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048B1 -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048B1
KR101434048B1 KR1020120140579A KR20120140579A KR101434048B1 KR 101434048 B1 KR101434048 B1 KR 101434048B1 KR 1020120140579 A KR1020120140579 A KR 1020120140579A KR 20120140579 A KR20120140579 A KR 20120140579A KR 101434048 B1 KR101434048 B1 KR 10143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terial
plate member
cell
delete dele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730A (ko
Inventor
이동우
구보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048B1/ko
Priority to US13/770,910 priority patent/US20140155294A1/en
Publication of KR2014007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7/00Detai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providing a thin slice, e.g. microto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01N2001/368Mounting multiple samples in one block, e.g. TMA [Tissue Microar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은 판 부재의 일면에 생체물질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판 부재의 일면에 상기 생체물질을 내부에 수용하고 고형화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형화 층을 박편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ell slice}
본 발명은 세포 칩, 세포 박편 표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의 검사 및 분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세포 칩, 세포 박편 표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의 각종 질병을 빠르게 진단하기 위한 바이오 의료장치 및 바이오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생체물질과 약물을 한번에 실험할 수 있는 세포 칩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러한 세포 칩은 다수의 생체물질 또는 약물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1회 실험을 통해 다수의 생체물질 또는 다양한 약물에 대한 반응결과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포 칩은 제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일 예로, 세포 칩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으나, 기재(1)에 생체 고분자(5)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많은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생체물질을 이용한 또 다른 실험 방법으로 고정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2는 파라핀 블록(2)의 통공(4)에 조직(8)을 수용시킨 뒤 이를 박편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통공(4)에 조직을 채워 넣는 방식이므로, 상당히 많은 양의 조직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실제로 생체조직은 상당히 고가이므로 많은 양의 확보가 어렵다). 또한, 조직(8)을 전처리(조직의 배양 또는 약물처리)할 경우, 각 생체조직을 별도의 장치로 전처리하고 다시 이 시료를 박편으로 만들기 위해 옮겨 담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JP 2003-021635 A JP 2011-01305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체조직의 전처리와 박편 과정을 동일 기판에서 수행하여, 생체물질을 이용한 실험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세포 칩, 세포 박편 표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은 판 부재의 일면에 생체물질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판 부재의 일면에 상기 생체물질을 내부에 수용하고 고형화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생체물질이 수용된 고형화 물질을 박편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은 판 부재에 소수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 물질 상에 친수성 물질을 부분적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은 판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생체물질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판 부재의 일면에 상기 생체물질을 내부에 수용하고 고형화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형화 층을 박편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은 상기 돌기에 소수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량의 생체물질로도 생체물질의 배양 및 약물처리 등의 전처리 과정과 전처리된 시료의 박편을 손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생체물질의 반응을 분석하는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종의 생체물질에 대한 실험 및 검사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포 칩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판 부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판 부재의 또 따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판 부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판 부재는 생체물질의 실험을 위해 사용되는 부재를 의미하며, 특별히 재질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판 부재는 실리콘, 유리, 금속 또는 폴리머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싸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폴리노르보넨(polynorbonene), 스틸렌-부타디엔 코폴리머(SBC),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판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판 부재는 포토 레지스트 공정, 에칭 공정, 사출 성형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생체물질은 다양한 물질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생체물질은 RNA, DNA 등의 핵산 배열, 펩타이드, 단백질, 지방질, 유기 또는 무기 화학분자, 바이러스 입자, 원핵 세포, 세포 소기관 등일 수 있다. 또한, 생체 물질은 인간 세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동물 또는 식물의 세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포 칩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판 부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판 부재의 또 따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판 부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100)은 판 부재(110), 생체물질(120), 고형화 물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판 부재(110)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판 부재(110)는 일 방향(도 1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판 부재(110)의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판 부재(110)는 실리콘, 유리, 금속 또는 폴리머로 제작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판 부재(110)는 성형이 용이한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판 부재(110)는 생체물질(120)과 생물학적 및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판 부재(110)는 현미경 관찰 및 광학 분석이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부재(110)는 슬라이드 글라스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은 크기를 갖는 판 부재(110)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생체물질(120)은 판 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생체물질(120)은 미세 토출 장치(예를 들어, 피펫)에 의해 판 부재(110)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판 부재(110)에 형성되는 생체물질(120)은 수십 ㎕ 정도의 작은 양일 수 있다.
생체물질(120)은 표면 장력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생체물질(120)은 판 부재(1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h1)로 존재할 수 있다.
생체물질(120)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군의 일부 조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생체물질(120)은 사람의 장기 조직 또는 사람의 피부 조직일 수 있고, 또는 동물의 장기 조직 또는 동물의 피부 조직일 수 있다. 그러나 생체물질(120)이 전술된 사람과 동물의 조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생체물질(120)은 식물 및 미생물의 조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생체물질(120)은 1종 이상의 조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부재(110)에 형성된 생체물질(120) 중 제1열은 제1조직(122)이고, 제2열은 제2조직(124)이고, 제3열은 제3조직(126)이고, 제4열은 제4조직(128)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물질(120)을 배치하면, 1종의 약물 또는 시약에 대해서 여러 조직의 반응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생체물질(120)의 배치는 1종의 약물 또는 시약에 대한 제1조직(122) 내지 제4조직(128) 간의 상호 작용의 관찰을 가능케 할 수 있다.
고형화 물질(130)은 판 부재(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고형화 물질(130)은 판 부재(110)의 일면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형화 물질(130)의 층은 생체물질(12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생체물질(120)을 고형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형화 물질(130)은 파라핀 성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파라핀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형화 물질(130)의 층(이하에서는 고형화 층이라고 명명하고 고형화 물질(130)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은 판 부재(11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형화 층(130)의 높이(h2)는 생체물질(120)의 높이(h1)와 같거나 또는 이보다 클 수 있다. 전자는 세포 칩(100)을 이용한 세포 박편 표본(200)의 제조에 유리할 수 있고, 후자는 고형화 층(130)을 통한 생체물질(120)의 보호 및 고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포 칩(100)은 판 부재(110)에 형성된 생체물질(120)이 고형화 층(130)에 의해 보호되므로, 외부 충격 또는 외부 접촉에 의한 생체물질(120)의 변형 및 파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세포 칩(100)은 생체물질(120)이 고형화 층(130)에 의해 고형화되므로, 생체물질(120)의 장기 보존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세포 칩(100)은 생체물질(120)이 고형화 층(130)에 일체로 고형화되어 있으므로, 고형화 층(130)의 절단 가공을 통해 생체물질(120)을 다수의 박편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세포 칩(100)으로도 이종의 약물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판 부재(110)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판 부재(110)는 제한된 영역에 생체물질(1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친수성 영역과 소수성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판 부재(110)는 친수성 물질(140)과 소수성 물질(150)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예로, 판 부재(110)의 일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 물질(150)로 코팅된 후, 일 부분에 한해 친수성 물질(140)로 코팅될 수 있다. 또는, 판 부재(110)의 일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물질(140)과 소수성 물질(150)로 구별되어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 부재(110)는 친수성 물질(140)로 코팅된 부분에 한해 생체물질(120)이 형성되므로, 생체물질(120)이 넓게 퍼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100)은 판 부재(110)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판 부재(110)는 복수의 돌기(116)를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돌기(116)는 판 부재(110)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부재(110)의 일면에는 532개(14×38)의 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생체물질(120)은 돌기(116)의 끝 부분에 제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기(116)의 끝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물질(140)이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돌기(116)의 원주면 및 판 부재(110)의 나머지 부분에는 소수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포 칩(100)은 돌기(116)의 끝 부분에만 생체물질(120)이 형성되므로, 웰 칩(400, 도 8 참조)을 이용한 생체물질(120)의 배양 및 부착이 용이하다.
다음에서는 세포 칩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세포 칩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된 세포 칩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된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은 소수성 막의 형성 단계,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생체물질의 형성 단계, 고형화 층의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소수성 막의 형성 단계
본 단계는 판 부재(110)에 소수성 막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단계는 판 부재(110)의 일면에 소수성 물질(150)을 코팅하여 판 부재(110)의 일면에 소수성 물질(150)로 이루어진 얇은 막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소수성 물질(150)의 코팅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2)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본 단계는 판 부재(110)에 친수성 막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단계는 소수성 막에 친수성 물질(140)을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친수성 물질(140)의 코팅은 생체물질(120)이 형성된 부분에 국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친수성 물질(140)로 코팅되는 형상은 대체로 원형일 수 있다.
3) 생체물질의 형성 단계
본 단계는 판 부재(110)에 생체물질(12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단계는 친수성 물질(140)로 코팅된 영역(즉, 친수성 영역)에 생체물질(12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생체물질(120)의 형성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4) 고형화 층의 형성 단계
본 단계는 판 부재(110)에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단계는 판 부재(110)의 일면에 고형화 물질(130)을 도포하여 판 부재(1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고형화 층은 생체물질(120)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형화 물질(130)로는 파라핀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은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생체물질의 형성 단계, 생체물질의 전처리 단계, 고형화 층의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본 단계는 판 부재(110)에 친수성 막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단계는 판 부재(110)의 돌기(116)에 친수성 물질(140)을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단계는 돌기(116)의 끝에 친수성 물질(140)을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돌기(116)의 원주면을 소수성 물질로 코팅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소수성 물질의 코팅단계는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2) 생체물질의 형성 단계
본 단계는 판 부재(110)에 생체물질(12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단계는 친수성 물질(140)로 코팅된 영역(즉, 친수성 영역)에 생체물질(12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생체물질(120)의 형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 칩(400)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생체물질(120)의 형성은 생체물질(120)이 수용된 웰 칩(400)에 판 부재(110)의 돌기(116)를 침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돌기(116)의 끝에는 친수성 물질(140)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생체물질(120)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에서 도면부호 410은 생체물질(120)을 수용하기 위한 웰 칩(400)의 홈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판 부재(110)와 웰 칩(400)의 스탬핑(stamping) 공정에 의해 생체물질(120)이 판 부재(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생체물질의 형성방법이 스탬핑 공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생체물질은 잉크젯 프린트를 이용한 분사 방식으로도 판 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다.
3) 생체물질의 전처리 단계
본 단계는 생체물질(120)과 약물을 반응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는, 본 단계는 생체물질(120)과 약물이 용이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생체물질(120)에 예비적으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을 가하는 처리단계일 수 있다.
생체물질(120)의 전처리는 웰 칩(40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생체물질(120)의 전처리는 약물(300) 또는 전처리 물질이 수용된 웰 칩(400)에 판 부재(110)의 돌기(116)를 침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생체물질(120)의 전처리 방법은 웰 칩(400)을 이용하지 않고 약물 또는 전처리 물질을 분사하는 방법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4) 고형화 층의 형성 단계
본 단계는 판 부재(110)에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단계는 판 부재(110)의 일면에 고형화 물질(130)을 도포하여 판 부재(1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고형화 층은 생체물질(120)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형화 물질(130)로는 파라핀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포 칩 제조 방법은 생체물질(120)을 돌기(116)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포 박편 표본(200)은 박편(230)과 생체물질(220; 222, 224, 226, 228)을 포함할 수 있다.
박편(230)은 얇은 막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박편(23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부재를 얇게 절단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박편(230)은 고형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박편(230)은 파라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박편(230)의 성분이 파라핀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체물질(220)을 고형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생체물질(220)은 박편(230)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생체물질(220)은 박편(230)을 구성하는 고형화 물질에 의해 박편(230)과 일체화될 수 있다.
한편, 생체물질(220)은 박편(230)의 위치에 따라 다른 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박편(230)에 형성된 생체물질(220) 중 제1열은 제1조직(222)이고, 제2열은 제2조직(224)이고, 제3열은 제3조직(226)이고, 제4열은 제4조직(228)일 수 있다. 그러나 박편(230)에 형성되는 생체물질(220)이 반드시 다른 조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동일한 조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포 박편 표본(200)은 얇은 박편(230)에 다수의 생체물질(22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생체물질(220)을 이용한 약물 실험 및 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세포 박편 표본(200)은 소량의 생체물질(220)이 박편(2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체물질(220)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은 세포 칩 제조 방법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은 소수성 막의 형성 단계,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생체물질의 형성 단계, 고형화 층의 형성 단계, 절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수성 막의 형성 단계,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생체물질의 형성 단계, 고형화 층의 형성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은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생체물질의 형성 단계, 고형화 층의 형성 단계, 절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친수성 막의 형성 단계, 생체물질의 형성 단계, 고형화 층의 형성 단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포 칩 제조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세포 박편 표본 제조 방법은 절단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세포 칩 제조 방법과 구별될 수 있다.
절단 단계는 고형화 층을 일 방향(판 부재의 일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절단 단계는 고형화 층을 절단하여 세포 박편 표본(200)을 만드는 단계일 수 있다. 세포 박편 표본(200)의 두께는 2 ~ 4 ㎛일 수 있다. 여기서, 절단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 박편 표본(200)은 다종의 생체물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형화 층을 절단하는 얻는 세포 박편 표본(200)의 수만큼 생체물질(220)에 대한 약물 실험 및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세포 박편 표본(200)은 박편(200, 도 9 참조)의 X축과 Y축 방향으로 다수의 생체물질(22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세포 박편 표본(200)을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포 박편 표본(200)을 이용한 약물 실험 및 검사를 더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세포 칩
110 판 부재
116 돌기
120 생체물질
130 고형화 물질 (또는 고형화 층)
140 친수성 물질
150 소수성 물질
200 세포 박편 표본
210 박편
220 생체물질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판 부재의 일면에 생체물질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판 부재의 일면에 상기 생체물질을 내부에 수용하고 고형화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형화 층을 박편으로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에 소수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소수성 물질 상에 친수성 물질을 부분적으로 도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18. 판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생체물질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판 부재의 일면에 상기 생체물질을 내부에 수용하고 고형화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형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형화 층을 박편으로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소수성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KR1020120140579A 2012-12-05 2012-12-05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KR10143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79A KR101434048B1 (ko) 2012-12-05 2012-12-05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US13/770,910 US20140155294A1 (en) 2012-12-05 2013-02-19 Cell chip, cell slice samp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79A KR101434048B1 (ko) 2012-12-05 2012-12-05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730A KR20140072730A (ko) 2014-06-13
KR101434048B1 true KR101434048B1 (ko) 2014-08-25

Family

ID=5082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579A KR101434048B1 (ko) 2012-12-05 2012-12-05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55294A1 (ko)
KR (1) KR101434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344B1 (ko) * 2016-03-04 2020-08-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필러를 이용한 시료 박편의 제조방법
CN108593380B (zh) * 2018-04-25 2021-05-18 复旦大学附属中山医院 一种组织芯片量产制作方法
CN113073029B (zh) * 2021-03-17 2023-03-21 长春长光辰英生物科学仪器有限公司 用于激光诱导转移的浸润改性细胞分选芯片及分选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101A (ko) * 2000-04-28 2001-11-08 김우호 검사용 샘플의 미세배열 장치 및 방법
KR20040009779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옵트론-텍 마이크로칩용 시료저장부 제조방법.
KR20120071216A (ko) * 2010-12-22 2012-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세포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1441A1 (en) * 2005-11-01 2009-09-03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Three-dimensional cellular array chip and platform for toxicology assays
KR101218982B1 (ko) * 2010-05-03 2013-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세포 칩, 이의 제조방법 및 세포 칩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101A (ko) * 2000-04-28 2001-11-08 김우호 검사용 샘플의 미세배열 장치 및 방법
KR20040009779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옵트론-텍 마이크로칩용 시료저장부 제조방법.
KR20120071216A (ko) * 2010-12-22 2012-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세포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55294A1 (en) 2014-06-05
KR20140072730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užil et al. Revisiting lab-on-a-chip technology for drug discovery
US20150111239A1 (en) Microfluidic device and related methods
Wang et al. Trapping cells on a stretchable microwell array for single-cell analysis
WO2001026797A2 (de) Prozessieren von proben in lösungen mit definiert kleiner wandkontaktfläche
KR101434048B1 (ko) 세포 박편 표본의 제조 방법
US20140273053A1 (en) Cell chips
KR101218986B1 (ko) 바이오 칩
KR101350640B1 (ko) 바이오 칩
US20110046017A1 (en) Mold of recipient block and usage thereof
US20140154722A1 (en) Apparatus for analyzing biomaterial
JP6579465B2 (ja) マイクロウェルプレート、マイクロウェル装置、細胞解析方法及びマイクロウェルプレートの製造方法
Kuang et al. Inkjet printing of a micro/nanopatterned surface to serve as microreactor arrays
CN103180735B (zh) 软物质的微阵列制作方法
JP2019513419A (ja) 球状体組織マイクロア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081483A1 (en) Biochip
JP2008134188A (ja) プローブ固相化反応アレイおよび該アレイの製造方法
Chen et al. High-precision dispensing of nanoliter biofluids on glass pedestal arrays for ultrasensitive biomolecule detection
US20140045256A1 (en) Cell chip
EP3517953B1 (en) Pillar unit for bio chip
CN111483096B (zh) 根际通道微流控芯片及其胶体块和一种制造胶体块的模具
KR20220027661A (ko) R2r 공정을 이용한 오가노이드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제조
US20130137168A1 (en) Biochip
WO2011073536A1 (en) Platform system, elements and us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1309435B1 (ko) 바이오 칩
Benz chemBIOS–Unifying On-Chip Solution-Based Organic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Screening in Drug Dis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