 장씩 제작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우선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추출’에 대한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를 포함하는 양면 카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의 전면부(110)는 제 1 번호부(111), 제 1 명칭부(112), 제 1 연상 이미지부(113) 및 연상 질문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번호부(111)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할당된 고유의 번호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추출’에 ‘02’가 고유의 번호로 할당되면, 제 1 번호부(111)는 ‘추출’에 할당된 고유번호인 ‘02’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번호부(111)를 통해 할당된 고유의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에 대한 카드를 구별할 수 있다.
제 1 명칭부(112)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으로 형성된다. 제 1 명칭부(112)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국문으로 표기된 제 1 국문명칭(112a)과,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된 제 1 영문명칭(112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명칭부(112)는 제 1 국문명칭(112a)이 ‘추출’로 표기되고, 제 1 영문명칭(112b)이 제 1 국문명칭(112a)과 동일한 뜻을 가진‘Separation’으로 표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국문명칭(112a)과 제 1 영문명칭(112b)은 국문과 영문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언어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를 연상시키기 위한 이미지로 형성된다. 상기 이미지는 대응되는 발명원리를 연상시키는 간단한 형상의 이미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추출’의 경우, 학습자가 트리즈 발명원리 중 ‘추출’이라는 원리를 직감할 수 있도록 사각형의 소정 부분이 분리되어 떨어져 있는 이미지가 할당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에 의해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가 시각화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연상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상 이미지부(113)를 통해 트리즈의 발명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는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을 위한 이미지 마커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는 이미지 마커에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의 소정의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는 이미지 마커로 형성됨으로써 이미지에 맵핑된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에 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기기가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를 인식하면, 스마트 기기는 제 1 연상 이미지부에 매핑된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가 제 1 연상 이미지부(113)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113)에 매핑된 정보를 통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추출’에 해당한다는 것을 인식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는 트리즈 발명 원리 중 ‘추출’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청각적 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를 활용하여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를 학습하면서 필요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학습방법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 연상 이미지부(113)가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을 위한 이미지 마커로 형성되는 대신 상기 전면부(110) 또는 후면부(120)의 적어도 일면에 QR코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의 지면 공간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QR 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QR 코드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홈페이지의 URL의 정보가 매핑되어, 학습자가 자신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기기에 이용하여 QR 코드를 통해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필요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QR 코드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학습자가 자신의 사용자 기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에 상기 QR 코드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필요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에 표시된 트리즈 발명원리에 대한 상세 설명 및 추가적인 적용사례 등 학습자에게 제공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상 질문부(114)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상 질문부(114)는 해당 발명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들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추출’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질문으로 ‘어떤 필요한 부분만 추출해 보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이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상 질문부(114)를 통해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트리즈 기법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100)는 후면부(120)에 제 2 번호부(121), 제 2 연상 이미지부(122), 제 2 명칭부(123), 활용 방법부(124), 적용 사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번호부(121)는 제 1 번호부(111)와 동일한 번호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번호부(111)가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추출’에 할당되는 고유의 번호 ‘02’로 형성되면, 제 2 번호부(121)는 제 1 번호부(111)와 동일하게 ‘0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번호부(111)를 통해 할당된 고유의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제 2 연상 이미지부(122)는 제 1 연상 이미지부(113)와 동일한 형상의 이미지로 형성되며, 제 1 연상 이미지부(11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상 이미지부(113)가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추출’이 연상되는 사각형의 소정 부분이 분리되어 떨어져 있는 이미지로 형성되면, 제 2 연상 이미지부(122) 또한 ‘추출’을 연상시키는 상기 이미지와 동일한 형상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명칭부(123)는 제 2 국문명칭(123a) 및 제 2 영문명칭(12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국문명칭(123a)은 제 1 국문명칭(112a)과 동일한 명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영문명칭(123b)은 제 1 영문명칭(112b)과 동일한 명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활용 방법부(124)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를 활용하기 위한 상세 활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추출’을 활용하기 위한 상세 활용 방법은 ‘방해가 되는 부분이나 특성만을 추출한다.’ 및 ‘필요한 부분이나 특성만을 추출한다.’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활용 방법부(124)를 통해 발명원리를 활용하는 방법을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다.
적용 사례부(125)는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가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인 ‘추출’이 적용되는 사례로서 ‘순살치킨, 저가 항공 서비스, 영양제, 프랜차이즈, 인터넷 쇼핑몰, 할인 이벤트, 티백, 중앙 냉난방 서비스, 교체용 배터리, 아웃소싱’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가 실제 적용된 사례들이 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이해하고, 유사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110: 전면부
111: 제 1 번호부
112: 제 1 명칭부
113: 제 1 연상 이미지부
114: 연상 질문부
120: 후면부
121: 제 2 번호부
122: 제 2 연상 이미지부
123: 제 2 명칭부
124: 활용 방법부
125: 적용 사례부

Claims (16)

  1. 트리즈 발명원리 중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으로 형성되는 제 1 명칭부와,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연상시키기 위한 이미지로 형성되는 제 1 연상 이미지부와, 소정의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연상시키기 위한,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적용한 질문이 포함되는 연상 질문부가 배치되는 전면부; 및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를 활용하기 위한 상세 활용 방법이 포함되는 활용 방법부 및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가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례가 포함되는 적용 사례부가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명칭부는,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국문으로 표기된 제 1 국문명칭과,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된 제 1 영문명칭으로 형성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 상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에 맵핑된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에 인식되는 이미지 마커로 형성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하나의 발명원리에 할당된 고유의 번호로 형성되는 제 1 번호부가 더 배치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부에 상기 제 1 번호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번호부의 하부에 상기 제 1 명칭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명칭부의 하부에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 하부에 상기 연상 질문부가 배치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제 1 번호부와 동일한 번호로 형성되는 제2 번호부와,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와 동일한 형상의 이미지로 형성되는 제 2 연상 이미지부와,
    상기 제 1 명칭부와 동일한 명칭으로 형성되는 제 2 명칭부가 더 배치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연령 계층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적용 사례부에 포함되는 사례는 상기 연령 계층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령계층은 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및 성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기술분야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적용 사례부에 포함되는 사례는 상기 기술분야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분야는 기계분야, 전기전자분야 및 화학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상 이미지부는,
    상기 제 1 연상 이미지부 보다 작게 형성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명칭부는,
    상기 하나의 발명 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국문으로 표기된 제 2 국문명칭과,
    상기 하나의 발명 원리에 대응하는 명칭이 영문으로 표기된 제 2 영문명칭으로 형성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는,
    상단에 상기 제 2 번호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번호부의 하단에 상기 제 2 연상 이미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상 이미지부의 하단에 상기 제 2 명칭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명칭부 하단에 상기 활용 방법부가 배치되고,
    상기 활용 방법부 하단에 상기 적용 사례부가 배치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QR 코드가 형성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에는 소정의 URL로 연결되기 위한 정보가 매핑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에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정보가 매핑되는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KR1020130071780A 2013-06-21 2013-06-21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KR10143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780A KR101436943B1 (ko) 2013-06-21 2013-06-21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780A KR101436943B1 (ko) 2013-06-21 2013-06-21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943B1 true KR101436943B1 (ko) 2014-09-02

Family

ID=5175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780A KR101436943B1 (ko) 2013-06-21 2013-06-21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9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69B1 (ko) * 2003-11-18 2005-03-14 주식회사 북이십일 한자학습용 게임카드와 인터넷을 이용한 한자학습용게임카드 시스템 및 카드 게임 방법
JP3163590U (ja) * 2010-08-10 2010-10-21 株式会社 トライエックス 外国語学習可能カレンダ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69B1 (ko) * 2003-11-18 2005-03-14 주식회사 북이십일 한자학습용 게임카드와 인터넷을 이용한 한자학습용게임카드 시스템 및 카드 게임 방법
JP3163590U (ja) * 2010-08-10 2010-10-21 株式会社 トライエックス 外国語学習可能カレンダ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hlke et al. Crisis-driven innovation and fundamental human needs: A typological framework of rapid-response COVID-19 innovations
Koeman et al. " Everyone Is Talking about It!" A Distributed Approach to Urban Voting Technology and Visualisations
Mazza Introduction to information visualization
Berg et al. Creative industrie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Boyd The right to a healthy environment: Revitalizing Canada’s constitution
Monmonier Lying with maps
Kontopodis et al. Children, development and education: Cultural, historic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RU2014138615A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сравнительны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дисплей
Cattoor et al. Re-cartographies of landscape: New narratives in architectural atlases
CN103810911A (zh) 人机互动式电子地球仪
Krestanova et al. Development and technical design of tangible user interfaces in wide-field areas of application
KR101436943B1 (ko) 트리즈 학습용 아이디어 카드
Leihy et al. Quality street: Encountering higher education’s accountabilities
Kim et al. Development of children’s story production system for children creativity improvement
CN105590483A (zh) 实体教具和app相结合的儿童教学产品及其教学方法
Jiyane Recounting the empowerment of women in rural areas of KwaZulu-Natal from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hen Nation, culture, and identity in transnational child welfare practices: Reflection on history to understand the present
Bozzola et al. Design and Craftsmanship for Cultural Heritage: The ‘Materialmente’Project–An Experience from Italy
Litman-Cleper Earth-centered communication technology: Lichen as a model interface
Ullmer et al. Variations on a Hexagon: Iterative Design of Interactive Cyberphysical Tokens and Constraints
Crawford et al. Understanding pictorial metaphor in comic book covers: A test of the contextual and structural frameworks
Othman et al. Understanding visitors' experiences with multimedia guides in cultural spaces
Manno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commoditization
Narayanan Enactive Design
Vias Book Review: Polèse, M.(2010). The Wealth and Poverty of Regions: Why Cities Matter.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