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109B1 -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 Google Patents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109B1
KR101434109B1 KR1020130087961A KR20130087961A KR101434109B1 KR 101434109 B1 KR101434109 B1 KR 101434109B1 KR 1020130087961 A KR1020130087961 A KR 1020130087961A KR 20130087961 A KR20130087961 A KR 20130087961A KR 101434109 B1 KR101434109 B1 KR 101434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ater pipe
hot water
plate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욱 filed Critical 정재욱
Priority to KR1020130087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관을 인입시켜 온수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판으로 방열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온수관이 구비되어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에 있어서, 열의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금속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하측면으로 온수관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인입부가 일방향 또는 타원으로 만곡지도록 연장되어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이 전도되어 방열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방열판과 동일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인입부의 하측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을 방열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과 더불어 온수관에서 발산된 열기가 반사판에 반사되어 방열판으로 방열됨으로서 난방효율이 향상되면서도 기존에 콘크리트층에 온수관이 매설되어 사용되던 바닥난방시스템에 대비하여 온수관의 손상 또는 파손이 야기되면 방열판의 인입부에서 온수관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Radiant heat structure of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온수관을 인입시켜 온수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판으로 방열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방열판의 하측으로 온수관이 인입됨과 동시에 방열판의 하부로 온수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판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구성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바닥난방은 동파이프나 합성수지 파이프와 같은 온수관을 매설하여, 상기 온수관을 통해 순환하는 온수의 열에 의해 바닥을 가열시켜 옥내를 난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닥난방의 구조는 옥내의 바닥에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온수관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하고 배치된 온수관에 콘크리트 시공을 한 후 시공된 콘크리트층 상부에 장판지 등으로 마감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되는 바닥난방의 구조는 콘크리트층의 특성으로 인하여 열전도율이 떨어지고, 또한 온수관이 매설되는 위치에만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이 국부적으로 전달되어 방열면적이 좁아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은 바닥난방 구조는 콘크리트에 온수관을 매설한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리고 온수관이 콘크리트층에 매설되면 온수관이 파손되거나 이상이 발생하면 시공된 콘크리트층을 깨고 온수관을 점검 또는 보수한 다음 다시 전체의 시공단계를 다시 반복하여야 하여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5887호(2005. 07. 25)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방열판의 하측으로 온수관이 인입됨과 동시에 방열판의 하부로 온수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판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구성되어 온수관에서 발생되는 열과 더불어 반사판에서 반사되는 열까지 방열판을 통해 방열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온수관이 방열판 하부에 인입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온수관이 구비되어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에 있어서, 열의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금속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하측면으로 온수관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인입부가 일방향 또는 타원으로 만곡지도록 연장되어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이 전도되어 방열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방열판과 동일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인입부의 하측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을 방열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열판의 하측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는 방열판의 돌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부와 수용홈 사이에는 바인더가 침지된 유리섬유가 인입되어, 상기 바인더로 하여금 유리섬유가 돌부와 수용홈 사이에 접착된 후 유리섬유층으로 경화됨으로서 방열판 및 반사판의 가장자리가 유리섬유층에 의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과 더불어 온수관에서 발산된 열기가 반사판에 반사되어 방열판으로 방열됨으로서 난방효율이 향상되면서도 기존에 콘크리트층에 온수관이 매설되어 사용되던 바닥난방시스템에 대비하여 온수관의 손상 또는 파손이 야기되면 방열판의 인입부에서 온수관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방열판과 방사판의 가장자리를 유리섬유층으로 밀폐시킴으로서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의 배출 및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패드의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패드의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패드에 고정구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패드의 구조에 의해 비닐을 고정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단면도,
도 6(a), (b)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패드에 나사구가 형성되는 고정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통상적인 비닐하우스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층(3)의 상부에 온수관(5)이 구비되어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10)과, 상기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을 방열판(10)으로 반사하는 반사판(2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방열판(10)은 열의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금속판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방열판(10)의 하측면으로 온수관(5)의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원형의 형태인 인입부(11)가 구성되어 상기 인입부(11)에 인입된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이 방열판(10)으로 전도됨으로서 방열판(10)의 표면으로 열을 방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열판(10)은 난방을 요하는 바닥에 다수개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고, 온수관(5)이 바닥난방을 위해 구성되는 형태는 직선방향으로 연장된 후 타원형의 만곡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직선방향으로 연장됨을 반복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방열판(10)에 형성되는 온수관(5)의 형태에 따라 인입부(11)는 일방향 또는 타원으로 만곡지도록 연장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10)은 금속 중에서도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전, 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으로 채택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20)은 상기 방열판(1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방열판(10)과 동일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인입부(11)의 하측을 수용하는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을 방열판(10)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과 더불어 온수관(5)에서 발산된 열이 반사판(20)에 반사되어 방열판(10)으로 방열됨으로서 난방효율이 향상되어 별도의 고가의 장비없이 난방온도로 도달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 콘크리트층(3)에 온수관(5)이 매설되어 사용되던 바닥난방시스템에 대비하여 온수관(5)의 손상 또는 파손이 야기되면 방열판(10)의 인입부(11)에서 온수관(5)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20)은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르코니아는 지르코늄의 산화물이며 녹는점이 약 2,700℃로서 굴절률이 크고 녹는점이 높으며 급격한 온도의 변화에 견디므로 급열 기구류에 많이 사용되면서도 열팽창율 또한 금속과 유사하여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을 방열판(10)으로 반사하는 데 적합한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세라믹스 중 상온에서는 가장 우수한 강도를 보유하면서 인성이 높고 열전도율이 낮아 장시간 사용에도 손상 및 파손을 야기시키지 않아 수명이 길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방열판(10)과 반사판(20) 사이에 온수관(5)이 형성되고 이러한 온수관(5)의 열을 온전히 보존하여 방열판(10)으로 방열하기 위해서는 방열판(10)과 반사판(20)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방열판(10)의 하측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20)의 가장자리에는 방열판(10)의 돌부(13)를 수용하는 수용홈(23)이 형성되어 돌부(13)와 수용홈(23)의 구조로 인해 1차적으로 방열판(10)과 반사판(20) 사이의 밀폐를 도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부(13)와 수용홈(23) 사이에는 바인더가 침지된 유리섬유를 인입시켜 상기 바인더로 하여금 유리섬유가 돌부(13)와 수용홈(23) 사이에 접착된 후 유리섬유층(30)으로 경화됨으로서 방열판(10) 및 반사판(20)의 가장자리가 유리섬유층(30)에 의해 밀폐되어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의 배출 및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층 열효율을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리섬유에 침지되는 바인더에는 불소발수제가 혼합되며, 이는 유리섬유가 방열판(10)의 돌부(13) 및 반사판(20)의 수용홈(23)에 접착될 때 바인더가 유리섬유에 깊숙이 침투되면서 바인더에 포함된 불소발수제가 유리섬유를 코팅하여 돌부(13) 및 수용홈(23) 간에 발수성능을 부여해 주게 되므로 보온단열해 주고자 하는 방열판(10)과 반사판(20) 사이에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응결수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발수가 이루어져 상시 높은 단열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열판(10)과 반사판(20)의 외측에는 일측의 방열판(10) 및 반사판(20)이 타측의 방열판(10) 및 반사판(20)에 접지되도록 제1, 2규합부(15, 25)가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호 접지되는 방열판(10) 및 반사판(20)을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2규합부(15, 25)의 바람직한 형태는, 연결하고자 하는 방열판(10)과 반사판(20)의 상호 대향되는 측이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태, 어느 한 측이 돌출되고 반대측이 돌출된 부위를 수용하는 형태, 어느 한 측이 쐐기형태로 되고 반대측이 쐐기를 수용하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열판(10)과 반사판(20)을 상호 규합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치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10)의 인입부(11)는 중간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상부인입부(16)와 하부인입부(17)로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인입부(16)의 양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안내돌출부(16a)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돌출부(16a)의 선단에는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걸림부(16b)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인입부(17)의 하측에는 상부인입부(16)의 안내돌출부(16a)와 안내걸림부(16b)가 안내되도록 안내홈부(17a)와 안내걸림홈부17b)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인입부(11)가 상부인입부(16)와 하부인입부(17)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호 슬라이딩되면서 분리 또는 결합되어 온수관(5)이 인입부(11)에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인입 또는 이탈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3 : 콘크리트층 5 : 온수관
10 : 방열판 11 : 인입부
13 : 돌부 15 : 제1규합부
16 : 상부인입부 16a : 안내돌출부
16b : 안내걸림부 17 : 하부인입부
17a : 안내홈부 17b : 안내걸림홈부
20 : 반사판 21 : 수용부
23 : 수용홈 25 : 제2규합부
30 : 유리섬유층

Claims (7)

  1.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온수관이 구비되어 온수관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바닥난방이 이루어지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에 있어서,
    열의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금속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하측면으로 온수관(5)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인입부(11)가 일방향 또는 타원으로 만곡지도록 연장되어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이 전도되어 방열되는 방열판(10);
    상기 방열판(1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방열판(10)과 동일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인입부(11)의 하측을 수용하는 수용부(21)가 형성되어 온수관(5)에서 발산되는 열을 방열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0);
    이 포함되고,
    상기 방열판(10)의 하측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20)의 가장자리에는 방열판(10)의 돌부(13)를 수용하는 수용홈(23)이 형성되고, 상기 돌부(13)와 수용홈(23) 사이에는 바인더가 침지된 유리섬유가 인입되어, 상기 바인더로 하여금 유리섬유가 돌부(13)와 수용홈(23) 사이에 접착된 후 유리섬유층(30)으로 경화됨으로서 방열판(10) 및 반사판(20)의 가장자리가 유리섬유층(30)에 의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0)은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에 침지되는 바인더에는 불소발수제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0)과 반사판(20)의 외측에는 일측의 방열판(10) 및 반사판(20)이 타측의 방열판(10) 및 반사판(20)에 접지되도록 제1, 2규합부(15, 25)가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규합부(15, 25)는, 연결하고자 하는 방열판과 반사판의 상호 대향되는 측이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태, 어느 한 측이 돌출되고 반대측이 돌출된 부위를 수용하는 형태, 어느 한 측이 쐐기형태로 되고 반대측이 쐐기를 수용하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0)의 인입부(11)는 중간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상부인입부(16)와 하부인입부(17)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인입부(16)의 양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안내돌출부(16a)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돌출부(16a)의 선단에는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걸림부(16b)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인입부(17)의 하측에는 상부인입부(16)의 안내돌출부(16a)와 안내걸림부(16b)가 안내되도록 안내홈부(17a)와 안내걸림홈부(17b)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KR1020130087961A 2013-07-25 2013-07-25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KR101434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961A KR101434109B1 (ko) 2013-07-25 2013-07-25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961A KR101434109B1 (ko) 2013-07-25 2013-07-25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109B1 true KR101434109B1 (ko) 2014-08-26

Family

ID=5175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961A KR101434109B1 (ko) 2013-07-25 2013-07-25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4267A (zh) * 2020-02-28 2020-05-1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地暖用沟槽保温模块及其使用方法
KR20200142246A (ko) 2019-06-12 2020-12-22 조승철 난방용 벽판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289A (ko) * 2005-05-11 2007-06-07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온돌마루용 방열파이프 조립체
KR20120085413A (ko) * 2011-01-24 2012-08-01 김규진 전열선이 내장된 발열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289A (ko) * 2005-05-11 2007-06-07 주식회사 평온하이텍 온돌마루용 방열파이프 조립체
KR20120085413A (ko) * 2011-01-24 2012-08-01 김규진 전열선이 내장된 발열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246A (ko) 2019-06-12 2020-12-22 조승철 난방용 벽판넬
CN111174267A (zh) * 2020-02-28 2020-05-1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地暖用沟槽保温模块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628B1 (ko) 램프 장치
US20090237958A1 (en) Low-clearance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CN106062463B (zh) 照明装置
US20130223064A1 (en) Led projection lamp
KR101434109B1 (ko) 난방시스템의 방열구조
US20120120653A1 (en) Led luminaire utilizing an extended and non-metallic enclosure
US20130229799A1 (en) Led projection lamp
US20140268864A1 (en) Modular waveguide light fixture
JP2007035426A (ja) 照明器具
TW201135326A (en) Backlight module
BR102013031833A2 (pt) Dispositivo emissor de luz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dispositivo emissor de luz e componente óptico usado no mesmo
JP2009088531A5 (ko)
EP3189549A1 (en) A light emitting device
KR101194308B1 (ko) 다 분할 입사각을 갖는 광원등
US7499633B2 (en) Infrared heater
CN107532780B (zh) 具有冷却元件的发光装置
JP5844405B2 (ja) ランプ構造
KR101055720B1 (ko) 눈부심 방지 기능을 가진 엘이디 조명 램프
KR101625578B1 (ko) 난방장치
KR101121066B1 (ko) 점 광원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JP5308125B2 (ja) 照明器具
JP2017188297A (ja) 蛍光装置
TW200950154A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230541B1 (ko) 난방용 벽판넬
KR101169198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조명등기구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