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122B1 -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122B1
KR101436122B1 KR1020130166588A KR20130166588A KR101436122B1 KR 101436122 B1 KR101436122 B1 KR 101436122B1 KR 1020130166588 A KR1020130166588 A KR 1020130166588A KR 20130166588 A KR20130166588 A KR 20130166588A KR 101436122 B1 KR101436122 B1 KR 101436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tretchable
mesh fabric
mesh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형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스원코퍼레이션
이정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스원코퍼레이션, 이정형 filed Critical (주) 에이스원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16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1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30Partial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combining fabrics having different shap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processing patterns to present two patterns in a three-dimensional form by the separation of two fabrics, and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includes stacking a mesh fabric on the upper part of an elastic or non-elastic fabric, partially attaching the mesh fabric on the elastic or non-elastic fabric by a high frequency wave, and dye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mesh fabric to present same patterns on each of the mesh fabric and the elastic or non-elastic fabric to provide a steric effect by a dyeing or transferring process while the mesh fabric except for the part combined to the elastic or non-elastic fabric is separated to have an effect of mysteriously showing pattern in three dimension.

Description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과 그 제조방법{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

본 발명은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형태의 직물을 서로 이격되게 결합시킨 상태로 문양 가공을 시행하여 두 직물의 이격에 의해 입체적으로 문양이 표현되도록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ation method in which a pattern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different types of fabric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입체 무늬를 갖는 원단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원단에 입체무늬를 성형하는 방법도 이미 알려져 있다. 종래의 방법은 서로 다른 형태의 직물을 전면 본딩 접합한 상태에서 날염을 하고 봉제(옷을 만듬)후에 다시 수작업을 통해 두 직물을 분리하여 입체효과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제조공정이 무척 복잡하고, 효과에 비해 인력과 비용이 많이 드는 낡은 방식이다.Generally, a fabric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already known, and a method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on a fabric is already known.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fabric is subjected to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separating two fabrics by hand after sewing (sewing) after the front-bonding bonding of the different types of fabrics, It is an old method that is labor-intensive and costly.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일반적인 원단과 메쉬원단을 일부분 결합한 상태에서 날염이나 전사 가공을 통해 동일한 문양을 새겨 넣으므로써, 식별자의 위치에 따라 메쉬원단과 원단에 표현된 문양이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개선된 방식이 요구되는 실정에서 나타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mproved method in which a pattern expressed on a mesh fabric and a fabric is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n identifier by inserting the same pattern through printing or transfer processing while a general fabric and a mesh fabric are partially combined In the required situation.

1. 등록번호 제10-1157789호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1. Registration No. 10-1157789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curtain paper) 2. 등록번호 제20-0352443호 (입체 무늬를 갖는 원단)2. Registration No. 20-0352443 (fabric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메쉬형태나 천 형태의 직물을 동시에 문양 가공하여 문양이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과 그 제조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bric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which patterns are simultaneously pattern- hav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쉬원단을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에서 결합부위 제외한 부분은 이격되면서 동일 문양이 겹치거나 분리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mesh fabric overlapping or separating from each other by separating the portions of the mesh fabric from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except for the joint portion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체 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에 있어서,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의 상부에 메쉬원단을 적층하고, 고주파에 의하여 상기 메쉬원단을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에 부분적으로 접착하고, 상기 메쉬원단의 상부에서 날염하여 메쉬원단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에 동일한 문양이 각각 표현되도록 구성하여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bric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comprising: a mesh fabric laminated on an upper portion of a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and partially bonding the mesh fabric to a stretchable or non- , And a fabric is pri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fabric so that the mesh fabric and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are respectively represented by the same pattern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메쉬형태나 천 형태의 직물을 동시에 문양 가공하여 문양이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메쉬원단을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에서 결합부위 제외한 부분은 이격되면서 동일 문양이 겹치거나 분리되어 보여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fabric or cloth fabric is simultaneously patterned so that the pattern is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The portions of the mesh fabric excluding the bonding portion i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are spaced apar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원단의 고주파를 이용하여 날염과 전사과정을 나타낸 제작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원단의 코메즈를 이용하여 날염과 전사과정을 나타낸 제작 구성도,
도 3은 원단의 길이가 메쉬원단 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함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면 a는 원단의 길이가 메쉬원단 길이보다 작을 때 메쉬원단의 끝단을 맞춰 접착이나 재봉할 경우의 결합 개념도, 도면 b는 원단의 길이가 메쉬원단과 동일할 때 메쉬원단의 끝단을 맞춰 접착이나 재봉할 경우의 결합 개념도,
도 4는 원단이 신축성 원단이면서 원단의 길이가 메쉬원단 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할 때 원단을 신축시킨 상태에서 메쉬원단을 접착이나 재봉한 후 원단이 복원되면 메쉬원단의 들뜸 현상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메쉬원단을 원단에 접착이나 재봉으로 결합시켜 비 결합부위에서 메쉬원단의 들뜸 현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날염을 통해 가공된 메쉬원단과 원단에 동일한 문양이 표현된 것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를 통해 가공된 메쉬원단과 원단에 동일한 문양이 표현된 것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원단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ocess of printing and transferring using a high frequency of a three-dimensional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printing and transferring us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length of the fabric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mesh fabric length. FIG. 4A is a conceptual view of the coupling when the end of the mesh fabric is aligned and adhered or sewn when the length of the fabric is smaller than the mesh fabric length. b is the concept of joining when the end of the mesh fabric is bonded and sewed when the length of the fabric is the same as the mesh fabric,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lifting phenomenon of the mesh fabric when the fabric is restored after the fabric is adhered or sewn in the state that the fabric is stretchable fabric and the length of the fabric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esh fabric length,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ing phenomenon of the mesh fabric at the non-bonding region by bonding the mesh fabric to the fabric by bonding or sewin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ame pattern is expressed on a mesh fabric and a fabric processed through pri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ame pattern is represented on a mesh fabric and a fabric processed through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dimensional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chart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은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메쉬원단(20)을 접착방식이나 재봉을 이용한 결합방식으로 부분적으로 결합한 후 날염이나 전사를 통해 문양(30)이 입체적으로 연출되도록 하는 입체원단(100)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abric for produc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artially connecting a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nd a mesh fabric 20 by a bonding method using an adhesion method or a sewing method, And the pattern 30 is three-dimensionally directed through a transfer or transfer.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원단(100)은 입체 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상부에 메쉬원단(20)을 적층한다.As shown in FIGS. 1 and 8, the three-dimensional fabric 100 relates to a fabric for effec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e mesh fabric 20 is laminated on an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그리고, 고주파에 의하여 상기 메쉬원단(20)을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부분적으로 접착한다.Then, the high frequency is used to partially adhere the mesh fabric 20 to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이때, 상기 메쉬원단(20)의 상부에서 날염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30)이 각각 표현되도록 구성하여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mesh fabric 20 is printed so that the mesh fabric 20 and the same pattern 30 are displayed o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respectively, to produce a stereoscopic effect.

여기서, 상기 문양(30)의 표현을 위해 전사 처리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이 표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pattern may be transcribed to express the pattern 30, and the same pattern may be displayed on the mesh fabric 20 and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한편,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본딩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mesh fabric 20 and the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may be partially joined by bonding.

이러한, 상기 메쉬원단(20)이 고주파나 본딩에 의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일정하거나 불규칙하도록 접착할 수 있다.The mesh fabric 20 can be adhered to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by a high frequency or bonding, such that the mesh fabric 20 is uniform or irregular.

즉, 상기 고주파나 본딩(200)에 의한 접착 형태나 접착간격은 일정하거나 불규칙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고주파나 본딩(200) 작업을 시행하는 별도 장치의 고주파조사나 본딩 분사 형태나 조사구나 분사구의 간격에 따라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bonding type or the bonding interval by the high frequency or the bonding 200 may be constant or irregular. In this case, the high frequency or the bonding injection type or the irradiation And it can be expressed regularly or irregularly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jet orifice.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재봉하는 것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8,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ally joined by sewing the mesh fabric 20 and the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이러한, 상기 재봉하는 것에 의하여 부분 결합된 메쉬원단(20)에서 전사 처리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30)이 표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mesh fabric 20 may be transferred to the partially joined mesh fabric 20 by the sewing so that the same pattern 30 is displayed o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그리고,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위한 재봉은 코메즈(Comez)나 퀄팅(40)으로 시행할 수도 있다.The sewing for combining the mesh fabric 20 with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may be carried out with a Comez or a quality 40.

즉, 상시 코메즈는 자수를 재봉하는 기계의 일종으로 직접 망사류나 원단을 제직할 수도 있고, 어떠한 원단에 간단한 무늬를 자수 놓듯이 올릴 수도 있으며, 리본이나 테이프를 원단 위에 붙일 수 있는 용도가 다양한 자수 기법이다.Normally, Komez is a type of machine for sewing embroidery. It can be used to weave netting or fabrics directly, or to embroider a simple pattern on any fabric, or to embroider a ribbon or tape on a fabric. Technique.

아울러, 상기 퀼팅은 솜과 원단을 누비질하여 이불을 만드는데 대체적으로 쓰이는 일종의 자수 기법이다. In addition, the quilting is a kind of embroidery technique which is generally used to quilt a cotton and a fabric.

이러한, 상기 코메즈와 퀼팅은 모두 어떤 원단이든 두 종류를 합포(合布)하는데 사용된다는 공통적 특징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메쉬원단(20)을 부분적으로 결합시키는데 적용 구성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ment and quilting are used to combine two kinds of fabric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artially or wholly combining the mesh fabric 20 with the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

즉, 상기 입체원단(100)은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메쉬원단(20)이 고주파나 본딩이나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 결합부위를 제외한 비 결합 부위에서 동일 문양(30)이 각각 표현된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이격되어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three-dimensional fabric 100 may be formed of a mesh having the same pattern 30 on the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t the non-bonding sites excluding the partial bonding sites by high frequency, bonding, So that the fabric 20 is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by being separated from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공통적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전체길이(L)는 메쉬원단(20)의 메쉬원단길이(l)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구성한다.3 and 5, the total length L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configur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mesh fabric length l of the mesh fabric 20, as shown in FIGS.

이처럼, 상기 전체길이(L)를 메쉬원단길이(l)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이유는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메쉬원단(20)의 각각 끝단을 고정시킨 다음, 고주파나 본딩(200)으로 부분 접착하거나 코메즈나 퀼팅(40)에 의해 부분 결합하면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서 부분 접착되거나 부분 재봉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자유단 부분이 들뜸 현상으로 인해 보는 이로 하여금 메쉬원단(20)의 문양(3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문양(30)이 서로 겹치거나 하면서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reason why the overall length 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esh length 1 is that the flexi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nd the ends of the mesh fabric 20 are fixed, Or partially joined by a comb or quilting 40, the free end portion of the mesh fabric 20, except for the portion of the mesh fabric 20 that is partially stretched or partially stitched or partially sewn on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So that the pattern 30 of the mesh fabric 20 and the pattern 30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viewed in three dimensions.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전체길이(L)는 메쉬원단(20)의 메쉬원단길이(l)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구성한다.4 and 5, the total length L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configur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mesh fabric length l of the mesh fabric 20.

이때,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이 신축성일 경우 전체길이(L)를 메쉬원단길이(l)에 맞추어 고주파나 본딩 및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 결합으로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이 수축하여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서 들뜸현상이 발생되도록 한다.Whe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stretchable, the total length L is adjusted to the mesh fabric length 1, and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partially contracted by high frequency bonding, So that the mesh fabric 20 is stretchable or lifted from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즉,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을 신축성 원단으로 적용할 경우 메쉬원단(20)의 크기에 맞게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을 신장시킨 후 고주파나 본딩 및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 결합한 다음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이 원래 크기로 수축하면 메쉬원단(20)이 압축되면서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서 부분 접착되거나 부분 재봉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자유단 부분이 들뜸 현상으로 인해 보는 이로 하여금 메쉬원단(20)의 문양(3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문양(30)이 서로 겹치거나 하면서 입체적으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at is, whe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applied as a stretch fabric,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stretch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esh fabric 20 and then partially joined by high frequency bonding, Or when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is shrunk to its original size, the mesh fabric 20 is compressed so that the free end portion of the mesh fabric 20 is either stretchable or partially bonded to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pattern 30 of the mesh fabric 20 and the pattern 30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메쉬원단(20)은 폴리에스터(Polyster)나 나일론(Lyron) 등의 재질로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esh fabric 2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ester or nyl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염에 의해서는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메쉬원단(20)에 동일한 문양(30)이 표현된다.As shown in FIG. 6, the same pattern 30 is displayed o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nd the mesh fabric 20 by the printin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에 의해서는 메쉬원단(20)의 메쉬망 모양이 비전사되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비전사문양(31)이 함께 표현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mesh net shape of the mesh fabric 20 is untranslated by transcription, and the non-inverted fabric 31 is expressed together with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즉, 상기 비전사문양(31)은 메쉬원단(20)의 메쉬망을 형성하는 메쉬사(21)에 의하여 전사가 표현되지 못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쉬사(21)가 이루는 메쉬망(22)의 형태로 비전사되어 표현되는 것이다.That is, the non-intersecting pattern 31 represents a portion where the mesh yarn 21 of the mesh fabric 20 can not be transferred by the mesh yarn 21, I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being unvoic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원단(10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인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상부로 메쉬원단(20)을 적층시킨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esh fabric 20 is laminated to an upper portion of a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to produce the fabric 100.

이후, 상기 메쉬원단(20)을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고주파나 본딩(200)에 의한 접착이나 코메즈나 퀼팅(40)에 의한 재봉으로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일정하거나 불규칙한 형태를 이루며 부분적으로 결합한다.Thereafter, the mesh fabric 20 is attached to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by high frequency or bonding 200, or sewn by means of a comb or quilting 40, so that the mesh fabric 20 is stretchable or non- (10) in a uniform or irregular shape.

다음으로, 상기 메쉬원단(20)의 상부로 문양 가공을 시행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하게 문양(30)이 각각 표현되도록 가공한다.Next,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fabric 20 is subjected to a patterning process so that the mesh fabric 20 and the pattern 30 are displayed o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respectively.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문양 가공을 위하여 날염이나 전사를 이용하여 메쉬원단(20)의 상부에서 날염이나 전사를 시행하여 메쉬원단(20) 뿐만 아니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30)이 각각 생성되도록 가공하여 입체원단(100)을 완성한다.As shown in FIG. 8, in the present invention, printing or transferring is per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fabric 20 by using printing or transferring for patterning so that not only the mesh fabric 20 but also the elastic or non- So that the same pattern 30 is formed on the three-dimensional fabric 100, respectively.

상기 입체원단(100)은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메쉬원단(20)이 고주파나 본딩이나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 결합부위를 제외한 비 결합 부위에서 동일 문양(30)이 각각 표현된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이격됨으로써, 상기 메쉬원단(20)에 새겨진 문양(3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새겨진 문양(30)이 일치하거나 서로 분리된 동일의 문양으로 2개로 분할되어져 보여진다.The three-dimensional fabric 100 has a mesh fabric 20 in which the mesh fabric 20 is exposed to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by high frequency, bonding, or sewing, The pattern 30 engraved on the mesh fabric 20 and the pattern 30 embroidered o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match 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being separated from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nd it is divided into two.

이때, 상기 메쉬원단(20)에 새겨진 문양(30)은 메쉬의 특성으로 인해 흐릿하게 표현되고,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새겨진 문양(30)은 선명하게 표현되지만 메쉬원단(20)을 통해 보여지기 때문에 두 개의 동일 문양(30)이 서로 겹치거나 분할되어 보여지는 특징으로 인하여 문양(30)이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신미감을 조성하는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pattern 30 engraved on the mesh fabric 20 is blur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sh, and the pattern 30 engraved o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clearly displayed, but the mesh fabric 20 So that the pattern 30 is three-dimensionally represented by the feature that the two identical patterns 30 are overlapped or segmented to form a sense of sincerit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 20 : 메쉬원단
30 : 문양 31 : 비전사문양
40 : 코메즈나 퀼팅 L : 전체길이
l : 메쉬원단길이 100 : 입체원단
200 : 고주파나 본딩
10: elastic or non-elastic fabric 20: mesh fabric
30: Glyph 31: Glyph of non-warrior
40: Komezuna quilting L: Length
l: mesh fabric length 100: three-dimensional fabric
200: High frequency or bonding

Claims (20)

입체 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에 있어서,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상부에 메쉬원단(20)을 적층하고,
고주파에 의하여 상기 메쉬원단(20)을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부분적으로 접착하고,
상기 메쉬원단(20)의 상부에서 날염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30)이 각각 표현되도록 구성하여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
In a fabric that produces a stereoscopic effect,
The mesh fabric 20 is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The high frequency is used to partially adhere the mesh fabric 20 to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Wherein the mesh fabric 20 is pri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fabric 20 so that the mesh fabric 20 and the same pattern 30 are displayed o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respectively, to produce a stereoscopic effect The fabri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30)의 표현을 위해 전사 처리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이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is transferred to express the pattern (30) so that the same pattern is displayed on the mesh fabric (20) and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본딩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 2. Fabric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mesh fabric (20) and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partly joined by bonding.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원단(20)이 고주파나 본딩에 의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일정하거나 불규칙하도록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4. Fabric according to claim 1 or 3,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fabric (20) is stretchable by high frequency or bonding and is adhered to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in a uniform or irregular man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재봉하는 것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 2. Fabric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fabric (20) is partly joined by sewing the combination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하는 것에 의하여 부분 결합된 메쉬원단(20)에서 날염 처리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30)이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esh fabric (20) is subjected to a printing process on the partially joined mesh fabric (20) by the sewing so that the same fabric (30) is expressed on the mesh fabric (20) and on the stretchable or non-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effect.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위한 재봉은 코메즈(Comez)나 퀄팅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The fabri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ing for combining the mesh fabric (20) with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made by Comez or quality. .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전체길이(L)는 메쉬원단(20)의 메쉬원단길이(l)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메쉬원단(20)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각 끝단 테두리를 일치시켜 고주파나 본딩이나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결합하면, 결합 부위를 제외한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서 들뜸현상이 발생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
6. The method of claim 1 or 5, wherein the total length L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esh fabric length l of the mesh fabric 20,
Whe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nd the mesh fabric 20 are laminated and partially joined together by high-frequency bonding or sewing by matching the edges of the ends, the mesh fabric 20 excluding the joining portions is stretchable Wherein the non-elastic material (10) is structured so as to cause a lifting effect.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전체길이(L)는 메쉬원단(20)의 메쉬원단길이(l)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이 신축성일 경우 전체길이(L)를 메쉬원단길이(l)에 맞추어 고주파나 본딩이나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 결합 후,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이 수축하여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서 들뜸현상이 발생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
6. The method of claim 1 or 5, wherein the total length L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esh fabric length l of the mesh fabric 20,
Whe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stretchable,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shrinks after partial bonding by high frequency, bonding, or sewing, matching the overall length L to the mesh fabric length l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fabric (20)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or to be lifted from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메쉬원단(20)이 고주파나 본딩이나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 결합부위를 제외한 비 결합 부위에서 동일 문양(30)이 각각 표현된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이격되어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ame pattern (30) is expressed in the non-bonding region excluding the partial bonding site by the high frequency, bonding or sewing of the mesh fabric (20) to the stretchable or non- Wherein the mesh fabric (20) is configured to be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by being stretchable or spaced apart from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입체 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메쉬원단(20)을 고주파에 의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부분적으로 접착시킨 다음, 상기 메쉬원단(20)의 상부에서 날염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30)이 입체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1. A method of producing a fabric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he mesh fabric 20 laminated on the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partially adhered to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by high frequency and then is printed on the top of the mesh fabric 20, (20) and the same pattern (30) on a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configured to produce a stereoscopic effec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30)의 표현을 위해 전사 처리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이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is transferred to express the pattern (30) so that the same pattern is expressed on the mesh fabric (20) and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 / RTI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본딩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12. A method as claimed in claim 11, wherein the mesh fabric (20) and the elastic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re partially joined by bonding. 제 1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원단(20)이 고주파에 의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일정하거나 불규칙하도록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according to claim 11 or 13, wherein the mesh fabric (20) is adhered to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by a high frequency so as to be constant or irregula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재봉하는 것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12. A method as claimed in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fabric (20) is partly joined by sewing the combination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하는 것에 의하여 부분 결합된 메쉬원단(20)에서 전사 처리하여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동일한 문양(30)이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fabric (20) and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re represented by the same pattern (30) by transcribing the partially joined mesh fabric (20)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is produced. 제 1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원단(20)과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결합을 위한 재봉은 코메즈(Comez)나 퀄팅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The fabric according to claim 11 or 13,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ing for combining the mesh fabric (20) with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done by Comez or quality. ≪ / RTI > 제 11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전체길이(L)는 메쉬원단(20)의 메쉬원단길이(l)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메쉬원단(20)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각 끝단 테두리를 일치시켜 고주파나 본딩이나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결합하면, 상기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서 들뜸현상이 발생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1 or 15, wherein the total length L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esh fabric length l of the mesh fabric 20,
Whe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and the mesh fabric 20 are laminated and partially joined together by high frequency bonding or sewing, the mesh fabric 20 is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10) so as to generate a lifting effect.
제 11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의 전체길이(L)는 메쉬원단(20)의 메쉬원단길이(l)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이 신축성일 경우 전체길이(L)를 메쉬원단길이(l)에 맞추어 고주파나 본딩이나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 결합으로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이 수축하여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서 들뜸현상이 발생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1 or 15, wherein the total length L of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esh fabric length l of the mesh fabric 20,
When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stretchable, the stretchable or non-stretchable fabric 10 is shrunk by partial bonding by high frequency, bonding, or sewing by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L to the mesh fabric length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abric (20)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or to be lifted from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제 11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에 메쉬원단(20)이 고주파나 본딩이나 재봉에 의하여 부분적 결합부위를 제외한 비 결합 부위에서 동일 문양(30)이 각각 표현된 메쉬원단(20)이 신축성이거나 비 신축성 원단(10)과 이격되어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를 연출하는 원단의 제조방법.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5, wherein the same pattern (30) is expressed at the non-bonding site excluding the partial bonding site by the high frequency, bonding or sewing of the mesh fabric (20) to the stretchable or non- Wherein the mesh fabric (20) is configured to be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by being stretchable or spaced apart from the non-stretchable fabric (10).
KR1020130166588A 2013-12-30 2013-12-30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436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588A KR101436122B1 (en) 2013-12-30 2013-12-30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588A KR101436122B1 (en) 2013-12-30 2013-12-30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122B1 true KR101436122B1 (en) 2014-09-01

Family

ID=5175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588A KR101436122B1 (en) 2013-12-30 2013-12-30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12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779B1 (en) * 1986-02-04 1989-05-22 한태섭 A solid label of synthetic resin method and sticked on the textile by high frequency,and its process for the production
JPH03124078U (en) * 1990-03-30 1991-12-17
KR20000017521U (en) * 1999-02-27 2000-09-25 백승수 Textile papers prevented from modifying the cubic colors of the patterns treated by supersonic waves
KR200352443Y1 (en) 2004-03-04 2004-06-04 주식회사 예인 Fabrics having the embossed pater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779B1 (en) * 1986-02-04 1989-05-22 한태섭 A solid label of synthetic resin method and sticked on the textile by high frequency,and its process for the production
JPH03124078U (en) * 1990-03-30 1991-12-17
KR20000017521U (en) * 1999-02-27 2000-09-25 백승수 Textile papers prevented from modifying the cubic colors of the patterns treated by supersonic waves
KR200352443Y1 (en) 2004-03-04 2004-06-04 주식회사 예인 Fabrics having the embossed pater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57888A (en) A kind of embroidering method of double-faced embroidery
JPH0578973A (en) Method for joining nonwoven fabric
KR101436122B1 (en)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JP6486689B2 (en) Button hole forming device
US1265920A (en) Method of smocking.
KR101524066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lothing with a three-dimensional pattern
JP2018109259A (en) Fabric of design with tie component
JP2016120235A (en) Print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2008214837A (en) Embroidery lace, embroidery lace fabric, and their method
JP6175204B1 (en) Fabrication method for clothing material
KR100414674B1 (en) Protuded embroidery wrapped with tex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H07316973A (en) Method for embroidering cloth and embroidered cloth
KR101867887B1 (en) Method of Producing Bag
US735575A (en) Method of ornamenting fabrics.
JP2012062614A (en) Embroidering method and embroidering tool
JP3867298B2 (en) How to make lace products with applique and how to make stretch fabric products with applique
KR100991969B1 (en) Cubic floral pattern formative method for bedclothes
CN106637749A (en) Silk paper embroidery technology
JP3434810B1 (en) How to sew sewing products
US1563185A (en) Process of producing color-filled embroidered designs on textile fabrics
KR101208094B1 (en) Method of making folds for dress
WO20210384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non-woven fabric
KR101673559B1 (en) Embroidering method using design and embroidery-frame
JP3161187U (en) Core material for handicraft
US20120034414A1 (en) Borderless emblem for securing to a first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