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414B1 - 이동국과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국과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414B1
KR101435414B1 KR1020107022212A KR20107022212A KR101435414B1 KR 101435414 B1 KR101435414 B1 KR 101435414B1 KR 1020107022212 A KR1020107022212 A KR 1020107022212A KR 20107022212 A KR20107022212 A KR 20107022212A KR 101435414 B1 KR101435414 B1 KR 10143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eee
protocol
zone
frame
compa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652A (ko
Inventor
웨이 조우
강 셴
지민 리우
우 정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1000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 상호작용하는 이동국(MS)을 제공하고, MS은: BS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유닛; BS으로부터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정보 획득 유닛; 및 MS이 제 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 또는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 모드 선택 유닛을 포함하고, MS이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할 때,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는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따라 획득되고, 데이터는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에 따라 규정된 채널을 통해 BS에 송신된다. 또한, 본 발명은 BS과 통신하기 위한 MS 네트워크 진입의 방법 및 IEEE 802.16e 프레임과 호환가능한 IEEE 802.16m 프레임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EEE 802.16e MS은 IEEE 802.16m BS에 액세스할 수 있고, IEEE 802.16m MS은 또한 IEEE 802.16m BS에 액세스할 수 있다. MS 및 BS이 상이한 프로토콜 하에서 동작할지라도, MS은 BS과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진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국과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방법{AN MS AND THE METHOD FOR INTERACTING WITH THE BS BEING COMPATIBLE WITH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ase Station; BS)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이동국(Mobile Station; MS) 및 MS 네트워크 진입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새로운 태스크 그룹(task group)인, IEEE 802.16m은 IEEE 802.16 무선 MAN-OFDMA 사양의 표준 보정들을 위해 셋업되어서 라이센싱(licensing)된 대역들에서의 운용을 위해 진보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이는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들의 셀룰러 계층 요건들을 만족시킨다. IEEE 802.16m의 목적은 미래의 진화된 서비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성능 개선들을 제공하고, 다운링크에서 6.5 bps/Hz보다 더 크고 업링크에서 2.8 bps/Hz보다 더 큰 스펙트럼 효율을 실현하는 것이다.
IEEE 802.16m의 중요한 양태는 IEEE 802.16e의 레거시(legacy) 지원에 있다. IEEE 802.16m이 레거시 MS들 및 BS들을 포함하는 IEEE 802.16e 무선 MAN-OFDMA 장비에 대한 연속 지원 및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IEEE 802.16m에서 가능한 기능들 및 프로토콜 절차들은 레거시 IEEE 802.16e 장비에 의해서 이용된 특징들, 기능들 및 프로토콜 절차들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레거시 지원을 턴오프(turn-off)할 능력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 연속 지원은 무선 MAN-OFDMA 특징들, WiMAX 포럼에 의해 캡처 된 기능들 및 프로토콜 절차들, 모바일 시스템 프로파일, 릴리스(Release) 1.0(개정 1.4.0: 2007-05-02, 참조 [1])의 "조화된 서브-세트(harmonized sub-set)" 만으로 제한될 것이다.
다음은 세부화된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요건들이다:
· IEEE 802.16m은 레거시 IEEE 802.16e MS의 성능 레벨과 동일한 성능 레벨에서, 레거시 BS과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 IEEE 802.16m 기반 시스템들 및 무선 OFDMA 기준 시스템은 동일한 채널 대역폭을 갖는, 동일한 RF 반송파에서 동작할 수 있어야 하고; 상이한 채널 대역폭들을 갖는 동일한 RF 반송파에서 동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IEEE 802.16m BS은 IEEE 802.16m 및 레거시 IEEE 802.16e MS들 둘 모두가 동일한 RF 반송파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이 둘의 혼합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그와 같은 혼합체의 성능은 BS에 접속된 IEEE 802.16m MS들의 일부에 의해서 개선되어야만 한다.
· IEEE 802.16m BS은 레거시 IEEE 802.16e BS으로의 및 IEEE 802.16e BS으로부터의 레거시 IEEE 802.16e MS의 끊김 없는(seamless) 핸드오버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
· 동일한 RF 반송파에서 동작할 때, 레거시 IEEE 802.16e BS이 레거시 IEEE 802.16e MS에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성능 레벨에서, IEEE 802.16m BS들은 또한 IEEE 802.16m MS들을 지원하고 있으면서 레거시 IEEE 802.16e MS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 "드래프트 IEEE 802.16m 요건들"이 발행되어 있다. 그러나 레거시 IEEE 802.16e 지원을 위한 완전한 해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프리앰블(preamble)은 IEEE 802.16e에서 주의 깊게 설계되었고, 이는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둘 모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IEEE 802.16m 시스템이 IEEE 802.16e MS를 지원해야만 하기 때문에, IEEE 802.16e 프리앰블은 IEEE 802.16m 프레임에 포함되어야만 한다(프리앰블의 일부 주파수 도메인 확장이 존재할 수 있을지라도). IEEE 802.16m은 IEEE 802.16e에서 지정된 프리앰블을 재이용할 것이다.
IEEE 802.16m이 프로토콜의 독자적인 세트로 설계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특정한 존(zone)이 이에 할당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전체 IEEE 802.16m 프레임은 두 부분들로 분할될 것이다: IEEE 802.16e 존 및 IEEE 802.16m 존. IEEE 802.16e 존에서, 종래의 IEEE 802.16e 프로토콜이 운용되고 있고, 반면에 완전히 새로운 IEEE 802.16m의 프로토콜은 IEEE 802.16m 존에서 운영될 것이다. IEEE 802.16m MS에 IEEE 802.16m 존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서, 종래의 IEEE 802.16m 브로드캐스팅 채널에 어떤 특정한 설계가 존재해야만 한다.
단순한 방법은 IEEE 802.16m MAP의 위치가 IEEE 802.16m MS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IEEE 802.16e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들에 하나의 필드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는:
◇ IEEE 802.16e의 종래의 FCH 필드에서 예비된 비트들을 이용하고,
◇ IEEE 802.16e에 어떤 새로운 확장자 MAP IE를 설계하고/설계하거나,
◇ IEEE 802.16e DCD/UCD(Downlink Channel Description/Uplink Channel Description) 메시지들에 하나의/여러 필드(들)를(을) 추가하는 여러 수단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 상호작용하는 이동국(MS)이 제공되고; MS은:
BS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유닛;
BS으로부터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정보 획득 유닛; 및
MS이 제 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 또는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 모드 선택 유닛을 포함하고,
MS이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는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따라 획득되고, 데이터는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에 따라 규정된 채널을 통해 BS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MS에 의해, BS과 동기화하는 단계;
MS에 의해, BS으로부터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MS에 의해, MS이 제 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 또는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MS이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할 때, MS은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따라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를 획득하고, 데이터를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에 따라 규정된 채널을 통해 BS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IEEE 802.16e와 호환가능한 IEEE 802.16m 프레임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IEEE 802.16e 프레임에서 프리앰블(preamble)을 재이용하는 단계;
IEEE 802.16e 존 및 IEEE 802.16m 존을 업링크 프레임 및 다운링크 프레임으로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다운링크 프레임의 IEEE 802.16e 존의 FCH에서, 다운링크 프레임의 IEEE 802.16m 존의 IEEE 802.16m MAP를 가리키는 포인터(pointer)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이러한 특징들 및 다양한 다른 특징들 뿐만 아니라,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들의 판독 및 연관된 도면들의 검토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EEE 802.16m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IEEE 802.16e 프레임에서의 FCH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하는 BS과 통신하기 위한 MS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S 네트워크 진입의 흐름도.
이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음의 설명에서, 본원에 통합된 공지되어 있는 기능들 및 구성들의 세부적인 설명은 그것이 본 발명의 주제를 오히려 불명료하게 할 수 있을 때 생략될 것이다.
레거시 지원 요건들에 따르면, IEEE 802.16e MS들은 IEEE 802.16m BS에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하고, IEEE 802.16m MS은 또한 IEEE 802.16e BS에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레거시 IEEE 802.16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지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IEEE 802.16m 프로토콜의 해법을 제안한다. 상기 해법을 통해, MS이 IEEE 802.16e MS 또는 IEEE 802.16m MS일지라도, 이는 IEEE 802.16e BS 및 IEEE 802.16m BS 둘 모두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IEEE 802.16m BS 및 MS은 모든 IEEE 802.16e 특징들을 충분히 지원할 것이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IEEE 802.16e 특징들의 일부는 IEEE 802.16m 표준에서 재이용될 것이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EEE 802.16m 프레임의 구조를 소개하기 위해 참조된다.
본 발명은 IEEE 802.16e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재이용한다. IEEE 802.16e 프레임과 호환가능한 IEEE 802.16m 프레임을 형성하는 방법은: (1) IEEE 802.16e 프레임에서 프리앰블을 재이용하는 단계; (2) 802.16e 존 및 802.16m 존을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3)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802.16m 존에서 802.16m MAP를 가리키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802.16e 존내의 FCH 필드에 포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IEEE 802.16m 프레임은 보호 슬롯 TTG(Tx/Rx Transition Gap)이 임베딩(embedding)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분리된다.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보호 슬롯은 RTG(Rx/Tx Transition Gap)이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두 존들로 분리된다: 16e 존 및 16m 존. 16e 존에서, 종래의 IEEE 802.16e 프로토콜이 운용되고 있고, 반면에 완전히 새로운 IEEE 802.16m의 프로토콜은 16m 존에서 운용될 것이다.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또한 두 존들로 분리된다: 16e 존 및 16m 존.
이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IEEE 802.16m 프레임이 설명될 것이다. 16e 존은 프리앰블, FCH, DL/UL MAP, 레거시 DL 데이터 존을 포함한다. 프리앰블은 동기화를 위해 이용되고; 프레임 제어 헤더(Frame Control Header; FCH)는 다운링크 맵(downlink map; DL_MAP) 및 업링크 맵(uplink map; UL_MAP)의 길이, 이코딩 방식 및 이용된 서브-채널 등과 같은, 현재 프레임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DL_MAP 및 UL_MAP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세부 정보를 지정한다.
16m 존은 IEEE 802.16m MAP 및 IEEE 802.16m 존을 포함한다. 각각의 MS에 할당된 이용가능한 소스(source)들은 IEEE 802.16m 존에 지정된다. 대안적으로, IEEE 802.16m 존은 짧은 DL 및 UL 서브-프레임들(임베딩된 TTG 및 RTG 갭들을 갖는)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MS과 BS 사이의 송신의 응답 시간이 더 빨라진다. 그러나, TTG/RTG 오버헤드(overhead)는 이 방식에 의해 초과될 수 있다.
IEEE 802.16e내의 FCH 필드에서, 예비된 비트들은 IEEE 802.16m MAP를 가리키는 포인터로서 이용될 것이다. IEEE 802.16m MAP는 IEEE 802.16m에 의해 점유된 상세한 주파수-시간 리소스들에 의해 규정될 것이다. 도 2는 IEEE 802.16e 프레임에서의 FCH 포맷을 도시한다. DL_MAP_Length 필드 이후에 예비된 4 비트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이 4개의 예비된 비트들은 IEEE 802.16m MAP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규정된다. 대안적으로, 이 4개의 예비된 비트들은 또한 16m-지원 케이퍼빌리티(capability)의 라벨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IEEE 802.16m MAP를 가리키기 위해 IEEE 802.16e내의 FCH 필드를 이용할지라도, IEEE 802.16m MAP는 IEEE 802.16e의 어떤 새로운 확장 MAP IE들(정보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DCD/UCD 메시지들에서의 하나의/여러 필드(들)를(을) 추가함으로써 규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규정된 16m 존은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종래의 16e 프레임의 단지 일부이거나, 이보다 훨씬 더 큰 대역폭을 점유할 수 있다. 16m 존에서, 일부 명확하게 새로-지정된 파일럿(pilot)들은 시스템이 필요한 동기화 및 채널 추정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프레임 포맷에서, 절차들을 레인징(rang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든 IEEE 802.16e 네트워크 진입 프로세스는 IEEE 802.16m-프로토콜 설계의 자유를 상실하지 않고도 재이용될 수 있다. 또한, 레거시 802.16e 디바이스들은 임의의 변경 없이도 완전히 호환가능하다.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갖는 IEEE 802.16m BS의 경우, 2개의 안테나들은 IEEE 802.16e 존에서 동일한 콘텐트들을 송신할 것이고, MIMO 기술은 IEEE 802.16m 존에 적용될 수 있다.
IEEE 802.16m 프레임이 본 발명에 의해서 IEEE 802.16e 프레임의 확장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심지어 MS 및 BS이 상이한 프로토콜들 하에서 함께 동작할지라도, MS은 네트워크에 진입하여 BS과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즉, IEEE 802.16e MS은 IEEE 802.16m BS에 액세스할 수 있고, IEEE 802.16m MS은 또한 IEEE 802.16m B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S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MS은 IEEE 802.16m MS 또는 IEEE 802.16e MS일 수 있고, MS이 진입해야 할 네트워크의 BS은 IEEE 802.16m을 지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MS은 BS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도시되지 않음); BS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도시되지 않음); 채널을 스캐닝(scanning)하고 프리앰블을 검색하여 BS과의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한 동기화 유닛(302); BS으로부터 IEEE 802.16e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획득하는 브로드캐스팅 정보 획득 유닛(303); 레인징에 의해 MS의 전력, 시간 지연 및 주파수 시프트의 조정을 실행하는 레인징 유닛(304); MS이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IEEE 802.16e 모드 또는 IEEE 802.16m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 모드 선택 유닛(305)을 포함하고, MS이 IEEE 802.16m 프로토콜을 지원할 때, 16m MAP 정보는 BS으로부터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IEEE 802.16e로부터 획득된다. 도 3은 MS이 레인징 유닛(30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할지라도, MS은 그러한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NS 네트워크 진입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에서, MS이 파워 온(power on)된다. 단계 42에서, 동기화 유닛(302)은 채널 스캐닝 및 프리앰블 검색을 실행한다. 단계 43에서, 동기화 유닛(302)은 검색된 프리앰블에서의 동기화 시퀀스들에 따라 BS과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를 실행한다. 그 후에, 단계 44에서, 브로드캐스팅 정보 획득 유닛(303)은 BS으로부터 IEEE 802.16e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획득한다. 레인징이 필요하다면, 단계 45에서, 레인징 유닛(304)은 MS의 전력, 시간 지연 및 주파수 시프트의 조정을 위한 레인징 절차를 실행한다. 단계 46에서, MS의 동작 모드 선택 유닛(305)은 IEEE 802.16m이 단독으로 채택된 운용 프로토콜에 따라 지원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MS이 IEEE 802.16m을 지원하는 경우, 단계 48에서, MS은 MS에 의해 BS으로부터 획득된 브로드캐스팅 정보에 포함된 FCH에서의 포인터로부터 IEEE 802.16m MAP를 획득하고, 단계 49에서, MS은 IEEE 802.16m 모드 하에서 동작하고, IEEE 802.16m 프레임에서의 16m 존에서의 버스트(burst)들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를 BS에 송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47에서, MS은 IEEE 802.16m 프레임에서의 16e 존에서의 DL/UL MAP를 획득하므로, MS은 IEEE 802.16e 모드 하에서 동작하고, IEEE 802.16m 프레임에서 규정된 버스트(레거시 DL 데이터 존)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를 BS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수정들, 변화들, 및 변형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에서 행해지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302: 동기화 유닛
303: 브로드캐스팅 정보 획득 유닛 304: 레인징 유닛
305: 동작 모드 선택 유닛

Claims (17)

  1.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ase Station; BS)과 상호작용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에 있어서:
    상기 BS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유닛;
    상기 BS으로부터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정보 획득 유닛; 및
    상기 MS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 또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 모드 선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MS이 상기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할 때,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는 상기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따라 획득되고, 데이터는 상기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에 따라 규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BS에 송신되는, 이동국(MS).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 타이밍 및 주파수 오프셋(timing and frequency offset)을 조정하기 위한 레인징 유닛(ranging unit)을 더 포함하는, 이동국(MS).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IEEE 802.16e이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IEEE 802.16m인, 이동국(MS).
  4. 제 3 항에 있어서,
    IEEE 802.16m 프레임은 IEEE 802.16e 프레임의 프리앰블(preamble)을 재이용하고, 및/또는
    상기 IEEE 802.16m 프레임은 IEEE 802.16e 존 및 IEEE 802.16m 존을 포함하는, 이동국(MS).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EEE 802.16m 존은 임베딩(embedding)된 TTG 및 RTG 갭들을 갖는 복수의 DL 및 UL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이동국(MS).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EEE 802.16e내의 FCH 필드는 상기 IEEE 802.16m 존의 IEEE 802.16m MAP를 가리키는 포인터(pointer)를 포함하는, 이동국(MS).
  7. 제 4 항에 있어서,
    확장된 MAP IE 또는 DCD/UCD 메시지는 상기 IEEE 802.16m 존의 IEEE 802.16m MAP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포함하는, 이동국(MS).
  8. 이동국(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MS에 의해, 상기 BS과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MS에 의해, 상기 BS으로부터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MS에 의해, 상기 MS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 또는 상기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S이 상기 제 2 프로토콜을 지원할 때, 상기 MS은 상기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에 따라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프로토콜 MAP 정보에 따라 규정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상기 BS에 송신하는, 이동국(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획득된 후에 레인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IEEE 802.16e이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IEEE 802.16m인, 이동국(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IEEE 802.16m 프레임은 IEEE 802.16e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재이용하고, 및/또는
    상기 IEEE 802.16m 프레임은 IEEE 802.16e 존 및 IEEE 802.16m 존을 포함하는, 이동국(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IEEE 802.16m 존은 임베딩된 TTG 및 RTG 갭들을 갖는 복수의 DL 및 UL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이동국(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IEEE 802.16e내의 FCH 필드는 상기 IEEE 802.16m 존의 IEEE 802.16m MAP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포함하는, 이동국(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확장된 MAP IE 또는 DCD/UCD 메시지는 상기 IEEE 802.16m 존의 IEEE 802.16m MAP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포함하는, 이동국(MS)이 네트워크 진입 및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BS)과의 통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5. IEEE 802.16e와 호환가능한 IEEE 802.16m 프레임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IEEE 802.16e 프레임에서 프리앰블을 재이용하는 단계;
    IEEE 802.16e 존 및 IEEE 802.16m 존을 업링크 프레임 및 다운링크 프레임으로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프레임의 상기 IEEE 802.16e 존의 FCH에서, 상기 다운링크 프레임의 상기 IEEE 802.16m 존의 IEEE 802.16m MAP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EEE 802.16e와 호환가능한 IEEE 802.16m 프레임을 형성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107022212A 2008-03-07 2008-03-07 이동국과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방법 KR101435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8/000463 WO2009109070A1 (zh) 2008-03-07 2008-03-07 与兼容第一协议和第二协议的bs交互工作的ms及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52A KR20110000652A (ko) 2011-01-04
KR101435414B1 true KR101435414B1 (ko) 2014-08-29

Family

ID=4105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212A KR101435414B1 (ko) 2008-03-07 2008-03-07 이동국과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13564A1 (ko)
EP (1) EP2254306A4 (ko)
JP (1) JP5361910B2 (ko)
KR (1) KR101435414B1 (ko)
CN (1) CN101933310B (ko)
WO (1) WO20091090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769A (ko) * 2017-07-13 201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1549B2 (en) * 2007-11-05 2014-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 compatible OFDM systems with different bandwidths
US20110188454A1 (en) * 2010-02-04 2011-08-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A2869913C (en) 2012-04-09 2019-09-10 David D. Roberts Methods for generation of pluripotent and multipotent cells
US9160475B2 (en) * 2012-06-06 2015-10-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HARQ resource in TDD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897319B2 (en) * 2013-03-15 2014-11-25 Concio Holdings LLC High speed embedded protocol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US9432488B2 (en) 2013-03-15 2016-08-30 Concio Holdings LLC High speed embedded protocol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US8737426B1 (en) * 2013-03-15 2014-05-27 Concio Holdings LLC High speed embedded protocol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
US9419737B2 (en) 2013-03-15 2016-08-16 Concio Holdings LLC High speed embedded protocol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US9930147B2 (en) * 2014-05-30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ual channel information
US10673565B2 (en) 2014-09-30 2020-06-02 Concio Holdings LLC Confirming data accuracy in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US10326865B2 (en) 2015-03-24 2019-06-18 Concio Holdings LLC Filter or bridge for communications between CAN and CAN-FD protocol modules
EP4164265A1 (en) * 2016-12-28 2023-04-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7984B1 (en) * 1999-10-29 2003-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providing backward compatibility of radio link protocols in a wireless network
WO2007032642A1 (en) * 2005-09-14 2007-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burst in an of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0589486C (zh) * 2005-12-09 2010-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兼容不同802.1x客户端软件的认证方法
US8018908B2 (en) * 2006-08-16 2011-09-13 Cisco Technology, Inc. Mobile network backward compatibility support
CN101137233B (zh) * 2006-08-30 201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在无线通信网络中识别移动台的前导码
US7885214B2 (en) * 2006-10-17 2011-02-08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rtition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signal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s
KR101236624B1 (ko) * 2007-02-01 201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US8279812B2 (en) * 2007-07-12 2012-10-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module for constructing a frame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s
US8265096B2 (en) * 2007-07-12 2012-09-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structing frame structures
US8331480B2 (en) * 2007-07-13 2012-12-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and generator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s in communication systems
US8134965B2 (en) * 2007-07-26 2012-03-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superframe structure
US8693406B2 (en) * 2007-08-09 2014-04-08 Intel Corporation Multi-user resource allocation and medium access control (MAC) overhead reduction for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ystems
US20090067377A1 (en) * 2007-08-15 2009-03-12 Motorola, Inc. Medium access control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98623B2 (en) * 2007-10-03 2012-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elecommunications frame structure accomodating differing formats
US8861549B2 (en) * 2007-11-05 2014-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 compatible OFDM systems with different bandwidths
US9204388B2 (en) * 2007-11-05 2015-12-01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Layer-1 signaling of traffic indication for power saving class of type I in WiMAX
US20090161616A1 (en) * 2007-11-07 2009-06-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ging procedure identification of enhanced wireless terminal
US8155701B2 (en) * 2007-11-07 2012-04-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radio frames apportioned for plural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US8068454B2 (en) * 2007-11-07 2011-11-29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for enabling mobile coverage extension and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an ad hoc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20090129332A1 (en) * 2007-11-20 2009-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315330B2 (en) * 2007-12-20 2012-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65006B2 (en) * 2007-12-31 2012-09-11 Intel Corporation Synchronization channel (preamble) structure for 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ystems
EP2229758A4 (en) * 2008-01-16 2013-03-27 Ericsson Telefon Ab L M OFDM SYMBOLS WITH REDUCED DISPLAY DURATION
US8059676B2 (en) * 2008-02-17 2011-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frame
WO2009110744A2 (ko) * 2008-03-04 200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거시 서포트 모드를 지원하는 레인징 구조, 멀티플렉싱 방법 및 시그널링 방법
US8311030B2 (en) * 2008-03-10 2012-1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cell scanning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802.16m TDD frame structure with legacy support", Zexian외 3인, IEEE C802.16m-07/215r1호 (2008.01.16.) *
"TDD Frame Structures for Legacy Support in 16m", Dong Li외 3인, IEEE C802.16m-07/242호 (2007.11.06.) *
"IEEE 802.16m TDD frame structure with legacy support", Zexian외 3인, IEEE C802.16m-07/215r1호 (2008.01.1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769A (ko) * 2017-07-13 201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367053B1 (ko) 2017-07-13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33310A (zh) 2010-12-29
WO2009109070A1 (zh) 2009-09-11
EP2254306A4 (en) 2014-10-22
JP2011514081A (ja) 2011-04-28
JP5361910B2 (ja) 2013-12-04
KR20110000652A (ko) 2011-01-04
CN101933310B (zh) 2013-03-13
US20110013564A1 (en) 2011-01-20
EP2254306A1 (en)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414B1 (ko) 이동국과 제 1 프로토콜 및 제 2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기지국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방법
EP2727424B1 (en) A method and a user equipment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EP2245763B1 (en) Realizing fdd capability by leveraging existing tdd technology
US8913548B2 (en) Method of control information for supporting relay system
CN112219434A (zh) 用户设备、基站和无线通信方法
EP3927040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80165881A1 (en) Method for Accessing Channels in OFDMA Mobile Multihop Relay Networks
US11937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new radio vehicle to everything system
KR102493004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EP3860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peration for nr v2x system
US20240023201A1 (en) Terminal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CN114531713A (zh) 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方法、电路及无线通信系统
KR20090039572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EP4068885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253191B1 (ko) Clc 모드 지원 방법 및 장치
US8619695B2 (en) Ranging of terminal in legacy support mode
KR20090012478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이종 시스템으로의 전환을위한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605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807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78194A (ko) 이종망간 다중화 운영 방법
US20220417918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04254B1 (ko) Nr v2x 시스템을 위한 동기화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EP366453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3917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CN112567831B (zh) 在新的无线电交通工具到所有事物系统中发送和接收同步信号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