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472B1 -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472B1
KR101436472B1 KR1020120102990A KR20120102990A KR101436472B1 KR 101436472 B1 KR101436472 B1 KR 101436472B1 KR 1020120102990 A KR1020120102990 A KR 1020120102990A KR 20120102990 A KR20120102990 A KR 20120102990A KR 101436472 B1 KR101436472 B1 KR 101436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offset value
signal
base station
ma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646A (ko
Inventor
박치영
이상민
안동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4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및 인터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상이한 오프셋값을 적용함으로써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하여, 통신서비스의 속도 및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캐리어(Multi-Carrier)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및 인터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상이한 오프셋값을 적용함으로써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하여, 통신서비스의 속도 및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와 함께, LTE 망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LTE 단말)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LTE 망에서 서로 다른 다수의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캐리어(Multi-Carrier)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멀티캐리어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LTE 망의 서로 다른 2개의 주파수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선택하여 이를 통해 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LTE 망의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한 상태에서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가 특정 임계값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A2이벤트가 발생하게 되어 LTE 망 내 다른 주파수대역으로의 핸드오버(Handover)나 접속전환(Redirection)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LTE 망의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한 상태에서 LTE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 보다 주변의 다른 LTE 셀의 신호세기가 특정 오프셋값 이상으로 큰 경우 A3이벤트가 발생하게 되어 동일한 특정 주파수대역 내 다른 LTE 셀로의 핸드오버(Handover)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는 LTE 망 내의 다른 주파수대역으로의 핸드오버(Handover)나 접속전환(Redirection) 절차, 및 LTE 망 내의 동일 주파수대역에서 다른 셀로의 핸드오버(Handover) 절차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A3이벤트를 이용하고자 하는 일관된 운영 방식이 요구된다.
헌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의 핸드오버(Handover)나 접속전환(Redirection) 절차 및 동일 주파수대역에서 다른 셀로의 핸드오버(Handover) 절차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A3이벤트를 이용하는 경우, 동일한 조건 예컨대 동일한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A3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멀티캐리어 시스템의 운영 효율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멀티캐리어 시스템 환경에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함으로써, 통신서비스의 속도 및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하여 멀티캐리어 시스템의 운영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멀티캐리어환경에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함으로써, 통신서비스의 속도 및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Intra) 주파수대역 및 인터(Inter)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부; 및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프셋값정보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청부는, 상기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따른 에이3(A3)이벤트메시지를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된 기지국으로 제공하여,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1확인부; 상기 단말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하게 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2확인부;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를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부; 및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하는 핸드오버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프셋값정보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단계; 및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요청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며,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1확인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하게 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2확인단계;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단계; 및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하는 핸드오버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며,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및 인터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상이한 오프셋값을 적용함으로써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하여, 통신서비스의 속도 및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하여 멀티캐리어 시스템의 운영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포함한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포함한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시스템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장치(100,200), 단말장치(100,200)와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되는 기지국장치(300,4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200)는 서로 다른 다수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캐리어(Multi-Carrier)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이다.
기지국장치(300,400)는, 전술의 멀티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이다.
이에, 단말장치(100,200)는, 서로 다른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장치(300,400)와 접속함으로써 기지국장치(300,400)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하나의 통신망 예컨대 LTE 망에서 이용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100,200)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300,4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200)는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 즉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300,4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이는, 측정한 서빙 셀의 신호세기를 기초로, 인트라(Intra) 주파수대역 즉 동일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Handover) 또는 인터(Inter) 주파수대역 즉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이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핸드오버(Handover) 수행이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기지국장치(3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기지국장치(3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 즉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기 설정된 인접신호 감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대역은, 현재 단말장치(100)가 기지국장치(300)와 접속한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주파수대역일 수도 있고 다른 주파수대역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접신호 감시 이벤트는,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가 특정 임계값 이하로 내려감에 따라 발생하는 A2이벤트 발생에 기인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을 포함하며, 단말장치(100) 및 기지국장치(3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상호 접속된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전술의 제1신호는 단말장치(1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이며, 전술의 제2신호는 단말장치(1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을 포함한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을 통해 기지국(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제2신호를 확인하고, 다수의 제2신호 각각의 신호세기 즉 인접 셀(Neighbor Cell) 각각의 신호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제2신호 중 하나의 제2신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 및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오프셋값정보 중에서 접속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즉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제1주파수대역이면,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
예컨대, 제2신호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라면, 단말장치(100)는,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즉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이면,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
예컨대, 제2신호가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라면, 단말장치(100)는,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간 신호세기의 신호세기차이값을 확인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접속 상태인 기지국장치(300)에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장치(100)는,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따른 에이3(A3)이벤트메시지를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 상태인 기지국장치(300)로 제공하여,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처럼, A3이벤트메시지가 기지국장치(300)로 제공되면, 기지국장치(300)는 A3이벤트메시지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대역 즉 동일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의 핸드오버 또는 인터 주파수대역 즉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단말장치(200), 기지국장치(4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2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 즉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말장치(200)는, 기 설정된 인접신호 감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주파수대역은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을 포함하며, 단말장치(200) 및 기지국장치(4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상호 접속된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 경우, 전술의 제1신호는 단말장치(2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이며, 전술의 제2신호는 단말장치(2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200)는, 측정한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측정한 다수의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신호세기정보를 기지국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400)는,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자신에 접속된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단말장치(2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와,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 및 인접한 인접기지국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한다.
예컨대, 기지국장치(40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세기정보로부터 제1신호의 신호세기와 다수의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제2신호 중 하나의 제2신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기지국장치(400)는,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 및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지국장치(400)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오프셋값정보 중에서 접속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기지국장치(400)는, 제2신호와 관련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즉 제2신호와 관련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제1주파수대역이면,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
예컨대, 제2신호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200)로 수신되는 신호라면, 기지국장치(400)는,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한편, 기지국장치(400)는, 제2신호와 관련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즉 제2신호와 관련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이면,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
예컨대, 제2신호가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예 : 기지국장치(4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부터 단말장치(200)로 수신되는 신호라면, 기지국장치(400)는,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장치(400)는, 전술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간 신호세기의 신호세기차이값을 확인한다.
이에, 기지국장치(400)는, 신호세기차이값이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장치(400)는, 상기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에 따라,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대역 즉 동일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의 핸드오버 또는 인터 주파수대역 즉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예 : 기지국장치(4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110)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120)와,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부(130)와,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요청부(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장치(100)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에 접속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측정부(110)는,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된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다시 말해, 제1측정부(110)는, 현재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 즉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제2측정부(12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대역은, 현재 단말장치(100)가 기지국장치(300)와 접속한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주파수대역일 수도 있고 다른 주파수대역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2측정부(120)는, 기 설정된 인접신호 감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신호는 단말장치(1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측정부(120)는, 현재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을 포함한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을 통해 기지국(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제2신호를 확인하고, 다수의 제2신호 각각의 신호세기 즉 인접 셀(Neighbor Cell) 각각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제2신호 중 하나의 제2신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오프셋값추출부(130)는,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프셋값추출부(130)는,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A 및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B가 맵핑된 정보일 수 있고,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A 및 인터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C가 맵핑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오프셋값추출부(130)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오프셋값정보 중에서 접속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오프셋값추출부(130)는,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제2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제2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
예컨대, 오프셋값추출부(130)는, 제2신호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라면,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한편, 오프셋값추출부(130)는, 제2신호가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라면,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이때, 오프셋값정보는,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하가 가장 작은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설정일 것이다.
또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인터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 보다 부하가 작은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설정일 것이다.
요청부(140)는, 전술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간 신호세기의 신호세기차이값을 확인한다. 즉, 제2신호의 신호세기가 제1신호의 신호세기 보다 얼마나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요청부(140)는,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한다.
즉, 요청부(140)는,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따른 에이3(A3)이벤트메시지를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 상태인 기지국장치(300)로 제공하여,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처럼, A3이벤트메시지가 기지국장치(300)로 제공되면, 기지국장치(300)는 A3이벤트메시지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대역 즉 동일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의 핸드오버 또는 인터 주파수대역 즉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할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값정보는,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가장 작은 경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가장 작게 설정하고,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크면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다른 주파수대역 즉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100)가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가장 작으면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초과할 확률이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부하 상태가 좋은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고,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제2주파수대역의 부하 상태 보다 크면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초과할 확률이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부하 상태가 좋은 인터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400)는, 단말장치(200)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1확인부(410)와, 단말장치(200)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하게 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2확인부(420)와,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부(430)와,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하는 핸드오버수행부(4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장치(400)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장치(200)와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확인부(410)는,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단말장치(200)가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한다.
예컨대, 제1확인부(41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세기정보로부터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2확인부(42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장치(200)가 수신하게 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한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대역은, 현재 단말장치(200)가 기지국장치(400)와 접속한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주파수대역일 수도 있고 다른 주파수대역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2확인부(42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세기정보로부터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제1확인부(410) 및 제2확인부(42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세기정보 이외에도 단말장치(200)가 연동하는 다른 장치(미도시)를 통해 단말장치에 대한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제2신호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2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처럼, 제2확인부(420)는,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다수의 제2신호 각각의 신호세기 즉 인접 셀(Neighbor Cell) 각각의 신호세기를 확인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제2신호 중 하나의 제2신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오프셋값추출부(430)는,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프셋값추출부(430)는,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A 및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B가 맵핑된 정보일 수 있고,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A 및 인터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C가 맵핑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오프셋값추출부(430)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오프셋값정보 중에서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오프셋값추출부(430)는,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제2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제2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
예컨대, 오프셋값추출부(430)는, 제2신호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200)가 수신하는 신호라면,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한편, 오프셋값추출부(430)는, 제2신호가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예 : 기지국장치(4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부터 단말장치(200)가 수신하는 신호라면,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이때, 오프셋값정보는,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하가 가장 작은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설정일 것이다.
또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인터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 보다 부하가 작은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설정일 것이다.
핸드오버수행부(440)는, 전술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간 신호세기의 신호세기차이값을 확인한다. 즉, 제2신호의 신호세기가 제1신호의 신호세기 보다 얼마나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핸드오버수행부(440)는,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핸드오버수행부(440)는,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에 따라,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대역 즉 동일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의 핸드오버 또는 인터 주파수대역 즉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예 : 기지국장치(4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값정보는,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가장 작은 경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가장 작게 설정하고,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크면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다른 주파수대역 즉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200)가 접속 중인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 상태에 따라,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가장 작으면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초과할 확률이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부하 상태가 좋은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고,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제2주파수대역의 부하 상태 보다 크면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초과할 확률이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부하 상태가 좋은 인터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2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에 의하면, 멀티캐리어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인트라 및 인터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상이한 오프셋값을 적용함으로써,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할 수 있고, 더불어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하는데 있어서 부하 상태가 작은 주파수대역으로의 핸드오버 수행이 많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서비스의 속도 및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하여 주파수대역 별 부하 균형을 성취하고 멀티캐리어 시스템의 운영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포함한 통신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말장치(100) 및 기지국장치(300)는, 서로 다른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S10).
이하에서는, 설명이 편의를 위해 단말장치(100) 및 기지국장치(300)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상호 접속되는 상태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기 설정된 인접신호 감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S20),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 즉 인접 셀(Neighbor Cell)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S30).
물론, 단말장치(100)는,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 즉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 역시 측정한다.
이 경우, 전술의 제1신호는 단말장치(1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이며, 전술의 제2신호는 단말장치(1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신호 중 하나의 제2신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말장치(100)는,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 및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오프셋값정보 중에서 접속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를 확인한다(S35).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즉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제1주파수대역이면,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즉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이면,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S40).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간 신호세기의 신호세기차이값을 확인하고, 신호세기차이값이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
이에, 단말장치(100)는,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접속 상태인 기지국장치(300)에 요청할 수 있다(S60).
예컨대, 단말장치(100)는,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따른 에이3(A3)이벤트메시지를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 상태인 기지국장치(300)로 제공하여,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처럼, A3이벤트메시지가 기지국장치(300)로 제공되면, 기지국장치(300)는, A3이벤트메시지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대역 즉 동일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의 핸드오버 또는 인터 주파수대역 즉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한다(S7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를 포함한 통신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말장치(200) 및 기지국장치(400)는, 서로 다른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S10).
이하에서는, 설명이 편의를 위해 단말장치(200) 및 기지국장치(400)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상호 접속되는 상태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말장치(200)는, 기 설정된 인접신호 감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S20),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 즉 인접 셀(Neighbor Cell)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S30). 물론, 단말장치(200)는,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 즉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 역시 측정한다.
이러한 단말장치(200)는, 측정한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측정한 다수의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포함하는 신호세기정보를 기지국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S37).
기지국장치(400)는,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자신에 접속된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단말장치(2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와, 특정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 및 인접한 인접기지국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한다.
예컨대, 기지국장치(400)는, S37단계에서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세기정보로부터 제1신호의 신호세기와 다수의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제2신호 중 하나의 제2신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기지국장치(400)는,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 및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지국장치(400)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오프셋값정보 중에서 접속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를 확인한다(S75).
그리고, 기지국장치(400)는,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즉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제1주파수대역이면,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현재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즉 제2신호가 수신된 특정 주파수대역이 제2주파수대역이면,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S80).
그리고, 기지국장치(400)는, 전술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간 신호세기의 신호세기차이값을 확인하고, 신호세기차이값이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90).
이에, 기지국장치(400)는, 신호세기차이값이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S95).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와 접속한다(S10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인접신호 감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S110),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 즉 인접 셀(Neighbor Cell)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S120). 물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 즉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세기 역시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A 및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B가 맵핑된 정보일 수 있고,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A 및 인터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오프셋값C가 맵핑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오프셋값정보 중에서 접속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를 확인한다(S125).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제2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제2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S130).
예컨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신호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라면,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신호가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라면,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이때, 오프셋값정보는,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하가 가장 작은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한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설정일 것이다.
또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의 부하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인터 주파수대역(예 : 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 보다 부하가 작은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로의 핸드오버 수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설정일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간 신호세기의 신호세기차이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4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의 결과,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따른 에이3(A3)이벤트메시지를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 상태인 기지국장치(300)로 제공하여,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S150).
이처럼, A3이벤트메시지가 기지국장치(300)로 제공되면, 기지국장치(300)는 A3이벤트메시지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대역 즉 동일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의 핸드오버 또는 인터 주파수대역 즉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예 : 기지국장치(3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할 것이다(S160).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장치(200)와 접속한다(S20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단말장치(200)가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한다(S210). 예컨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세기정보로부터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단말장치(200)가 수신하게 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한다(S210). 예컨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세기정보로부터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세기정보 이외에도 단말장치(200)가 연동하는 다른 장치(미도시)를 통해 단말장치에 대한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제2신호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200)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4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및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다수의 제2신호 각각의 신호세기 즉 인접 셀(Neighbor Cell) 각각의 신호세기를 확인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제2신호 중 하나의 제2신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값정보는,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오프셋값정보 중에서 현재 접속 주파수대역 즉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오프셋값정보를 확인한다(S215).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제2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제2신호가 수신된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된 제1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되는 오프셋값을 추출한다(S220).
예컨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신호가 제1주파수대역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200)가 수신하는 신호라면,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트라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신호가 제2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예 : 기지국장치(4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부터 단말장치(200)가 수신하는 신호라면, 제1주파수대역에 대응하여 확인한 오프셋값정보에서 인터 주파수대역(제2주파수대역)에 맵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간 신호세기의 신호세기차이값을 확인하고,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3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S230단계의 결과,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한다(S240).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확인한 신호세기차이값이 전술의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근거하여 기 정의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에 따라, 단말장치(200)에 대하여 인트라 주파수대역 즉 동일 주파수대역 내 다른 기지국장치(예 : 인접기지국장치(500))로의 핸드오버 또는 인터 주파수대역 즉 다른 주파수대역 내 기지국장치(예 : 기지국장치(400), 인접기지국장치(500) 등)로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멀티캐리어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인트라 및 인터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상이한 오프셋값을 적용함으로써,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할 수 있고, 더불어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하는데 있어서 부하 상태가 작은 주파수대역으로의 핸드오버 수행이 많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서비스의 속도 및 품질을 보장하는 최적의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도록 하여 주파수대역 별 부하 균형을 성취하고 멀티캐리어 시스템의 운영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멀티캐리어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및 인터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상이한 오프셋값을 적용함으로써,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조건을 이원화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200 : 단말장치
300,400 : 기지국장치

Claims (13)

  1.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Intra) 주파수대역 및 인터(Inter)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부; 및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값정보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부는,
    상기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함에 따른 에이3(A3)이벤트메시지를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된 기지국으로 제공하여,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1확인부;
    상기 단말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하게 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2확인부;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부; 및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하는 핸드오버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값정보는,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0.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단계; 및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요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며,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2.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접속 주파수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게 되는 제1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1확인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특정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하게 되는 제2신호의 신호세기를 확인하는 제2확인단계;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을 기준으로 인트라 주파수대역 및 인터 주파수대역 별로 상이하게 맵핑되는 오프셋값을 포함한 오프셋값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동일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매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이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과 상이하면 상기 오프셋값정보에서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매핑된 오프셋값을 추출하는 오프셋값추출단계; 및
    상기 제1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제2신호의 신호세기 간의 신호세기차이값이 상기 추출한 오프셋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신호에 관련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하는 핸드오버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부하 중 가장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가장 작게 설정되며,
    상기 접속 주파수대역의 부하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의 부하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 주파수대역에 맵핑되는 오프셋값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102990A 2012-09-17 2012-09-17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KR10143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990A KR101436472B1 (ko) 2012-09-17 2012-09-17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990A KR101436472B1 (ko) 2012-09-17 2012-09-17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46A KR20140036646A (ko) 2014-03-26
KR101436472B1 true KR101436472B1 (ko) 2014-09-01

Family

ID=5064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990A KR101436472B1 (ko) 2012-09-17 2012-09-17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4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3510A (ja) 2009-11-10 2011-05-26 Ntt Docomo Inc 移動機、ネットワーク、およ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JP2011166713A (ja) 2010-02-15 2011-08-25 Ntt Docomo Inc 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3510A (ja) 2009-11-10 2011-05-26 Ntt Docomo Inc 移動機、ネットワーク、およ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JP2011166713A (ja) 2010-02-15 2011-08-25 Ntt Docomo Inc 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331 V8.5.0 (Release 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46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8898B2 (en) Method for detecting pci collisions
KR101790588B1 (ko) 무선링크 실패 리포트 처리 방법 및 모바일 파라미터 조정 방법
US9014146B2 (en) Network redirection in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US10159019B2 (en) Improving overall network performance and/or overall quality of service of user equipm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2541986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porting handover scenario judgement parameter and base station for handover scenario judgement
US20100165836A1 (en) Technique for Handling Radio Link Failur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883442B2 (en) Offload processing method, control unit, and system
EP3142418B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cell selection control method, and wideband-all-symbols-measurement parameter transmission method
US20140187247A1 (en) Intelligent IRAT Handover Requests
WO20161104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failure reporting
KR20130093654A (ko) 무선 링크 고장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비 및 eNB
US20160057688A1 (en) Handling uplink/downlink imbalance
US20140287756A1 (en)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after access failure of terminal
EP3205169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robustness optimization
CN113382448B (zh) 共享网络下的邻区选择方法、终端设备及通信系统
EP3119131B1 (en) Cell access methods
KR101915108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WO201202316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preparation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12020095B (zh) 上行带宽部分切换处理方法
KR101436472B1 (ko)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KR101387151B1 (ko)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그 장치들의 동작 방법
US94800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ell identity conflict
EP2704487A1 (en) Improved handover control
KR102101606B1 (ko) 핸드오버 결정 방법
KR102036234B1 (ko) 핸드오버제어장치 및 핸드오버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