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476B1 - Fastening device for toeboard - Google Patents
Fastening device for toe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4476B1 KR101434476B1 KR1020120125622A KR20120125622A KR101434476B1 KR 101434476 B1 KR101434476 B1 KR 101434476B1 KR 1020120125622 A KR1020120125622 A KR 1020120125622A KR 20120125622 A KR20120125622 A KR 20120125622A KR 101434476 B1 KR101434476 B1 KR 101434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pair
- toe plate
- fixing
- to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5—Toe board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04G2007/285—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specially adapted for toe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는, 지주와 지주 사이에 개재되는 발끝막이판을 고정하기 위한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로서, 지주에 형성된 고정부와,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와, 일단부가 쐐기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쐐기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고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리부재의 타단부에는 발끝막이판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n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is provided. The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fixing a toe plate interposed between a column and a column, comprising: a fixing part formed on the column; The wedge may include a wedge slidably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so as to be movable, and a loop memb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wedge at one end and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wedg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end of the plate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op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curing a toe plate.
선박을 건조하거나 빌딩을 건설할 때 높은 곳에서의 작업은 필수적이며, 선박이 대형화되고 빌딩이 고층화되면서 높은 곳에서의 작업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 건설 등의 산업분야에서는 높은 곳에서 직접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편리한 작업수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으로서 족장이 사용되고 있다.Work on high ground is essential when building a ship or constructing a building, and workload is increasing in high places as vessels become larger and buildings become higher. Generally, in the industries of shipbuilding, construction, etc., chiefs are used as passageways and footsteps of workers in order to guarantee the safety of workers working directly at high places and to provide a convenient work execution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족장은, 수직과 수평으로 임시 설치된 설치 프레임에 족장판을 얹고, 족장판을 철사로 감아 설치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족장에서는, 족장판을 이동하는 작업자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이 설치되는데, 난간을 지지하는 지주 사이에는 작업자의 발끝이 족장판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발끝막이판(toeboard)이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된다.Generally, the patriarch is installed by laying a chief board on an installation frame provisionally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fixing the chief board to a mounting frame by winding it with a wire. In this chieftain, a guardrail is installed to prevent a worker moving down the chief board. In order to prevent the foot of the worker from escaping the chief board, a toeboard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발끝막이판은 현장에서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철사를 감는 방식으로 지주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발끝막이판을 고정하는 소둔철사는 사용 후 폐기되므로 추후 발끝막이판을 재설치시에는 매번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매번 설치시마다 소둔철사의 안정성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며, 작업자마다 설치방법이 다양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끝막이판의 시공성에 차이가 있어 발끝막이판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 확보가 어렵다.Generally, the toe end plate is fixed to the support by winding the wire by a skilled worker in the field. Since the annealed wire fixing the toe end plate is discarded after use, when the toe end plate is reinstalled, .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verify the stability of annealed wire every time of installation, and since the installation method is various for each worker, the workability of the toe plat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worker,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toe plate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 없이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발끝막이판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고정할 수 있는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which can easily mount and fix a toe plate between a support and a support,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주와 지주 사이에 개재되는 발끝막이판을 고정하기 위한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로서, 상기 지주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와; 일단부가 상기 쐐기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쐐기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발끝막이판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interposed between a strut and a strut, comprising: a fixing part formed on the strut; A wedge slidably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And an annular member, one end of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edge, and which extends and contract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wedge, and the end of the toe plate is detachably attached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ecuring a toe plate, which is coupled as far as possible.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주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쐐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쐐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body formed on the strut; And a wedge groove formed in the body so as to penetrate the wedge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쐐기의 양단부의 단면 직경은 상기 쐐기홈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Sectional diameters of both ends of the wedge may be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wedge groove.
상기 쐐기는 한 쌍의 사다리꼴 사각형이 마주보고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사다리꼴 사각형 중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대변 간의 거리가, 상기 한 쌍의 사다리꼴 사각형 중 나머지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대변 간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wedge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ir of trapezoidal square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one of the pair of trapezoidal squares has a shape in which a distance between parallel opposite sides of the pair of trapezoidal squares The viewing can be mad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parallel sides.
상기 고리부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쐐기의 양측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wedge, to which one end of the ring member is slidably engaged, can form an inclined surface.
상기 고리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발끝막이판의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리부재의 타단부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끝막이판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고리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A linking ring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ing memb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r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plate, and a connection groove, into which the linking ring is inserted, .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주의 고정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쐐기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고리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연동하여 신축 이동함으로써 고리부재에 연결된 발끝막이판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주에 신축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 없이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발끝막이판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edge slidably moves on the fixed portion of the column, the loop member is extended and contra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move the plate so that the toe plate is moved in the left- So that the toe plate can be easily installed and fix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irrespective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또한, 발끝막이판을 설치할 때마다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완료된 발끝막이판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toe plate can be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toe plate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에서 한 쌍의 발끝막이판이 고리부재에 결합되기 전의 작동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에서 한 쌍의 발끝막이판이 고리부재에 결합된 후의 작동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에서 발끝막이판이 고리부재에 결합된 후 지주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에서 한 쌍의 발끝막이판이 고리부재에서 분리되기 전의 작동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chanism before a pair of toe plates are coupled to a loop member in an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chanism after a pair of toe plates are coupled to a loop member in an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e plate is fixed to the support post after the toe plate is coupled to the loop member in the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cutting line A-A '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chanism before a pair of toe plates are separated from a loop member in an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device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에서 한 쌍의 발끝막이판이 고리부재에 결합되기 전의 작동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에서 한 쌍의 발끝막이판이 고리부재에 결합된 후의 작동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e plate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operating mechanism after a pair of toe plates are coupled to a loop member in an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 perspective.
도 4는 도 3의 A-A'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에서 발끝막이판이 고리부재에 결합된 후 지주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e plate is fixed to the support post after the toe plate is coupled to the loop member in the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cutting line A-A ' to b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100)는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개재되는 발끝막이판(20)을 고정하기 위한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로서, 지주(10)에 형성된 고정부(110)와, 지주(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120)와, 쐐기(120)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쐐기(12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고리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apparatus for fixing the
이 경우, 고리부재(130)의 일단부는 쐐기(120)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고리부재(130)의 타단부는 발끝막이판(20)의 단부와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10)의 고정부(110)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쐐기(12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를 기준으로 그 좌우방향으로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고리부재(130)에 연결된 발끝막이판(20)이 같이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하면서 지주(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지주(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100)를 지주(10)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 없이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발끝막이판(20)을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또는 반대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by installing the toe
또한, 이를 통해 발끝막이판을 설치할 때마다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에 설치 완료된 발끝막이판의 안정성에 대해 보다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toe plate, and to secure a higher reliability of the stability of the toe plate installed in the field.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configuration of the toe
지주(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발끝막이판(20)은 이러한 지주(10) 사이에 배치되어 지주(10)에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고정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후술할 쐐기(120)가 지주(10)에 대해 지주(10)의 길이방향(이 경우,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쐐기(120)를 지주(10)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고정부(110)는, 지주(10)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지주(1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20)가 고정부(110)의 쐐기홈(114)에 삽입된 후 고정부(110)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부(11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지주(10)에 결합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The
구체적으로 고정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에 형성된 몸체(112)와, 쐐기(120)가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11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쐐기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110)의 몸체(112)는 장방형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쐐기홈(114)은 이러한 몸체(11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몸체(112)는 박스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12)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삼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쐐기(120)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의 쐐기홈(114)에 삽입된 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쐐기(120)의 양단부(즉,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상하단부)의 단면 직경은 쐐기홈(11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쐐기(120)가 고정부(110)의 쐐기홈(114)에 삽입되어 설치된 이후에는, 쐐기(120)가 몸체(11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사용 중에 쐐기(120)가 쐐기홈(1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diameters of both ends of the wedge 120 (i.e., upper and lower ends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한편 쐐기(12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쐐기(12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그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를 기준으로 그 좌우방향으로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고리부재(130)에 연결된 발끝막이판(20)이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하면서 지주(10)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반대로 지주(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고리부재(13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부재이다.As described above, the
구체적으로 쐐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사다리꼴 사각형(122, 124)이 서로 마주보고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즉,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쐐기(120)는, 쐐기홈(114)의 상부 측에 위치한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와, 이러한 상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하부에 맞대어 결합되는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여기서, 사다리꼴 몸체라 함은 사다리꼴 사각형의 네 변 중에서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대변이 평행한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대변 중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길이가 긴 변이다.Here, the trapezoidal body refers to a shape in which a pair of opposite sides of the four sides of a trapezoidal quadrangl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one of the pair of parallel sides is longer than the other.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의 작은 대변과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작은 대변이 서로 마주보고 결합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은 쐐기(120)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small feces of the upper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사각형상의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같은 형상의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는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대변 간의 거리가,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대변 간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알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upper
여기서, 대변이라 함은 사다리꼴 사각형의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변을 지칭하는 것이며, 대변 간의 거리라 함은 상기 한 쌍의 평행한 대변 간의 최단 거리를 지칭하는 것이다.Here, the term " short side " refers to parallel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of a trapezoidal quadrangle, and the distance between opposite sides refers to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arallel side ends.
이와 같이,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고,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의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대변 간의 거리가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대변 간의 거리보다 짧게 구성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As such, the upper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의 양측에서 쐐기(120)의 상하방향 중심축(X축)을 향해 이동할 때, 한 쌍의 발끝막이판(20)이 지주(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쐐기(120)를 쐐기홈(114)에 억지끼움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한 쌍의 발끝막이판(20)은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하방향 중심축(X축)을 중심으로 서로 간의 간격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3, the upper
반면,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는, 그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고리부재(130)에 연결된 발끝막이판(20)이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하면서 지주(10)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반대로 지주(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고리부재(130)를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부재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따라서,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는, 쐐기(12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그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고리부재(130) 간의 거리가 수평방향(즉, 쐐기(120)를 기준으로 그 좌우방향)을 따라 충분히 벌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도록 대변 간의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 lower
이 경우,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짧은 대변과 상기 짧은 대변에 평행한 긴 대변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다른 두 변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쐐기(120)의 양측(즉,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을 따라 고리부재(130)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ther two sides of the lower
이와 같이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 두 변이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의 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벌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으며, 이러한 쐐기(120)와 한 쌍의 고리부재(130) 간의 상호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각각의 고리부재(130)의 타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발끝막이판(2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20)를 기준으로 그 좌우방향으로 상호 벌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또한, 이러한 쐐기(120)와 한 쌍의 고리부재(130) 간의 상호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발끝막이판(20)이 지주(10)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반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interaction mechanism between the
정리하면, 쐐기(120)가 쐐기홈(114)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리부재(130)의 타단부에 연결된 발끝막이판(20)이 쐐기(120)의 상하방향 중심축(X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지주(10)에 고정되거나 반대로 지주(10)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short, the
도 2에서는 쐐기(120)의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쐐기홈(114)의 상부 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의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 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쐐기(120)의 중심부에서 하부 측으로 갈수록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너비(횡방향 폭)가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2 shows a state in which a pair of
이와 같이 쐐기(120)의 중심부에서 하부 측으로 갈수록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너비가 넓어지게 구성됨으로써, 쐐기(120)의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가 쐐기홈(114)의 상부 측으로 이동할 때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고리부재(130) 간의 이격 거리가 더욱 벌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width of the lower
이때,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가 쐐기홈(114)의 상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리부재(130)도 같이 상부 측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고정부(110)의 몸체(112)에 의해 이동이 저지됨에 따라 상부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lower
따라서, 고정부(110)에 의해 한 쌍의 고리부재(130) 간의 거리는 더욱 벌어지게 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끝막이판(20)의 연결홈(142)이 고리부재(1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모양의 연결고리(140)에 연결될 수 있는 공간적 여유가 더욱 생길 수 있다.1 and 2, the
고리부재(130)는 앞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쐐기(120)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리부재(130)는, 쐐기(12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같이 연동하여 쐐기(120)의 상하방향 중심축(X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신축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The
고리부재(130)의 일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리부재(130)의 일단부는 그 상하방향 단부를 따라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원형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120)의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에는 원형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따라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고리부재(130)의 일단부가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가이드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one end of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단부를 갖는 고리부재(130)를 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고리부재(130)의 일단부의 형상은 사각형 단면이나 삼각형 단면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Although the
이외에도, 고리부재(130)를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결합 방식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coupling methods for slidingly coupling the
한편, 고리부재(130)의 타단부가 발끝막이판(20)의 단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부재(130)의 타단부에는 연결고리(140)가 형성될 수 있다.The linking
구체적으로 연결고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 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고리(140)는 후술할 연결홈(142)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연결고리(140)에 상응하여, 발끝막이판(20)의 단부에는 연결고리(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홈(142)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slot) 모양의 홈일 수 있다.A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리부재(130)의 타단부에 연결고리(140)가 형성되고 발끝막이판(20)의 단부에는 연결홈(142)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연결고리(140)와 연결홈(142)의 위치는 상호 바뀔 수도 있다.Although th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100)를 이용하여 발끝막이판(20)을 지주(10)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fixing the
한편,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100)에서 한 쌍의 발끝막이판(20)이 고리부재(130)에서 분리되기 전의 작동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mechanism before the pair of
도 2에서는 쐐기(120)의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쐐기홈(114)의 상부 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의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 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2 shows a state in which a pair of
이때,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가 쐐기홈(114)의 상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리부재(130)도 같이 상부 측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고정부(110)의 몸체(112)에 의해 이동이 저지됨에 따라 상부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lower
따라서, 고정부(110)에 의해 한 쌍의 고리부재(130) 간의 거리는 더욱 벌어지게 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끝막이판(20)의 연결홈(142)이 고리부재(1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모양의 연결고리(140)에 연결될 수 있는 공간적 여유가 더욱 생길 수 있다.1 and 2, the
한편 앞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쐐기(120)의 양단부(즉,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상하단부)의 단면 직경이 쐐기홈(11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가 쐐기홈(114)의 상부 측으로 어느 정도 이동한 다음에는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하단부가 쐐기홈(114)에 끼어서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2 and 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이 단계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20)의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가 쐐기홈(114)에 억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고리부재(130)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140)에 고정하고자 하는 발끝막이판(20)의 연결홈(142)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2, the lower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다소 느슨해진 고리부재(130)의 연결고리(140)에 고정하고자 하는 발끝막이판(20)의 연결홈(142)을 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the operator can fasten the
반대로, 도 3에서는 쐐기(120)가 쐐기홈(114)의 하부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의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을 따라 상방향(도 3의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쐐기(120)의 양측에서 쐐기(120)의 상하방향 중심축(X축)을 향해 한 쌍의 고리부재(13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3, the
즉, 도 3의 큰 화살표 방향과 같이, 쐐기(120)의 상부를 망치 등으로 타격함으로써 하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쐐기홈(114)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3, the lower
이와 같이 상부를 망치 등으로 타격함으로써 하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쐐기홈(114)의 하부 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한 쌍의 고리부재(130)는 서로 간의 간격이 더욱 가까워지게 되며, 상기 한 쌍의 고리부재(130)의 이동에 연동하여 한 쌍의 발끝막이판(20) 간의 간격도 상호 가까워질 수 있다.As the upper
이 단계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거리를 갖는 한 쌍의 발끝막이판(20)이 도 3에 의 수평방향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20)의 양측 바깥쪽에서 쐐기(120)의 상하방향 중심축(X축) 안쪽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발끝막이판(20)에 장력(tension)이 작용하여 발끝막이판(20)이 지주(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At this stage, a pair of
한편 앞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쐐기(120)의 양단부(즉,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상하단부)의 단면 직경이 쐐기홈(11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쐐기홈(114)의 하부 측으로 어느 정도 이동한 다음에는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의 상단부가 쐐기홈(114)에 끼어서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해진다.2 and 3)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이 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20)의 상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쐐기홈(114)에 억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발끝막이판(2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력(tension)이 작용함으로써 지주(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3, the upper
반대로 도 5는, 한 쌍의 발끝막이판(20)이 고리부재(130)에 결합되어 지주(1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3 참조), 상기 한 쌍의 발끝막이판(20)이 고리부재(130)에서 다시 분리되어 지주(10)에서 해체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이 단계에서는, 도 5의 큰 화살표 방향과 같이, 쐐기(120)의 하부를 망치 등으로 타격함으로써 하부 사다리꼴 몸체(122)가 쐐기홈(114)의 상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stage, the lower
이와 같이, 쐐기(120)가 쐐기홈(114)의 상부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의 하부 사다리꼴 몸체(124)의 양측을 따라 하방향(도 5의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쐐기(120)의 양측에서 쐐기(120)의 상하방향 중심축(X축)을 향해 한 쌍의 고리부재(130) 간의 거리가 멀어짐을 알 수 있다.As the
이와 같이 쐐기(120)의 상하방향 중심축(X축)을 기준으로 한 쌍의 고리부재(130) 간의 이격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끝막이판(20)의 연결홈(142)이 고리부재(1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모양의 연결고리(140)에서 분리될 수 있는 공간적 여유가 더욱 생길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다소 느슨해진 고리부재(130)의 연결고리(14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발끝막이판(20)의 연결홈(142)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 the operator can easily separate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10)의 고정부(110)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쐐기(12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한 쌍의 고리부재(130)가 쐐기(12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고리부재(130)에 연결된 발끝막이판(20)이 상하방향 중심축(X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하면서 지주(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지주(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지주 20: 발끝막이판
100: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 110: 고정부
112: 몸체 114: 쐐기홈
120: 쐐기 122: 상부 사다리꼴 몸체
124: 하부 사다리꼴 몸체 130: 고리부재
140: 연결고리 142: 연결홈10: column 20: toe plate
100: toe plate fixing device 110: fixing part
112: body 114: wedge groove
120: wedge 122: upper trapezoidal body
124: Lower trapezoidal body 130: Ring member
140: connecting ring 142: connecting groove
Claims (6)
상기 지주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와;
일단부가 상기 쐐기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쐐기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신축 이동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발끝막이판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A toe plate fixing apparatus for fixing a toe plate interposed between a support and a support,
A fixing part formed on the support;
A wedge slidably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And an annular member sli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edge at one end thereof and extending and contra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wedge,
And an end of the toe plat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op member.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주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쐐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쐐기홈을 포함하는,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unit includes:
A body formed on the strut;
And a wedge groov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body so that the wedge is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쐐기의 양단부의 단면 직경은 상기 쐐기홈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cross-sectional diameter of both ends of the wedge is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wedge groove.
상기 쐐기는 한 쌍의 사다리꼴 사각형이 마주보고 결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사다리꼴 사각형 중 하나는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대변 간의 거리가, 상기 한 쌍의 사다리꼴 사각형 중 나머지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대변 간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edge has a shape in which a pair of trapezoidal squares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rein one of the pair of trapezoid squares is formed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parallel opposite sides of the pair of trapezoid squares is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parallel sides of the other pair of opposite sides of the pair of trapezoid squares.
상기 고리부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쐐기의 양측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both ends of the wedge in which one end of the annular member is slidably engaged form an inclined surface.
상기 고리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발끝막이판의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리부재의 타단부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발끝막이판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고리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 발끝막이판 고정용 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other end of the r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ing member so that the toe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plate,
And a connection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on ring is inserted is formed at an end of the toe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5622A KR101434476B1 (en) | 2012-11-07 | 2012-11-07 | Fastening device for toe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5622A KR101434476B1 (en) | 2012-11-07 | 2012-11-07 | Fastening device for toeboar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9033A KR20140059033A (en) | 2014-05-15 |
KR101434476B1 true KR101434476B1 (en) | 2014-08-26 |
Family
ID=5088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5622A KR101434476B1 (en) | 2012-11-07 | 2012-11-07 | Fastening device for toe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447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385U (en) | 2016-11-01 | 2018-05-10 | 반도스틸(주) | improvement fixing tool for Toe board for scaffol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2075U (en) * | 1989-09-21 | 1991-05-21 | ||
JP3052075U (en) | 1998-03-06 | 1998-09-11 | 藤本工業株式会社 | Handrail device for building openings |
JP2004052493A (en) | 2002-07-24 | 2004-02-19 | Tatsuo Ono | Toe plate fitting device |
KR20100005314U (en) * | 2008-11-14 | 2010-05-25 | 김영욱 | A rail pipe assembly structure of cast working frame |
KR20120027762A (en) * | 2010-09-13 | 2012-03-22 | 주식회사 웨빙코리아 | The safe toe webbing coated by acrylic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2
- 2012-11-07 KR KR1020120125622A patent/KR10143447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2075U (en) * | 1989-09-21 | 1991-05-21 | ||
JP3052075U (en) | 1998-03-06 | 1998-09-11 | 藤本工業株式会社 | Handrail device for building openings |
JP2004052493A (en) | 2002-07-24 | 2004-02-19 | Tatsuo Ono | Toe plate fitting device |
KR20100005314U (en) * | 2008-11-14 | 2010-05-25 | 김영욱 | A rail pipe assembly structure of cast working frame |
KR20120027762A (en) * | 2010-09-13 | 2012-03-22 | 주식회사 웨빙코리아 | The safe toe webbing coated by acrylic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385U (en) | 2016-11-01 | 2018-05-10 | 반도스틸(주) | improvement fixing tool for Toe board for scaffol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9033A (en) | 2014-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55918B (en) | Mounting device | |
JP2012162898A (en) | Anchor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structure using anchor frame | |
KR101434476B1 (en) | Fastening device for toeboard | |
KR101007538B1 (en) | Connecting Device For Slab Wall Form | |
KR101616302B1 (en) | Scaffolding for the footboard support bracket | |
JP5456837B2 (en) | Escalator | |
CN104401889A (en) | Wall-attached frame and construction elevator with same | |
KR20090063056A (en) | Slab form device | |
KR101042382B1 (en) | Slab Form Device | |
KR101460581B1 (en) | Assembly type shelf | |
KR101244503B1 (en) | Device for protecting a falling accident of opening | |
JP2010285781A (en) | Wall structure and building | |
JP5875000B2 (en) | Temporary handrail | |
JP2010202316A (en) | Elevator car ceiling top baseboard device | |
JP2008285823A (en) | Structure of guard fen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guard fence | |
KR200466569Y1 (en) | Safety guard rail for mounting beam | |
KR20100080992A (en) | Pipe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 | |
JP6393143B2 (en) | Scaffolding structure | |
KR20130004588U (en) | A temporary structure for construction | |
JP5943811B2 (en) | Elevator car handrail device | |
JP2017179863A (en) | Joining hardware guide device for pile foundation | |
KR200497779Y1 (en) | Jig for pre-installing hook-type support column of scaffold | |
JP2014001072A (en) | Positioning jig for attaching escalator guard plate | |
JP2013064264A (en) | Support frame for anchor bolt and method of constructing support frame | |
KR20140004249U (en) | Joist beam connecting bra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