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094B1 -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094B1
KR101436094B1 KR1020130057811A KR20130057811A KR101436094B1 KR 101436094 B1 KR101436094 B1 KR 101436094B1 KR 1020130057811 A KR1020130057811 A KR 1020130057811A KR 20130057811 A KR20130057811 A KR 20130057811A KR 101436094 B1 KR101436094 B1 KR 101436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observer
correction data
signal
proba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팔
Original Assignee
박용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팔 filed Critical 박용팔
Priority to KR102013005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과 DGPS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발찌 착용자의 위치나 이동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신받은 DGPS 보정데이터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NMEA 신호를 근거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될 때마다 상기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로 보호관찰자가 미리 설정된 제한 구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때 경고 조치하는 중앙관제센터; 기준점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와 이미 알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DGPS 보정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에 송신하는 기준국; 및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DGPS 보정데이터를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이 사용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인 NMEA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는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LOCATING SYSTEM FOR ELECTRONIC BRACELET}
본 발명은 전자 발찌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과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발찌 착용자의 위치나 이동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성폭력범죄나 흉악한 살인범죄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국민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범죄 예방을 위한 제도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에서 하나가 보호관찰 제도이다. 즉, 성폭력범죄나 흉악한 살인범죄 등의 전과가 있는 전과자에 대해서는 보호관찰 대상자(이하, '보호관찰자'라 칭함)로 지정하고, 이들에 대해서는 출소 후에도 주거지역을 제한하거나, 주거 이전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국내외 여행시 관련기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이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보호관찰자의 원할한 보호관찰을 위해 전자 발찌 시스템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발찌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110), 송수신기(120), 이동통신 단말기(130) 및 관리서버(140)를 포함한다.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110)는 보호관찰자의 발목에 채워지는 장치로서 내장된 무선송신칩(111)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소정 패턴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한다.
송수신기(120)는 상기 보호관찰자의 집안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송신칩(111)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보호관찰자가 가택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이탈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보호관찰자가 외출 시 항상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보호관찰자의 신상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내장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칩을 이용하여 위치추적용 정보를 송신한다.
관리서버(140)는 일반적으로 중앙관제센터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송수신기(120) 및 이동통신 단말기(13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보호관찰자가 가택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인식한 후 상기 위치추적용 정보를 근거로 보호관찰자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140)는 상기 송수신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이탈감지신호를 근거로 보호관찰자가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110)를 발목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검출하여 그 사실을 관련기관(예: 경찰서)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4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로부터 송신되는 위치추적용 정보를 근거로 보호관찰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기록하고, 필요시 상기 이동경로의 정보를 상기 관련기관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자 발찌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보호관찰자가 고의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고 가택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외출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보호관찰자가 가택으로부터 벗어난 사실은 인식할 수 있지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없어 보호관찰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보호관찰자가 학교 주변이나, 놀이터 아파트 등의 주택가에 나타나 범죄를 저지를 경우 그 보호관찰자의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여 그와 같은 범죄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해전파 발신기(예: GPS Jammer)를 이용하여 GPS 신호를 교란하는 경우, 중앙관제센터에서는 보호관찰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추적용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보호관찰자의 이동경로(또는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과 DGPS(Differential GPS)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발찌 착용자의 위치나 이동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은, 수신받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보정데이터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신호를 근거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될 때마다 상기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호관찰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 상기 보호관찰자가 미리 설정된 제한 구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때 경고 조치하는 중앙관제센터; 기준점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와 이미 알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DGPS 보정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에 송신하는 기준국; 및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DGPS 보정데이터를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이 사용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인 NMEA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에 송신하는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준국에서 DGPS 보정데이터를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에 송신하고,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에서는 그 DGPS 보정데이터를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에 송신한 후 그로부터 수신되는 NMEA 신호를 근거로 보다 정밀한 자신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중앙관제센터에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를 착용하고 있는 보호관찰자를 보다 용이하게 관찰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 전용의 송수신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호관찰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학교나 유치원 등의 지역을 제한구역으로 설정할 경우 그 구역에 접근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인식하여 경보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에 충전용 배터리를 적용함으로써,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발찌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전자 발찌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이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검출하고, GPS 재밍을 차단하는 것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국(203),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 와이파이 송수신기(210) 및 중앙관제센터(213)를 포함한다.
기준국(203)은 정확한 기준점에서 위성통신망(202)을 통해 GPS 위성(201)에서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GPS 신호를 이용하여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의 위치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국(203)은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의 측정된 위치와 이미 알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근거로 보다 정확한 DGPS 보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기준국(203)은 상기 DGPS 보정 데이터를 중계기(204) 및 이동통신망(205)을 통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에 송신한다.
참고로, 상기 기준국(203)은 국토해양부에서 관리하는 17 개소의 DGPS 기준국 중에서 하나의 기준국이다.
이와는 별도로, 위성항법사무소에 해당하는 중앙관제센터(213)는 NTRIP(Network Transport of RTCM via Internet Protocol) 캐스터를 통해 RTCM(Radio technical committee for maritime service) GPS 보정데이터를 생성하여 인터넷망(INT), 와이파이 송수신기(210) 및 와이파이 통신망(209)을 통하거나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에 송신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기준국(203)은 사전에 정확히 측정된 위치에 기준국용 수신기의 안테나를 설치하여 시계(보여지는 범위)내의 모든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의사거리 보정치를 계산하여 송신한다. 또한 DGPS 수신기(302)의 상태는 상기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형식(예: RTCM SC-104가 정한 RSIM 표준 형식)으로 가공되어 상기 중앙관제센터(213)에 전송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213)는 인터넷 및 이동통신사로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도 하며, 종합적으로 원격감시 및 제어관리 기능을 담당한다. 기준국(203)에서 별도의 송신을 하는 이유는 주로 선박 등에서 사용하는 GPS 장비를 위해 원거리까지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서이다.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에는 위치감지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감지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위성통신망(202)을 통해 상기 GPS 위성(201)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성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의 위치를 소정의 오차 범위(예: 50~100m) 내에서 인식할 수 있다. 참고로,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에는 별도의 GPS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일반 GPS 정보를 받아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이 상기 경로를 통해 수신받은 상기 DGPS 보정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망(207)을 통해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에 송신한다.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는 도 3에서와 같이 엠씨유(MCU)(301), DGPS 수신기(302), 블루투스 송수신기(303), 충전용 컨넥터(304) 및 충전용 배터리(305)를 구비한다.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으로부터 송신된 DGPS 보정데이터는 블루투스 수신을 위한 제2안테나(ANT2), 블루투스 송수신기(303), DGPS 수신을 위한 제1안테나(ANT1), DGPS 수신기(302)를 통해 엠씨유(30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엠씨유(MCU: Micro Controller Unit)(301)는 상기 경로를 통해 전달받은 DGPS 보정데이터를 상기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과 같은 통상의 스마트폰이 사용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인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NMEA 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기(303), 상기 제2안테나(ANT2)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망(207)을 통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에 송신된다.
참고로, 상기 NMEA 신호는 시간, 위치, 방위 등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으로서 NMEA 0183은 미국의 The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ion에서 정의해 놓았다. 이 데이터는 주로 자이로 컴퍼스, GPS, 나침반, 관성항법장치(INS)에 사용된다.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에서,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기(303)의 역할은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블루투스 송수신기(303)가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과 연결되는 것에 의해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와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이 연결된다. DGPS 수신기(302)는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기(303)를 통해 수신된 DGPS 신호를 수신하고 해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DGPS 수신기(302)는 GPS 데이터의 보정 및 계산 기능을 수행한다. 엠씨유(301)는 상기 DGPS 수신기(302)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고 연산하는 기능 등의 총괄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충전용 컨넥터(304)는 통상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충전용 컨넥터이다. 충전용 밧데리(305)는 Li-ion 밧데리 등과 같이 충전이 가능한 2차 밧데리를 포함한다. DGPS 수신기(302)에 별도의 제1 안테나(ANT1)를 구비하는 이유는 필요에 따라 DGPS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는 충전용 컨넥터(304) 및 충전용 배터리(305)를 구비하여 필요한 전원을 자체적으로 충전해서 사용하므로, 배터리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은 상기 위치감지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부터 수신된 상기 NMEA 신호를 근거로 보다 낮은 오차 범위(예: 1~3m) 내에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은 상기와 같이 보다 낮은 오차 범위를 갖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될 때마다 상기 산출된 위치정보를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기(210) 및 인터넷망(INT)을 통해 중앙관제센터(213)에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관제센터(213)는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호관찰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이 상기 블루투스 통신망(207)을 통해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에 DGPS 보정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로부터 상기 NMEA 신호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과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 간의 거리가 일정치 이상 이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보호관찰자가 의도적으로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을 임의의 장소에 놔둔채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은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근거로 보호관찰자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사실을 검출하여 그 사실을 상기 경로를 통해 중앙관제센터(213)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를 착용하고 있는 보호관찰자가 의도적으로 GPS 신호를 교란시키기 위해 GPS 재밍(Jamming)을 시도하는 것을 검출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과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 간의 거리가 일정치 이상 이격되거나, 상기 GPS 재밍(Jamming)을 차단하기 위한 처리과정에 대해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은 상기 위치감지용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명될 때 그 사실을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기(210) 및 인터넷망(INT)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 센터(213)에 통보한다(S1,S2). 따라서, 상기 중앙관제 센터(213)에서는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이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기(21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과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기(210) 간에 와이파이 무선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으로부터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기(210)에 상기 위치정보나 기타 신호들이 수신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중앙관제 센터(213)는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기(210)로부터 해당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것을 근거로, 현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이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기(21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관제 센터(213)에서는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의 위치감지용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과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기(210) 간의 거리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될 때마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수신된 NMEA 규격의 보정 GPS 데이터 를 근거로 보다 낮은 오차 범위를 갖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그 위치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ID)를 상기 경로를 통해 상기 중앙관제 센터(213)에 통보한다(S4).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이 상기 기준국(203)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DGPS 신호를 수신받기 때문에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208)를 착용하고 있는 보호관찰자가 의도적으로 GPS 신호를 교란시키기 위해 GPS 재밍(Jamming)이 시도하더라도 교란이 발생할 확률이 거의 없다.
즉,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206)에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DGPS 정보가 수신되기 때문에 보호관찰자가 신호 수신 과정 또는 중간에 신호 변환을 시도하는 재밍(Jamming) 등 신호 교란 행위 등을 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전역에서 GPS 재밍이 발생할 경우 상기 기준국(203)에서도 재밍된 GPS 신호가 수신되는데, 이때 상기 기준국(203)은 전역에 걸쳐 GPS 재밍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상기 중앙관제센터(213)에 통보하여, 상기 중앙관제센터(213)에서 의도적인 GPS 재밍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5,S6).
즉, 전역 또는 특정 지역에서 재밍이 발생한 경우, 중앙 관제 센터(213)는 특정 메시지를 통하여 재밍이 발생된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관제 센터(213)에서 재밍이 발생했다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의도적인 재밍이라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보호 관찰자를 감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제한 구역에 대한 JPS 재밍인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기준국(203)은 그와 같은 사실을 상기 중앙관제센터(213)에 통보하여 경보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S7,S8).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택 영역(212)내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의 예로써, 상기 블루투스 통신망(207) 및 와이파이 통신망(209)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원하는 방식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INT'는 인터넷 망을 의미하고, '214'는
이동통신사 무선망에 있는 중계소를 의미하며, '215'는 서버를 의미한다.
201 : GPS 위성 202 : 위성통신망
203 : 기준국 204 : 중계기
205 : 이동통신망 206 :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
207 : 블루투스 통신망 208 :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
209 : 와이파이 통신망 210 : 와이파이 송수신기
211 : 무선통신망 212 : 가택 영역
213 : 중앙관제센터

Claims (5)

  1. 수신받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보정데이터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신호를 근거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될 때마다 상기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호관찰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 상기 보호관찰자가 미리 설정된 제한 구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때 경고 조치하는 중앙관제센터;
    기준점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와 이미 알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DGPS 보정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에 송신하는 기준국; 및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DGPS 보정데이터를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이 사용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인 NMEA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에 송신하는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시스템은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다는 신호나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 센터에 송신하는 와이파이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은 위치감지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과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 간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상기 위치정보와 NMEA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는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송수신기;
    상기 블루투스 통수신기를 통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DGPS 보정데이터를 상기 NMEA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보호관찰자용 스마트폰에 송신하는 엠씨유;
    상기 보호관찰자용 전자발찌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컨넥터; 및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130057811A 2013-05-22 2013-05-22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436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11A KR101436094B1 (ko) 2013-05-22 2013-05-22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11A KR101436094B1 (ko) 2013-05-22 2013-05-22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094B1 true KR101436094B1 (ko) 2014-09-01

Family

ID=5175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811A KR101436094B1 (ko) 2013-05-22 2013-05-22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24B1 (ko) 2006-10-10 2007-10-23 주식회사 케이티 Rfid 센서 또는 센서 노드를 부착한 전자 팔찌의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1609A (ko) * 2007-05-18 2008-11-21 (주) 비에이치케이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KR20120027749A (ko) * 2010-09-13 2012-03-22 (주)필테라 전자발찌를 이용한 범죄자 접근 경보 시스템
KR20130039609A (ko) * 2011-10-12 2013-04-22 아바드(주) 구조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구조요청 스마트단말기와 구조 스마트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24B1 (ko) 2006-10-10 2007-10-23 주식회사 케이티 Rfid 센서 또는 센서 노드를 부착한 전자 팔찌의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1609A (ko) * 2007-05-18 2008-11-21 (주) 비에이치케이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KR20120027749A (ko) * 2010-09-13 2012-03-22 (주)필테라 전자발찌를 이용한 범죄자 접근 경보 시스템
KR20130039609A (ko) * 2011-10-12 2013-04-22 아바드(주) 구조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구조요청 스마트단말기와 구조 스마트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146B1 (ko) 위치 파악 기능을 포함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장치에서의 위치 파악 방법
US99896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efficient tracking
JP5604296B2 (ja) 目標物に関する位置データ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方法、命令を含んだ機械可読媒体、および回路を含んだプロセッサ
US8451131B2 (en) Offender presence warning system
AU2004266325B2 (en) Electronic location monitoring system
US20130015963A1 (en) Person-based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roximity Warnings
WO2005022476A2 (en) Method for locating an asset
US201603060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und Event Target Monitor Correlation
US20140191864A1 (en) Offender presence warning system
KR101318042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10068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al tamper reset in a monitoring system
KR101823147B1 (ko) 비콘 기반 안심 동행 서비스 시스템
WO20140438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roximity warnings
KR20160123794A (ko)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RU197118U1 (ru) Радиомодуль для каски
US10097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ltitude sensing beacons
US20160373889A1 (en) Location accuracy improv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network elements relations and scaling methods
KR101436094B1 (ko) 전자 발찌의 위치 추적 시스템
WO2008117253A1 (en) Alarm device and method for location and communication of a distress signal to security personnel
KR20180076187A (ko) 스마트단말을 기반으로 한 가상 ais 정보 송수신 시스템.
KR101164712B1 (ko) 미아추적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20210137636A (ko) 반려동물 위치 검색 시스템
JP2009020036A (ja) Gpsモジュール
US9767694B1 (en) Intoxicated pedestrian detection system
US20160014249A1 (en) Supervisory headse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