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261B1 -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261B1
KR101434261B1 KR1020120106572A KR20120106572A KR101434261B1 KR 101434261 B1 KR101434261 B1 KR 101434261B1 KR 1020120106572 A KR1020120106572 A KR 1020120106572A KR 20120106572 A KR20120106572 A KR 20120106572A KR 101434261 B1 KR101434261 B1 KR 10143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jet
compressed ai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832A (ko
Inventor
정영인
임다니엘
조해준
Original Assignee
임다니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다니엘 filed Critical 임다니엘
Priority to KR102012010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2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1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steam or othe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10Power-driven personal watercraft, e.g. water scoote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1/00Indicating elements; Illumin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키본체의 선미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점프력을 제공하는 공기압 제트 펌프부; 및 상기 스키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어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키본체의 선수가 형성된 영역과 한쪽 끝단이 연결된 플렉시블 아암 폴의 다른쪽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금까지는 점프시 점프 도약대가 있어야만 가능 했었으나 도약대 없이 점프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위에 장애물로 위치하는 도약대가 없으므로 다른 스키어들에게 위험을 초래 하지 않으며 초보자부터 전문가 까지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Ski apparatus for leisure on the water with air pressure jet pump}
본 발명은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공기를 사용함으로써, 압력조절이 용이하여 점프 도약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점프 높이 및 거리를 제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는 점프시 점프 도약대가 있어야만 가능 했었으나 도약대 없이 점프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위에 장애물로 위치하는 도약대가 없으므로 다른 스키어들에게 위험을 초래 하지 않으며 초보자부터 전문가 까지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 스키는 연료 주입이나 충전을 통해 모터 회전식으로 활용되어 운동과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어 물 위에서 자유로움을 만끽할 수 있고 호수나 강 바다 어느 곳에서도 물만 있으면 스키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수상 스키는 동력과 모터에 의한 회전력에 의존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수상 스키 및 제트 스키는 속도감 등만을 즐길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안전하면서도 탑승자가 스릴을 즐길 수 있고 기능이 요구되는 수상 레저 스키에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케이블식 수상스키장치(Apparatus for water ski with cable)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2464호)
2. 수상스키(WATER SKI) (특허출원번호 제10-1991-001967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험성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안정성을 제고하고, 수상 레저용 스키장치 사용 시의 점프 및 순간 추진, 장애물 통과 등이 가능한 수상 레저용 도약대가 없이 점프를 할 수 있는 스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는, 스키본체의 선미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점프력 을 제공하는 공기압 제트 펌프부; 및 상기 스키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어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키본체의 선수가 형성된 영역과 한쪽 끝단이 연결된 플렉시블 아암 폴의 다른쪽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는, 충진구를 통해 상부로 유입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 및 상기 에어탱크에 충전된 압축공기의 압력 및 잔량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자식 압력게이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는, 제 1 이동단이 수평방향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이동단과의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에어탱크 내부의 압축 공기가 1차적으로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이동통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단에 형성된 상기 제 2 이동단으로 자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이동단과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제 1 이동단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밸브;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동단과 상기 전자식 압력게이지 사이에는 제 1 스프링(S1)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이동단과 상기 전자밸브 사이에는 제 2 스프링(S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는, 상기 제 1 이동단으로의 압축공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에서 유출된 압축공기가 상기 이동통로를 거쳐 하부에 연결된 에어제트(AZ)로 분사되도록 하는 이동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이동로; 및 상기 공기이동로가 형성된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이동로의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에어제트(AZ)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와 상기 조작부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전원버튼부, 충전/압력 표시부, 압력조절버튼부,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 에어제트각도 표시부 및 압축공기발사 버튼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손잡이부에 수평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과 하면으로 나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압력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로의 상기 에어탱크에 대한 센싱 요청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자식 압력게이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에어탱크 내부의 압축공기의 잔량 센싱데이터, 그리고 상기 에어탱크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데이터를 수신한 뒤, 상기 압축공기의 잔량 센싱데이터를 압축공기잔량 표시 LED로 구현하며,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데이터를 압력표시 LED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버튼부는, 상향 버튼 및 하향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향 버튼 또는 상기 하향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의 압력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밸브로의 자기력 제어를 통해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된 상기 제 2 이동단과, 상기 제 1 이동단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는, 상향 버튼 및 하향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향 버튼 또는 상기 하향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의 각도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에 대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대한 제어를 통해 상기 공기이동로 중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단에 해당하는 상단부와, 상기 공기이동로 중 상기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단에 해당하는 하단부 간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제트각도 표시부는, 상기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로의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절된 상기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에 의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수신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발사 버튼은, 상기 압력조절버튼부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향 버튼 또는 하향 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의 상기 압력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최초로 상기 에어탱크로부터의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초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함으로써, 압력조절이 용이하여 점프 도약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점프 높이 및 거리를 제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는 점프시 점프 도약대가 있어야만 가능 했었으나 도약대 없이 점프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위에 위험한 장애물이 될수 있는 도약대가 없으므로 다른 스키어들에게 위험을 초래 하지 않으며 초보자부터 전문가 까지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서의 공기압 제트 펌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서의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서의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서의 조작부(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는 스키본체(10), 플렉시블 아암 폴(20), 손잡이부(30), 공기압 제트 펌프부(40), 제어부(50) 및 조작부(60)를 포함한다.
스키본체(10)는 선수(11) 및 선미(12)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이다.
플렉시블 아암 폴(20)은 스키본체(10) 상에서 선수(11)가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어,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손잡이부(30)를 연결한다.
손잡이부(30)는 스키본체(10)에 탑승한 사용자가 손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조작부(60)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는 에어탱크(41), 에어충진구(42), 전자식 압력게이지(43), 이동통로(44), 제 1 이동단(45), 전자밸브(46), 제 2 이동단(47), 공기이동로(48) 및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를 포함한다.
에어탱크(41)는 에어충진구(42)를 통해 상부로 유입된 공기를 저장한다.
전자식 압력게이지(43)는 에어탱크(41)에 충전된 압축공기의 압력 및 잔량을 센싱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이동통로(44)는 제 1 이동단(45)이 제 2 이동단(47)과의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에어탱크(41) 내부의 압축 공기가 1차적으로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밸브(46)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제 2 이동단(47)으로 자력을 인가하여 제 2 이동단(47)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이동단(45)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 2 이동단(47)과 전자밸브(46) 사이에는 제 2 스프링(S2)이 형성되며, 상술한 제 1 이동단(45)과 전자식 압력게이지(43) 사이에는 제 1 스프링(S1)이 형성된다.
공기이동로(48)는 제 1 이동단(45)의 이동에 따라 에어탱크(41)에서 유출된 압축공기가 이동통로(44)를 거쳐 하부에 연결되어 위치한 에어제트(AZ)로 분사되도록 하는 이동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는 공기이동로(48)가 형성된 구간에 형성되어, 공기이동로(48)에 대한 형성된 지점에서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에어제트(AZ)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다.
에어제트(AZ)는 공기이동로(48)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대한 분사를 수행한다. 즉, 에어제트(AZ)는 이동통로(44)에 형성된 제 1 이동단(45)과 전자밸브(60)에 연결된 제 2 이동단(47) 사이의 펌핑 작동에 의해 이동통로(44)와 공기이동로(48)를 순차적으로 통과된 압출공기를 최종적으로 하부의 수상에 분출함으로써,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가 압으로 전진하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한다.
제어부(50)는 스키본체(10) 또는 손잡이부(30)의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압 제트 펌프부(40)의 전자 유닛과 조작부(60)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해, 조작부(60)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를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작부(60)는 전원버튼부(61), 충전/압력 표시부(62), 압력조절버튼부(63),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64), 에어제트각도 표시부(65) 및 압축공기발사 버튼(66)을 포함한다. 한편, 도 4(a)와 도 4(b)는 손잡이부(30)에 수평적으로 형성되거나, 손잡이부(30)의 상면과 하면으로 나뉘어져 형성가능한다.
전원버튼부(61)는 제어부(50), 공기압 제트 펌프부(40)의 전자 유닛, 그리고 조작부(60)에 대한 전원인가를 요청하는 버튼이다. 전원버튼부(61)로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에 시동이 걸리며 이를 위해 전원부(미도시)가 스키본체(10) 또는 손잡이부(30) 내부에 형성되어야 한다.
충전/압력 표시부(62)는 압축공기잔량 표시 LED(62a: 도 4(a) 상의 RED LED 어레이) 및 압력표시 LED(62b: 도 4(a) 상의 RED LED 어레이)를 포함한다.
충전/압력 표시부(62)는 제어부(50)로 에어탱크(41)에 대한 센싱 요청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전자식 압력게이지(43)에 의해 센싱된 에어탱크(41) 내부의 압축공기의 잔량 센싱데이터, 그리고 에어탱크(41)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데이터를 수신한 뒤, 충전/압력 표시부(6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충전/압력 표시부(62)는 압축공기잔량 표시 LED(62a)로 압축공기의 잔량 센싱데이터를 구현하며, 압력표시 LED(62b)로 압축공기의 압력데이터를 구현한다.
압력조절버튼부(63)는 사용자의 상향 버튼(63a) 또는 하향 버튼(63b)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50)로의 압력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전자밸브(46)로의 자기력 제어를 통해 전자밸브(46)와 연결된 제 2 이동단(47)과, 제 1 이동단(45)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제어하는데, 입력조절버튼부(63)의 상향 버튼(63a)을 입력시 제 1 이동단(45)을 제 2 이동단(47)으로 보다 밀착되게 끌어당기는 인력을 작용하고, 입력조절버튼부(63)의 하향 버튼(63b)을 입력시 제 1 이동단(45)을 제 2 이동단(47)과 멀어지는 방향의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한다.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64)는 사용자의 상향 버튼(64a) 또는 하향 버튼(64b)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50)로의 각도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에 대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대한 제어를 통해 공기이동로(48) 중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단에 해당하는 상단부(48a)와,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단에 해당하는 하단부(48b) 간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한다.
에어제트각도 표시부(65)는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64)로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절된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에 의한 피드백 신호를 제어부(50)를 통해 수신하여 구현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90도에서 15도 사이로 구현된다.
압축공기발사 버튼(66)은 상술한 압력조절버튼부(63)로 사용자의 상향 버튼(63a) 또는 하향 버튼(63b)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50)로의 압력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최초로 에어탱크(41)로부터의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초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스키본체
11: 선수
12: 선미
20: 플렉시블 아암 폴
30: 손잡이부
40: 공기압 제트 펌프부
41: 에어탱크
42: 에어충진구
43: 전자식 압력게이지
44: 이동통로
45: 제 1 이동단
46: 전자밸브
47: 제 2 이동단
48: 공기이동로
49: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
50: 제어부
60: 조작부
61: 전원버튼부
62: 충전/압력 표시부
63: 압력조절버튼부
64: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
65: 에어제트각도 표시부
66: 압축공기발사 버튼

Claims (12)

  1. 스키본체(10)의 선미(12)에 형성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공기압 제트 펌프부(40); 및 상기 스키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제어부(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키본체(10)의 선수(11)가 형성된 영역과 한쪽 끝단이 연결된 플렉시블 아암 폴(20)의 다른쪽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부(30)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60);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는,
    에어충진구(42)를 통해 상부로 유입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1); 및 상기 에어탱크(41)에 충전된 압축공기의 압력 및 잔량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는 전자식 압력게이지(43);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는,
    제 1 이동단(45)이 수평방향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이동단(47)과의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에어탱크(41) 내부의 압축 공기가 1차적으로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이동통로(44);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전단에 형성된 상기 제 2 이동단(47)으로 자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이동단(47)과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제 1 이동단(45)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밸브(4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동단(45)과 상기 전자식 압력게이지(43) 사이에는 제 1 스프링(S1)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이동단(47)과 상기 전자밸브(46) 사이에는 제 2 스프링(S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는,
    상기 제 1 이동단(45)으로의 압축공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1)에서 유출된 압축공기가 상기 이동통로(44)를 거쳐 하부에 연결된 에어제트(AZ)로 분사되도록 하는 이동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이동로(48); 및
    상기 공기이동로(48)가 형성된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이동로(48)의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에어제트(AZ)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40)와 상기 조작부(60)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60)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기압 제트 펌프부(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60)는,
    전원버튼부(61), 충전/압력 표시부(62), 압력조절버튼부(63),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64), 에어제트각도 표시부(65) 및 압축공기발사 버튼(66)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손잡이부(30)에 수평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손잡이부(30)의 상면과 하면으로 나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전/압력 표시부(62)는,
    상기 제어부(50)로의 상기 에어탱크(41)에 대한 센싱 요청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상기 전자식 압력게이지(43)에 의해 센싱된 상기 에어탱크(41) 내부의 압축공기의 잔량 센싱데이터, 그리고 상기 에어탱크(41)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데이터를 수신한 뒤, 상기 압축공기의 잔량 센싱데이터를 압축공기잔량 표시 LED로 구현하며,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데이터를 압력표시 LED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버튼부(63)는,
    상향 버튼 및 하향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향 버튼 또는 상기 하향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로의 압력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자밸브(46)로의 자기력 제어를 통해 상기 전자밸브(46)와 연결된 상기 제 2 이동단(47)과, 상기 제 1 이동단(45)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64)는,
    상향 버튼 및 하향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향 버튼 또는 상기 하향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로의 각도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에 대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대한 제어를 통해 상기 공기이동로(48) 중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단에 해당하는 상단부와, 상기 공기이동로(48) 중 상기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가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단에 해당하는 하단부 간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에어제트각도 표시부(65)는,
    상기 에어제트각도 조절버튼부(64)로의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절된 상기 에어제트 각도조절모터(49)에 의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수신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발사 버튼(66)은,
    상기 압력조절버튼부(63)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향 버튼 또는 하향 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로의 상기 압력 제어명령전송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최초로 상기 에어탱크(41)로부터의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초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KR1020120106572A 2012-09-25 2012-09-25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KR10143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72A KR101434261B1 (ko) 2012-09-25 2012-09-25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72A KR101434261B1 (ko) 2012-09-25 2012-09-25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32A KR20140039832A (ko) 2014-04-02
KR101434261B1 true KR101434261B1 (ko) 2014-08-27

Family

ID=5065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572A KR101434261B1 (ko) 2012-09-25 2012-09-25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3535B1 (fr) * 2014-07-10 2017-11-10 El Alaoui Omar Nour Scooter nautique propulse par un moteur pneumatique
KR102292692B1 (ko) * 2015-06-17 2021-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101855036B1 (ko) * 2017-03-10 2018-06-20 강성광 완충장치를 갖춘 제트스키
CN109625227B (zh) * 2018-11-14 2020-10-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水下柔性喷射推进系统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0286A (en) 1967-08-09 1969-11-25 Victor Mfg & Gasket Co Valve stem seal
US4519543A (en) 1982-04-07 1985-05-28 Rolls-Royce Inc. Vectorable nozzles for turbomachines
KR100293301B1 (ko) * 1994-03-03 2001-11-22 로버트 이. 몽고메리 고성능동력수상스키
KR20080076644A (ko) * 2007-02-16 2008-08-20 김태환 프로펠러가 없는 고압에어추진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0286A (en) 1967-08-09 1969-11-25 Victor Mfg & Gasket Co Valve stem seal
US4519543A (en) 1982-04-07 1985-05-28 Rolls-Royce Inc. Vectorable nozzles for turbomachines
KR100293301B1 (ko) * 1994-03-03 2001-11-22 로버트 이. 몽고메리 고성능동력수상스키
KR20080076644A (ko) * 2007-02-16 2008-08-20 김태환 프로펠러가 없는 고압에어추진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32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7979B2 (en) Control systems for water-sports watercraft
US20210053654A1 (en) Surf wake system for a watercraft
KR101434261B1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워터 제트 스키 점프장치
US8465333B2 (en) Skier controlled watercraft
US10118677B2 (en) Device and system for propelling a passenger
US20080133075A1 (en) Automatic trim system for a jet propulsion watercraft
US11897583B2 (en)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ulsion system
US9457883B2 (en) Remote control adapted to retrofit on a jet ski
CN104080698A (zh) 用于推进乘员的装置和系统
US20200156786A1 (en) Propulsion device with adjustable thrust mechanism
US20140103165A1 (en) Maneuvering and Stability Control System for Jet-Pack
CN104097754A (zh) 飞船
KR101713936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전동 웨이크보드용 핸들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치
US20200039644A1 (en) Droneboarding Tow Bar With Integrated Flight Controller
US12006004B2 (en) Water ski
US20220380002A1 (en) Water Sports Equipment
US20220274674A1 (en) Water ski
US20240190539A1 (en) Water sports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vehicle and use of a water vehicle
EA041685B1 (ru) Водные лыжи
CN100453136C (zh) 水上足球所用的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